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교류활동과 지역사회발전 모색: 포항과 심천 간의 문화산업교류에 의한 사회적 실천을 중심으로

        영애 ( Young Ae Ha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1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9 No.1

        본 연구는 한국의 포항과 중국심천의 문화산업의 현황을 개괄해보고, 인적매체의 교류활성화를 통해 향후 학습된 신념과 전통 및 지침들을 내면화하여 포항과 심천문화산업을 어떻게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지를 고찰해보았다. 연구의 결과. 중국 유학생들은 한국 지역사회의 문화탐방과 체험학습을 통해 생활문화를 체득하였으며, 양국 학자들과 양국 여성 NGO들도 학술, 문화 상호방문 등 다양한 문화산업교류를 통하여 상호이해를 증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포항은 영일만 신항 개항, 환동해 거점도시 국제회의 개최, 국제 불빛 축제 등의 특징이 있다. 심천 시는 문화와 관광을 연계한 다양한 창의성문화산업을 통해 고도로 성장발전 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양 지역사회는 다양한 산업문화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직접적인 교류활성화는 미진한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포항과 심천간의 문화산업의 사회적 실천방안으로 다음의 몇 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산업체험 확산방안으로 한·중 양국학생과 양국 NGO단체의 자매결연 및 교환교류협정 체결을 통한 상호문화산업탐방의 지속화. 둘째, 포항-심천 우호도시교류 체결 제의. 셋째, 관광문화개발과 연계해야 하며, 넷째, 인재발굴 환경과 문화인재양성을 제시하였으며, 끝으로 네트워크도시의 역할과 연대 모색으로서 포항과 경주, 그리고 심천과 홍콩, 마카오를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culture industry of Pohang in Korea and Shenzhen in China are continuously maintained and developed, by recapitulating current status of culture industry in two regions, and by internalizing acquired principle, tradition and guidelines for the future. Alongside with Yeongil harbor, newly opening harbours are appropriate to Pohang. Being a Hub city in East Sea Rim, it is characterized as a venue of various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of POSCO international firework festival. However, Yeongil Habor, in addition to POSCO steel works, which is the world`s second largest, should perform function of a passenger harbor, so that it would attract more overseas students and tourists. Shenzhen is achieving high growth rates through its various creative cultural industry. Thus, proposed action plans are 1) expansion of culture industry experience maintain and expand two cities` cultural and industrial mutual by visits students and women groups. 2) linkage with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y. 3) suggestion of establishing friendly relations between two cities. 4) Creating favorable condition for training and educating talented people.

      • KCI등재

        2016년 대만 총통선거와 정책이슈

        영애 ( Young-ae Ha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34 No.2

        본 연구는 2016년대만 총통선거에서 정당과 후보들이 선거과정 중 제시한 이슈정책을 양안정책이슈, 경제정책이슈, 청년정책이슈로 분석해보았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법과 총통선거를 직접시찰하고 몇 차례의 현지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제14차 대만총통선거에서는 민진당의 차이잉원이 309만 표의 큰 차이로 압승하여 여야가 정권교체를 함으로서 양당정치가 궤도에 오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그는 주위사람들과 잘 소통하며 심지어 타 정당인 국민당사람들과도 잘 어울리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번 대만 총통선거의 특징으로는 먼저 양당제 정치의 궤도화 및 청년이슈를 통한 다당제 정치의 부각이다. 두번째는 최초 여성총통 당선으로 Gender Shift와 민진당 입법위원의 기반확장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특히 이번 총통선거에서는 ‘현상유지 양안정책이슈의 선점’과 경제정책이슈가 우선관건이었다. 그러나 비록 많은 국민들의 여론과 함께 ‘현상유지’의 양안정책이슈를 고수하더라도 미국 등 국제사회와의 외교문제를 비롯하여 국내적으로는 경제이슈, 노인복지를 비롯하여 청년실업 등도 풀어나가야 할 관건이다. 본 연구의 결과, 대만총통선거는 양안정책이슈, 경제정책이슈, 청년ㆍ노동정책이 중요한 정책이슈로 제기되었으며, 특히 차이잉원 후보는 ‘현상유지 양안정책이슈’를 선점하여 대만 최초의 여성 총통에 당선될 수 있었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ssues suggested by political parties and candidates during the 2016 Taiwanese presidential election proces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combined literature analysis with on-site interviews through the direct inspection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the 14th Taiwanese presidential election, the two-party politics are going into orbit through a transfer of political power as Cai Yingwen of the Democratic Progressive Party won an overwhelming victory by a large majority of votes. In particular, the candidate Cai is honest, and communicates smoothly with the people around her; on top of that, she has the strength in getting along well with even the personnel of the Nationalist Party. However, although this Party adheres to the ‘Cross-Strait’ policy based on’ status quo on the strength of a large number of people’s support, the key point is how to resolve diplomatic affairs with international society like the USA, and domestically, economic issues, youth unemployment, and welfare for the elderly legitimac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diverse issues like ‘Cross-Strait’ issue, economic issue, and youth unemployment issue, etc. have been raised in Taiwan.

      • KCI등재
      • KCI등재

        韓中 양국여성의 의회진출과 사회참여에 관한 제도론적 고찰

        河英愛 한국의정연구회 2010 의정논총 Vol.5 No.1

        제헌국회 이래 한국여성국회의원의 의회진출은 평균2% 수준이었는데 현재는 14.05%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선거제도의 도입에 따른 것이다. 반면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의 여성대표는 오히려 과거보다 저 비율을 나타내어 제도도입과 집행을 강력하게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다. 본 연구는 양국여성의 의회진출과 사회참여에 있어서 제도는 어떠한 기능을 발휘하는지를 고찰해본다. 따라서 제도론적 이론에 중점을 두고 제도의 4가지 구성요소 즉, 가치, 규범, 구조와 인간행동에 주목하였다. 여성들의 의회진출이 높은 국가는 할당제, 비례대표제 등의 선거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또한 유엔에서 각국 여성들의 다양한 지표를 측정하는 여성권한척도(GEM)중에 여성의 의회진출수자는 중요한 지표가 되는데 2010년 현재 187개 대상국가중 중국은 21.3%로서 55순위를, 한국은 14.05%로서 86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한중여성의 정치참여와 대표성이 저조한 원인은 주로 제도적 요인에 집중되어왔다. 이러한 여성의 저 대표성은 불균형적인 정책결정을 낳을 수 있고 사회에 대한 여성 지도자 들의 기여의 기회를 봉쇄하게 되어 인적 자원 낭비로 정치발전을 저해하기 때문에 의회참여의 확대는 대단히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 제도가 여성의 의회진출과 사회참여에 미친 영향으로는 첫째, 양국여성의 의회진출 증가, 둘째, 양국여성의 사회지위 향상에 기여, 셋째, 양국여성 세력화의 초석마련으로 고찰하였다. 한국은 제헌국회에서부터 13대 까지 여성 국회의원 수는 총61명으로 전체의원 2,919명중 평균 2.1%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나 그 후 정당법에 비례대표제 여성할당 30%를 도입하면서부터 여성의원비율은 점차 늘어나 18대국회의원 총299명중에 여성의원이 42명으로서 14.05%로서 한국 여성선거사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바로 제도를 제정하기까지 많은 학자, 여성단체, 정치계 등 사회세력의 영향으로 이루어내었는데 즉, 할당제 도입을 위한 여성연대, 지속적인 세미나 개최, 정치인들에게 서한을 보내기 등 끈임 없는 요구와 제도개선의 결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하겠다. 반면, 중국의 전인대여성대표수는 1995년 전후를 비교하면 증가하지는 않고 오히려 그 비율이 하락했다. 그러나 전국정협여성위원은 1993년에 9.2% 급하강 하였다가 제9대(2003)와 10대(2008)에 각각 15.5% 와 16.8%로 상승함으로서 정협여성의원들의 정계진출이 크게 증가 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전인대여성인민대표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22%보다 낮지 않도록 한다”는 법적인 제도를 마련한 것은 북경행동강령의 이행결과가 만들어낸 성과라고 하겠다. 이외에도 양국여성들은 특정 제도를 제정, 답습하였는데 예를 들면, 한국의 ‘여성발전기본법’, ‘여성발전기금법’, ‘여성주간(7.1-7)이 만들어졌고, 중국에서는 부녀발전권익법(婦女發展權益法)을 제정하는 등 다양한 법규가 제정되었으며, 한국에서 여자대학교를 답습하여 중국에 여자대학교‘中華女子學院’를 설립하는 등 한중여성의 정치와 지위향상에 제도화를 통한 실제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하겠다. 양국여성의회진출의 발전방안으로는, 첫째 양국여성의 법률정비를 통한 제도화의 정착,둘째, 중국여성들의 여론화와 행동화 요구, 셋째, 한중양국 여성 지도자의 전문성강조, 넷째, 지속적인 교류활동과 적극적인 참여연대 추진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첫째, 할당제와 정당비례대표제의 선거제도는 한국여성의 의회진출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고. 둘째, 특정제도는 두 나라 여성들의 사회지위와 정치지위향상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셋째, 하나의 제도는 정치적 세력과 사회적 세력의 영향을 받으며 타제도의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하였다. Ever since the founding of National Assembly of Korea, the ratio of women's entries into its legislative body has remained at the level of two percent average while it remains at the level of 14.05 percent today. In the meantime, China's People Congress has a smaller number of female representatives today than its past and there exists a strong voice for the introduction of new system. This article explores the roles of institutions in women's entries into the Parliament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both Korea and China. Thus, focusing on the institutional theory, it looks into the four elements of institutions, i. e., values, norms, structures, and human behaviors. Those countries, which show high level of female participation in the field of political activities, tend to adopt a special election system including 'quota system'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conducive to the female participation in politics and society. As the low representation of females can lead to unbalanced policy-makings and a subsequent blockage to the opportunities for women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female entries into the parliamentary activities both in Korea and China. Regarding the women's entries into the National Assembly in Korea, this article has referred to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n female members of past Korean National Assemblies. At the same time, for the case of China, this article draws o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n female representatives in China's People's Congress and Political Consultative Conference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article finds that an appropriate institution can lead to the increase of female entries into both countries' parliaments, the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social status of both countries' female persons, and provision of the foundation for the power of the female persons. In addition,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a certain political institution i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and social forces and vice versa.

      • KCI등재

        한·중 간의 사회문화교류를 통한 양국의 발전방안모색

        영애 한국동북아학회 2008 한국동북아논총 Vol.13 No.4

        Despite their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Korea and China have experienced half century long severance in diplomatic relations due to formulated Cold War atmosphere after World War Ⅱ. This frozen environment caused blocking of mutual understanding and diverse international exchange between two countries, and this eventually has taken away chances of flourish of eastern culture. These two countries have well promoted exchange in the field of politics and economics for 16 years; however, societal and cultural exchanges are relatively sluggish. In this reason, constructive efforts from every field of life is preciously demanded in order to extend exchanges between two countries. The definition of exchanges refers to creative development through integrating heterogeneous factors in the way of prospective perception and complementing lacking parts in the way of cooperation. What have two countries obtained through society and culture exchange activity and how this has been changed? The answers of these questions are never easy to get; however, we try to consider what kind of effect the exchange activity gives to the people of two countries in terms of life quality and psychological valu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discovered positive aspects including reciprocal development, increasing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fostering cosmopolitan and NGO spirit which was yield by different cultural creation. In other words, people of two countries have experienced reciprocal development through visiting each other's remains, goodwill visiting, language-culture study and so on. By promoting cultural exchanges, both countries could not only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nd sprite of cosmopolitan and NGOs which mean serving other people but also extend the network of youth, women, various civic organizations. These positive aspects of exchange development bring a rise of life quality with psychological value of people; however, we could not ignore the side effects of the exchanges : events cancelation, delay of plan execution, fraud related to the mutual understanding, escapade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broad. As a conclusion, I propose the ways of promoting cultural and societal changes such as increasing productivity of political support, developing and continuing programs to improve bi-language skill, promoting exchange of academic organizations related to women and furtherance of exchange foundation in order to grow vitality of society and culture exchanges. 한·중 양국은 역사적 지리적 요건에도 불구하고 세계 2차 대전 후의 냉전체제로 인하여 교류가 반세기 동안 단절되어 왔다. 이는 양국 국민간의 이해와 각종 교류촉진을 차단하였고 동양 문화창달을 저해하게 되었다. 교류활동의 당위성은 국가나 개인 혹은 집단이 상호교류활동을 통하여 이질적 요소를 발전적 측면에서 통합하여 상호 부족한 부분을 도와주고 있다. 본 논문은 한·중 양국이 수교 이후 사회문화교류를 통하여 무엇을 얻었으며, 각 국가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발전의 개념을 적용하여 양국 국민이 사회문화교류를 통해 생활향상, 참여증대, 세계시민의식 향상에 어떤 변화발전을 가져왔는지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먼저 사회분야의 교류현황을 고찰하였는데 이는 인적교류, 학술·교육 관련교류, 우호도시교류, 여성관련 학술 및 단체교류와 문화·예술교류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다음으로는 양국의 상호교류에 대한 평가에서 긍정적인 부분으로 대학생, 여성, 중·고생 등의 양국의 언어경시대회와 각종 문화·예술 단체의 상호방문, 연주회, 전시회, 유적답사를 통해 각국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중 양국관계는 학술, 세미나 등의 교류를 통해 의식증대와 특히 양국여성들은 세계4차 여성대회, 동아시아 여성포럼, ‘99서울NGO세계대회의 체험을 통해 여성관련 법규를 제정함으로써 ‘제도화’를 통한 여성의 지위향상,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하였다. 사회문화교류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정책지원 및 교류의 생산성 증대, 양국의 언어실력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개발 및 지속화, ‘동북아 여성네트워크’ 형성과 여성발전, 학술단체의 교류증진을 위한 기금 조성, 교류확대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첫째, 교류활동을 통한 인식변화와 삶의 질 향상, 둘째, 여성의 의식향상과 제도의 정착. 셋째, 학술·문화예술교류 증대로 동양 정신문화 승화, 넷째, 교류증대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문제점 분석으로 정리할 수 있다.

      • SCOPUSKCI등재

        성인 남성 근로자에서 비만 지표의 변화와 혈청지질치 변화와의 관련성

        영애,천병렬,감신,이성국,예민해,Ha, Young-Ae,Chun, Byung-Yeol,Kam, Sin,Lee, Sung-Kook,Yeh, Min-Hae 대한예방의학회 1996 예방의학회지 Vol.29 No.3

        성인 남성 근로자들에 있어서 비만지표의 변화와 혈청지질치 변화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구시에 소재한 1개 회사의 남성 근로자 208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1995년 7월에 신장,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를 재고 혈압을 측정하였으며, 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등을 검사하고 LDL-콜레스테롤, 심근경색지수를 계산하였다. 이를 1991년도에 검사된 기초 자료들과 비교하였다. 1. 4년간 체중이 1.63kg, 허리둘레가 3.61cm, 엉덩이둘레가 4.23cm, BMI가 $0.52kg/m^2$, Katsura 지수는 0.02만큼 유의하게 증가했지만, 허리 엉덩이둘레비는 0.021만큼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01). 총 콜레스테롤은 15.09mg/이, 중성지방 20.43mg/dl, HDL-콜레스테롤 9.40mg/dl, 그리고 심근경색지수는 2.87mg/dl 만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LDL-콜레스테롤은 3.50mg/dl 만큼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2. BMI 변화 및 Katsura 지수의 변화와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r=0.174, p<0.05), BMI 변화와 중성지방의 변화(r=0.374, p<0.01), 그리고 체중의 변화와 심근경색지수의 변화(r=-0.173, p<0.05)가 상대적으로 강한 상관성을 보였다. 허리 엉덩이둘레비 변화는 총 콜레스테롤 변화량과 양의 상관관계(r=0.162, p<0.05)를 보였지만 다른 혈청지질치들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3. 생활습관의 변화를 보정하고도 중성지방은 체중 (r=0.262, p<0.01), BMI(r=0.267, p<0.01) Katsura 지수(r=0.258, p<0.01)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심근경색지수의 변화는 체중(r=-0.143, p<0.05), BMI(r=-0.158, p<0.05), Katsura 지수(r=-0.144, p<0.05)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있었다. 이 중 BMI가 가장 큰 상관계수 값을 보였다. 4. 1991년의 허리 엉덩이둘레비로 분류한 경우, 상체형 비만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HDL-콜레스테롤과 심근경색지수의 증가폭이 유의하게 더 낮았다(p<0.05). Katsura 지수의 경우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BMI로 분류한 경우에도 역시 비만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HDL-콜레스테롤, 심근경색지수 값들의 증가폭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또는 p<0.01). 중성지방은 BMI로 분류한 경우 비만한 군의 증가폭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성인 남성 근로자들에서 혈청 지질치 변화에 대한 비만도의 지표로는 BMI가 허리 엉덩이둘레비나 Katsura 지수보다 더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obesity indices and change in serum lipids in adult male workers. Two-hundred-eight adult male workers of an industry in Taegu city were followed-up from 1991 to 1995. Height, weight, circumferences of hip and waist,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and serum lipids were analysed. Data on life style were obtain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Mean differences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etween 1991 and 1995 were as follows: 1.63kg in weight, 3.61cm in waist circumferences, 4.23cm in hip circumferences, $0.52kg/m^2$ in BMI and -0.021 in WHR. Those of lipids were as follows; 15.09mg/dl in total cholesterol, 20.43mg/dl in triglyceride, 9.40mg/dl in HDL-cholesterol, 2.87 in MI - index (p<0.01) and 350mg/dl in LDL-cholesterol. The changed value of BMI and Katsura index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at of total cholesterol(r=0.174, p<0.05), the changed value of BMI correlated with that of triglyceride(r=0.374, p<0.01) and the changed value of weight correlated with that of MI index(r=-0.173, p<0.05). The changed value of WHR was signifiantly correlated with that of total cholesterol(r=0.162, p<0.05), however,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MI index. The changed value of weight, BMI and Katsura index were correlated with that of triglyceride (r=0.262, p<0.01; r=0.267, p<0.01; r=0.258, p<0.01) and the changed value of MI index(r=0.143, p<0.05; r=-0.158; r=-0.144, p<0.01), adjusting the pattern of change in life style. The changed values of HDL - cholesterol and MI index between 1991 and 1995 in low WHR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high WHR group(p<0.05, p<0.01), adjusting the baseline value of them. Similar pattern was observed when considering Katsura index. When stratifying by BMI value of 1991, in low BMI group, the changed value of HDL - cholesterol and MI index showed the same pattern as above, however that of triglyceride was statistically higher in obese group than in non obese group(p<0.05). In conclusion BMI might be a better indicator to predict serum lipids change than other obesity indices.

      • GCS 학생클럽에 관한 연구 : 고교 및 대학생클럽을 중심으로

        영애 慶熙大學校 밝은社會問題硏究所 1997 밝은社會硏究 Vol.18 No.1

        The Global Coopration Society(GCS) has the philosophy of Oughtopia which is formulated by DR. Young Seek Choue and goals toawrds Human Family. Global Village, and World Community. Also, the GCS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our society in many ways. Hence, the research on student clubs could be atribut to the lofty goal of building a praxis of the GCS. As a practical way to achieve the goal of GCS, the opration of activities is very important. Even though lots of research on organization of members, there is little about the young people's club.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d on activities of student members and tried to make basic datas to improve activities of student member clubs. Methodologically, this research has examinde by literature reviews on sociology, psychology and politics. And also surveys on personal interviews and question papers have been used. I surveyed on college student clubs in five Seoul clubs and six local clubs. In order to improve the young member club, I suggested several programs. Actually, practical and well-organized programs have already done by a few clubs. For example, 'flower street', 'speech contest', and 'GCS award' are representative programs. These programs promoted the membership cooperation and cultivated the culture of sentiments of student members. This research most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ideal,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 members. As the result of surveys. I strongly suggest that the program of you member, particularly the university graduate, must establish and develo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