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통환자에 있어서 요부굴곡운동과 요부신전 운동의 치료효과 비교연구

        권혁수,박지환,Kwon, Hyeok-Su,Park, Ji-Whan 대한물리치료과학회 1996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3 No.3

        To compare the treatment effects of back exercise on functional status, spinal mobility, SLR, pain severity, and treatment results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spinal exercises during the low back pain reduces recurrent episodes of back pain. 1. Flexion and extension exercise groups did not differ in any outcome over 4weeks. After 1 week. both exercise groups had reduced disability score, a higher proportion returning to work, and fewer subjects with a positive SLR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2.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groups regarding recurrence of low back pain after $6{\sim}12$ months. 3. There was no difference for any outcomes between the flexion or extension groups. However, either exercise was slightly more effective than no exercise whe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ere treated.

      • KCI등재후보

        공학적 디자인: 과학, 기술, 공학, 수학교육의 촉진자

        권혁수 ( Hyuk Soo Kwon ),박경숙 ( Kyung Suk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교육의 다양한 통합적인 노력 중에서 기술과 과학 교육 분야 전문가들이 수행한 디자인 관련 연구들을 고찰하는데 있다. 33개의 통합교육관련 논문들을 선별하여 메타연구와 질적인 내용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디자인은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해 과학과 기술교육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공학적 디자인을 이용한 과학 개념의 학습은 최근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이며, 인지적, 정의적인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공학적 디자인은 기술교육에 있어 최근 주요 연구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기술교육과 공학교육을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공학적 디자인을 이용한 교육방법은 학생들의 학습향상과 동기유발에 도움이 되고, 협동학습과 진로교육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의 부족으로 공학적 디자인을 이용한 과학, 기술, 공학, 수학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key common topics identified and discussed in relevant literature associated with the integrative efforts among STEM disciplines. The key methodology and pedagogy were examined and the significant benefits of using the design method for STEM education were discussed. Meta-analysis was employed and qualitative approach was mainly used to synthesize the major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e 33 empirical studies. The findings of this meta-analysis revealed that the types and names describing the design methods used the various terms, but the key features have reflected the similar pedagogical benefits and key characteristics. The engineering design is an effective strategic methodology and pedagogy for STEM education. In addition, the design methods show the key benefits including (1)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2) to promote students` affective gains, (3) to facilitate collaborative learning, and (4) to explore STEM related careers and jobs. The collaborative works among STEM professions are needed to promote the benefits of using design methods for integrating STEM subjects.

      • KCI등재

        기술교육에서 통합적인 노력에 대한 연구 경향: 관련 학술지의 고찰

        권혁수 ( Hyuk Soo Kwon ),박경숙 ( Kyung Suk Park ),이효녕 ( Hyo Nyong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9 중등교육연구 Vol.5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과학, 그리고 수학 교육 사이에서 통합적인 노력에 대하여 기술교육 분야의 전문가들이 수행한 연구들을 고찰하는데 있다. 기술교육 분야의 네 개 주요 학술지 대상으로 혼합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준비, 양적 분석, 그리고 질적 분석의 세 단계가 수행되었으며, 준비단계에서는 기술교육 분야의 네 개 주요 학술지를 조사하여 40개의 연구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개발된 내용분석표를 사용하여 40개의 연구논문을 분석하였고 양적 그리고 질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양적검토단계에서는 통합의 형태, 연구 방법론, 그리고 연구 자료원의 항목들에 의해 분석되었고 기술된 결론을 중심으로 질적 검토를 하였다. 조사된 논문에서 살펴보면, 역사적으로 기술교육은 통합교육과정을 실현시킬 강한 철학적인 기초와 경험이 있었다. 이러한 통합의 노력들은 "과학과 기술" 그리고 "과학, 기술, 수학"의 형태로 제시되었고, 균형을 이룬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되었다. 아울러, "학생관점"과 문헌의 자료원을 주로 사용하여 제시되어 왔다. 과학, 기술, 그리고 수학사이의 보다 효율적인 통합을 위해, 적극적인 협동연구와 실천이 필요하다. 또한, 수학이나 과학교육과 같은 다른 학문 영역과의 통합적 노력에 대한 메타 분석적인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being conducted by those in the field of technology education in an attempt to guide future research into efforts to integrate technology,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A mixed methods design was used to analyze four major journals of technology education. Three stages of preparation, quantitative review, and qualitative review were performed. In the preparation stage, the researchers identified four major journals in the technology education field and selected forty journal articles. Using a content analysis table, three researchers reviewed the forty journal articles and complet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views. The findings in the quantitative review stage were presented based on three categories of integration type,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 data sources. Based on these findings, four research topics were discussed in the qualitative review stage. Historically, technology education has had a strong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extensive experience in implementing integrative curricula or courses. In the literature surveyed, these efforts were presented as "science and technology" and "science, technology, and math", as balanced research methods, and as the data sources "students` perspectives" and "literature". For more efficient integration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mathematics, active collaborative research and practice are both needed. Also,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integrative efforts of other disciplines(science education and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 KCI등재

        연구논문 :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히어리 서식지의 분포 특성 연구

        권혁수 ( Hyuk Soo Kwon ),류지은 ( Ji Eun Ryu ),서창완 ( Chang Wan Seo ),김지연 ( Ji Yeon Kim ),임동옥 ( Dong Ok Lim ),서민환 ( Min Hwan Suh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2 환경영향평가 Vol.21 No.5

        Since the CBD(Conservation on Biological Diversity)`s 10th Conference of the Parties adopted the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 sharing in Nagoya 2010, the importance of endangered species studies such as habitat distribution, protection and management have been more emerged. Corylopsis coreana,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was isolated nationally and has been damaged by anthropogenic factors. In this paper, we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C. coreana habitat at the national scale and regional scale using National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and predicted the distribution of C. coreana. Annual precipitation, precipitation of wettest quarter, temperature seasonality and Digital Elevation Model(DEM) were derived as important factors at the national scale, and precipitation of wettest quarter, DEM and solar radiation on spring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at regional scale. Colylopsis distribution was affected by an effect of climate significantly at the national scale, and by additionally the microclimate and topography at regional scale. These findings will be used as the basis on habita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plan and climate change.

      • 카카오 플랫폼 기반 아케이드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 특성 연구

        권혁수(Kwon Hyeok Su)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4 문화예술콘텐츠 Vol.- No.12·13

        본고는 카카오 게임 플랫폼 기반 소셜 네트워크 게임(Social Network Game:이하 SNG)의 지속적인 발전 현황에 주목하여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SNG의 다양한 구성 요소 중에서도 콘텐츠와 향유자 사이의 접점을 형성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이하 UI) 분석을 통해 아케이드 게임의 장르별 UI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게임 플랫폼 기반 SNG의 발전 현황 및 특성의 도출 결과를 통하여 카카오 게임 플랫폼 기반 SNG의 UI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UI의 구성 요소는 게임의 외적 영역, 게임의 내적 영역, 사회적 교류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외적 영역은 레이아웃 영역, 정보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내적 영역은 게임의 캐릭터, 게임의 배경, 게임의 정보, 게임의 아이템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교류 영역은 게임 외 교류 영역, 게임 내 교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차후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의 측면에서는 카카오 게임 플랫폼만이 아닌 여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obile Instant Messenger:이하 MIM) 기반 게임 플랫폼과의 비교를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연구 범위 측면에서는 본 연구의 방향성을 잇는다면 UI에서 나아가 좀 더 포괄적인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 이하 UX)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경험적 요소에 대한 정성적/정량적인 접근으로 범위를 확장할 필요성이 있다. 향후에는 이러한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MIM기반 SNG에 대한 포괄적인 특성을 제시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나오기를 기대해본다. This thesis is basically focused on the widespread characteristics of Kakao game Platform-based Social Network Game(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NG)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of its continuous development and try to determine the UI Characteristics of Arcade game through the analysis based on the User Interface(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UI) between the contents and the person who enjoys the game. First of all, This thesis is to define UI of Kakao Game, platform-based SNG through the results, mentioned above, of the development status and features of Platform-based Arcade game. The components of UI are divided into the external field, the internal field and the social exchange field of the game. The external field is divided into the layout filed and the information field.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l field is divided into the background, the game characters, the information and the items of the game. The social exchange filed is divided into the interaction field between the game and messenger. In the aspects of the analysis for the target, the follow-up study would be required through the comparison of both Kakao game platform and the game platform based on Mobile Instant Messenger(hereinafter refereed to as the MIM). Moreover,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xp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related to the inclusive study for UX which is advanced model of the limited UI study. It s about the time the qualitative/quantitative approach would be required in the empirical factors of user. Thus, I expect that not only will the limitations in study be overcome but also better study results will come out with continuous study which suggests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MIM based SNG.

      • KCI등재

        종분포모형의 불확실성 확인을 위한 앙상블모형 적용

        권혁수(Kwon, Hyuk Soo)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4

        종분포모형은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지역 지정, 서식지 관리 및 복원, 기후변화 예측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나 공공이나 정책분야에서는 모형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활용이 제한적이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모형의 불확실성을 저감하기 위하여 앙상블이나 합의모형 등의 다중모형을 적용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히어리를 대상으로 단일모형과 앙상블(다중) 모형을 적용하고 이를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형은 AUC와 kappa, TSS를 이용하여 적합도를 평가하였으며, 이 중 모형 간의 비교가 용이하고 이항형 지도로 바로 변환할 수 있는 TSS가 효과적이었다. 단일모형과 앙상블 모형 모두 높은 모형적합도를 나타내었으며, 다중 모형 중에서는 RF, Maxent, GBM이 높게, GAM, SRE는 비교적 낮게 평가되었다. 예측지도에서는 단일모형에 비해 다중모형의 예측범위가 과대 추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여러 모형이 중첩된 결과로 현장전문가와 모형전문가들 간의 협력 연구를 통하여 적절한 모형 선택과 가중치 부여 등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앙상블모형을 공간의사결정이나 보호지역계획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의 정도와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저감하려는 개선작업과 함께 결과의 불확실성이나 위험성을 인지하고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Species distribution models have been widely applied in order to assess biodiversity, design reserve, manage habitat and predict climate change. However, SDMs has been used restrictively to the public and policy sectors owing to model uncertainty. Recent studies on ensemble and consensus models have been increased to reduce model uncertainty. This paper was carried out single model and multi model for Corylopsis coreana and compares two models. First, model evaluation was used AUC, kappa and TSS. TSS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because it was easy to compare several models and convert binary maps. Second, both single and ensemble model show good performance and RF, Maxent and GBM was evaluated higher, GAM and SRE was evaluated lower relatively. Third, ensemble model tended to overestimate over single model.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the suitable model selection and weighting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field experts and modeler. Finally, we should identify causes and magnitude of model uncertainty and improve data quality and model methods in order to apply special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and conservation planning, and when we make policy decisions using SDMs, we should recognize uncertainty and risk.

      • KCI등재

        초·중등학교의 융합교육 운영 현황 실태조사

        권혁수 ( Hyuksoo Kwon ),김어진 ( Eojin Kim ),박현주 ( Hyun Ju Park ),배영권 ( Youngkwon Bae ),이동국 ( Dongkuk Lee ),이현동 ( Hyungdong Lee ),이효녕 ( Hyonyoung Lee ),최성연 ( Sung-youn Choi ),함형인 ( Hyung-in Ha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의 융합교육 운영 현황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시·도교육청에 재직 중인 교사 8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교급별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사 871명 중 449명(51.5%)이 융합교육을 실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융합교육을 실행하는 이유로 교사의 자발적 노력과 미래사회를 대비한 교육적 필요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융합교육은 정규 교과 시간에 과목 간 연계형으로 과학, 미술, 사회 교과를 중심으로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COVID-19에 대응하여 융합교육을 실행하는 교사 중 270명(64.0%)이 비대면 융합교육을 실행하였으며, 수업 자료 제작과 학생과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었다. 다섯째, 융합교육을 미실행하는 이유로 교사의 과중한 업무, 교사 연수와 연구회 활동 지원 부족, 다양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부족 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도출과 실행 지원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 survey was conducted on 871 in-service teachers nationwide,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by school level.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449 (51.5%) are found to practice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the reason for implementing convergence education is the voluntary effort of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necessity for the future society. Third, it was found that convergence education is being implemented centered on science, arts, and social studies as a link between subjects in regular curriculum hours. Fourth, 270 (64%) of teachers who implemented convergence education in response to COVID-19 performed online convergence education, and experienced difficulties in creating class materials and communicating with students. Fifth, the excessive work of teachers, insufficient support for teacher training and research group activities, and lack of variou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are suggested as reasons for not implementing convergence education. This study hope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mplementation for revitalizing convergence education.

      • KCI등재

        지리산 지역의 생물종 분포모형 구축 및 종풍부도 평가

        권혁수(Kwon, Hyuk Soo),서창완(Seo, Chang Wan),박종화(Park, Chong Hwa)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3

        생물다양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지역 지정, 서식지 관리 및 복원 등 생물자원에 대한 공간적 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야생동물의 서식지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자료의 수집 및 모형화의 기법 연구와 생물종풍부도를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분포모형을 위해 사용된 GAM(Generalized Additive Model)으로 기존의 중첩 분석이나 GLM (Generalized Linear Model)에 비해 환경변수와 반응 변수의 관계가 명확하고 이에 따른 해석이 용이하다. 본 연구대상지로는 국립공원, 경관생태보호구역, 수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리산, 백운산, 섬진강을 포함하고 있는 유역을 선정하였다. 대상유역의 토지피복에 따라 층화추출을 통하여 야생동물(포유류와 조류)의 출현/비출현 형태의 현장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야생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 사회·경제적 자료를 구축하였다. 각 종에 대한 서식지이용분석과 주요서식인자를 확인한 후, 출현/비출현 모형을 통해 서식지적합성모형을 개발하고, 개별 종에 대한 서식지적합성지도 작성하였다. 서식지 적합성지도를 산술 합산하여 분류군별(포유류, 조류) 종풍부도, 통합종풍부도를 작성하였다. 개별 종 서식지의 주요인자는 서식지선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고라니나 박새와 같은 몇몇 종들은 저지대에 분포하나, 대부분의 포유류나 조류의 잠재서식지는 국립공원 경계구역이나 중산간지역에 많이 분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부에서 수행하는 생물다양성의 평가, 보호지역의 지정 등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creasing concern about biodiversity has lead to a rise in demand on the spatial assessment of biological resources such as biodiversity assessment, protected area selection, habitat management and restoratio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species richness map through data collection and modeling techniques for wildlife habitat assessment. The GAM (Generalized Additive Model) is easy to interpret and shows better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variables and a response variable than an existing overlap analysis and GLM (Generalized Linear Model). The study area delineated by a large watershed contains Jirisan national park, Mt. Baekun and Sumjin river with three kinds of protected areas (a national park, a landscape ecology protected area and an otter protected area). We collected the presence-absence data for wildlife (mammals and birds) using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based on a land cover in the study area and implemented natural and socio-environmental data affecting wildlife habitats. After doing a habitat use analysis and specifying significant factors for each species, we built habitat suitability models using a presence-absence model and created habitat suitability maps for each species. Biodiversity maps were generated by taxa and all species using habitat suitability map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each species habita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habitat selection. Although some species like a water deer or a great tit were distributed at the low elevation, most potential habitats for mammals and birds were found at the edge of a national park boundary or near a forest around the medium elevation of a mountain range. This study will be used for a basis on biodiversity assessment and proected area selection carried out by Ministry of Environment.

      • KCI등재

        硏究論文 :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식물에 대한 기후 및 환경변수 영향

        권혁수 ( Hyu Ksoo Kwon ),류지은 ( Ji Eun Ryu ),서창완 ( Chang Wan Seo ),김지연 ( Ji Yeon Kim ),도재화 ( Jae Hwa Tho ),서민환 ( Min Hwan Suh ),박종화 ( Chong Hwa Park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2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5 No.6

        Climate is generally accepted as one of the major determinants of plants distribution. Plants are sensitive to bioclimates, and local variations of climate determine habitats of pla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narrow-range plants in South Korea using National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data. We developed species distribution models for 6 plant species using climate, topographic and soil factors. All 6 plants were most sensitive to climatic factors but less other factors at national scale. Meliosma myriantha, Stewartia koreana and Eurya japonica, distributed at southern and coast region in Korea, were most sensitive to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Meliosma myriantha was mostly effected by annual precipitation and precipitation of driest quarter, Stewartia koreana was effected by annual precipitation and elevation, and Eurya japonica was affected by temperature seasonality and precipitation of driest quarter. On the other hand, Spiraea salicifolia, Rhododendron micranthum and Acer tegmentosum, distributed at central and northern inland in Korea, were most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elevation. Spiraea salicifolia was affected by mean temperature of coldest quarter and annual mean temperature, Rhododendron micranthum and Acer tegmentosum were affected by mean temperature of warmest quarter and elevation. We can apply this result to future plant habitat distribution under climate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