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enezuela 국 Cocineta 호산 Mangrove oyster 의 채묘시기

        류성규,조창환,류명숙 한국수산학회 197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9 No.4

        1976년 2월부터 5월까지 사이에 Venezuela國 서북부에 있는 Cocineta湖産 굴의 採苗時期에 대하여 조사했다. 수분 함량 중 개체간의 수분 함량 범위는 2월에서 부터 5월로 되면서 차차 넓어졌고, 月別 수분 함량의 평균 값은 그 범위가 80.67∼82.25%로서 큰 차가 없었다. 성숙 부유 유생 및 전 부유 유생의 출현수로 부터 채묘 시기로서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시기는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 사이이고 채묘 장소로서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곳은 station 3이었으며 그 다음이 station 4였다. An investigation on the breeding time of the Mangrove oyster, Crassostrea rhizophorae, in the lagoon of Cocineta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Venezuela was carried out from February through May in 1976.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high, over 25 ℃ and specific gravity was around 1.0258. Transparency to water depth varied between 29 and 80%. The range of water content of the oysters increased from February through May. However, the averge monthly range of water content varied only slightly from 80.67 to 82. 25%. From the numbers of matured planktonic larvae together with total numbers of planktonic larvae found, we may assume that the best seedling period is from late April through early May. We may also assume that the best area is around stati ons 4 and 3, station 3 being slightly better than station 4.

      • SCOPUSKCI등재

        Polypropylene/CaCO<sub>3</sub> 복합재료에 있어서 입자 형태에 따른 물성

        류성규,배광수,서길수,Lyu, S.G.,Bae, K.S.,Sur, G.S.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5

        여러 형태의 탄산칼슘을 합성하였다. 이렇게 합성된 여러형태의 탄산칼슘을 혼합기에 넣어 PP와 혼합하여 PP/$CaCO_3$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재료를 입자의 형태에 따른 결정화온도, 용융열, 구정의 크기 그리고 기계적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입자의 형태가 결정화온도와 용융열 그리고 구정의 크피에 많은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vaterite를 혼합하였을 경우 다른 입자에 비하여 구정의 크기는 적었으나 결정화도는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인장강도와 영율은 다른 입자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he various shape of calcium carbonate were prepared. For the preparation of the PP/$CaCO_3$ composite, these synthetic calcium carbonate(cubic, spheric and neddle type) and PP were mixed on a two roll mill and the mixture were pressed into plate. The effect of particle shape in the prepared composite on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heat of fusion, size of spherulite and mechanical properities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former four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at. When, especially, vaterite was mixed with PP, the size of spherulite was smaller and the degree of crystallinity was higher than others. Therefore, the tensile strength and Young's modulus were higher.

      • KCI등재

        피조개의 먹이와 성장

        류성규 한국수산학회 196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 No.2

        1968年 8月初旬부터 1968年 9月中旬까지의 사이에 日本 굴硏究所에서 피조개의 幼生을 飼育한 結果 다음과 같은 것을 밝혔다. 1) 피조개의 알의 크기는 54.9(53.8∼57.0)μ 內外이고, 受精後 8日頃까지 卽 幼生의 크기는 殼長 110.8μ, 殼高 83.9μ, 殼幅 58.2μ 內外가 될 때까지는 먹이를 주지 않더라도 生長하지만, 受精後 2日 卽 D狀仔貝로 되면 곧 投餌하는 것이 좋다. 2) 幼生이 먹는 먹이의 數는 幼生의 크기에 따라 많은 差가 있으나 大體로 殼頂膨出期인 變態期前後부터 급겨히 增加한다. 이것을 式으로 表示하면 다음과 같다. Y=0.0025161X^(2.76459) 3) 먹이를 遠心分離한 것과 하지 않은 것을 使用했을때 피조개 幼生의 成長이 다른데 各回歸直線의 傾斜를 檢定한 結果는 幼生의 크기가 작은 경우 99% 신뢰성으로 有意의 差가 있고, 幼生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95% 신뢰성으로서 有意의 差가 있다. 則 遠心分離한 먹이를 줬을 때가 그렇지 않은 먹이를 줬을 때보다 언제나 幼生의 成長이 좋지만 이差는 幼生의 크기가 작은 것에서 더욱 현저하다. 4) 피조개의 幼生이 付着生活로 들어가는 것은 受精後 28日頃인데 이때 幼生의 크기는 殼長 261.7∼289.6μ, 殼高 191.2∼221.7μ, 殼幅 147.6∼170.8μ內外이다. 5) 피조개 幼生의 成長式은 殼長 94.3μ부터 133.9μ까지는 Y=85.22857+3.35000X 殼長 141.6μ부터 269.3μ까지는 Y=10.83036X-36.05357 殼長 296.8μ부터 373.2μ까지는 Y=19.10000X-279.30000 殼高 72.7μ부터 98.7μ까지는 Y=67.11429+2.15714X 殼高 108.4μ부터 206.4μ까지는 Y=8.31607X-27.45357 殼高 228.6μ부터 282.1μ까지는 Y=173.46700+13.37500X 殼幅 45.3μ부터 77.8μ까지는 Y=38.08570+2.73570X 殼幅 87.4μ부터 157.7μ까지는 Y=5.77320X-5.99640 殼幅 175.4μ부터 214.0μ까지는 Y=9.65000X-114.13300等과 같은 回歸直線 또는 殼長 94.3μ부터 373.2μ까지는 Y=72.45e^(0.04697x) 殼高 72.7μ부터 282.1μ까지는 Y=54.96e^(0.04720x) 殼幅 45.3μ부터 214.0μ까지는 Y=39.82e^(0.04927x)等과 같은 指數曲線으로서도 表示할 수 있다. 6) 相對成長式은 殼長 94.3μ 殼高 72.7μ(受精後 2日)부터 殼長 133.9μ, 殼高 98.7μ(受精後 14日)까지는 Y=12.87780+0.63817X 殼長 141.6μ, 殼高 108.4μ(受精後 16)日부터 殼長 269.3μ, 殼高 206.4μ(受精後 28日)까지는 Y= 0.90220+0.76450X 殼長 296.8μ, 殼高 228.6μ(受精後 30日)부터 殼長 373.2μ, 殼高 282.1μ(受精後 34日)까지는 Y= 25.02630+0.69156X였고, 한편 殼長 94.3μ, 殼幅 45.3μ(受精後 2日)부터 殼長 133.9μ, 殼幅 77.8μ(受精後 14日)까지는 Y=0.81373X-31.18914 殼長 141.6μ, 殼幅 87.4μ(受精後 16日)부터 殼長 269.3μ, 殼幅 157.7μ(受精後 28日)까지는 Y=13.37549+0.53230X 殼長 296.8μ, 殼幅 175.4μ(受精後 30日)부터 殼長 373.2μ, 殼幅 214.0μ(受精後 34日)까지는 Y=30.24328+0.49545X等과 같은 灰歸直線으로서 表示할 수 있다. The larvae of the ark shell Anadara broughtoni(Schrenck) were grown at room temperature (approximately 20.4℃), and fed laboratory-cultured Cyclotella nana. The egg of the ark shell produced in the laboratory measured about 54.9μ in diameter. The embryos gradually developed into larvae up to 110.8μ shell length, 83.9μ shell height and with shell breadth of 58.2μ even in the absence of the algal food. Beyond this size, however, the growth of the larvae was considerably retarded. The larvae showed better growth rate when they were fed the algal food two days after spawning, i. e., early straight-hinge stage. Daily rate of food consumption varies according to the larval sizes. But the rate increases considerably when the larvae begin to form umbos. In general the rate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Y=0.0025161 X^(2.76459) The growth experiments of the larvae indicate that the efficiency of food conversion was higher when fed centrifuged food. Rega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slopes of growth curve, centrifuged food showed better growth rate as compared to those grown with the noncentrifuged food. The smaller the larval size, the greater will be the difference in growth. The larvae began settling when they reached 261.7 to 289.6μ in shell length, 199.2 to 221.7μ in shell height and 147.6 to 170.8μ in shell breadth. The time which elapsed from spawning to the larval settlement was about 28 days. The mean growth of the larvae is indicated with regression line and exponential curve equations as follows: Regression line shell length: 94.3 to 133.9μ : Y=85.22857+3.35000X 141.6 to 269.3μ : Y=10.83036X-36.05357 296.8 to 373.2μ : Y =19.10000X-279.30000 shell height: 72.7 to 89.7μ : Y=67.11429+2.15714X 108.4 to 206.4μ : Y = 8.31607X-27.45357 228.6 to 282.1μ : Y =173.46700+13.37500X shell breadth: 45.3 to 77.8μ : Y=38.08570X+2.73570X 87.4 to 157.7μ: Y=5.77320X-5.99640 175.4 to 214.0μ : Y=9.65000X-114.13300 Exponential curve shell length: 94.3 to 373.2μ : Y=72.45 e^(0.04697x) shell height: 72.7 to 282.1μ : Y=54.96 e^(0.04720x) shell breadth: 45.3 to 214.0μ : Y=39.82 e^(0.04927x)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hell length and shell height and between the shell length and shell breadth are indicated as follows: shell height: 72.7 to 98.7μ : Y=12.87780+0.63817X 108.4 to 206.4μ: Y=0.90220+0.76450X 228.6 to 282.1μ: Y=25.02630+0.69156X shell breadth: 45.3 to 77.8μ : Y=0.81373X-31.18914 87.4 to 157.7μ: Y=13.37549+0.53230X 175.4 to 214.0μ: Y=30.24328+0.49545X

      • KCI등재
      • 연안산 중요조개류의 증식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 : 6. 바지락의 산지별 특성 6.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hort-necked clam, Tapes japonica

        鄭有晶,柳浩英,柳晟圭 釜山水産大學校 1978 釜山水産大學 硏究報告 Vol.18 No.1

        1977년 9월과 10월, 1978년 4월, 5월 및 7월에 남해군 관내의 토골, 신전, 미조, 문항, 지족에서 바지락 2,588개체를 채집하여 산지별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바지락의 최대크기는 각장이 4.98㎝, 최대방사늑길이 3.29㎝, 각폭 2.36㎝, 전중 22.88g, 각중 12.72g, 육중 6.61g이었다. 각중에 대한 육중의 상대성장을 보면 미조산이 가장 크고 신전산이 가장 작았고 토골, 문항지족의 순으로 컸다. 이것을 각장에 대한 전중의 상대성장과 비교해 볼 때 미조어장이 성장형에 속하는 알맞는 어장이라 할 수 있고 신전 양식장은 비성장형에 속하는 양식장으로 좋지 않은 곳이라 할 수 있다. 신전어장의 바지락육질 무게가 가벼운 것은 가을철 산란으로 인한 이유가 아닌가 생각된다. Short-necked clams, Tapes japonica were sampled at Togol, Shinjeon, Mijo, Munhang and Jijok located in Namhae, Korea. The first two places were chosen for sampling in September 1977, respectively, and the rest three places in April, May and July 1978, respectively. The relations between the longest radial rib length and shell-length, shell-breadth and shell-length, total weight and shell-lengsh, and meat-weight and shell-length were investigated. The maximum shell length, the longest radial rib length, shell breadth, total weight, shell weight and meat weight of the short-necked clams studied were 4.98㎝, 3.29㎝, 2.36㎝, 22.88g, 12.7g and 6.61g, respectively. The samples from Togol and Munhang showed stunted form compared to that from Mijo, the latter being somewhat elongated form. The meat weight to shell weight showed the highest value in samples from Mijo and that of Shinjeon the lowest. Comparing this with the relative growth of meat weight to shell length, Mijo is considered suitable place for the growth of the short-necked clams. The minimum meat weight at Shinjeon is considered to be resulted from autumn spawning.

      • 전복의 養殖에 관한 生物學的 硏究 : Ⅰ. 참전복의 成長 Ⅰ. Growth of the Haliotis discus hannai

        朴炅洋,劉明淑,柳晟圭 釜山水産大學校 1978 釜山水産大學 硏究報告 Vol.18 No.1

        1970년 7월과 10월부터 1971년 2월까지 매월 울릉도에서 채집한 참전복에 대하여 호흡공수, 각장에 대한 육질무게의 상대성장 및 연령별 각장의 크기를 조사하였다. 1. 호흡공 수는 3∼5개였고, 평균 3.7개였다. 2. 육질무게는 12월에는 증가하였지만 1월부터 감소하여 2월에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3. 각장의 크기는 1년만에 2.2㎝로 성장하였고, 2년만에 3.5㎝, 3년만에 4.8㎝, 4년만에 6.1㎝, 5년만에 7.3㎝ 및 6년만에 8.2㎝로 각각 성장하였다. The number of holes, the ratio of meat weight to shell length, and shell length growth per age, of Haliotis discus hannai, which was sampled at Ulrungdo, an island in the east sea of Korea from July 1970 to February 1971, were investigated. 1. The hole number ranged from 3 to 5. 2. The meat weight increased in December, and began to decrease in January and decreased conspicuously in February. 3. The abalone grew to 2.2㎝, 3.5㎝, 4.8㎝, 6.1㎝, 7.3㎝ and 8.2㎝ in shell length for one through 6 years, respectively.

      • High-ortho 페놀수지의 합성

        서길수,이종두,류성규 嶺南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1993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1 No.2

        Ortho-othro' metylene ether-linked high-ortho phenolic resins were studied with formaldehyde/phenol mole ratios, the amount of catalysts and several divalent metal salts in presence of toluene using the water separator. The toluene and water were removed as an azeotropic vapor mixture. This high-ortho phenolic resins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phenolic resins by FT-IR, and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were studi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High-ortho phenolic ortho-ortho' linked percentage were about 81 - 90%, and this phenolic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were more decrease than conventional phenolic resins.

      • 폴리(스틸렌) Chain의 상관계수에 관한 연구

        배만호,서길수,류성규 嶺南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1993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1 No.1

        폴리(스틸렌)의 상관계수 ρ를 구하기 위하여 중합도, 온도, 그리고 입체 조성을 변화시켜 다음과 같은 3가지 무차원비 즉, ??, 그리고 ??를 각가 계산하였다. ??과 ??은 2승 평균 말단간 거리와 2승 평균 회전반경을 의미한다. r²과 s²사이의 상관계수 ρ는 자유연결 chain의 경우처럼 중합도가 무한대로 감에 따라 ??로 수렴함을 알수 있었다. 이소탁틱 PS는 중합도에 따라 상관계수 ρ가 여러개의 극대치와 극소치를 보이면서 일정한 값을 수렴하며, racemic dyad가 이소탁틱 PS에 가미됨에 따라 극대치와 극소치의 수가 줄어들면서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였다. 그러나 자유연결 chain의 경우는 이런 현상을 전혀 볼수 없었다. The dimensionless ratios ?? and correlation coefficient ρhave been computed for poly(styrene) as functions of degree of polymerization, temperature, and stereochemical constitution. The squared end-to-end distance and radius of gyration for a particular conformation are denoted by r²and s², respectively, and angular brackets denote the average of the enclosed property. The value of ρfor poly(styrene) chains approaches ?? as n becomes infinite, as expected from the result for freely jointed chains. Several number of local maximum and minimum can be seen in ρas a function of degree of polymerization in isotactic poly(styrene) and it was reduced by a minor portion of the unit of opposite stereoisomeric character, but it was absent in freely jointed chains.

      • KCI등재

        8. " 굴의 양식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Ⅲ) " : 가조도 양식장 굴의 성장

        류성규,이종구 한국수산학회 197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7 No.2

        1973년 5월부터 1974년 3월까지 경남 거제군 가조도 양식장에서 단련종굴과 비단련종굴을 사용하여 성장에 대한 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련종굴을 1973녈 5월 18일 수하하여 양성시킨 성장결과는 각고의 경우, 그 해 9월에 평균 5.67㎝(각고 범위 3.35∼8.25㎝)이던 것이 12월에는 평균 8.06㎝(각고 범위 4.75∼11.75㎝)이였고 이듬해 2월에는 평균 8.35㎝(각고 범위 4.75∼13.85㎝, 3월에는 평균 9.53㎝(각고 범위 5.45∼13.15㎝)이었다. 2. 비단련종굴을 1973년 7월 17일 수하하여 양성시킨 성장결과는 각고의 경우, 그 해 9월에 평균 2.71㎝(각고 범위 1.25∼4.75㎝)이던 것이 12월에는 평균 5.68㎝(각고 범위 3.75∼7.75㎝)였고, 이듬 해 2월에는 평균 5.51㎝(각고 범위 2.75∼8.75㎝), 3월에는 평균 6.13㎝(각고 범위 4.25∼8.75㎝)이었다. 3. 자고(H)에 대한 각장(L)의 상대 성장은, 단 련 종 굴 : L=0.3431 H+1.5770 비단련종굴 : L=0.5678 H+0.8293, 각고(H)에 대한 각폭(B)의 상대성장은, 단 련 종 굴 : B=0.1197 H+1.0964 비단련종굴 : B=0.2918 H+0.3759 로서 일반적으로 단련종굴은 장형(長型)이면서 엷고 비단련종굴은 단형(短型)이고 뚜꺼운 형태를 나타내었다. 4. 각고(H)에 대한 살무게(W)는, 단련종굴의 경우 W=0.1034 H^(1.9296), 비단련종굴의 경우 W=0.1595H^(1.90)로서 단련종굴이나 비단련종굴에 있어 각고에 대한 살무게의 관계는 곡선형에 있어서는 거의 유사하나, 실제로는 동일한 각고의 크기에 대한 살무게는 단련종굴이 비단련종굴보다 더 가벼웠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