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탈접착 후처치시 핸드피스(handpiece) 속도가 치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박수(soo-Byung Park),김구호(Gu-Ho Kim),하만희(Man-Hee Ha)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reatment efficiency and patient discomfort rate according to used handpiece speed in clean-up technique. Brackets were bonded to extracted human premolar(50 teeth). After debonding, 50 extracted human premolar were divided into each two groups( low speed handpiece group with tungsten carbide bur and high speed handpiece group with ultra-fine diamond finishing bur ) of 25 according to used handpiece speed in clean-up technique. In clean-up procedure, teeth vibration and pulp thermal changes were measured. After clean-up procedure, the enamel surfaces of randomly selected 10 teeth from each two groups were taken by SEM and evalua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During resin removal, tooth vibrations of various amplitude in low speed handpiece group were more than those of high speed handpiece. 2. The pulpal thermal changes of high speed handpiec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low speed handpiece group, also the resin removal time in high speed handpiece group was almost as twice as in low speed handpiece group. 3. The figures of SEM to enamel surfaces after resin removal showed that notches and resin remnants in high speed handpiece group were more than those in low speed handpiece group. 본 연구는 탈접착 후처치시 사용된 핸드피스(handpiece) 속도에 따른 처치 효율성과 환자 불편감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발거된 소구치(50개)에 브라켓을 접착하고 제거한 후 tungsten carbide bur를 장착한 저속 핸드피스와 ultra-fine diamond finishing bur를 장착한 고속 핸드피스로 각각 25개씩 탈접착 후처치를 시행했으며, 이때 각 실험군내 치아의 진동정도와 치수강내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후 각 실험군(저속, 고속 핸드피스군)에서 임으로 10개씩의 치아를 선택하여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법랑질 표면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저속 핸드피스를 사요한 레진 제거시 다양한 진폭의 치아 진동이 고속 핸드피스를 이용한 경우보다 많이 나타났다. 2. 고속 핸드피스를 이용한 경우의 치수강내 온도변화가 저속 핸드피스를 사용한 경우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 레진 제거 시간 역시 두배 정도 길게 걸렸다. 3. 레진 제거 후 법랑질 표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상은 고속 핸드피스를 사용한 경우에서 절흔들(notches)과 잔여 레진들이 저속 핸드피스를 사용한 경우보다 많은 것을 보여주었다.

      • SCOPUSSCIEKCI등재

        BRACKET과 호선의 금속유리

        박수,이병태 대한치과교정학회 198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measure the amounts of nickel and chromium released from a simulated orthodontic appliance in artificial saliva. Simulated mandibular half-arch orthodontic appliances were composed of 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 type 304 brackets. Permachrome, Elgiloy, Australian wire, T.M.A.and Nitinol. The amounts of nickel and chromium released from sample were measured with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fter 3, 6, 9, 12, 15 days. The cumulative amounts of nickel released from Pemachrome, Elgiloy, Australian wire and T.M.A. reached a plateau after 6 days. But the cumulative amounts of nickel released from Nitinol increased continuously. Significant amounts of both nickel and chromium were solubilized from the simulated orthodontic appliances into artificial saliva. After 15 days, total cumulative amounts of nickel were 152.15㎍, 150.27㎍, 134.74㎍, 114.67㎍ and 93.39μ from the Elgiloy, Australian wire, Nitinol, Permachrome and T.M.A., respectively. Total cumulative amounts of chromium from Permachrome, Australian wire, Elgiloy, Nitinol and T.M.A. were 100.83㎍, 83.64㎍, 81.61㎍, 14.90㎍ and 12.43㎍, respectively. The result showed that nickel released from Elgiloy and chromium released from Permachrome were more than any others.

      • KCI등재

        Cone-beam CT를 이용한 안면비대칭자에서 이부편위에 따른 치성보상의 양상분석

        박수,박정희,정연화,조봉혜,김용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5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enton deviation and dental compensation in facial asymmetry. Methods: Tooth axis and distance of first molar and canine to the reference plane were investigated by 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 The subjects consisted of 50 patients with asymmetric mandibles (male 21, female 29, mean age 24.3 years). Control groups were also assessed (male 11, female 9, mean age 25.6 years). Nine measurements (5 linear measurements and 4 angular measurements) were measured in order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enton deviation and the linear and angular difference of first molar and canine in the deviated and none-deviated sides using the defined MPR images. The differences between deviated and non-deviated side, according to menton deviatio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rom the result, Menton devi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ndibular first molar's angular measurement (Δ∠LM6-Mn plane (dev.-ndev.)) and positively with maxillary fist molar's angular measurement (Δ∠UM6-FH plane (dev.-ndev.)) (p < 0.01). Two angular measurements (Δ∠ LM6-Mn plane (dev.-ndev.), Δ∠UM6-FH plane (dev.-ndev.)) explained the variability in menton deviation with a significant r² value of 0.589.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ooth axis of upper and lower first molars leans towards the deviated side of Menton when there is mandibular asymmetry with Menton deviation. 본 연구는 Cone-beam CT의 MPR이미지상에서 하악골 평면에 대한 하악 제1대구치와 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높이와 각도차이 그리고 FH 평면에 대한 상악 제1대구치와 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높이와 각도차이를 계측함으로써 안면비대칭자에서 이부편위에 따른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제1대구치와 견치의 높이와 협설측 경사도를 CBCT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 관련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하악골의 이부편위를 동반한 안면비대칭 환자 50명(여자 29명, 남자 21명, 평균나이 24세 4개월)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 평균나이 25세 7개월인 20명(남자 11명, 여자 9명)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이부편위에 대해 FH 평면에 대한 상악 제1대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길이 및 각도 차이(편위측 - 비편위측)는 대조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p < 0.01). 비대칭군에서 상악 제1대구치 각도는 편위측이 비편위측보다 평균 8.62 ± 5.95˚ 컸다 (p < 0.01). 상악 견치의 경우에도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각도차이가 평균 4.48 ± 5.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p < 0.01). 하악골 평면에 대한 하악 제1대구치의 수직 길이와 각도는 편위측과 비편위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p < 0.01). 각도의 차이는 평균 -11.92 ± 5.79˚로 나타났다. 이부편위에 대한 상하악 제1대구치와 견치의 수직거리 및 각도의 Pearson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결과, FH 평면에 대한 상악 제1대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각도차이(Δ∠ UM6-FH plane (dev.-ndev.))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하악골 평면에 대한 하악 제1대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각도차이(Δ∠LM6-Mn plane (dev.-ndev.))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부편위를 동반한 하악골 비대칭이 존재하는 경우, 이부가 편위되는 방향으로 상하악 제1대구치의 치아장축의 각도가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 효과성연구에 관한 동향분석

        박수 한국사이코드라마 소시오드라마학회 2014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 효과성과 관련된 논문들의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차후 메타분석을 이용한 효과성 검증을 위한 사전 연구의 의미를 담고 있다. 현재 발표된 사이코드라마와 관련된 학위논문과 학회지 논문 중에서 효과성 연구와 관련된 논문들을 분석하여 효과성 연구에 대한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석사학위논문 10편, 박사학위 논문 5편, 학회지논문 24편으로 총 39편의 효과성 관련논문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내용의 고찰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효과성과 관련한 연구논문의 수는 연도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학위논문보다는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발달단계별 분포로는 성인 29편(74.36%)으로 가장 많았으며 청소년기 8편(20.51%), 아동기 1편(2.56%)으로 나타났고 그밖에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1편(2.56%)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특성을 살펴보면 일반 12편(30.77%), 정신병리 9편(23.08%), 정신장애인 2편(5.26%), 부적응청소년 5편(12.82%), 가정폭력 6편(15.38%), 기타 5편( 12.82%)으로 나타났다. 효과성 요인 특성으로는 인지, 정서, 사회영역과 기타영역 등에서 다양한 효과가 있었으며 내용 중 일부를 살펴보면 민감성, 창조성, 자발성, 자기효능감, 정서조절, 자기실현, 사회적 문제해결, 대인관계변화, 안녕감, 역기능적 신념 등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ta analyze the research studies and to find the trend on the topic of the effectiveness of psychodrama program. Included were the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On the search for the key word ‘the effectiveness of psychodrama’at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39 research studies were analyzed including 10 master’s theses, 5 doctoral dissertations, and 24 journal articles. The content and the frequency analyses were conducted, which showed that the number of the studies steadily increased and the number of the research articles was more than that of theses and dissertations. The number of the research studies on adults was the largest(74.36%); and adolescents(21,51%), children(2.63%), and the elderly(2.56%). The number of the research studies on the general population was the largest(30.77%), psychopathological cases(23.08 %), mental disorder(5.26%), maladjusted adolescents(12.82%) family violence(15.38%) and the others(12.82%). In addition to the topic of the effectiveness of psychodrama, other various topics were dealt with such as perception, emotion and sociality. Psychodrama seems to be effective in the sensibility, creativiti, spontaneity, self-efficiency, emotional regulation, self realization, social problem solving, change of personal relationship,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ysfunctional belie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