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에 의한 중도 뇌성마비 유아의비상징적 의사소통 중재 효과

        박경옥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2

        Effects of mother's intervention on the nonsymbolic communication skill of young children with severe cerebral palsy 이 연구는 중도 뇌성마비 유아들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해 어머니가 중재를 실시하였을 때, 장애 유아들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기술과 어머니의 중재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비상징적 의사소통을 하는 만 4-6세의 취학 전 중도 뇌성마비 유아와 그의 어머니 3쌍을 대상으로 비동시적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로 이루어졌다. 어머니 면담과 관찰을 통해 장애유아에 대한 자료를 수집ㆍ분석한 후, 어머니와 함께 중재 계획을 수립하여 유치원과 가정에서 총 12회기의 중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유아들의 신체적, 인지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비상징적 의사소통 중재는 중도 장애 유아들의 의사소통 기술(사물 및 행위 요구하기와 거절하기)의 발생 빈도를 향상시켰으며, 어머니들의 중재 만족도 또한 높게 평가되었다. 이 연구는 그림이나 전자적인 기기를 이용한 의사소통 도구와 상징체계의 적용에 중점을 두고 지도하는 의사소통 중재 방법과 함께 어린 유아기의 초기 의사소통 접근의 한 가지 방법으로 비도구체계인 비상징적인 수단(눈 응시, 손짓, 몸짓 체계, 음성 등)으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주제어> 비상징적 의사소통, 중도 뇌성마비 유아, 대화상대자(어머니) 의사소통 중재

      • KCI등재

        시설 요양보호사의 실무경력에 따른 장기요양서비스 제공빈도와 숙련도, 난이도의 차이

        박경옥,문설화,윤종철,홍귀령 한국노인간호학회 2017 노인간호학회지 Vol.1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frequency and competency in care services by length of job experience and level of service difficulty among direct care-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study design was used and data for 383 care-workers were analyzed. The case workers were recruited from 29 nursing homes located in different areas of Korea. Results: Mean age of care-workers was 53.42±7.14, (M±SD) scores for frequency and competency were 4.08±0.59 and 3.92±0.66,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of long term care services, but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length of job experience (t=-3.27, p=.001). For level of service difficulty, frequency of long term care service was highly significant only for level 5 service difficulty (t=-2.70, p=.007), but competency case-workers with over 3 years of job experience was highly significant for level 3 (t=-3.00, p=.003), level 4 (t=-3.61, p<.001), and level 5 (t=-3.78, p<.001) service difficulty.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competency of long term care service is significant by length of job experience and a high level of service difficulty, thus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assigning roles for direct care-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운영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박경옥 국립특수교육원 2011 특수교육연구 Vol.18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directions of operating school-level curriculum for educational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 multiple disabilities. For this study, a focus-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and 12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who are working at Severe & Multiple Disabilities Schools participated. Special teachers pointed out that problems of operating school curriculum such as the absence of shared ultimate goals in school education, the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failed to reflect students' characteristics, the application of short-term educational program, and the operational forms of inconsistent instruction. To improve this situation, participants mentioned that we need to establish dual special school curriculums for students with severe & multiple disabilities, with which most participants agreed, and need to implement individual and longitudinal educational program reflecting the objective and Integrated Curricular & Integration of Disciplinary Parts. Especially, they responded that teachers and parent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discussion on th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 multiple disabilities and reach a mutual agreement to solve imminent proble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uggestions of operating the effective schoo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 multiple disabilitie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효율적인 교육 성과를 위해 특수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운영 방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중도·중복 장애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초·중등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핵심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특수교사들은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으로 학교교육의 지향점 부재, 학생 특성이 반영되지 못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 단기적인 교육 프로그램 적용 및 일관성이 부족한 수업 운영 형태를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이에 대한 운영 방향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중다수준 교육과정 운영으로 개별적이며 종단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구현하여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사 간상호 논의와 합의과정이 필요하며, 자발적인 협력의 풍토가 형성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효과적인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관광단지 개발에 대한 주민의 개인편익인식과 태도 연구-동부산 관광단지를 중심으로-

        박경옥,이상호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perception of personal benefits and their attitude toward tourism resort development(ATD)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In detail, the perception variables were divided into a direct impact such as personal benefit(PB) and indirect impacts such as perception of tourists’ respect(TR), positive tourism impacts(PTI), and community satisfaction(C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92 residents of Gijang-goon in Busa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the PB variable played a significant role among ATD, TR, and PTI without CS. (2)Also, there was important relationships among the TR, PTI and CS. However, PTI among TR, CS had only an effect on the ATD. Therefore, this research contributed to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especially taking into account the regional features of Gijang-goon.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단지 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개인편인식과 태도간의 관계를 사회교환이론을 바탕으로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관광단지 개발로 인한 지역주민이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개인편익을 독립변수로, 간접적으로 지역에 유입되는 관광객 대한 존중인식, 관광영향인식, 지역사회만족인식을 매개변수 그에 따른 관광개발에 대한 지지 태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의 동부산 관광단지 개발지인 기장군을 연구지로 선정하고 192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지역주민의 개인적 편익인식은 직접적으로 관광개발에 긍정적 지지태도를 보였고, 지역에 유입되는 관광객에 대한 존중인식과 지역의 경제, 사회/문화, 환경적 측면 영향인식에도 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개인편익인식과 지역사회 만족인식 간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가지지 못하였다. 또한, 매개변수간의 관계에서 관광객 존중인식, 관광영향인식(경제/비경제적), 지역사회 만족인식 간에 유의적인 영향을 가졌다. 그러나 종속변수인 관광개발지지 태도에 대해서는 개인편익인식과 관광영향인식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개발 시행처가 지역주민과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전략적인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또한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 KCI등재

        지체중복장애학생의 AAC 지원을 위한 학교 기반 교육 컨설팅에 대한 사례연구

        박경옥,김경양,양은애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8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6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students' communication behaviors and the change teaching efficacy as a result of the provision of AAC support in special schoo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s: This study used multiple case study methods. A total of 7 teachers, including teachers in charge of AAC intervention group (basic communication group and symbolic communication group) and students who were selected as target students in the two classes, were intensively consulted once a week. Results: Two of the students in the basic communication group wer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conversation partner using the gesture dictionary. In addition, the three students who applied the symbolic communication system improved the language selection ability enough to select 2 to 12 vocabularies. Second, teachers showed a changed perception that AAC consulting has a very positive effect. However, there is limit of support school. Based on the that teachers need to have the expertise to support AAC, they will build up their expertise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in the future. Conclusions: We discussed the positive effects and limitations of AAC consulting, how to overcome development of support manuals and reinforcement of teacher training so that AAC can be supported at the school level in the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지체중복장애 특수학교에서 AAC 전문가팀이 지원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의 변화와 교사의 AAC 지원에 대한 교수 효능감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다중사례연구방법으로, 지체중복장애 학생의 AAC 중재반(기초적 의사소통반과 상징적 의사소통반)을 맡은 담당교사와 두 학급에서 대상으로 선정된 학생의 담임교사 등 총 7 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주 1 회 집중적인 교육 컨설팅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 변화를 살펴보면 기초적 의사소통반 학생 중 2 명은 몸짓 사전을 활용하여 대화상대자와의 소통이 원만해졌다. 또한 상징적 의사소통체계를 적용한 3 명의 학생은 2~12 개의 어휘 선택이 가능할 정도의 언어 선택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교사는 AAC 컨설팅이 매우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변화된 인식을 보였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지원의 한계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교사가 AAC 지원에 필요한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토대로 향후 학습 공동체를 통해 전문성을 키워 나가겠다고 하였다. 논의 및 결론: AAC 컨설팅에 대한 긍정적 효과 및 한계점, 이에 대한 극복 방안과 향후 학교 단위에서의 AAC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지원 매뉴얼의 개발 및 교사 연수 강화 등에 대한 논의를 심도 있게 다루었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 학생 평가를 위한 학습경로(Routes for Learning)의 번안 및 내용타당도 검증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박경옥,송만호,황정현,강은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6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영국 웨일스 교육부에서 중도중복장애 학생 평가 및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 있는 학습경로(Routes for Learning)를 번안하여 국내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6명의 특수교육 전문가 그리고 2명의 아동발달 전문가를 패널로 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 차례의 정성적 평가와 2차례의 정량적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각 주제와 하위 평가 문항에 대해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 수렴도, 합의도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학습경로(Routes for Learning)를 활용한 중도중복장애 학생 평가 문항에 대한 명료성, 적합성, 유용성, 적절성, 설명성 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질적인 측면에서도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현행 수행 평가 문항으로써의 적합성과 활용성과 체계적인 교육 및 교육과정 자료로써의 활용성 또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현행 수행 수준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도구로써, 그리고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으로써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중도중복장애 학생을대상으로 한 객관적이고 실제적인 평가도구로써의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태조사 등의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apt the Routes for Learning, a diagnosis and educational program for students with profound and multiple disabilities(PMD) used by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Wales, UK, and to examine its content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Method: For this purpose,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a panel of six experts in special education and two experts in child development. One qualitative and two quantitative Delphi surveys were used to calculate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convergence and consensus for each topic and sub-item. Results: Results showed high clarity, adequacy, usefulness, appropriateness, and explanatory power of assessment items of students with PMD using Routes for Learning. Qualitatively, the study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and usefulness of the current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PMD as through diagnostic and assessment questionnair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its use as a tool for diagnosis and evaluation of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of students with PMD and as an educational program for students with PMD. We suggested follow-up studies, such as a survey to evaluate its usefulness as an objective, and practical diagnosis and evaluation for students with PM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