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에 의한 중도 뇌성마비 유아의비상징적 의사소통 중재 효과

        박경옥 한국특수교육학회 2006 특수교육학연구 Vol.41 No.2

        Effects of mother's intervention on the nonsymbolic communication skill of young children with severe cerebral palsy 이 연구는 중도 뇌성마비 유아들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해 어머니가 중재를 실시하였을 때, 장애 유아들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기술과 어머니의 중재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비상징적 의사소통을 하는 만 4-6세의 취학 전 중도 뇌성마비 유아와 그의 어머니 3쌍을 대상으로 비동시적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로 이루어졌다. 어머니 면담과 관찰을 통해 장애유아에 대한 자료를 수집ㆍ분석한 후, 어머니와 함께 중재 계획을 수립하여 유치원과 가정에서 총 12회기의 중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유아들의 신체적, 인지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비상징적 의사소통 중재는 중도 장애 유아들의 의사소통 기술(사물 및 행위 요구하기와 거절하기)의 발생 빈도를 향상시켰으며, 어머니들의 중재 만족도 또한 높게 평가되었다. 이 연구는 그림이나 전자적인 기기를 이용한 의사소통 도구와 상징체계의 적용에 중점을 두고 지도하는 의사소통 중재 방법과 함께 어린 유아기의 초기 의사소통 접근의 한 가지 방법으로 비도구체계인 비상징적인 수단(눈 응시, 손짓, 몸짓 체계, 음성 등)으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주제어> 비상징적 의사소통, 중도 뇌성마비 유아, 대화상대자(어머니) 의사소통 중재

      • 오시리아(OSIRIA), 세계적 관광단지 되려면

        박경옥 부산연구원 2021 BDI 정책포커스 Vol.- No.399

        □ 오는 9월 전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테마파크 개장을 앞두고 오시리아관광단지를 세계적 관광단지로 부각시키기 위한 고민이 필요 - ‘오시라’는 의미를 담은 오시리아는 기존의 쇼핑센터에 테마파크까지 더해지면 트래벌 버블(Travel Bubble) 확산 시기에 세계인을 끌어들일 관광단지가 될 가능성이 충분 □ 관광 트렌드를 주도하는 MZ세대에서 신중년까지 전 세대를 오시리아관광단지로 유입하기 위해 동남권 최대 규모의 복합관광시설 등을 알리는 대대적 홍보, 접근성 향상 등이 우선 필요 - 오시리아는 34개 시설이 순차 개장하면 명실상부한 동남권 관광단지로 자리잡을 가능성 □ 오시리아가 세계적 관광단지가 되기 위해서는 단기로는 다양한 홍보와 국내외 붐업 이벤트 등을 통한 세계적 관광단지 기반 다지기, 중장기로는 시너지 극대화를 위한 주변관광지와 네트워크 형성, 미래형 교통수단을 통한 접근성 강화 등이 필요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작업환경 및 근무조건 특성과 제조업 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 간의 관련성

        박경옥,Park, Kyoung-Ok 한국환경보건학회 2004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0 No.3

        Stress is a primary health promotion issue in worksite research because psychological distress is closely related not only to workers health status but also to their job performa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work environment and work condition factors affecting workers stress symptoms among the Korean manufacturing factory workers. A total of 7,818 factory workers employed in 1,562 manufacturing companies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wide occupational health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in 2003.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the stratified proportional sampling process by standardized industry classification, company size, and locations. Trained interviewers visited the target companies and interviewed the factory workers randomly selected in each company. Work environments included physical work environments (temperature, noise, hazardous organic compounds, and so on) and psychological work environments (job demands, job control, and social support at work), and work conditions included daily working hour, rest time, and so on. Men were 71.5% and the mean age was 34.0 years old. The average working period in the present company was 6.9 years. The average stress score was 26.2 under the perfect score, 50, which means the moderate level of stress. Perceived stres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young age, poor physical work environment, high fatigue, bad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igh job demands in Pearson's simple correlation analysi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erceived fatigue explained 21% variance of stress symptoms and the work environment factor explained 4.8% of that; however, work condition did not have the sufficient effect. In particular,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variables (job demand, job control, and social support at work) had a clear effect on stress symptoms rather than the physical work environments. Poor perceived health status, severe perceived fatigue, poor physical work environment, high job demands, low social support, heavy alcohol consumption and little exercis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igh stress symptoms in the Korean manufacturing workers.

      • KCI등재후보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분양된 아파트 평면의 발코니 특성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수도권과 군 이하지역의 아파트 평면비교를 중심으로 -

        박경옥,이상운 한국농촌건축학회 2008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10 No.2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some suggestions for the legal supplement of the regulation on the balcony expansion for the optimal use of apartment balcony. For the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expanded to the balcony, in the plans supplied after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pansion, comparing them by their locatio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Gyeonggi and the districts of the other areas. The 168 plans of apartments in the supplied by top 10 constructors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Seoul and Gyeonggi, together with the 92 plans in the other smaller districts in 2006 to 2007 were analyzed with the tools of frequency and chi-square analysis. The result is as follows.(1) The region showed no difference in the plans of balcony; whereas the size, the position and access of the shelter explained some differences of balcony plan. (2) In wider plans, balconies were placed in all sides of plan-front, rear and side, and were remodeled to expand facing rooms. (3) The balcony expansion tended to increase the number of bays. (4) In almost cases, the living rooms were expanded to balcony. In smaller plans, the balconies were remodeled to supply supplementary kitchen space, splitting it from laundry. (5) The shelters were placed at the rear or side of plans, but the shelter facing room could be dangerous in case of fire.The balcony expansion, despite of legalization spirit to adopt diverse use of additional spaces for residents' needs, was only a tool for the space expansion. The amendment of the regulation is needed to accommodate these findings that the balconies should be identified by their function, that the front corridor-type balcony should be limited in length and magnitude, and that the shelter should be positioned with easy access.

      • 코로나19 부산관광 위기 극복 방안

        박경옥 부산연구원 2020 BDI 정책포커스 Vol.- No.374

        ◯ 코로나19 사태로 부산관광이 큰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 ◯ 위기는 사람의 심리 위축 → 관광수요에 부정적 영향 → 관광산업에 심각한 영향 → 지역경제 침체 등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 ◯ 코로나19로 인한 관광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단기로는 ‘시민호캉스’, ‘얼리버드’ 등 민관협력 관광상품을 개발해 관광객 유치, 중장기로는 원헬스(One-health) 기반 관광환경 등을 통해 안전하고 건강한 관광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그림은 논문 참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