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붓공예 마을의 역사와 전승 환경의 변화

        박창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2

        한국과 중국, 일본의 붓은 역사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여 오늘날까지 전승되었 다. 중국에서 처음 만들어진 붓은 한국과 일본으로 전파되고 각 나라에 맞는 기법 을 통해 제작되어 문화예술이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붓이 전파 가 되고, 각국의 교류가 이루어지면서 공통적 요소가 많이 있기는 하지만 각 나라 에 특색에 맞게 발전하여 차이가 생기기도 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각국은 문화가 발달하면서 점점 붓의 사용량이 늘어났으며, 이에 우수한 붓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했다. 이를 맞추기 위해 필장들의 수도 급 격하게 늘어났으며, 지리적 이점이 있고 유명한 필장들이 기법을 전승하고 있는 곳으로 사람들이 모이게 되었다. 한 지역에 사람들이 모이게 되면 해당 지역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이에 각국은 대부분의 마을 사람들이 붓과 관련된 분야에 종사하는 주요 전승지가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한 지역에서 나오는 붓이 유명해지고, 점점 그 지역의 붓이 많이 만들어지면서 붓공예 마을이 형성된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중․일 각국의 전승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주요 전승지의 변화를 종합해보고 전승 환경에 대한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과 중국, 일본은 시대가 흐름에 따라 문화의 발전이 계속해서 이루어졌고, 다양한 문화도 유입되고 서로 교류하기도 했다. 또한 필장들은 우수한 붓 제작 기 법을 사사하기 위하여 한 지역으로 모이기 시작하였으며, 협업하여 붓을 제작하기 도하였다. 이에 각국에서는 붓공예 마을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중국의 경우에는 쉬안청(宣城)과 후저우(湖州) 지역의 붓이, 일본은 나라(奈良), 쿠마노(熊野) 지역 등의 붓의 유명했다. 이 지역들은 오늘날까지 붓의 전승이 이루 어지고 있으며, 중국의 후저우 지역과 일본의 쿠마노 지역은 각국의 주요 전승지 로 가장 많이 붓이 제작되고 있기도 하다. 한국의 경우에는 1930년대 이후에 광주 광역시의 진다리 지역과 서울특별시의 인사동 지역이 붓공예 마을이 형성되기도 했으며, 한국의 주요 전승지로 알려지기도 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급격하게 붓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활동하고 있는 필장의 수도 각각 급감하면서 붓공예 마을 의 성격도 사라지고 전승 환경도 변화하였다. 이에 붓공예 마을 및 붓공예 관련 문 화, 붓공예 제작 환경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오늘날 다양한 현대 문화의 발전으로 인하여 붓을 사용하는 인구가 줄어들게 되면서 붓의 전승도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붓공예도 변화를 시도하고 개혁을 해나가야 한다. 끊임없이 국가의 정책과 사회의 분위기가 바뀌기 때문에 붓 또한 한층 더 발전시켜 나가려는 시도가 필요한 것이다. 전통과 현대의 격차가 벌어지게 되면 붓 및 제작 기법 같은 전통문화의 방향은 쇠퇴할 수밖에 없다. 새로운 판로도 개척해 나가고 동아시아 지역의 붓 공예 산업이 서로 협력하면서 발전해 나가는 것도 필요하다. 급변하고 있는 시대에 맞춰 역사 속에서 붓이 적응했던 것처럼 새로운 전승 방향을 연구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Brushes have a very rich history as tools for painting and calligraphy. Prior to the invention of brushes, a long, complex process was required to complete such works. Hence, brushes are a sophisticated result obtained through human practice. After the basic form of Chinese brushes developed, various reforms and further development occurred, and over time, brushes have continued to be improved to meet national cultural demands. These changes in brushes have enabled people to create more intricate art and record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brushes have played an significant role in bringing developed artwork into existence. For this reason, tracing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brushes reveals rich cultural changes and detailed period-specific historical records. Korea, China, and Japan have a history of cultural exchange, including of brush-making skills. Brush makers gathered in one area to learn and share excellent brush-making skills. Over time, they also gathered in one area to jointly produce brushes. Brush craft villages were created in each country due to culture to study excellent brush production techniques under renowned teachers and produce brushes through cooperation. Xuancheng and Huzhou became famous for brushes in China. Additionally, brushes from Nara and Kumano became famous in Japan. In South Korea, brush craft villages have existed in Jindari in Gwangju, and in Insa-dong in Seoul, since the 1930s. Today, as the number of people using brushes has decrea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modern cultures, brush transmission is facing a crisis. In the midst of these changes, new brush work efforts are needed. However brush makers transmitting each country’s traditional techniques do not know how to change and transmit their skills in modern times. Efforts to vitalize the brush craft field are needed, specifically by developing an overall brush culture and combining it with new fields to go beyond simple transmission. Historically, brushes have always changed and adapted. Therefore, the attempt to revitalize brushes is a new challenge to be taken on today.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daptation, change,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brush craft in modern society, keeping in mind that brush craft i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후보

        커뮤니티센터로서 농촌 마을회관의 복합화에 따른 이용실태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임실군을 중심으로 -

        박창선 한국농촌건축학회 2008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complexity use these facilities for elderly welfare facility or public health facility and community center in rural.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researched into elderly welfare facilities, public health facilities and social welfare centers. And we studied of village community center, life pattern in old people in rural. With a rapidly increase in population of older people in rural, there is a great demand for the construction of complexes facilities. Particularly, there was highly demand for the public health facilities and the welfare programme of physiotherapy facilities on village community center in rural. However, there is not a intersection of space composition and specification function between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d public healthcare facilitie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this time. Accordingly, in the future plan for community center in rura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tegration with public health facility. And it is necessary to compose the community center in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organization of complexity as a possibility of community welfare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Hot Wall Epitaxy (HWE)법에 의한 ZnIn<sub>2</sub>S<sub>4</sub> 단결정 박막 성장과 열처리 효과

        박창선,홍광준,Park, Chang-Sun,Hong, Kwang-Joon 한국재료학회 2008 한국재료학회지 Vol.18 No.6

        Single crystal $ZnIn_2S_4$ layers were grown on thoroughly etched semi-insulating GaAs(100) substrate at $450^{\circ}C$ with hot wall epitaxy (HWE) system by evaporating $ZnIn_2S_4$ source at $610^{\circ}C$.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single crystal thin films was investigated by the photoluminescence (PL) and double crystal X-ray rocking curve (DCRC).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energy band gap of the $ZnIn_2S_4$ obtained from the absorption spectra was well described by the Varshni's relation, $E_g(T)=2.9514\;eV-(7.24{\times}10^{-4}\;eV/K)T^2/(T+489\;K)$. After the as-grown $ZnIn_2S_4$ single crystal thin films were annealed in Zn-, S-, and In-atmospheres, the origin of point defects of $ZnIn_2S_4$ single crystal thin films has been investigated by the photoluminescence (PL) at 10 K. The native defects of $V_{Zn}$, $V_S$, $Zn_{int}$, and $S_{int}$ obtained by PL measurements were classified as a donors or acceptors type. And we concluded that the heat-treatment in the S-atmosphere converted $ZnIn_2S_4$ single crystal thin films to an optical p-type. Also, we confirmed that In in $ZnIn_2S_4$/GaAs did not form the native defects because In in $ZnIn_2S_4$ single crystal thin films existed in the form of stable bonds.

      • KCI등재

        중소도시 영구임대아파트 단지 내 사회복지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박창선 한국농촌건축학회 2005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7 No.3

        Social welfare center is a representation agency in the local welfare system to provide the local residents with necessary services direc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the fundamental materials for space program in terms of planning a social welfare center by means of analyzing spatial arrangement of each section in senior welfare activity. The structure of the social welfare center should be adopted to the reality and the center of local should pay atten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As the aspects of the programs, distinctive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do so, social welfare center should be adjusted to the local situation and get flexibility on operating in the local level. Each program in senior welfare activity should be connected in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various space should be provided in desire of elderly. So the section of dining room and medical rehabilitation is a places mostly for the elderly. Multipurpose space for the interest and leisure and the space of the senior education facility are provided in social welfare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