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비 특수교사 공개 수업에서 나타난 발문과 피드백 분석
박상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and feedback presented in the open clas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using the effective question and feedback of the special teacher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 teaching skill. To achieve the goals, the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the 15 lessons practiced during the 4 weeks school internship program of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from April to May 2018, under the guidance of on si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questioning in the lessons of the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1,531, and in the first open class, the average number of questioning were 102. Second,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responses to the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questioning were 1,113, and the short-answer type response was the highest with 72.7%. Thir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feedback on student responses was 1,082, which provided an average of 72 feedbacks in the first open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as a basic data when planning the way of improving the teaching skills of the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수업 기술 향상을 위해 예비특수교사의 공개수업에서 나타난 발문과 피드백의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특수교사의 효과적인 발문과 피드백의 활용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2018년 4월에서 5월까지 4주 동안 예비 특수교사들의 학교현장실습 기간 동안의 현장에 있는 특수교사들의 지도를 받아 계획 및 실행된 15개 수업 영상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특수교사들의 수업에서 나타난 발문은 총1,531회이며 한 차시 수업에서 평균 102개의 발문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특수교사의 발문에 대한 학생의 응답은 총1,113개로, 단답형 응답이 7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생의 반응에 대한 특수교사의 피드백은 총1,082회로 한 차시 수업에서 평균 72회의 피드백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 특수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의 유형 및 특징이 향후 예비 특수교사들의 수업 기술 향상을 위한 대학 교육의 지도 방향을 계획하고 운영할 때의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실험실 교구 및 운영 관련 실태조사
박상희,김은화,권충훈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과학실험실 교구 및 운영 관련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국 의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과학부장 또는 과학교과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전국의 94개 정신지체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94개교 중 72개교만이 응답결 과가 회수되어 결론적으로 전국의 72개교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총216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 로 하였다. 각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과학 관련 교구 목록을 수집하여 2010년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기본교육과정 과학과를 기준으로 하여 1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관련 선행 연구 들을 고찰하여 작성된 질문지를 통하여 과학실 운영 및 과학 교수에서의 교구 사용과 관련된 특수교사의 의견을 수집한 자료는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정신지체 특수학 교 과학실험실에 비치된 교구는 평균적으로 115개 정도이며, 이 교구를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물질 영역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에너지, 지구, 생명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둘 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실험실의 시설과 관련된 교사의 만족도 조사에서는 전체 72개교 중 34개교에만 실험실습실이 마련되어 있었으며, 전기시설과 수도 및 배수 시설 등의 만족도가 다 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교수에서 교구 사용에 대한 교사 의견 조사에서는 과 학과 에너지 영역의 교수에서 과학교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지체 학 생들을 대상으로 주로 사용하는 교수 방법으로는 시청각 교수나 실험 및 실습 위주의 교수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