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장거리 다중송신채널 환경에서 수중음향통신 시뮬레이터 성능 분석 및 검증

        박희진,김동현,김재수,송희천,한주영,Park, Heejin,Kim, Donghyeon,Kim, J.S.,Song, Hee-Chun,Hahn, Joo Young 한국음향학회 2018 韓國音響學會誌 Vol.37 No.6

        최근 장거리 수중음향통신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장거리 수중음향통신 연구를 위한 해상실험은 해양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고 높은 비용과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장거리 환경에서 수중음향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예측하고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장거리 수중음향통신 시뮬레이터의 개발을 목적으로 중장거리 다중송신환경에서 수중음향통신 시뮬레이터로서 VirTEX(Virtual Time series EXperiment)의 성능을 분석하고, 해상 실험 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송신 신호는 탐침을 위한 Chirp신호와 16QAM 방식으로 변조된 통신 신호를 사용하였다. VirTEX를 통해 수신 신호를 모의하고 다중송신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채널 간 간섭을 적응 수동형 시역전을 이용하여 보상하여 통신 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2005년 7월 이탈리아의 Elba island 북쪽 해역에서 수행한 FAF05(Focused Acoustic Field 2005)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UAComm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is an active research area, and many experiment has been performed to develop UAComm system.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modifying and applying VirTEX (Virtual Time series EXperiment) to medium long range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UAComm of about 20 km range for the analysis and performance prediction of UAComm system. Since VirTEX is a time-domain simulator, the generated time series can be used in HILS (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to develop UAComm system. The developed package is verified through comparing with the sea-going FAF05 (Focused Acoustic Field 2005) experimental data. The developed simulator can be used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UAComm system, and even replace the expensive sea-going experiment.

      • KCI등재
      • 접미사 배열 생성 과정에서 구간 최소간 위치를 상수 시간에 찾기 위한 효율적인 자료구조

        박희진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1 No.3

        본 논문에서는 배열에서 구간 최소값 위치를 상수 시간에 찾기 위한 효율적인 자료구조를 제시한다. 최근의 생물 정보학 분야에서 빠른 DNA 서열의 검색을 위해 접미사 배열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접미사 배열을 생성하는 문제는 구간 최소값 위치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접미사 배열을 생성할 때는 구간 최소값 위치 문제를 빠르게 푸는 것뿐만 아니라 공간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 이유는 DNA 서열이 수백만 개에서 수십 억 개의 염기를 가진 굉장히 큰 데이타이기 때문이다. 배열의 구간 최소간 위치를 상수 시간에 찾기 위해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효율적인 자료구조는 배열의 구간 최소값 문제를 Cartesian 트리에서의 LCA(Lowest Common Ancestor) 문제로 바꾸고 이 트리에서의 LCA 문제를 다시 특수한 배열에서의 구간 최소값 문제로 바꾸어 푸는 방법을 이용한 자료구조이다. 이 자료구조는 이론적으로 O(n) 공간을 사용하여 O(n) 시간에 생성된다. 하지만 이 자료구조는 배열의 구간 최소값 문제를 두 번에 걸쳐 다른 문제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되는 공간은 상당히 큰 13n이며 또한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자료구조는 배열의 구간 최소값 문제를 다른 문제로 변환하지 않고 직접 구하는 자료구조이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O(n) 공간을 차지하며 O(n) 시간에 생성될 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도 5n의 적은 공간을 사용하며 빠른 시간에 생성된다. We present an efficient data structure to obtain the range minima in an away in constant time. Recently, suffix ways are extensively used to search DNA sequences fast in bioinformatics. In constructing suffix arrays, solving the range minima problem is necessary When we construct suffix arrays, we should solve the range minima problem not only in a time-efficient way but also in a space-efficient way. The reason is that DNA sequences consist of millions or billions of bases. Until now, the most efficient data structure to find the range minima in an way in constant time is based on the method that converts the range minima problem in an array into the LCA (Lowest Common Ancestor) problem in a Cartesian tree and then converts the LCA problem into the range minima problem in a specific array. This data structure occupies O( n) space and is constructed in O(n) time. However since this data structure includes intermediate data structures required to convert the range minima problem in an array into other problems, it requires large space (=13n) and much time. Our data structure is based on the method that directly solves the range minima problem. Thus, our data structure requires small space (=5n) and less time in practice. As a matter of course, our data structure requires O(n) time and space theoretically.

      • KCI등재

        광양, 여수 지역 주민들의 혈중 납 농도와 관련요인

        박희진,박명규,강택신,김근배,이종화,장봉기,손부순 한국환경보건학회 2016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2 No.3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of blood lead concentrations of residentsin the areas surrounding an industrial complex. Methods: During the three-month period from August to October 2012,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a total of 417 residents in Gwangyang and Yeosu. We collected blood samples from all subjects, and their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cquired using a questionnaire. The bloo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an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version 21.0. Results: The geometric mean concentration of blood lead in all subjects was 1.85 μg/dL. The highest (p<0.01)blood lead concentrations were in the current drinking group (2.24 μg/dL). Blood lead concentrations in thesmoking group (0.59 μg/dL)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the non-smoking group(0.24 μg/dL). Risk assessment was performe using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KNEHS) as a reference. The hazard indices of blood lead in males and females were 0.65 and 0.52, respectivelyConclusion: We provided baseline data for reference values of toxicity and heavy lead concentrations. Ourresults might be useful for further evaluation of risks due to exposure to heavy metals via oral, air, andpercutaneous routes.

      • KCI등재

        접미사 배열 생성 과정에서 구간 최소값 위치를 상수 시간에 찾기 위한 효율적인 자료구조

        박희진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7 No.4

        본 논문에서는 배열에서 구간 최소값 위치를 상수 시간에 찾기 위한 효율적인 자료구조를 제시한다. 최근의 생물 정보학 분야에서 빠른 DNA 서열의 검색을 위해 접미사 배열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접미사 배열을 생성하는 문제는 구간 최소값 위치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접미사 배열을 생성할 때는 구간 최소값 위치 문제를 빠르게 푸는 것뿐만 아니라 공간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 이유는 DNA 서열이 수백만 개에서 수십억 개의 염기를 가진 굉장히 큰 데이타이기 때문이다. 배열의 구간 최소값 위치를 상수 시간에 찾기 위해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효율적인 자료구조는 배열의 구간 최소값 문제를 Cartesian 트리에서의 LCA(Lowest Common Ancestor) 문제로 바꾸고 이 트리에서의 LCA 문제를 다시 특수한 배열에서의 구간 최소값 문제로 바꾸어 푸는 방법을 이용한 자료구조이다. 이 자료구조는 이론적으로O(n) 공간을 사용하여 시간에 생성된다. 하지만 이 자료구조는 배열의 구간 최소값 문제를 두 번에 걸쳐 다른 문제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되는 공간은 상당히 큰 이며 또한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자료구조는 배열의 구간 최소값 문제를 다른 문제로 변환하지 않고 직접 구하는 자료구조이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공간을 차지하며 시간에 생성될 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도 의 적은 공간을 사용하며 빠른 시간에 생성된다. We present an efficient data structure to obtain the range minima in an array in constant time. Recently, suffix arrays are extensively used to search DNA sequences fast in bioiformatics. In constructing suffix arrays, solving the range minima problem is necessary. When we construct suffix arrays, we should solve the range minima problem not only in a time-efficient way but also in a space-efficient way. The reason is that DNA sequences consist of millions or billions of bases. Until now, the most efficient data structure to find the range minima in an array in constant time is based on the method that converts the range minima problem in an array into the LCA (Lowest Common Ancestor) problem in a Cartesian tree and then converts the LCA problem into the range minima problem in a specific array. This data structure occupies space and is constructed in time. However since this data structure includes intermediate data structures required to convert the range minima problem in an array into other problems, it requires large space (=) and much time. Our data structure is based on the method that directly solves the range minima problem. Thus, our data structure requires small space (=) and less time in practice. As a matter of course, our data structure requires time and space theore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