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플레 豫測에 있어서 媒介指標의 役割

        朴俊佑 상명대학교 논문집 1984 상명대학교논문집 Vol.14 No.-

        In many economic theories expectations about the future values of economic variables play an important causal role(s), since economic outcomes are influenced by the perceptions of various economic agents as to future economic state. Unfortunately the mechanism by which economic agents form their expectations, in general, is not known. This unobservable feature of the expectation mechanism has led many attempts to find a good proxy or model for the expectation mechanism. The traditional approach to this matter has been the use of current values rather than expected values of economic variables, based on the very unrealistic and simple hypothesis of convention that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continue indefinitely. Dissatisfaction with this naive view has led two opposing approaches. The purely extrapolative expectation hypothesis seeks the rationality of the expectation mechanism in the learning process of the public through experience with past inflation rates, concluding that the monetary authority or government can conduct effective countercyclical policies, since inflationary expectation is solely a function of the past inflation series and so changes in economic policy variables play no effective role in the inflationary expectation by the public. The rational expectation hypothesis, on the other hand, looks for rationality from various other pertinent aspects apart from the learning process involving past inflation experience and insist that changes in economic policies have a very effective role in influencing the inflationary expectations. This, in effect, precludes the possibility that the monetary authority or government could control the course of inflation. The purely extrapolative expectation hypothesis can be perceived to be a naive approach in view of the increasing array of other information which is made available, the accessibility of modem computer devices, and the role of the professional economic analysts. Achieving the optimal rationality of the expectation by the public, however, is still hampered by the constraints of the real time and information and computational costs of the expectation behaviour and also by what H. Simon refers to as the relativeness of the memorial power of human mind. In this paper it has been attempted to reformulate the propositions of the rational expectation hypothesis in order that it can embody these aspects of the expectation mechanism of the economic agents and to conduct a hypothesis test. The result offers an empirical support for the hypothesis that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intermediate indicators is intensively used in addition to the past inflation series through the sequential exploitation behavior of the public and so the changes in economic policy variables most-likely have indirect effects on the intermediate inflationary indicators. And it also provides an ecletic view that the countercyclical policies formulated according to a formulated rule or system do have some control over the course of inflation though their effects are not as potent as suggested by the purely extrapolative expectation hypothesists.

      • KCI등재후보

        商標와 地理的 標示의 衝突에 관한 硏究: WTO에서의 論議를 中心으로

        박준우 법무부 2004 통상법률 Vol.- No.58

        In the WTO negotiations on the protection of geographical indications, there are basically two issues. The first issue is the legal effects of the geographical indications registered in multilateral system. The United States wants a registration system without binding legal effects, while the European Communities wants a system with binding ones. The second issue is the extent of the goods or services to which additional protection is granted beyond wines and spirits. Currently, the United States tries to minimize the extension of those goods or services, while the European Communities argues that there should be no limitation in granting additional protection. In this article, I argued that Korea should approach the issues on the protection of geographical ind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tection of Korean trademarks, and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geographical ind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geographical indications, Korea currently needs the quality control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Apart from the debate on the geographical indications in the WTO, Korea should prepare for a concrete registration and protection system for geographical indications, which can give incentives necessary to secure the minimum and consistent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other hand, Korea should support the U.S. proposal to protect Korean trademarks from the already genericized geographical indications and to protect Korean trademarks, which conflicts with geographical indications.

      • KCI등재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대리인비용이론과 가치확대이론

        박준우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동기를 대리인비용이론과 가치확대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사회공헌활동의 대리변수로 기부금지출수준을 종속변수로 하고, 대리인비용이론 관련변수와 가치확대 이론 관련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의 기부금은 대리인비용이론 측면에서 지출되기도 하지만, 기업의 가치확대이론 차원에서 기부금이 적극적으로 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부금지출여부를 예측하는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 부채비율, 지배주주지분율, 광고비지출수준, 유효세율, 기업나이, 기업규모 등이 기부금지출여부를 잘 예측하는 변수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motive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from the standpoint of agency cost theory and a value enhancement theory. The author carried out the multiple regression that the donation expensive level would be regarded as its dependent variable used for the proxy variable of social contribution, while the independent variable also be the agency cost theory and the value enhancement theory-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the author found that the corporate donation expense could be somewhat explained by the agency cost theory, and more clearly by the value enhancement theory(or the motive of maximum profit) We also executed the additional analysis such as the logistic regression, in order to predict the corporate’s donation expenditure. It came out that the useful variables became a debt ratio, block holder’s stakes, advertising expenditure level, effective tax rate, firm’s age, and firm’s size, etc.

      • KCI등재후보

        퍼블릭도메인의 확보를 위한 복제권의 해석 - 서울고법 2010. 10. 13 선고, 2010나35260 판결과 관련하여 -

        박준우 경북대학교 IT와 법연구소 2011 IT와 법 연구 Vol.0 No.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a market-based test for the infringement of the reproduction right, which can preserve public domain as well as the inventive to create. The nature of copyright is a statutory monopoly, which purports to nurture public domain by providing authors with incentives to creat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original nature of copyright as a tool for fertilize public domain should be restored. For this argument, this article first introduces a recent Korean copyright case, in which the plaintiff uploaded a clip showing his 5 year-old-girl singing and dancing a popular song. Next, this article proves that, at first, the copyright was held infringed only when the defendant’s use displaces the copyright holder’s market demand. But, this article also shows that the copyright holders’ legislative lobby had shifted the nature of copyright from statutory monopoly to proprietary right. This article finally argues that the court should play a major role in balancing between the protection and use of copyright to secure public domain to achieve the purpose of copyright.

      • 1P-724 용매 탈아스팔트화 (Solvnet deasphalting) 공정의 Bench Scale 실험 및 공정 시뮬레이션을 통한 모델링

        박준우,김민용,이기봉,고강석,노남선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중질유 고품위화 공정에 앞서 코크 생성 및 촉매 피독을 유발하는 아스팔텐 성분은 제거되어야 하며 이를 제거하는 공정으로는 용매 탈아스팔트화(solvent deasphalting, SDA) 공정이 대표적이다. SDA 공정은 피드로 감압잔사유와 같은 중질유분, 용매로 C3-C6의 알케인 용매를 사용하여 용매에 녹는 탈아스팔트화 오일 성분을 탑상으로 추출하고 용매에 녹지 않는 아스팔텐 성분은 탑저로 제거하는 공정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운전 조건이나 첨가제의 투입에 따른 추출 과정의 결과를 제시한 문헌은 많으나 모델링을 통하여 SDA공정의 추출과정을 모사하는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모델링을 진행하였더라도 이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모델링의 타당성을 제시한 문헌은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SDA공정의 추출 과정을 Bench Scale에서 실험하고 이를 열역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모사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온도와 피드 대비 오일 비율을 변화시켜가며 0.1BPD 규모의 연속식 반응기에서 진행하였다. 모델링은 적절한 열역학적 모델을 선정하는 과정을 거친 뒤, 그 열역학적 모델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선정하고 이를 조절해 공정 모사의 정확도를 높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모방풍경사진의 저작권 침해에 관한 연구

        박준우 한국저작권위원회 2014 계간 저작권 Vol.27 No.2

        The topic of this article is the copyright infringement of copycatphotographs of natural objects. The recent court case of a copycat photographof ‘Solseom’ cast a big issue to the whole society as well as copyright one,which has let ordinary citizens have a chance to think about copyright inphotographs. Some argue that natural objects should not be owned by onephotographer. Some argue that the original photographer has spent great timeand effort to create the photograph. However, copyright infringement cannot be determined until substantialsimilarity is admitted.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substantial similaritybetween the original photograph and copycat photograph. As Korean court hasno experience of such a case, this article introduces a U.S. case with verysimilar facts, Sahuc v. Tucker. Korea Supreme Court has shown basically the same criteria and rationaleon the determination of creativity and substantial similarity of photographs. First, copyright protects only expressions, not ideas, so that factualphotographs cannot be copyrightable. Second, when determining substantialsimilarity, the court should compare only creative parts of the twophotographs. Applying the criteria of the two courts to ‘Solseom case,’ this articleconcludes that there is no substantial similarity between the two photographs. The common parts and basic structure in both photographs, i.e., silhouettedSolseom, show no copyrightable creativity. On the other hand, other creativeparts are not similar. 이 논문의 주제는 풍경모방사진의 저작권 침해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국의 마이클 케나가 촬영한 솔섬사진의 모방작을 항공사가 광고에 이용한 것에 대해서저작권 침해소송이 제기되었다. 그런데 이 사건은 사진업계뿐만 아니라 사회전체에서 큰 이슈가 되었다. 일부에서는 특정 사진작가가 자연의 대상물을 독점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고, 일부에서는 풍경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 사진작가가 들여야 하는 엄청난 노력과 시간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저작권 침해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우선 원작사진의 창작성과 원작사진과모방사진 사이의 실질적 유사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한국에서도 그동안 사진저작권침해사건이 많이 축적되었으나 대부분 원작을 직접 이용한 것이며, 모방사진을 이유로 한 저작권침해소송은 발견할 수 없다. 따라서 ‘솔섬 사진 사건’과 사실관계가 매우 유사한 미국의 ‘Sahuc 對 Tucker 사건’에서 제시한 기준과 법리를 살펴보고 한국대법원의 입장과 비교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한국 대법원도 기본적으로 ‘Sahuc 사건’의 법원과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다. 첫째,저작권법은 아이디어가 아닌 표현만 보호하므로, 자연에 존재하는 목적물 또는 피사체를 사실적으로 촬영한 사진에는 창작성을 인정하지 아니한다. 둘째, 실질적 유사성을 판단할 때에도 우선 창작성이 없는 부분은 아이디어이므로 제외하고 비교한다. 이 논문은 위의 기준을 ‘솔섬 사진 사건’에 적용하여 두 사진 사이에는 실질적 유사성이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두 사진의 공통부분인 솔섬의 검은색의 윤곽은 피사체의 윤곽을 그대로 나타낸 것이며 피사체의 내용을 검게 처리하는 방법이라든지 솔섬을 중앙에 두고 위와 아래에 하늘과 강을 배치한 것도 누구나 사용하여야 하는 통상의 기법이다. 따라서 위의 아이디어 부분을 제외하고 비교하면 두 사진 사이에는실질적 유사성을 인정할 수 없다.

      • KCI등재

        건축저작물의 실질적 유사성 판단기준에 관한 검토

        박준우 한국저작권위원회 2018 계간 저작권 Vol.31 No.3

        This article examines about 20 court cases, including a Supreme Court case, which dealt with substantial similarity of architectural works. The architectural works in those cases are categorized into 5 groups of ① residential space, ② commercial space, ③ cultural space, ④ golf course, and ⑤ urban development plan. And the following topics are reviewed: ① definition of architectural works, ② creativity requirement and its considerations, ③ substantiality requirement, ④ the idea-expression dichotomy applied by the court, ⑤ ordinary observer or expert standard. After the review, this article concludes the followings. First, the courts applied the same idea-expression dichotomy to architectural works as other kinds of works. Only limited number of cases met the creativity requirement, because of the work’s functional nature, not because of different criterion. Second, several concepts such as unfairness, famousness or novelty of the part used by the defendant, should not be confused with the concept of creativity required for a copyrightable work. Third, ordinary observer or expert standard for judging creativity or substantiality does not fit for the market reality of copyrighted works. Instead, it is more appropriate to determine whether the expression should be freely used in architectural field, or whether defendant’s work could possibly be the market substitute for the plaintiff’s. 이 논문은 대법원과 하급심이 건축저작물의 실질적 유사성을 판단한 20여 건의 사건을 건축물의 유형 및 용도에 따라 ①주거공간(아파트), ②상업공간(식당・숙박업소・영업소・상가건물), ③문화・예술공간(전망대・상징물・공연장), ④골프코스, ⑤도시개발계획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검토 주제로는 ①건축저작물의 정의, ②유사부분의 창작성 판단기준과 고려요소, ③유사부분의 실질성 판단 사례, ④법원이 적용한 아이디어-표현 이분법의 의미, ⑤실질적 유사성 판단을 위한 관찰자의 문제를 다루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저작물에도 다른 종류의 저작물과 같은 ‘아이디어-표현 이분법’이 적용되며 더 엄격하거나 완화된 기준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건축물의 창작성이 제한적으로 인정되는 것은 그 기능성으로부터 비롯되는 ‘결과’에 불과하다. 둘째, 저작권법의 창작성과 혼동할 수 있는 상황들이 있다. ①피고가 원고 저작물을 모방한 경우 저작권법의 의거관계만 인정될 수 있을 뿐인데, 부정경쟁방지법의 ‘공정한 상관행에 반하는 상황’과 혼동하여 무리하게 창작성을 인정하려고 한다든지, ②피고가 원고 저작물 중 유명하지만 창작성은 없는 부분만을 모방하였으나, 이를 창작성이 있는 부분이라고 오해한다든지, ③신규성은 있지만 기능성과 분리되지 않은 부분을 창작성이 있다고 오해하는 경우이다. 이 논문에서 검토한 사건의 법원들은 위의 개념들을 명확히 구분하여 타당한 결론을 내렸다. 셋째, 실질적 유사성의 판단을 위한 관찰자로서 ‘전문가-일반인 이분법’은 더 이상 시장의 현실에 맞지 않는 구분이다. 실질적 유사성 판단의 원래의 취지에 따라서 창작성 판단단계에서는 건축분야의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창조적 개성이 드러났는지 여부를, 실질성 판단단계에서는 수요자 입장에서 대체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충분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