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투차량의 음향 스텔스를 위한 배기 소음 저감 장치 개발

        조재호,이진우 한국품질경영학회 2023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0

        최근 진보된 과학 기술로 전투 체계의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 정밀도와 성능이 높은 센서와 무기를 이용하여, 재래식 전투에서 보기 어려웠던 장거리 정밀 탐지 기술이 보편화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아군의 전투 차량이 적군의 장거리 타격 기술에 노출되는 위험성이 증대되고 있다. 고출력의 엔진이 탑재된 전투 차량의 큰 배기 소음은 적에게 탐지되기 쉬우며 승무원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 음향 스텔스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음향 스텔스 기술은 잠수함 그리고 전투차량과 같은 장치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차단하거나 억제하여 적에게 노출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노출이 되더라도 신호가 왜곡되어 적의 상황 판단을 지연 시키는 기술이다. 전투차량 운용시 병력의 생존성 증대 및 무결한 임무 완수를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투차량의 음향 스텔스를 위한 배기 소음 저감 장치에 대한 설계 방법론을 제시한다. 먼저 전투차량의 배기 소음을 측정하여 주파수별로 저감하여야 하는 소음 저감 레벨을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음 저감 장치가 달성해야 하는 목표 삽입 손실(Insertion loss)을 결정한다. 음향 메타물질과 생성적 설계 기법을 활용하여 넓은 주파수 범위에 높은 소음저감 대역을 형성하는 배기 소음 저감 장치를 설계한다. 설계한 소음 저감 장치를 제작하여 실험적 방법으로 설계 결과를 검증한다.

      • KCI등재

        연결차단권에 대한 검토

        조재호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2019 노동법연구 Vol.0 No.46

        Along with astonishing progression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ork orders and contacts using smart devices outside the normal working hours becomes problematic as it violates employees’ right to rest. In France, a law recognizing employees’ right to disconnect has been enforced since 2017, and in Germany, some corporations has started to make a standards of the right to disconnect even though there are not any law admitting the right. There are legislative bills about this right to be enforced in Italy and Spain, and the bill was introduced in Philippines. In Korea, there also have been several drafts about this right with lots of interests from several members of the society, and some corporations and self-governing bodies have started their own regulations of the right to disconnect. Right to disconnect should be understood as a principal that no work orders or any means of work contacts must be allowed outside the normal working hours unless there are very reasonable exceptions, and that employers bear obligations to guarantee the right. The right especially should be protected in the annual leaves. Basic components of the right to disconnect should be defined in a legislative law, while details of the right could be regulated in different working circumstance of corporatinos. There are opinion of introducing “on-call period”, such term is not necessary for establishment of the right to disconnect. When employees deliver labours outside the normal working hours exceptionally, rewards for the labours must be given, and rewards for maintaining the connection itself should be given as well. To improve implementation the right, it is necessary to make a clause in law that employers cannot reprimand or punish employees by any means just because the employee have asserted the right to disconnect, and that when employers violate the provision they should be punished. There must be procedural right to participate for employees in making details the law of the right to disconnect so that employees’ opinions would be reflected in the regulation. According to improvements in digital technology, violations of employees’ right to rest would be more problematic. However, through the rights to disconnect, the right to rest could be more protected and productivity also could be advanced.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근로시간 외에 스마트 기기를 사용한 업무지시 등이 근로자의 휴식권을 침해하여 문제되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근로자의 연결차단권을 인정하는 법률이 2017년부터 시행되었고, 독일에서는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연결차단권을 시행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탈리아, 스페인에서도 연결차단권을 인정하는 입법이 이루어졌고 필리핀 등에서도 입법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연결차단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연결차단권을 규정하는 법률안들이 제안되고 있고, 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율적으로 연결차단권을 실행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연결차단권은 근로시간 외의 업무상 연락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 근로시간 외의 모든 업무상 연락은 금지되고 예외적인 경우에만 허용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고, 사용자는 이를 위한 조치를 취할 의무를 부담한다고 보아야 한다. 연결차단권은 연차휴가기간의 경우에 더 철저히 보장될 필요가 있다. 연결차단권의 구체적인 내용은 기업의 사정에 따라 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인 내용은 법률에서 규정할 필요가 있다. 연결차단권과 관련하여 호출대기시간 개념을 도입하자는 주장도 있으나, 연결차단권의 실행을 목적으로 호출대기시간을 도입할 이유는 없다. 연결차단권의 예외로 근로자가 실제 업무를 수행한 경우 당연히 이에 대한 보상이 주어져야 하고, 근로자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 것 자체에 대한 보상도 필요하다. 연결차단권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근로자의 연결차단권 행사를 이유로 사용자가 불이익한 처분을 할 수 없도록 명시하고 최소한 이를 위반한 경우에 대해서는 벌칙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연결차단권의 구체적인 내용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근로자의 의사가 반영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여야 한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근로자의 휴식권 침해는 앞으로 더 문제될 수 있는데, 연결차단권을 통해 근로자의 휴식권을 보장하고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시장에서의 카시트 장착성 평가

        조재호,서관호,이화수,이민수,Cho, Jaeho,Seo, Kwanho,Lee, Hwasoo,Lee, Minsu 한국자동차안전학회 2013 자동차안전학회지 Vol.5 No.2

        Motor vehicle crashes are the leading cause (70%) of children injury and fatality. 98%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9 who came to emergency room with a traffic accident are not seated in CRS. Reduction in mortality when using CRS (NHTSA study), 71% for infants of 1-2 years old, 54% for 3-6 years old and 7-12 years old. It is very important and essential to use CRS for child passenger safety. But in Korean market, the CRS fitment rate is relatively low (20~40%). For European market, at the start of 2013, Euro NCAP started to check how easy it is to install the most common seats. And US market, NHTSA is planning a new consumer information program of CRS fitment for near future. This study examines CRS installation performance of 3 vehicles which are produced by GM Korea and 21 CRS which are based on sales volume in Korean marke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both vehicle and CRS design that causes bad interaction for CRS installation.

      • 3低 效果와 經濟政策 論爭

        趙宰浩 서울大學校 經濟硏究所 1994 經濟論集 Vol.33 No.3

        본 논문은 1980년대 후반에 있었던 국제수지 調整政策에 대한 논쟁을 다루고 있다. 당시 한국 정부는 經常收支 黑字를 이용하여 外債를 償還하는 정책을 채택하였다. 이 정책을 반대한 학자들은 Balassa and Williamson(1987)으로 한국 정부는 3低 현상 같은 대내외 경제 여건의 호전을 이용하여 경제의 체질을 바꾸는 構造調整政策을 실행해야 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Dornbusch and Park(1987)은 3低 현상을 一時的 현상으로 간주하고 더 이상의 외채누적은 미래의 한국경제성장에 도움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구조조정정책이 필요 없다고 주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經濟政策 論爭을 이론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動態的 模型을 구축하고 이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경제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한국의 장기적인 경제성장 전략 측면에서 Balassa and Williamson의 주장의 타당함을 보여 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