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錦帶李家煥의 詩論一考

        明平孜(Myoung, Pyoung-ja) 동남어문학회 2017 동남어문논집 Vol.1 No.43

        錦帶李家煥(1742~1801)은 18세기 후반 남인 문단을 대표하는 주도적인물로서 학문적·문학적으로 중요한 인물이었다. 이 논문은 문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금대 이가환의 시론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금대는 詩가 ‘뜻이 언어의 밖에 존재〔意在言外〕’하는 본질적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文보다 전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그는 시의 이해란 章句너머에 존재하는 ‘言外之意’를 찾아내는 신묘한 정신작용이라 하였다. 그리고 시를이해하기 위해서는 독자가 시인의 神理에 합치되어야 하며, 시인의 神은 언어나 문자 이면에 존재하는 마음과 마음, 곧 心印으로 전수된다고 보았다. 금대는 詩는 性情의 발현이며 성정은 누구나 가지고 있고, 성정을 가진 모든 인간은 시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는 담박하고[淡], 꾸밈없는[素], 있는 그대로의 자연스러움을‘性情之眞’으로 인식하고 성정의 자유로운 표출을허용하였다. 그러나 금대는 유학자적 입장에서 무분별한 성정의 표출을 좌시하지 않았다. 그는‘性情之眞’의 이상적 표현을‘溫柔敦厚’로 보았다. 금대는 백성들의 시가 ‘溫柔敦厚’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위정자가 風敎를 통해 백성들의 성정을 순화해야 하며, 이를 통해 ‘溫柔敦厚’의 詩風을 진작시켜 ‘性情之眞’이 ‘性情之正’의 상태에 이를 수 있도록 啓導해야 한다고 하였다. 금대와 그의 부친 이용휴는 淸新한 시풍을 지향했고, 파격이라 할 수 있는六言詩의 창작을 즐겼다. 淸新은 표현에 있어서는 자구의 도습이나 모방·조탁을 넘어선 깔끔하고 새로운 언어 표현을 뜻하고, 풍격에 있어서는 맑은 탈속의 정신세계에 대한 지향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六言詩는 당시로서는 五言詩와 七言詩의 정형을 뛰어넘는 기이한 新詩였다. 이로 인해 금대가 지향한 淸新한 시풍과 파격적인 六言詩의 창작은 擬古的, 模倣的시풍에 젖어있던 당시 문인들에게 ‘奇詭’와‘尖新’으로 인식되었다. 금대가 추구한 眞詩는 ‘似〔같게〕’·‘當〔꼭맞게〕’에 의해 사실과 감정을진실되게〔眞〕묘사한 시이다. 충만한 성정이 부득이하게 표출된, 無意의 순수성을 보존하고 있는 眞詩는 그 가치가 인정되어 사람들에 의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진다. 眞詩는 일체의 수식이 가미되지 않았어도 깊고, 맑으며, 무성하고, 소박하다. Geumdae Lee Ga-hwan(錦帶李家煥; 1742~1801) is an initiative figure representing the Namin literary group during the latter 18th century. He is positioned importantly in academic as well as literary aspects. This study is going to consider the poetical theory of Geumdae Lee Ga-hwan who is regarded crucially in literary aspects. Geumdae deemed that the meaning of si(詩; a poem) is harder to be delivered than that of mun(文; a prose) because of its fundamental property of ‘uijaeeonoe〔意在言外; Meaning exists outside language〕’. He said that understanding poetry is a miraculous action of mentality to find out ‘eonoejiui(言外之意)’ existing beyond janggu(章句). He also sees that to understand a poem, the reader’s sinri(神理) should agree with the poet’s, and the poet’s sin(神) is delivered through mind to mind, that is simin(心印) existing outside language or letters. Geumdae deemed that si(詩) is the expression of seongjeong(性情;nature), and because everyone has nature, anyone can be a poet through that nature. He considered that ‘seongjeongjijin(性情之眞)’ is simpleness [淡], plainness[素], and naturalness and allowed a poet to express his nature just as he wishes. However, Geumdae did not accept the indiscriminate expression of nature in his position as a Confucianist. He regarded the ideal expression of ‘seongjeongjijin(性情之眞)’ should be ‘onyudonhu(溫柔敦厚)’. Geumdae insisted that to let the people’s poetry reach the level of ‘onyudonhu(溫柔敦厚)’, politicians should be able to purify their nature through punggyo(風敎), and this should encourage the sipung(詩風) of ‘onyudonhu(溫柔敦厚)’ and guide them to reach their ‘seongjeongjijin(性情之眞)’ to ‘seongjeongjijeong(性情之正)’. Geumdae and his father, Lee Yong-hui, pursued the poetical style of cheongsin(淸新; neat and new) and enjoyed writing yukeonsi(六言詩) which was regarded sensational then. In expression, cheongsin(淸新) refers to using neat and new expressions being freed from following, imitating, or elaborating old ones. Also, in one’s personality, it means pursuing the world of pure mentality escaping from secularity. Also, yukeonsi(六言詩) was a sinsi(新詩; a new kind of poetry) then escaping from the typicality of oeonsi(五言詩) or chileonsi(七言詩). Because of this, the poetical style of cheongsin(淸新) and sensational creation of yukeonsi(六言詩) Geumdae pursued were regarded ‘gigue(奇詭)’ or ‘cheomsin(尖新)’ by literary persons of the time who were deeply immersed into the style characterized by uigo(擬古; following old things) or mobang(模倣; imitation). Jinsi(眞詩) which Geumdae pursued is the poetry depicting facts or feelings truthfully〔眞〕based on ‘sa(似〔identically〕’•‘dang(當〔fittingly〕’. The value of jinsi(眞詩) expressing full of nature inevitably and preserving the purity of muui(無意) is often acknowledged by people and transmitted from month to mouth. Jinsi(眞詩) is deep and clear, and abundant and plain even though not any single rhetoric is added to it.

      • KCI등재

        錦帶 李家煥 記文의 주제 표출 양상

        명평자(Pyoung ja Myoung)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4 No.-

        이 논문은 금대 이가환의 기문을 주제별로 분석하고, 공통된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표출양상을 정리한 것이다. 금대의 문집인 『詩文艸』에는 총 18편의 기문이 수록되어 있다. 본문에서는 記事性 산문의 성격을 띠고 있어 정통고문의 기문이라 하기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記昌城尉事」와 「記訓局卒事」를 제외한 16편의 기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금대의 글 전체를 이끄는 것은 載道的 문학관이라 할 수 있는데, 그의 기문 역시 도문일치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敍事보다는 議論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 금대는 부나 명예, 권력을 위한 학문보다는 내적인 수양을 위한 '爲己之學'에 가치를 두었고, 이를 위해 '마음을 지킴[守心]'을 주장하였다. 그는 '爲己之學'을 위해서는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함을 강조하였고, 또한 부모를 생각하는 마음이 그 목적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부모를 위하는 마음이 곧 자신을 위하는 길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부모의 뜻을 받들고 조상을 공경하는 '不忘本'의 마음이 집안을 보전하고 건물을 보전하는 힘이라는 것이다. 금대에게 있어 삶의 지향점은 요임금이나 순임금, 공자, 맹자, 거백옥 같은 성인에 가까운 인물의 성품이었다. 그는 성인의 품성을 목표로 삼아 성찰하고 실천하는 수양의 자세를 견지할 것을 말하였다. 수신ㆍ제가ㆍ치국ㆍ평천하의 이상적인 사회의 완성도 평범한 한 사람 한사람이 일상생활에서 평범한 도리를 실천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금대는 거처나 처한 상황이 행ㆍ불행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받아들이는 마음자세가 행ㆍ불행을 만든다고 보고, 그 상황을 만족하게 여기고 넉넉하게 수용하는 초월적 태도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현실의 삶에서 자족하는 가운데 도를 즐기고, 세상일에 관심을 끊고, 자신이 추구하는 정신세계를 지향해서 공부해 나갈 것을 주장하였다. 금대는 인위적으로 조작된 자연이 아닌 천연의 '眞趣'가 가장 아름답다고 보고, 자연 자체를 즐기려 하였다. 그리고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그 여유가 군주가 만들어준 태평성대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자연을 대하고 詩酒를 즐기는데 있어서도 군주에 감사하며, 넘치지 않으려는 그의 태도를 '樂而不流'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umdae(錦帶) Lee Gahwan(李家煥, 1742~1801)'s writings by topics and then classify them by topics and arrange the aspects of showing topics. 『Simuncho(詩文艸)』, Geumdae(錦帶)'s collection of works, contains total 16 writings of his. What leads his writing in general is his ethical view of literature, and his writing is also grounded on 'domunilchi(道文一致)', and what constructs it mainly is not the narration but the discussion. Geumdae puts value on 'wigijihak(爲己之學)' for the sake of internal cultivation rather than studying for wealth, fame, or power, and for the actualization of it, he supports 'susim(守心: to keep the goal in mind)'. For 'wigijihak(爲己之學)', he emphasizes one must have a clear goal and insists that filial piety should be the ultimate goal of it. It means that to live for your parents is to live for yourself. Also, he says that the will of 'bulmangbon(不忘本: not to forget the root)' to support your parents' intention and worship your ancestors is the very power to preserve your family and your building. To Geumdae, the pursuit of life is the character of saints like King Wu, King Sun, Confucius, Mencius, or Geobaekok. He insists that you should stick to the attitude of cultivation taking a saint's character as your goal and constantly meditating on and practicing it. He also deems that the ideal society of Susin(修身)ㆍJega(齊家)ㆍChiguk(治國)ㆍPyeongcheonha(平天下) can be realized only when ordinary individuals do their own ordinary duties in their everyday lives. Also, Geumdae sees that the place or situation that a person is in does not bring happiness or unhappiness, but what really makes them is the attitude of receiving them, so it is necessary to have a transcendental attitude to be satisfied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receive any of them generously. He insists that you should enjoy cultivating 'do (morality)' by being satisfied with your real life, stop paying attention to what is happening in the world, and keep pursuing the mental world you are oriented to. Geumdae regards the most beautiful thing of all is not artificially manipulated nature but the natural 'taste of truth(眞趣)' and tries to enjoy nature itself. And he sees that the leisurely time to enjoy nature comes from 'taepyeongseongdae(太平聖代)' that the king has made for us. His attitude can be considered as 'nagibulryu(樂而不流)' as he is grateful about the king even when he is receiving nature and enjoying the drinks of poems and tries to be moderate.

      • KCI등재후보

        금대(錦帶) 이가환(李家煥) 시의 창작 배경

        明平孜 ( Pyoung-ja Myo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22 韓國思想과 文化 Vol.105 No.-

        금대(錦帶) 이가환(李家煥 1742~1801)은 급변하던 18세기에 정치사적·실학사적·종교사적·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사람이다. 이 논문은 이 중 문학사적 측면, 특히 금대의 시 창작 배경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금대의 시 창작 배경에는 가학(家學) 중 특히 18세기 중후반의 문단을 주도했던 혜환(惠寰) 이용휴(李用休)의 영향을 꼽을 수 있다. 혜환과 금대는 일종의 파격시라 할 수 있는 육언시(六言詩)의 창작에 마음을 쏟았고, 공통적으로 개성을 강조하는 시풍을 견지하며 청신(淸新)의 품격을 추구하였다. 또한 육경(六經)과 역사서(歷史書)를 학문의 근간으로 삼아 당우·삼대의 시대의 사상을 이해하고 성인들의 치도 이념을 체득하여 요순지치(堯舜之治)·삼대지치(三代之治)를 회복하려 하였고, 경세의 관점에서 경세제민, 애민긍휼의 시들을 다수 창작하였다. 금대의 김화 유배 역시 금대의 시 창작에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김화 유배가 안겨준 시간적 ·정신적 여유는 도리어 금대로 하여금 삶을 관조하며 현실을 새롭게 자각하는 계기가 되어 시로 승화되어 표현되었다. 금대는 정주 목사 시절에 20편 가까이 시를 지었고, 김화 유배 시기에 그가 남긴 시 작품 중 절반 가까운 시를 창작하였다. 김화(金化) 유배를 계기로 금대는 백성들의 삶의 현장을 가까이서 지켜볼 수 있게 되면서, 그가 목도한 백성들의 현실을 백성의 입장에서 소리 높여 고발하였다. 금대의 시 창작활동의 또 다른 배경으로는 활발한 시사(詩社) 및 시회(詩會) 활동을 들 수 있다. 금대는 천수경(千壽慶)이 중심이 되어 만든 송석원시사(松石園詩社)를 비롯하여 옥계시사(玉溪詩社)에서 활동하였다. 이 중 송석원시사는 규약을 정하고 시사를 결성하여 정기적인 시모임을 가졌던 시 공동체로서 금대는 이 모임을 계기로 다양한 시사(詩社) 또는 시회(詩會)에 가입하여 동인들과 시로서 교유하였다. 금대는 또 화산시사(華山詩社)나 채제공(蔡濟恭) 등이 주축이 되어 만든 번리시사(樊里詩社)에도 참여하고 정약용이 문인들과 함께 만든 죽란시사(竹欄詩社)의 동인들과도 교유하였으며, 18인의 기로(耆老)들이 주축이 되어 결성한 백사(白社) 모임에도 빠지지 않는 등 시사(詩社) 또는 시회(詩會) 활동을 하는 중에 다수의 시를 창작하였다. Geumdae (錦帶) Lee Ga-hwan (李家煥, 1742~1801) was a figure positioned importantly in the 18th century when things were changing rapidly in the aspects of political history, Silhak history, religious history, or literary history. Among them, this thesis is aimed to examine the aspects of literary history, particularly the background of Geumdae’s creation of poems. The background of Geumdae’s creation of poems was influenced by Gahak (家學), particularly Hyehwan (惠寰) Lee Yong-hyu (李用休) who led literary circles in the mid- to late 18th century. Both Hyehwan and Geumdae were immersed into writing Yukeon-si (六言詩) that can be said to have been a sensational form of poetry then, and they both adhered to the poetic style stressing individuality and pursued the dignity of Cheongsin (淸新). Also, they understood ideas in the times of Dangwoo · Samdae having six scriptures (六經) and books on history (歷史書) as the grounds of their learning, tried to recover Yosunjichi (堯舜之治) and Samdaejichi (三代之治) by acquiring saints’ ideology of ruling, and created a number of poems regarding Gyeongsejemin or Aemingeunghyul from the perspective of ruling the world. Geumdae’s exile in Gimhwa (金化), too, formed a crucial background of his creation of poems. Mental composure he regained through his exile in Gimhwa having enough time to spare rather allowed him to have chance to meditate on life and think about the reality in a new way, and this was expressed in his poems through sublimation. Geumdae composed up to 20 pieces of poems while he was appointed as Jeongju Moksa, and he wrote almost half of the works he left during his exile in Gimhwa. Taking his exile in Gimhwa as an opportunity, Geumdae could watch the scenes of the people’s lives right next to them and disclosed the people’s reality he witnessed vociferously from their standpoint. Another background of Geumdae’s creation of pomes is his positive involvement in Sisa (詩社) or Sihoe (詩會) activities. Geumdae joined in Okgyesisa (玉溪詩社) including Songseokwonsisa (松石園詩社) which was formed by Cheon Su-gyeong (千壽慶) as its lead. Among the societies, Songseokwonsisa was a poetry community having regular gatherings for poetry after establishing rules and organizing Sisa, and with the chance of being engaged in the society, Geumdae joined in many other Sisa (詩社) or Sihoe (詩會), too, to exchange with the members through poetry. Geumdae also participated in Beonrisisa (樊里詩社) organized by Hwasansisa (華山詩社) or Chae Jae-gong (蔡濟恭) as its pivot, associated with the members of Jukransisa (竹欄詩社), too, which was formed by Jeong Yak-yong with other literary persons, and hardly missed to attend the gatherings of Baeksa (白社), too, which was organized by 18 Giro (耆老) as its pivot. While he was involved in Sisa (詩社) or Sihoe (詩會) activities in that way, he created a number of poems.

      • KCI등재

        「記夢」에 나타난 大觀齋 沈義의 비평의식

        명평자(Pyoung-ja, Myoung)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4 No.-

        「記夢」은 심의가 그의 나이 51세 되던 해에 쓴 작품이다. 「記夢」은 비록 몽중세계라고는 하지만 시의등급에 따라 관직을 배정하고 시인을 평가했다는 점에서 심의의 시비평관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대관재의 「記夢」은 형식적으로는 꿈을 기록하고 있으나 엄연히 꿈속에서의 비평을 통해 시를 비평하고 있다. 심의는 시의 최고의 경지를 ‘思無邪’로 보고 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思無邪’로부터 우러나오는 자연스러운 성정의 발로라고 생각했다. 그는 詩道란 인위적 조탁으로만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웅건 호방한 시정신의 바탕에서 이루어진다고 보고 감정이 리듬을 타고 전달되어 감동을 자아내기 위해서는 감정의 바름과 적합한 율조가 조화를 이루어야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詩道의 정맥이 詩經ㆍ楚辭→ 盛唐詩(두보ㆍ이백) → 한유ㆍ유종원→소동파ㆍ황정견으로 이어졌다고 보고 당대에 추구해야 할 시풍을 盛唐詩에 두었다. 심의는 작시 상에 있어서 鍛鍊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가 중시한 단련이란 字句를 다듬어 아름답게 꾸미는 단순한 彫琢과는 달리 내용과 형식의 조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러 날 동안 감정을 숙고하여 한편의 시(내용)을 이루고 다시 오랫동안 내용을 음미함과 동시에 성률을 맞추고 물상을 조합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심의는 ‘平淡’ㆍ‘奇古’ 의 풍격을 추구하면서 ‘題咏’ㆍ‘叙事’등의 시체의 특성을 인식하여 사물을 형상하는데 인색하거나 성률에 얽매이지 말아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詩經』과 『楚辭』를 위주로 하고 고인의 시들 중에서 잘된 곳을 살펴 스스로 浮靡한 기습을 없게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런 점에서 심의의 비평기준은 ‘思無邪’의 시정신에 있으며 ‘思無邪’의 관점에서 한ㆍ중 시단의 관직을 배치하고 시인의 우열을 평가했다고 볼 수 있다. 「記夢(Dream Records)」 was written by Sim Yei at the age of 51. While 「記夢」 deals with the world of dreams, it helps us to understand the author's view on poetry review in terms that public offices are given according to levels of poetry and poets are evaluated. While Dae Guan Jae records dreams in 「記夢」 formally, poems are reviewed based on dream-based commentaries. Sim Yei thought that the ideal stage of poetry shall be a state devoid of vice based on proper thoughts (思無邪) and considered the natural disposition coming out of such a state to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poetry. He thought that the proper way of poetry (詩道) could be secured based on the poetic spirit of bravery and magnificence rather than artificial steering and maintained that correctness of emotions and rhymes should be harmonized for emotions to be rhythmically delivered and arouse touching sensations. He believed that the veins of proper poetry were succeeded by Book of Songs (詩經) and Songs of Chǔ (楚辭), abundant Tang poetry (盛唐詩) (Tu Fu and Li Bo), Han Yu and Liu Zongyuan, Su Tung Po and Huang Ting-Jian and considered the abundant Tang poetry to be the poetic flow of his time. Sim Yei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creating a poem was forging. It refers to harmony of contents and forms rather than simple beautification of words and phrases. This refers to a series of processes to provide good rhythms and combine physical properties while enjoying the contents for a long time. This also involves long-term reflection on feelings and composition of a poem (contents). Sim Yei promoted styles such as ‘the quiet and desirelessness (平淡)’ㆍ‘unique, classic, and sophisticated (奇古)’ and maintained that poets should not be bound to rhythms or become scant when forming objects by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poetic styles such as ‘evaluation (題咏)’ and ‘description (叙事)’. He maintained that this could be achieved as training with 『Book of Songs (詩經)』 and 『Songs of Chǔ (楚辭)』 was promoted. This was supplemented with absence of light and slight beauty based on reflection on the best parts of the bygon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standards of review of Sim Yei was a state devoid of vice based on proper thoughts. Based on this poetic spirit, he arranged the hierarchy of Korean and Chinese poetry and evaluated poetic creators based on this hierarc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