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일본어교육연구 동향 분석 ― 2012년~2021년 『일본어교육연구』 한국어논문을 중심으로 ―

        成玧妸 ( Sung Yun-a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3 일본어교육연구 Vol.- No.62

        한국의 일본어교육전문 학회인 ‘한국일어교육학회(KAJE)’의 기관지 『일본어교육연구』에 게재된 2012년부터 2021년의 10년 간 축적된 158편의 한국어 논문데이터를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경향성과 상호 연관성, 변화의 추이 등을 분석하여 한국에서의 일본어교육 연구의 현황을 객관적, 계량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일본어 교육 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토대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 결과, 일본어교육 및 일본어를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키워드 가 나타났다. 둘째, TF-IDF 분석을 통해 각 연도마다 이슈가 되는 테마가 각기 다르며, 이는 연구자의 관심사 및 사회적, 교육적 분위기를 반영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셋째, 연결망 분석 결과, 빈도수가 높은 단어들이 연결중심성이 높았으며, 이슈가 되는 단어들이 매개 역할을 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넷째, CONCOR 분석에서는 2017년부터 정보검색과 콘텐츠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지며, 2019년 팬데믹 이후 비대면 수업이 이루어지면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연구가 급증, 2021년 부터 온라인, 비대면, 원격수업, 교류회와 같이 사회 변화에 따른 수업 방식의 연구 비중이 높아졌다. 『일본어교육연구』의 게재논문들은 일본어 교육, 일본어학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가 채용되었으며 동시에 사회 변화에 대응한 다양한 수업 방식을 고민하는 경향을 보였다. 향후 지금까지의 언어 습득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관련 연구 뿐 아니라 새로운 시대에 맞는 수업 방식, 문제해결능력과 같은 자질과 역량 육성을 위한 연구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s and the changes in the 158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Japanese Education in the past 10 years (from 2012 to 2021), which is a journal published by the The Korea Association of Japanese Education (KAJE). To this end textmining methods and the CONCOR analysis were used. In the reasearch first, the key words from a variety of topics were used in the papers on Japanese and Japanese education. Second, application of TD-IDF method shows that the main themes of the papers differed, which reflected social and educational changes throughout the years. Third, the network centrality analysis displayed that the research themes from the researchers acted as a link between high frequent terms that often acted as a center of the network graph. Forth, the CONCOR analysis illustrated that the research topics regarding information retrieval appealed in the 2017, and terms such as online, non-contact were highly frequent from 2019 due to the COVID-19 crisis. In 2021, three clusters were about ‘non-contact’ due to the changing environments. The concerns regarding the teaching methods have increased in the journal due to the changes in social circumstances. The result of the research forecasts the constant increase in the research on teaching methods and promotion on the new skills such as problem solving.

      • KCI등재

        근대일본 국어과 성립기의 독본연구 ― 문부성 검정교과서 『심상소학독본』(1887)의 서술방식과 교육내용 ―

        成玧妸 ( Sung Yun-a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4 일본어교육연구 Vol.- No.66

        문부성이 1887년에 편찬한 근대 일본의 검정교과서『심상소학독본』의 교육목적은 부국강병을 위한 인재 양성에 두었으며, 다양하고 효과적인 서술 방식을 통해 전통적인 유교주의적 덕목, 합리적 이과교육, 실용적 내용, 충군 애국 사상을 모두 담아 근대국가에 필요한 이상적 국민상을 제시했다. 교육내용 및 제재에는 1879년 ‘교학성지(教学聖旨)’와 1886년 ‘학교령(學校令)’, ‘소학교령(小学校令)’, ‘소학교의 학과 및 그 정도(小学校ノ学科及其程度)’등의 교육 정책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교육목적과 내용, 교육효과, 아동의 흥미 등을 고려하여 수필, 서사, 설명, 문답 등 다양하고 참신한 서술 방식을 채택하였다. 문체에서도 저학년에서는 구어체, 담화체로 구성하여 언문일치를 실현하고 아동들에게 친근감을 주었다. 또한,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문어체에 익숙해지도록 했다. 구성에서도 아동의 발달정도와 이해를 고려한 순차적, 체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당시 교육계가 관심을 가졌던 ‘개발주의 교수법’을 적용한 것이다. 이는 수신교육, 실용교육, 국가주의 교육을 모두 가능하게 했을 뿐 아니라 시대 변화에 맞는 상상력, 사고력, 관찰력, 논리력, 창의력을 길러지도록 하였다. 근대일본의 ‘독본’ 은 수신, 역사, 이과, 지리 등의 다양한 제재와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종합적이며 특수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심상소학독본』은 ‘부국강병에 필요한 인재양성’이라는 국가적 교육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엘리트 집단에 의해 서양의 합리적 교수법과 서술방식을 도입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구성면, 내용면, 형식면, 교육면, 사상면에서 타검정교과서의 규범이 되었으며 이후 간행되는 일본의 국어독본 및 국어과 성립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The certified textbook Jinzyosyougakudokuhon published in 1887 by the Japan Ministry of Education not only became the standard for other certified textbooks in terms of structure, content, form, education, and ideology, but als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Japanese Korean language reading books published in the later period.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textbook is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for the Fukoku kyohei (Prosperity of the nation and strong military) which contains traditional Confucian virtues, rational science education, and practical education contents to present an ideal national image necessary for the modern nati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book are structured based on the changes in the education policy such as “Kyogakuseishi (Imperior Order of Learning)” of 1879, “School Order” of 1886, and “Primary School Order” to satisfy the educational needs of that time. In terms of format, various methods such as essays, narratives, explanations, poems, editorials, and questions and answers, were used considering the educational purpose, content,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children's interests. In terms of writing style, it was composed of colloquial and conversational styles to give children a sense of familiarity and linguistic unity. In terms of composition, illustrations were appropriately used considering the children's level of understanding to make sequential and systematic learning possible. In terms of educational objective, materials, contents and structure, the Jinzyosyougakudokuhon accomplished scientific improvement in education by applying the idea of ‘inductive method of teaching’ that was interested and practi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allowed children to foster imagination, logical thinking, and observation skill.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Jinzyosyougakudokuhon revealed that reading book had an important role in the Japanese nation’s policy to spread nationalism by providing the textbook that was determined by the elite to train the talent for the Fukoku kyohei and through scientifically and logically organizing the book in terms of its contents, structure and the format. Moreover, the success of the textbook was possible since it described comprehensive subjects in various form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