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종묘 주렴 연구

        장경희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1 조형디자인연구 Vol.14 No.2

        장르의 해제 및 표현매체의 다양성과 더불어 현대도예는 점차 다원화되는 양상을 보이며, 작품 읽기에 있어 전통적인 틀을 벗어난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 인간 중심의 ‘몸(body)’ 을 통한 현상학적 공간 개념은 새로운 시대, 공간을 해석하기 위한 적합한 수단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현상학(phenomenology)’ 의 대표적인 철학자 메를로-퐁티(Merleau-Ponty)는 인간이 주체가 되어 살아 있는 경험 속에서 인간과 공간이 서로 상호 얽힘을 통하여 주어지는 공간을 제시하고 있다. 그가 지적하는 공간은 물리적인 요소로 구축되어진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신체지각 개념을 동반하는 움직임에 의한 체험적 공간이다. 움직임은 인간을 주제로 신체지각을 구제화시키는 표현 요소이자 공간인지의 자극이라고 볼 수 있다. 본고는 현대 도예의 다양한 양상을 작품에 내재된 움직임의 표현 방식 중심으로 유기적 형태, 탈정형적 오브제, 비물성 요소와의 결합, 우연성에 의한 질감(texture)효과, 퍼포먼스를 통한 상호작용으로 분류하였다. 이는 오브제 자체의 형태적 특성으로의 접근, 흙 본연의 물성 또는 비물성화, 퍼포먼스 등 신체와 공간의 관계 맺음을 통한 인터랙션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접근에 의한 움직임의 표현과 그에 부합하는 사례분석을 통하여 신체의 감각과 지각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고, 물리적으로 불변한 도예작품에 현상학적 공간 지각개념을 도입하여 움직임을 표현하는 이론적 기반 및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Jongmyo was The Royal Ancestral Shrine Jongmyo is an ancestral shrine for the royal family in the Joseon Dynasty. After death kings and queens became ancestral gods and were enshrined in the Jongmyo. An incumbent king woul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his predecessors enshrined in the Jongmyo since it demonstrated that he had legitimately and safely succeeded to the hereditary kingship.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founded on the principle of Confucianism, intended to rule the state according to Confucian manners, which required the nation to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 passed kings and queens enshrined in the Jongmyo.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king and queen were not enshrined in the Jongmyo as soon as they died. After their death, a mortuary tablet of the king or queen was enshrined for 3 years in a royal mausoleum or a pavilion for their souls, for whom was held a memorial service. In 3 years, on a an auspicious day, the mortuary tablets were ceremonially moved into the Jongmyo by a temporary government institution established for producing various objects of craft-work which were put into a niche in Jongmyo along with the tablets. The institution also produced Juryom[朱簾]woven with bamboos. which were to put on the niche, both of its walls and its main gate. A Juryom was lacqered red color. In the Joseon Dynasty, only the craft-works used by the king or queen were colored red and a Juryom was also utilized to decorate just the palace where the king or queen stayed, Jongmyo or others. In particular, only three kinds of Juryom were used in the Jongmyo. A big Juryom was hung on the gate outside Jongmyo, a middle-sized Juryom was used to block a wall from another in the niche, and a small Juryom was hung in front of the niche where mortuary tablets were put.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into how the said institution produced a Juryom so as to enshrine kings and queens in the Jongmyo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Currently, Juryom in the Jongmyo are much damaged. The present author wishes that the strings of beads should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in the Joseon Dynasty after they are compared with relevant records.

      • 옛이야기 속 인물의 옷이 삶에 미치는 상징적 의미 연구

        장경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21 뇌교육연구 Vol.28 No.-

        In this study, the origin and function of clothes, and the meaning of the symbolism of clothes in folk tales were investigated. Clothing has played a role in protecting people and express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ffiliation. In the early days, they wore animal fur as it was, then gradually processed it, spun yarn, and made cloth for In fairy tales, the unconscious, clothes. meeting clothes the and enter meant integrating with persona and anima animus, division and boundary, and protection. The characters in the folk tales went down to the unconscious through an effort to recover the clothes they lost, and sometimes they took off the overlaid persona or built the necessary persona. The clothes distinguish the outside from the self and the shadows, so that the characters in the folk tales meet the anima animus become and individ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ymbolic meaning of the clothes in the folk tales accompanies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journey and acts as a helper so that the character can live their life well. 본 연구는 옛이야기 속에 나타난 옷의 상징성이 가지는 의미를 알아보았다. 옷은 사 람들을 보호하고, 심리적 안정감이나 소속 지위 등을 표현하는 역할을 해 왔다. 초기에 는 동물의 털가죽을 그대로 사용해 입다가 점점 가공하고 실을 잣고 옷감을 만들어 옷 을 해 입었다. 옛이야기 속에서 옷은 무의식으로 내려감, 페르소나, 아니마⦁아니무스와 의 만남과 통합, 구분과 경계, 보호를 의미하였다. 옛이야기 속 인물은 잃어버렸던 옷을 되찾는 노력을 통해 무의식으로의 내려가기도 하고, 덧씌워진 페르소나를 벗겨 내거나 필요한 페르소나를 구축하기도 하였다. 옷은 외부와 자신을 구분 짓고 그림자를 구분하 여 이야기 속의 인물이 아니마⦁아니무스를 만나 개성화 과정을 가는 것을 표현하였다. 연구 결과 옛이야기 속의 옷의 상징적 의미는 인물의 심리적 여정에 동반하여 인물이 자신의 삶을 잘 살아갈 수 있도록 조력자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일본의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문제점 및 과제: 설비·운영 기준, 보육·교육내용 및 교사자격을 중심으로

        장경희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6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은 유치원과 보육소의 일체화 시설로서 2013년 현재 595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더욱 확산시키고자 일본정부는 2012년에 인정어린이원법을 개정하고, 2014년 4월에는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설비 운영의 기준 및 보육, 교육내용을 발표하였다.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설비 및 운영의 기준은 유치원과 보육소의 기준보다 높은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유치원과 보육소에서 제공하고 있는 보육의 질적 수준은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보육, 교육내용의 경우, 초등학교 교육의 준비단계로서의 교육적인 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0-5세의 영유아가 하루생활의 대부분을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에서 생활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양호적인 측면의 내용이 한층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 지시사 '이,그,저'의 범주 지시

        장경희 漢陽大學校 人文科學大學 1989 人文論叢 Vol.17 No.-

        In this paper, I have discussed the categorial reference of Korean deictic particles, 'i', 'gu', and 'ce', concentrating on the real deixis. As we have seen, Korean deictic particles can be used to refer the category of an object in the real situation of utterance. I have regarded that function as categorial reference, and explained how to express the categorial referential expressions. The categorial referential expressions are devided into two types, one type with 'i', 'gu', or'ce', and another type with relative form of demonstrative adjectives. The former refers the natural categories whose members have so much similarities as to be changable each other, and the latter refers the categories classified according to causul features. Comparing the categorial reference of properties and actions with those of things, I have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demonstrative adjectives of Korean have only a function of categorial reference.

      • KCI등재

        20세기 초 양기훈 필 <자수매화병풍> 연구

        장경희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2 한국예술연구 Vol.- No.35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4 pieces of The Embroidered Plum Folding Screens, which were produced based on Yang Ki-hoon’s paintings in the early 20th century. Yang Ki-hoon from Pyongyang, as a representative artist of this period, presented several works of plum blossoms to the royal family. The four existing embroidered plum folding screens were made in a large size of 10 widths using his sketches of plum blossoms as a basis for his paintings. Among them, two pieces used in Changdeokgung Palace were embroidered by court ladies, and the other two pieces were produced by private craftsmen. The former used elaborate and sophisticated embroidery techniques by twisting threads in various colors, while the latter was embroidered roughly and crudely in simple colors without twisting threads. As such, this paper was able to clarify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royal embroidery and folk embroidery inexisting relics in the early 20th century. 본 연구는 20세기 초에 양기훈의 그림을 수본으로 삼아 제작된 <자수매화병풍> 4점을 대상으로 제작 배경과 제작자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평양 출신의 양기훈은 이 시기를 대표하는 작가로서 매화도를 특히 많이 그렸으며 여러 작품을 왕실에 진상하였다. 현존하는 병풍 4점은 그가 그린 매화도를 밑그림으로 삼아 10폭의 대형으로 제작한 것이다. 이중 창덕궁에서 사용했던 2점은 궁궐에서 근무하던 궁녀들이 제작하였고, 나머지 민간에서 전래된 2점은 민간의 장인들이 제작한 것이었다. 전자는 꼰사로 다양한 색상에 정교하고 세련되게 수놓은 궁수인 반면, 후자는 단순한 색상의 푼사로 투박하고 소박하게 수놓은 민수였다. 이처럼 본고는 20세기 초 현존 유물에 의해 왕실 자수와 민간 자수의 양식적 특징을 규명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