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미맥(米麥)의 비열(比熱)에 관한 연구(硏究)

        김만수,장규섭,Kim, Man Soo,Chang, Kyu Seop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0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7 No.2

        An engineering design of the machines and equipment for processing grain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processing itself need the knowledge of thermal properties of grain. Thermal properties of grain are thermal conductivity, thermal diffusivity and specific heat. Knowledge of any two and the bulk density of grain enables the third to be calculated. Several workers have investigated these propertie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rmal conductivity and diffusivity. However, some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specific heat of rough rice and barley but it is available only for a foreign variety of grain and for as a function of moisture content onl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model for the specific heat of rough rice and barley which were a staple products in Korea as a function of initial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and porosity of grain with cooling curve method,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specific heat of rough rice and barl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pecific heat was $1.8209-2.7041kJ/kg\;^{\circ}K$ for Naked barley, 1.8862-2.5625 k.l/kg K for Covered barley, $1.5167-2.3779kJ/kg\;^{\circ}K$ for Japonica rice and $1.5260-2.3981kJ/kg\;^{\circ}K$ for Indica rice. 2. The model for the specific heat of rough rice and barley as a function of initial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and porosity of grain was developed. 3. Specific heat of rough rice was decreased with initial temperature, but specific heat of barley was increased with initial temperature. 4. On the whole specific heat of sample grain was increased with moisture content of grain. 5. Specific heat of the grain was found to decrease with porosity except Indica rice. 곡물(穀物)의 초기온도(初期溫度), 함수율(含水率), 공극률(空隙率)을 변화(變化)시키면서 미맥(米麥)의 비열(比熱)을 Cooling curve method에 의(依)해 측정(測定)하여 이들 세 인자(因子)를 함수(函數)로 하는 미맥(米麥)의 비열(比熱)에 관(關)한 수학적(數學的) 모델을 개발(開發)하였으며 이들 인자(因子)들이 비열(比熱)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분석(分析)했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供試)된 미맥(米麥)의 비열(比熱) 변화(變化) 범위(範圍)는 과맥의 경우 $1.8209-2.7041kJ/kg\;^{\circ}K$, 대맥(大麥) $1.8862-2.5625kJ/kg\;^{\circ}K$, Japonica형(型)벼 $1.5167-2.3779kJ/kg\;^{\circ}K$, 통일형(統一型)벼 $1.5260-2.3981kJ/kg\;^{\circ}K$였다. 2. 곡물(穀物)의 초기온도(初期溫度), 함수율(含水率), 공극률(空隙率) 등(等)을 함수(含水)로 하는 미맥(米麥) 비열(比熱)을 모델을 각(各) 공시곡물(供試穀物) 별(別)로 개발(開發)하였으며 벼의 경우 Japonica형(型)벼와 통일형(統一型)벼의 모델을 따로 유도(誘導)하였다. 3. 곡물(穀物)의 초기온도(初期溫度)에 따른 비열(比熱)의 변화(變化)는 벼의 경우 초기온도(初期溫度)에 따라 감소(減少)하였으나 보리의 경우는 초기온도(初期溫度)에 따라 증가(增加)하였다. 4. 미맥(米麥)의 비열(比熱)은 그 함수율(含水率)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대체(大體)로 증가(增加)하였다. 5. 공극률(空隙率)에 따른 비열(比熱)의 변화(變化)는 통일형(統一型) 벼를 제외(除外)한 모든 공시곡물(供試穀物)에서 공극률(空隙率)에 따라 비열(比熱)은 감소(減少)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