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신문화사의 공간과 문화의 정치경제학

        장세룡 문화사학회 2014 역사와 문화 Vol.27 No.-

        이 연구는 기존의 담론 중심의 문화정치가 공간을 사유하며 문화의 공간 정치로 확장을 시도하고, 기존의 정치경제학이 공간에서 전개되는 기호와 일상의 담론에 주목하며 미시적 문화의 영역으로 섬세화시키는 양상을 검토했다. ‘문화적 전환’이 설득력을 확장하면서 문화 그 자체는 점차 생산과 소비, 노동과 놀이까지도 포섭하여 자율적인 수용과 전유를 통하여 창조력을 재생산하는 ‘신개척지’로 평가받고 있다. 그 결과 문화연구는 지적 ‘전위성’에 ‘일반성’까지도 인정받았고, 심지어 문화는 곧 정치라는 간결한 선언으로 새로운 정치 인식의 지형도를 제출하리라는 기대감마저 불러일으켰다. 그것은 문화정치, 나아가 공간을 성찰하는 문화의 공간 정치 영역을 열어 주었고, 사회학과 경제학의 문화적 전환까지도 자극하여 문화의 정치경제학에 관한 전망을 수립하는 데 기여했다. 밥 제솝이 주도하는 문화의 정치경제학은 문화를 인간 중심으로만 보는 한계를 넘어 물질적 공간 자체가 가지는 존재론적 현실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것은 공간의 물질성 가운데서 출현한 기호학적 양상의 문화적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새로 생성되는 영향력에 주목하도록 시야를 확장시킨다. 그리하여 현실에서 작동하는 인간의 담론성과 물질성의 결합과 담론성이 물질성을 거쳐 표명되는 양상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촉구한다. 그러나 이 기획이 기호와 담론에만 배타적으로 관심을 쏟는 것은 아니다. 기호와 구조화가 서로 결합하여 표명하는 권력관계, 경로의존성 및 구조적으로 새겨진 선택성을, 다양한 변형, 선택 및 유지 보존의 진화적 메커니즘의 조건에서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경제활동의 행위자가 수행하는 테크놀로지의 역할을 조명한다. 문화의 정치경제학이 정치경제학 분야에서 전개되는 사건과 과정, 경향과 구조를 기호학으로 설명하는 것은, 경제와 정치의 물질성 기호의 차원으로 축소시켜 경제와 정치의 관계를 분절시킨다는 비판을 받는다. 공간 정치와 문화의 정치경제학은 기본적으로 현재진행형 이론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aspects of one that the Cultural Politics transformed to the Space Politics of Culture through reflections on spatiality and placeness, and the another that the old Political Economy transformed to Cultural Political Economy which represents delicate and detailed spirit that implied in micro realms through attentions on semiotics and everydaylife discourse in space and place. By ‘Cultural Turn’, the culture itself was estimated as a ‘new reclaimed land’ that reproduces creative forces through autonomous reception and appropriation subsuming production, consumption, labour and play. In result, cultural studies even could acquire the intellectual avant-guardness and generality. Moreover, the proclamation that “culture is politics” provoked feeling of expectations that culture would suggest newly topographical map for political cognition. It opened up more productive realm of Cultural Politics of Space which reflects on spatiality and placeness and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prospect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by stimulating ‘Cultural Turn’ of Sociology and Economics. The researches for the notion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led mainly by Bob Jessop’s group had concerns for ontological reality based on the material space itself beyond the limit of human-centered culture. It leads to focus on the newly affective forces generated in works to explore cultural meanings of semiotical aspects that emerged in the materiality of space. This urges us to get down to the aspects of conjunctions of discoursality and materiality, the discoursality expressed through materiality. For example, as such a cultural city, entrepreneurial city etc, brand city project and Knowledge-Based Economy which seek in the name of creative economy or creative industry by local governance. But this project does not only focus on the semiotics and discourse exceptionally. It searches for power relation, path- dependency and institutionally engraved selectivity on condition of evolutionary mechanism of various transformation, selection and maintenance of Political Economy. Furthermore, the technological roles in relation to the economic activities will be lightened in this context. But notion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are criticized for their reducing economy and politics materiality to semiotics dimension and so segm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politics with the accounts for accidents and processes, trends and structures developed in Political Economy in terms of semiotics. The Space Politics of Culture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are ongoing theories which are in the process of configuration, basically.

      • 자유민주주의 민족주의론 비판

        장세룡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人文硏究 Vol.- No.48

        Critiques to Liberal-Democratic Nationalism 본고의 목표는 윌 킴리카, 야엘 타미르 그리고 데이비드 밀러의 자유민주주의 민족주의론의 명제를 검증하는 것이다. 킴리카는 문화민족 공동체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그리고 개인과 공동체 사이에 강한 정체성 관계를 성립시켰다. 그는 소수자의 문화를 다수 구성원의 문화로 동화시키는데 반대하고, 자유로운 사회에서 문화적 유산의 구성적 차원에 근거하여 소수자의 사회문화를 보존할 권리를 강조하였다. 게다가 그는 한 개인을 다른 문화로 통합시키는데 어려움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그는 개인의 자율과 정체성에 안정된 토대를 제공하는 문화적 정체성에 근거한 민족적 정체성을 고찰하였다. 그러나 사실은 킴리카와 타미르는 본질주의적 민족문화주의로부터 탈피하지 못했다. 비록 그들은 자율적 자치를 강조하는 자유주의자들이긴 하지만 개인적 세계관과 윤리적 판단에 따라서 자율적으로 민족 공동체를 선택할 가능성은 고찰하지 않았다. 그들은 개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합리적이고 윤리적인 판단으로 모든 삶의 양식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가능성을 무시하였다. 그 결과 그들의 입장은 자유주의의 기초로서 가치다원주의를 손상시킨다. 민주적 절차에 의해서 민족의 신화를 강조하는 밀러의 민주주의적 민족주의에서 역사적 진실은 중요하지만 사회정치적으로 유일한 비판기준으로 기능하지는 않는다. 밀러는 민족의 신화의 사회적 유용성은 사회공동체의 구성원들에게 도덕 및 역사적 정체성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제시한다. 밀러의 진술에는 몇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그는 만일 역사적 신화가 진실이라면 그것이 더욱 큰 가치를 수반하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두 번째 그는 신화의 진실로부터 독립적으로 봉사할 수 있는 민족의 신화의 도구적 가치를 제시하지 않는다. 끝으로 그는 신화의 도구적 가치가 인권과 같은 민주적 가치를 압도함 없이 민족의 목적에 봉사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하지 않는다.

      • KCI등재

        앙리 르페브르의 일상생활 비판 - 문화이론적 접근 -

        장세룡 호남사학회 2005 역사학연구 Vol.25 No.-

        What is everydaylife? What are its central and ambient qualities, properties and dynamics in ꡔCritique of Everyday Lifeꡕ of Henri Lefebvre? To response this questions I searched ‘everydayness’ in cultural study traditions of a critica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everydaylife. The strategy of sociocultural critique through the ‘problematization’ or ‘defamiliarization’ of the habitualized character of everydaylife is one that is well-established in the literature, especially for adherents of various neo-Marxisms. However, in recent years, several prominent critics have taken issue with the concept of defamiliarization, arguing that habit-bounded, ‘distracted’ and routinized character of the everyday cannot be easily contrasted with, or superceded by, the exceptional or the extraordinary. Such a position, it is suggested, both denigrateds the integrity of dailylife and promotes a kind of incipient transcendentalism. The work of Henri Lefebvre is often taken to be representative in this regard, and various phenomenological-pragmatists are criticized to this position. In this article, I take by analyzing Lefebvre’s writings on such key points as his treatment of routine in everyday life, as well as his concept of totality, dialectics and critique. In summary, despite of many critics, Lefebvre does not promote a dualistic transcendentalism in which daily life is denigrated. But in his everyday utopianism in which routine and creativity, the trival and the extraordinary, are viewed as productively interwined rather than opposed. As such I seek to defend the notion of ‘critique’ of everyday and totality in Lefebvre’s Thought.

      • KCI등재

        미국-멕시코 국경지대와 밀입국자: - ‘생명정치’ 개념과 연관시켜

        장세룡 부산경남사학회 2014 역사와 경계 Vol.91 No.-

        In U.S-Mexico borderlands are complex space where generating intensive monitoring of nation-state and nativism but at the same time we see ironical phenomenon to neutralize the power of state that as a virtual barrier where militarized patrol surveillance are forced and as such a millions of people coming and going everyday. Here is also hybridity space which race, gender and class relations creating mobility, exchange and production. At the same time that place stimulate questions and controversy on the role and functionality of border of the nation-stateThe complicity of this borderlands associated political treatment of violence and aesthetic treatment of technology coexistances the topography of cruelty as such patrol, surveillance, arrest and deportation and topography of civility as such salvation, cooperation and humanity. This space is also the realm of criminals and outlaws, especially drug traffickers, coyotes, robbers whose that linked to gangs assault border-crossers and committed to robbery, rape and murder. After 9/11 border patrol and surveillance has been strengthened with high-tech tool, in result to escape these area Arizona, in particular Sonora Desert emerged as a new center of border-crossing in which unfortunately much border-crosser undergo injury and death. The numbers are estimated as a each year 356-529 and total 3861-5607 from 1994-to 2009. Meanwhile Mexican government enforcement in a war against drug cartels, for example at border city Ciudad Juarez, 1,607 were murdered in 2008, which transformed that city to necropolis. Especially feminicide was diffused which kidnapped, tortured, rapes, mutilated poor young women's body in the vacant land on the outskirt of the city are spread. Feminicide expresses power relations as multi-layered ‘sexual vilolence which has political motivation’ on the body of gendered and racialized. as well as naturalized as way of social control of violence on women. Women as victims of social vilolence in failed state prefer to migration and tried to transgress for U.S.-Mexico border. While in that process they relied on sponsor of coyotes, friendship or family's service and also suffered disaster as such betrayal, attack of gangs, robbery, drowning, spoiler, and traffic accidents, or dismissed on desert in bad weather. This is not space of ‘bio-politics’ of Michel Foucault but space of working death ‘necro-politics’ of Achlle Mbembe. In recent, policy of criminalize on undocumented cross-border was more strengthened in U.S. Accumulative criminal record holder of undocumented migration or subjects of deportation who were arrested in borderlands are prisoned in camp during from 1 month to 1 year between. Recently, it seems that who were considered as a holder of collective ethnicity Mexican immigrants recognition was transferred to racialism by nationalistic denial and blame. But despite of danger confronted with in the process of border control, surveillance and transgression, the proportion of border-crosser and the dead does not decline. Almost every day in the Southwest borderlands deported more than 1,000 people to Mexico, but which expelled again they tried to transgression for circular migration. 미국-멕시코 국경지대는 인종, 젠더, 계급 관계가 연동되어 작동하는 혼종의 교류공간이며 생성공간이기에 국민국가의 ‘국경’ 기능과 역할 및 유용성에 의문과 논란을 증폭시키는 공간이다. 이 국경은 강고한 감시와 통제로 군사화 된 장벽인 한편 동시에 매일 백여만 명이 출퇴근 노동자로 왕래하여 국가의 경계가 실제로는 무력화 되는 가상의 장벽이기도하다. 이곳은 또한 많은 중남미계 밀입국자들이 월경을 시도하고 나아가 상해와 죽음을 겪는 공간이다. 특히 9/11 이래로 국경 순찰이 강화되고 첨단장비가 배치되면서 밀입국 통로는 애리조나 주, 소노라 사막이 월경의 요지로 떠올랐다. 폭력의 정치적 처리와 하이테크 테크놀로지의 미학적 처리를 결합한 이 공간에는 순찰과 감시, 체포와 송환이란 잔인함(cruelty)의 장소학(topography)과, 인도주의와 연대성라는 교양(civility)의 장소학이 공존한다. 그 결과 미셸 푸코의 ‘생명정치’, 조르조 아감벤의 ‘예외상태’, ‘벌거벗은 생명’ 등 개념들의 이론적 적용가능성을 시험할 여지를 제공한다. 미국-멕시코 국경지대는 국가 공권력이 첨예하게 행사되는 경계지이면서도 한편 폭력조직과 연계된 마약밀매업자, 밀입국 거래자, 강도들의 탈법이 자행되는 장소의 측면이 공존한다. 멕시코 정부의 마약 카르텔과의 전쟁에서 2008년 에 국경도시 시우닷 후아레스는 1,607명이 잔인하게 살해당해 망자의 도시(necropolis)로 변했다. 특히 가난한 젊은 여성을 납치․고문․강간․신체 절단을 자행하여 도시외곽이나 빈터에 내다버리는 여성살해(feminicide)가 확산되었다. ‘여성살해’는 여성에 대한 폭력이 사회통제 방식으로 자연화 된 정도만큼, 젠더화되고 인종화된 신체에 대한 중첩된 ‘정치적 동기를 가진 성적 폭력’으로서 권력관계를 표현한다. 사회적 폭력과 실패한 국가의 주요 희생자인 여성들은 미국으로 밀입국을 선호하고 그 과정에서 남성밀입국시도자와 마찬가지로 안내자의 배신․ 강도의 습격과 폭행․ 납치․ 익사․ 겁탈․ 역사(轢死)․ 악천후에 사막에 버려지는 참사를 겪는다. 이 연구는 ‘생명정치’의 공간인 동시에 아킬레 음벰베가 ‘시신의 정치’(necropolitics)라고 규정한 ‘죽음의 작업’(work of death)이 교차하는 공간으로서 미국-멕시코 국경지대의 현실에 주목한다.

      • KCI등재

        스페인 몬드라곤 협동조합 복합체의 로컬리티와 글로컬리티

        장세룡,류지석 호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39 No.-

        몬드라곤(Mondragón)은 스페인 바스크 지방(pays basque)의 소도시로 1956년 5명으로 시작한 소규모의 사업체가 현재 4개 대륙에서 10만명의 노동자를 고용하는 대기업으로 성장한 협동조합 그룹의 본사가 자리 잡고 있는 곳이다. 몬드라곤 협동조합 그룹은 독특한 언어와 문화를 가진 바스크라는 로컬에 고유한 내재적 원리를 작동시켜 자본 집중적 생산과 노동존중 그리고 신 인간 계발을 지향한 독특한 형태의 경영사례로 주목받았다. 이 논문은 국가 자본주의의 대안으로서의 몬드라곤 협동조합의 역사와 경영이념을 분석하면서 협동조합운동의 가치를 재조명하려한다. 먼저 협동조합운동이 자본의 일반성과 보편성에 맞서 로컬의 정체성과 맞물리게 재편성하고 경계를 설정하는 과정을 검토한다. 이것은 협동조합 내부 구성원들이 노동운동을 전개하고 대외적으로 기술 발전에 직면하였을 때 참여와 고용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몬드라곤’ 협동조합 그룹이라는 경계 지워진 조직이 유럽통합과 신자유주의 세계화라는 자본의 보편 운동 앞에서 어떻게 대응하고 있으며, 협동조합이 세계화될 때 어떤 방식으로 대안적인 글로컬한 경영을 성취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끝으로 협동조합 운동이 좌우파 양쪽으로부터 공격받는 상황에서 새로운 후기 자본주의 시대에 작업장은 물론이고 로컬에 민주적인 정치질서를 만드는데 어떤 방식으로 시금석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묻는다. 우리가 특별히 ‘몬드라곤’ 협동조합 그룹에 주목하는 이유는 로컬에 바탕을 두는 사회적 자본이면서도 지금까지 가치에 바탕 둔 끊임없는 기술 및 경영 혁신에 성공했다는데 있다. 그러나 전지구화의 물결앞에 ‘몬드라곤’ 협동조합체도 변화를 추구하게 되고 협동조합 기업의 국제적 배치를 통한 전략적 변신은 노동자의 고용과 경영 참여 그리고 지역 발전에 참여라는 협동조합의 가치를 구현하려는 본래의 정신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글로벌화는 산업공장들의 국민적 또는 로컬적 구조를 깨트려버렸다. 산업자본 기업들의 특징은 원가절감과 시장 확대를 위하여 해외공장 설립에 성공하면 경쟁에 대처하는 전략적 대안으로서 모기업의 규모를 축소나 폐쇄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기업의 탈-로컬화 현상은 그 산물이다. 그러나 현재 기업활동과 고용의 로컬화를 주요 가치로 삼는 ‘몬드라곤’ 그룹은 바스크 지방에 설립한 모(母) 협동조합들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들은 글로벌화가 몬드라곤에 가져올 불고용으로부터 로컬 공동체를 방어하는 해결책으로 국제적 다-로컬화를 지향하는 해외 직접투자를 채택 하였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하였다. 몬드라곤 협동조합 복합체가 로컬을 자유와 정의 및 연대에 바탕둔 사회로 변화시키는데 관심을 기울인 사실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또한 글로벌화 시대에 역습으로서 대안글로벌화를 모색하는 것이 불가피하며 그 전제조건으로서 협동조합이 복합적인 변화에 상응하는 작업장 민주주의와 로컬 경제에 착근을 성취하면 여전히 자본주의에 맞설 중요한 대안이 될 것이라는 신협동조합주의 전망도 여전히 강력하다. 그러나 ‘몬드라곤’의 글로컬화는 대안글로벌화를 통해서 자본주의에 대안을 모색하는 측면과, 로컬 공간에서 포스트포드주의적 생산으로서 글로벌 자본주의를 실천하고 그 가능성을 검증할 과정을 제공 ... Mondragón is a town in Basque province of Spain, which is known mainly as the place of origin of the Mondragón Cooperative Group, the world's largest worker cooperative, whose foundation is linked to the activity of a modest technical college and a small workshop producing paraffin heaters. The case of Mondragón Cooperative Group is a remarkable management success of capital concentrated production, respect of labor value and new human development, making the most of the intrinsic local value of Basque region which have its proper language and culture. This paper intends to analyse the history and management doctrine of Mondragón Cooperative Group as an alternative of the national scaled capitalism in order to revaluate the cooperative mouvement. First, we examine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he mouvement and resharing the borders with the extended capital power. It brings to study how to solve the problem of participation and empolyment when happen labor dispute of copartners and technology development inside and outside. Secondly, we examine how this cooperative system responds against the European Union and the capital mouvement in the context of neoliberalistic globalization and also persues an alternative glocal administration with the globalisation of its own system. Finally we ask how it serve for touchstone to establish a democratic political order not only in a workshop but also in the local when the cooperative mouvement is attacked by the both sides of right and left wings in the new era of post-capitalism. We take notice of Mondragón's experience because of its technological and administrative innovation obtained by the social capital cooperative based on the local. The global transformation of MCG's strategy like M&A of foreign enterprise and delocalization, raised the problem of preservation of cooperative mission rooted in some principles, cooperation, particip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by means of contribution to the local development. The so called globalization has weaken considerably the national and local based structure of industrial business. In general promoting expansion aboard produce the reduction or closedown of domestic and local manufacturing by the delocalization. But MCG preserve and strengthen employment in the cooperatives of Basque region adopting multi-localization strategy by the direct investment setting up the production plant in a number of countries to respond to the growing globalization process. Evidently the business culture of Mondragón Cooperative Group is inspired by some ideological rules like liberty, social justice and solidarity to change the society. It seems necessary to looking for an alternative globalization strategy and its premiss could be new cooperative perspective of democratization in workshop and economical development rooted in local to confront the savage capitalism. The glocalization of Mondragón have double aspects, the one as alter-globalization and alter-capitalism, the other as practice of global capitalism by the postfordian production in local space. The future of MCG depends on finding the spatial and political solutions between the business pragmatism to increase competitiveness and the confidence of workers to correct the desequilibrium and between worker-owners in the cooperative system and non cooperative workers.

      • KCI등재후보

        이슬람 사원 건축과 다문화주의 공간정치 -미국과 프랑스의 경우 비교-

        장세룡 효원사학회 2014 역사와 세계 Vol.- No.45

        This study aims to research for the debates on the constructing mosque between central politics and local politics, conservative party and progressive party to multiculturalism in United States and France. I think this would be helpful to estimate responses to Islamization of urban space and an important touchstone to forecast the direction of liberal multiculturalism of United States and Republican assimilarism of France. In the U.S. month 08. 2010, aftermath 9/11 the conflicts in that space which is named Ground Zero highlighted around the debates on the construction Park 51 Islam Community Center in New York Manhattan. In adddition, in spite of the supporting declaration of New York city government and president Barack Obama, Park 51 project was sparked to the nation due to the disagree of Democratic Party and Republican Party on multiculturalism politics. And at the same time in the cities like Murfreesboro of Tenneesee and Temecula of California in Bible Belt of U.S., similar cases were happened. And these constructing mosque project are secured as a constitutional right as the freedom of religion by a legal suit. Background in which events was happened is related to the one aspect of the patriotism as the U. S. is god blessed nation and the other a feelings in the respect of space politics that holy space which represent the pride of civil religions is menacing. In France, the law of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which enacted in 1905 prohibited financial support to religional facilities, but in 1980s support for mosque building was issues in politics. Basically Socialist Party and UMP, except la Frontière nationale, had positive attitude to support financial support to constructing mosque as a sign of secure right of religious freedom and socio-cultural tolerance to Muslim. Because it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maintain the legitimacy of Islam knowledge and experience of ‘recognition' as ‘Islam in France' beyond classification and stimulate the unification as French. Especially after Banlieu affair 2005, as a part of trying to ‘Islam in France' to transform as ‘Islam of Franc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supported constructing mosque. As a result, as we can see in case of Cergy-Mega Mosquée completed in 2012, its constructing mosque was financed by reinterpreting Association Law of 1901. On the other hand, the propellers of Marseille Grande Mosquée raised question on the liberal notion of ‘French Islam' of Grandée Mosque de Paris as reference mosque, and stressed Mediterranien identity of Marseille demographic reality there lives about 250,000/8500,000 muslim, and suggested the notion of ‘Islam of Proximity' as a part of ‘Citizen Islam'. But in 2002 Nikolar Sarkozy was appointed to Interior Minister, and from that year National Islam Representative Institution was established, by a pluralistic strategic which checked oneside guide of Grandée Mosque de Paris but in co-operation with regional Muslim councils, from 2010 Marseille Grande Mosquée which represents ‘French Islam' is constructing now.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