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唯識思想과 腦科學에 관한 硏究

        崔鍾男(Choi, Jong-Na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1

        유식사상과 뇌과학에 대해서는 일부 자연과학자들이 뇌과학의 관점에서 유식사상과 대조 및 비판적인 고찰 등이 중점적으로 연구되었다. 본 논문은 5세기 전후에 형성된 유식학파 문헌들을 대장경이라는 장정에서 벗어나 사상 · 과학적으로 대조 · 분석하여 현대인들에게 문헌의 내용을 회향하기 위함의 一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식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마음이 머무르는 곳, 심체론으로서 유식사상의 제6 · 7 · 8식과 뇌의 각 기능과 대조, 마음과 뇌에 있어서 마음이 먼저인가, 혹은 뇌가 먼저인가 등에 대해서 유식학파 문헌들 및 시대별 관련 문헌들을 참조하고, 그리고 뇌과학에서 제시하는 연구 결과들을 대조 · 고찰하였다. 마음이 머무르는 곳을 「Visuddhimagga」에서는 意界(=마음) · 意識界(=의식)의 토대가 되는 장소로서 心處로, 『구사론』 · 『유가론』 「本地分」(1), 「攝異門分」에서는 죽음과 연관하여 心處 · 心胸處로, 그리고 『유가론』 「本地分」(2)에서는 태어남과 연관하여 肉心으로 각각 언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心處 · 心胸處 · 肉心 등은 심장을 의미한다. 심체론으로서 유식사상의 제6 · 7 · 8식과 뇌과학에서 언급하고 있는 뇌의 각 기능들과 대조 · 유추하면 了別(vijn?na)의 역할을 하는 제6식은 전전두엽, 思量(manas)의 역할을 하는 제7식은 상후두정엽, 그리고 藏識(?layavijn?na)의 역할을 하는 제8식은 대뇌피질과 상응한다. 뇌과학자들은 마음과 뇌에 대해서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대별하여 일원론적으로서는 마음이 곧 뇌의 기능인 心腦同一說, 그리고 이원론적으로서는 마음과 뇌는 별도로 존재하고 작용한다는 이론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유식사상에서는 마음과 뇌의 형성과정순서는 뇌의 형성 이전에 마음이 먼저 모태 안에 존재하며, 그리고 마음과 뇌는 心腦不同一說로서 물질적인 뇌의 작용이 곧 마음의 작용이 아니며 관계적으로 존재함을 언급하고 있다. 生有의 경우 마음과 뇌는 因과 緣의 관계이지만, 本有의 경우 마음과 뇌는 서로 관계적으로 원인과 결과가 서로 될 수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마음과 뇌는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실재로서만 존재하므로 마음과 뇌는 각각 별도의 존재라든가, 혹은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In considering the thought of Vijnaptim?trat? and neuroscience, most natural scientists have compared the two and offered critical considerations of the thought of Vijnaptim?trat?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science. This dissertation is an ideological and scientific analysis of the literature of the Vijnaptim?trat? school, which developed in the fifth century from the Tripitaka tradition. In this thesis I will refer to the literature of the Vijnaptim?trat? school and related books of the period, and will compare and consider the results of neuroscientific research with the parts, the place where mind stays on focusing on the thought of Vijnaptim?trat?. I will also consider each function of brain and how they compare to one another, and I will review the concepts of the sixth, seventh, and eighth consciousnesses in Vijnaptim?trat? thought,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himche-ron the Treatise on Mind and Body. Which one is first, mind or brain, when it comes to the mind and brain? The Visuddhimagga mentions the point where the mind stays on, calling it 心處, “the place that is the basis of 意界 (the mind) and 意識界 (consciousness)” in the Abhidharma kosabhasya, the Yog?c?rabh?mi-??stra Maul?bh?mi (1) and the Pary the ?graha??, as 心處 · 心胸處 related to death, and in the Yog?c?rabh?mi-??stra, Maul?bh?mi (2) as 肉心 related to birth. Similarly, 心處 · 心胸處 · 肉心 means “heart.” When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function of the brain involved in the sixth, seventh, and eighth consciousnesses of Vijnaptim?trat? thought with that as determined by neuroscience and as mentioned in the Treatise on Mind and Body, I was able to identify corresponding points. The sixth consciousness plays the role of vijn?na in the dorsolateral frontal lobe; the seventh consciousness plays the role of manas in the parietal lobe, and the eighth consciousness plays the role of ?layavijn?na in the cerebral cortex. Neuroscientists insist 心腦同一說 that the mind is the monistic function of the brain, and hold that the mind performs different actions than the brain dualistically, largely dividing into two types of mind and brain. However, there are mentions that, in the formation of the mind and brain in the Vijnaptim?trat? thought, the mind exists intrauterine before the formation of the brain, and as 心腦不同一說 for the mind and brain, the material function of the brain is not actually a function of the mind; rather, they exist mutualistically. In the case of birth (生有), the mind and the brain have a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ut during one’s life (本有) this cause-and-effect relationship is mutualistic. Also, the mind and the brain do not exist as substances, but only as existences, so the mind and the brain cannot exist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or exist as substances.

      • KCI등재

        1010部의 諸宗敎藏 중에서 국내 유일본 瑜伽行派 章疏들에 대한 서지적 연구

        최종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3 No.-

        『新編諸宗敎藏總錄』(義天(1055-1101), 1010部․4857卷)의 편찬과 함께 판각된 제종교장의 原刊本은 현재 2부로서 『大方廣佛花嚴經隨疏演義鈔』와 『貞元新譯花嚴經疏』 만이 현존하고 있다(일본). 원간본의 판각 시기인 壽昌刊記가 기록된 필사본들로서는 『大方廣佛花嚴經隨疏演義鈔』, 『佛說金剛般若波羅蜜經略疏』 등이 현존하고 있으며(일본), 그리고 飜刻本으로서는 『成唯識論述記』, 『成唯識論了義燈抄』, 『成唯識論義景鈔』, 『瑜伽師地論義演』 등이 국내에 현존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서지학적 조사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고려교장 결집 및 DB 구축사업」으로 국내외 소장 기관들을 방문하여 진행하였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7년 동안 『교장총록』에 수록되어 있는 1010부 중에서 307부인 30.3%를 실측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서지 조사한 장소 중에서 대승불교 유가행파의 논서들인 『成唯識論』과 『瑜伽師地論』의 장소들을 중심으로 서지학적 소개 및 고찰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성유식론』은 동북아시아에서 108부가 찬술되었으며(『교장총록』에는 29부 수록), 그리고 『유가사지론』은 동북아시아에서 62부가 찬술되었다( 『교장총록』에는 19부 수록). 이 두 논서들은 유가행파 사상의 시대별 전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문헌들이다. 이에 동북아시아에서는 두 논서들에 대한 많은 장소들이 찬술되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 장소들은 다수가 산일되어 현존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장소들 중에서 국내 유일한 판본들인 4부를 소개하였다. 4부 중에서 3부는 『성유식론』에 대한 장소로서 『술기』, 『요의등초』, 『의경초』와 1부는 『유가사지론』에 대한 장소로서 『의연』이다. 이 章疏들은 世祖年間에 刊經都監에서 번각한 목판본들이다. 이 장소들 중에서 『술기』(권6), 『요의등초』(권3․4), 『의경초』(권12․19)는 廣敎院에서 판각된 목판본들이며, 卷軸裝 형식에서 線裝으로 제책한 장소들이다. 그리고 모두 순천 송광사 四天王像에서 발견된 服藏典籍들이다. 『의연』은 송광사에 소장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권15․16의 卷首․卷末만 사진복사 자료로서 현존하고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 소개되는 『의경초』와 『의연』 권16은 국내 유일의 목판본일 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 어느 대장경, 혹은 어느 문헌들에도 수록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 소개되는 유가행파 목판본들과 각 卷次의 사상적 내용은 동북아시아의 지역별, 주석적 전개 과정, 그리고 논사별들의 사상적 위치들에 대해서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적 가치가 있을 것이다. At present, regarding the original copies of the Jejonggyojang, which had been engraved together with the compilation of Shinpyeonjejonggyojangchongrok (Uicheon (1055-1101), 1010 titles, 4857 fascicles), there are 2 titles. Only Daebanggwangbulhwaeomgyeongsusoyeoneuicho and Jeongwonshinyeokhwaeomgyeongso have been existing presently (In Japan). Regarding the manuscripts in which the imprints of the issue of the Suchang Year, which is the time of the engraving of the original copy, had been recorded, Daebanggwangbulhwaeomgyeongsusoyeoneuicho, Bulseolgeumgangbanyakparamilgyeongyakso, etc. have been existing presently (In Japan). And, as for the reprint copies, Seongyushikronsulgi, Seongyushikronyoeuideungcho, Seongyushikroneuigyeongcho, Yugasajironeuiyeon, etc. have been existing presently (In Korea). Regarding the bibliographic investigation regarding these, it had been proceeded with by visiting the organizations that own them in Korea and overseas as ‘The Project for Collecting the Goryeogyojang in Mass and for Establishing a DB’ from the year 2012 until 2019. In this project, for 7 years, the survey investigation had been carried out with 307 titles, or 30.3%, from the 1010 titles that are contained in the Gyojangchongrok. In this thesis, among the possessions regarding which the bibliographic investigation had been carried out, centered on the possessions in the Seongyushikron and the Yugasajiron, which are the theses of the Mahayana Buddhism Yogācāra-School, the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and consideration had taken place. Regarding the Seongyushikron, 108 titles had been written in Northeast Asia (In the Gyojangchongrok, 29 titles were contained). And, regarding the Yugasajiron, 62 titles had been written in Northeast Asia (In the Gyojangchongrok, 19 titles were contained). These two theses are the important literatures in understanding the unfolding, by the era, of the Yogācāra thought. As such, in Northeast Asia, a lot of the possessions regarding the two theses had been written. However, regretfully, regarding these possessions, because many of them had been scattered and lost, they do not exist at the present. In this thesis, among the possessions that exist at the present, 4 titles, which are the only woodblock- printed books in Korea, had been introduced. Among the 4 titles, regarding 3 titles, as the possessions regarding the seongyushikron, they are Sulgi, Yoeuideungcho, and Euigyeongcho. And, regarding 1 title, as a possession regarding the Yugasajiron, it is Euiyeon. These possessions are the block books that had been reprinted at the Gangyeongdogam in the year of King Sejo. Among these possessions, Sulgi (Vol.6), Yoeuideungcho (Vol.3․4), and Euigyeongcho (Vol.12․19) are the block books that had been engraved at the Gwanggyowon. And they are the possessions that had been bound from the Gweonchukjang form to the Seonjang. And all of them are the Excavated Documents that were discovered at the Statue of the Four Warrior Spirits at the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Although Euiyeon had been possessed at the Songgwangsa Temple, at the present, only the first volumes and the end volumes of the volumes 15 and 16 have been presently existing as the photo duplicated materials. Especially, regarding the Euigyeongcho and the volume 16 of the Euiyeon, which are introduced in this thesis, not only are they the only block books in Korea, but, also, they are not contained in any collection of the sacred writings of Buddhism or any literature in Northeast Asia. As such, regarding the ideological contents of the woodblocks of the Yogācāra and each volume, which are introduced in this thesis, they have the important material value in understanding and researching about the process of the regional and annotative unfolding in Northeast Asia and the ideological positions of the discussions.

      • KCI등재

        민유림 (民有林) 경영계획에 관한 연구 - 지역삼림계획에 있어서 목재생산예측 -

        최종,운수차랑 (南雲秀次郞) ( Jong Cheon Choi,Hidejiro Nagumo ) 한국산림과학회 198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76 No.4

        The model and its example were provided to predict wood production for a district forest planning. The method of Gentan probability is widely accepted for the prediction of wood production. The suggested model is different in the decision of cutting age distribution from that of Prof. Suzuki; the former can use either Weibull distribution or Gamma distribution, but the latter is possible only by Gamma distribution. This developed system can be used not only for establishing a district forest planning, but also for providing forest management information, such as periodic harvest volume, growing stock, labor requirement, and so forth.

      • KCI등재

        운동파모형을 이용한 저류함수법 매개변수의 특성 평가

        최종,안원식,김형수,박민규 한국방재학회 201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0 No.4

        The storage function model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models for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in Korea. This paper studies the physical significance of the storage function model by comparing it with kinematic wave model. The results showed universal applicability of the storage function model to Korean basins. Through a comparison of the basic equations for the models, the storage function model parameters, K, P and , are shown to be related with the kinematic wave model parameters, k and p. The analysis showed that P and p are identical and K and can be related to k, basin area, and coefficients of Hack's law. To apply the storage function model throughout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regional parameter relationships for K and were developed for watershed area using data from 17 watersheds and 101 flood events. These relationships combine the kinematic wave parameters with topographic information using Hack's Law. 저류함수법은 한국의 홍수예경보시스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강우-유출 모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류함수법의 매개변수를 운동파모형과 비교하여 물리적 의미를 고찰하고 국내 하천유역에서의 일반적인 적용방법을 도모하고자 한다. 두 모형의 기본적인 방정식을 이론적으로 비교한 결과 저류함수법에서 저류량과 비선형관계인 유출량의 멱승을 나타내는 P와 운동파모형에서 유출수심과 비선형관계를 보이는 단위폭당 유량의 멱승을 나타내는 p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저류함수법에서 저류상수와 지체시간을 나타내는 K와 은 운동파모형에서 유역특성상수를 나타내는 k, 유역면적 그리고 Hack의 법칙의 계수를 이용하여 관계식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한국에서의 저류함수법의 일반적인 적용을 위해 K와 에 관한 매개변수 추정을 위한 식을 제안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계식은 국내 전국에 산재한 17개의 댐지점에서의 101개의 호우사상으로부터 얻어졌다. 이들 관계식은 운동파 모형의 매개변수와 국내 하천유역에 대해 새롭게 발전된 형태로 얻어진 Hack의 법칙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었다.

      • KCI등재

        현장이 초기에 역경한 유가행파 문헌들에 대한 대조 연구

        최종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2 No.-

        Hyeon-Jang had gone on a Buddhism seeking travel in India for 17 years from August 629 until January 7, 645. Regarding Hyeon-Jang, after arriving in Jangan, because of the wish to translate the scriptures and the royal order of the Emperor The-Jong, Hyeon-Jang opened a translation institute at the Hongbok Temple in Jangan on March 1. And, from May, at the Buddhist temples at over 10 places, including the Hongbok Temple, he had translated the scriptures of 1335 volumes of 75 parts during 20 years until January 664. Regarding the Buddhist scriptures that had been translated by Hyeon-Jang,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and the diverse Buddhist scriptures by the era, the school, and the thought of Hwaeom, Junggwan, Yusig, etc. of Mahayana had been translated. In this thesis, among the 1335 volumes of the 75 parts regarding which the scriptures had been translated by Hyeon-Jang, the Hyeonyangron and the Yugaron, which are the Buddhist scriptures at the beginning of the translations, which are the scriptures that had been translated by the same person, and which are the early literatures that represent the Yogācāra, had been contrasted and considered philologically. Regarding the reasons why it is intended to study the two treatises, Hyeon-Jang had translated the two treatises, and, as the content of the Hyeonyangron is the literature that had reorganized the content of Yugaron, they have the important values as the materials with regard to understanding the points of the differences and the processes of the unfolding of the scripture translating method of Hyeon-Jang, the scripture translated literatures in the initial phase, or, in other words, the literatures (The Hyeonyangron) regarding which the scriptures had been translated in the year 645, and the literatures (The Yugaron) regarding which the scriptures had been translated in the year 646. In this thesis, regarding some of the phonetic marks, the liberally translated terms, the changes, the omissions, the additions, and the reduced translations of the structures of the sentences, and th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as the negatives, the particles in the classical Chinese, the prepositions and the verbs of doing that have been used in the two treatises, they had been contrasted and analyzed philologically. In the processes of th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of the Hyeonyangron, Hyeon-Jang had used the phonetic marks of the zones, the phonetic marks of the Pāli language, and the liberally translated terms in a lot of the parts just the way they were. However, in the processes of th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of Yugaron, the newly translated terms were converted into, and used as, the liberally translated terms, the phonetic marks were converted into, and used as, the liberally translated terms, and the phonetic marks of the Pāli language were converted into, and used as, the phonetic marks of the Sanskrit language and the joint translations. And, if the examples of the structures, the contents, and the grammar of the sentences are compared, in the Hyeonyangron, the structural changes, the omissions, and the reduced translations of the sentences are marked. However, in Yugaron, if they are compared to the original texts in the Sanskrit language, we can know that they are the scriptures that are centered on the quality that coincide with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texts and that they are th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of the new translations with which Hyeon-Jang entered the settlement phase. As a result, we can know that the Hyeonyangron, regarding which the scriptures had been translated in the year 645, has the scriptures that had been translated as the test translations for preparing a method for the translations of the scriptures that are the new translations and for the systematization. 현장은 629년 8월부터 645년 1월 7일까지 17년간 인도에서 구법여행을 하였다. 현장은 장안에 도착한 후 역경하고자 하는 소원(願以所聞歸還飜譯)과 太宗의 칙명에 의해 3월 1일 장안 홍복사에 飜經院을 개원하고, 5월부터 홍복사를 비롯하여 10여 곳의 사찰에서 664년 1월까지 20년 동안 75부 1335권을 역경하였다. 현장이 역경한 불전들은 부파불전들과 대승의 화엄․중관․유식 등의 다양한 시대별․학파별․사상별의 불전들을 역경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이 역경한 75부 1335권 중에서 역경초기의 불전들이며, 동일인이 역경하였으며, 그리고 유가행파를 대표하는 초기문헌인 「顯揚論」과 「瑜伽論」을 문헌학적으로 대조․고찰하였다. 두 논서를 연구하고자 함은 두 논서를 현장이 역경하였으며 「顯揚論」의 내용은 「瑜伽論」의 내용을 재조직한 문헌이므로 현장의 역경방법(譯風)과 초기의 역경문헌들, 즉 645년에 역경한 문헌(「顯揚論」)과 646년에 역경한 문헌(「瑜伽論」)의 차이점과 전개과정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적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두 논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부 음사표기, 의역용어, 문장의 구조변화․생략․추가․축역, 그리고 부정어, ‘於’조사, ‘爲’의 조사․동사로서의 역경들에 대해서 문헌학적으로 대조․분석하였다. 현장은 「顯揚論」의 역경과정에서 구역의 음사표기․빨리어 음사표기․의역용어들을 많은 부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瑜伽論」의 역경과정에서는 신역 의역용어로, 음사표기를 의역용어로, 빨리어 음사표기를 산스크리트어 음사표기로, 합역들로 각각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문장의 구조․내용․문법의 예들을 대조하면 「顯揚論」에서는 문장의 구조변화, 생략, 축역들이 현저하다. 그러나 「瑜伽論」에서는 산스크리트어 원전과 대조하면 원전의 내용과 일치하는 質 중심의 역경, 그리고 현장이 정착단계에 든 신역의 역경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645년에 역경한 「顯揚論」은 신역의 역경방법을 준비하고, 체계화하기 위한 試譯의 역경이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영미권 지도 및 지리교재 제작사의 지명 표기 원칙에 따른 동해해역의 지명표기에 관한 연구

        최종,심정보,윤옥경 한국지도학회 2011 한국지도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2000년 이래 영국과 미국의 주요 지도제작사 및 지리교재 제작사가 제작한 지도를 중심으로 동해 해역의 지명표기 형태를 조사하고, 그 원칙을 분석한 것이다. 대부분의 지도 제작사들은 지명표기와 관련하여 자체의 원칙을 가지고 있는데, 동해 해역은 ‘일본해(동해)’의 형태로 병기했지만, 여전히 ‘일본해’로 단독 표기한 경우도 있다. 한편 지리교재 제작사는 지명표기를 저자들의 판단에 맡기고 있다. 그 결과 지리교재에 따라 동해 해역에 대한 지명표기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국제사회에서 동해 지명의 확산을 위해, 영미권의 주요 지도제작사 및 지리교재의 저자들에게 동해 지명의 정당성을 전략적으로 홍보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naming of the East Sea area and principles on maps produced by the map publisher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since 2000. Most map publishers having their own policies regarding place names, the sea between Korea and Japan is represented as the pattern of ‘Sea of Japan(East Sea)’; however, in some cases, the single use of ‘Sea of Japan.’ Meanwhile, the various formats are used in naming the East Sea in geography textbooks because geographic naming of textbook publishers tends to be determined by each author. For the dissemination of the name ‘East Sea’ in the international arena, it is essential to give wider publicity on the legitimacy of the name ‘East Sea’ especially to authors of both map and textbook publishers.

      • KCI등재

        간경도감본 「成唯識論了義燈抄」 권3․4의 판본대조 연구

        최종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69 No.-

        본 논문에서는 惠沼(651-714)가 「成唯識論」(護法等造)을 주석한 「成唯識論了義燈抄」(권3․4)를 판본들인 山西省 曲沃縣圖書館 소장본, 天理大 圖書館 소장본, 그리고 활자본들인 大正藏본, 卍續藏經본들과 서로 대조․연구하였다. 「成唯識論了義燈抄」는 국내에서 유일본으로서 世祖年間(1455-1468)에 판각된 刊經都監本이다. 동 판본은 板式에 의하면 宋本을 飜刻한 것이다. 「成唯識論了義燈抄」 간경도감본은 2004년 1월 7일에 松廣寺 四天王像 北方天王의 복장에서 발견된 것이며, 현재 보물 제1468호로 지정되어 있다. 「成唯識論了義燈抄」 간경도감본은 앞에서 언급한 판본들 및 활자본들과 대조하면 교감과정, 판각과정, 혹은 전래과정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량의 오기, 오각, 오류 등이 발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오기, 오류 등은 대장경의 판본이 판각되기 이전인, 즉 宋代 이전의 필사본들인 중앙아시아 돈황본들에서 주로 찾을 수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成唯識論了義燈抄」 간경도감본은 판본임에도 불구하고 찬술자의 原義와 다르게 전래되고 있다. 특히 「成唯識論了義燈抄」 간경도감본은 지시대명사, 명사, 조사, 접속사, 부정사, 문장 등의 삭제, 첨삭, 오기, 오류 등을, 그리고 大正藏本에서는 교감자의 오류를 각각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예들은 본 논문에서 대조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①단어의 삭제, ②단어․문장의 첨삭, ③단어를 중복하여 판각, ④음이 같은 한자로 판각, ⑤동일한 의미와 음을 갖는 한자로 판각, ⑥의미가 비슷한 한자로 판각, ⑦단어․문장을 바꾸어 판각, ⑧단어의 倒置, ⑨字形이 비슷한 한자로 판각, 그리고 ⑩이체자 등이다. 본 대조․연구에 의하면 현재 유통되고 있는 「成唯識論了義燈抄」는 2가지 유형으로서 송광사 소장 간경도감본과 山西省 曲沃縣圖書館 소장본이 일치하고, 그리고 大正藏본, 卍續藏經본이 서로 일치하다. 간경도감본은 山西省 曲沃縣圖書館 소장본과 板式이 동일하여 字形, 行․字數, 삭제․첨삭된 단어, 異體字 등이 모두 일치하다. 이에 간경도감본은 山西省 曲沃縣圖書館 소장본의 번각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成唯識論了義燈抄」의 일부 판본들과 활자본들만을 서로 대조하여 판본 및 활자본들에 있어서 찬술자인 惠沼의 原義와 다르게 전래되고 있음을 전하고, 그리고 이와 함께 본 논문에 이어서 다양한 불교학․서지학적 후속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I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for Seongyoushikryoeuideungcho (Vol. 3 and Vol. 4) in which Hui zhăo (651-714) annotated on Ch’êng wei shih lun with the wood-printed books from Qū wò xuán Library and Tenri University Library, and the printed books of Taishôzô and Manzokukyô. Seongyoushikryoeuideungcho, the only script in the nation, was the woodblock-printed book of the Gan'gyeongdogam, which was in charge of buddhist scriptures, in the period of King Sejo (1455-1468). The same woodblock-printed book was engraved as translating the book from Sòng China according to the record on the print. Seongyoushikryoeuideungcho of the Gan'gyeongdogam was found inside the clothing of the northern heavenly King among four guardian kings in the Songgwang Temple, on the seventh, Jan, 2004, currently designated as the Treasure no. 1468. If comparing with woodblock-printed books and other printed books I mentioned above, Seongyoushikryoeuideungcho, the scripture of Gan'gyeongdogam, has lots of wrong records, mis-engraved letters, and mistakes which might occur in the proofreading, engraving, or transmitting processes. Such wrong records and mistakes are those which we can find out mainly in the manuscripts of Dūnháng in the Central Asia before the period of Sòng China, when the prints of Tripitaka Koreana were engraved. However, unfortunately Seongyoushikryoeuideungcho of the Gan'gyeongdogam was the woodblock-printed books, though it has been transmitted against the writer's original intention. Especially, we are able to find out deletions, corrections, wrong records, mistakes of sentences of demonstrative pronouns, nouns, propositions, conjunctions, infinitives in the Seongyoushikryoeuideungcho of the Gan'gyeongdogam and the errors by editors in the printed books of Taishôzô. These are as below. ① deletion of words, ② correction of words and sentences, ③ repeatedly graved words, ④ graving Chinese words which have same sounds, ⑤ graving Chinese words which have same meanings and sounds, ⑥ graving Chinese words which have similar meanings, ⑦ graving changed words and sentences, ⑧ changing words' positions, ⑨ graving Chinese words which have similar letter types, and ⑩ different letter types and so forth. According to my comparative study, there are two types of Seongyoushikryoeuideungcho currently used. The woodblock-printed books of the Songgwang Temple and the books of Qū wò xuán Library are in the same type and also the prints of Taishôzô and Manzokukyô are in the same type. The woodblock-printed books have the same styles of the books of Qū wò xuán Library-letter types, numbers of lines and letters, deleted and added words, and different style of letters etc.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the woodblock-printed books of the Gan'gyeongdogam was the translated and engraved prints of Qū wò xuán Library. As a result, I wanted to say that Seongyoushikryoeuideungcho has been transmitted against the intention of the writer, Hui zhăo, as compared some woodblock-printed books and manuscripts with other sources. I look forward to having various buddhist and bibliography studies following this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중국․티베트 佛典 目錄들에 있어서 部와 『新編諸宗敎藏總錄』에 있어서 部의 分類體系에 대한 대조 연구

        최종 한국서지학회 2016 서지학연구 Vol.67 No.-

        In this thesis, I compared and researched on classifications of the collections and the lists edited in China & Tibet, and in Shinpyeonjejongyojangchongrok, which national teacher Daegak Uicheon collected and edited with annotations written in northen east asian countries, China, Korea, and Japan. Among the Buddhist stura lists edited in China, the Collections of Hwayen and Prajna were recorded in the first part of Lidaisanbaoji, Datangneidianlu, Kaiyuanshijiaolu, and Shinpyeonjejongyojangchongrok. And the Hwayen collection was recorded in the first part like Lidaisanbaoji, Datangneidianlu, and Shinpyeonjejongyojangchongrok, except for Chusanzanggjiji. Therefore the reason why Hwayen collection was situated in the first part of Shinpyeonjejongyojangchongrok was because of Hwayen thought, the central thought of Mahayana thought, and influence by Lidaisanbaoji, Datangneidianlu, and a deep relationship that Uicheon had with Hwayen sect and Hwayen thought as a practitioner for 36 years. From this, I could find out that the name of three sutras, which placed in the first part of each collection of Shinpyeonjejongyojangchongrok, and researches & commentaries(章疏) lists, which situa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name of three sutras, were based on Datangneidianlu, Kaiyuanshijiaolu. In the Buddhist sutra lists of Tibet, the Prajna collection was placed in the first part from the list of lDan kar ma edited in the sNga dar(前傳期). The Esoteric Buddhism collection of Peking print and the Precept collection of sDe dge print were recorded in the first part of the books among Koreana engraved in the Phyi dar(後傳期). The Hwayen collection was situated in the first part of Tibetan lists and Koreana. The record of the Prajna collection in the list of lDan dkar ma situated in the first part was because of the of the Prajna and Madhyamaka though, which developed as the parts of practice and action with doctrine diversely in the sNga dar. And in the Phyi dar, the Esoteric collection and the Precept collection were placed in the first part of the Peking print and sDe dge print engraved in the processes of re-establishment of precept to rebuild Tibetan Buddhist Sangha Cluster disorganized by destruction of Buddhism and the movement of new Esoteric Buddhism to change the religious style accompanied with spell and Bon sect, the folksy religion. Although the collections and Koreanas edited and engraved in China, Korea, and Tibet had different classification systems, the collections of Hwayen and Prajna, the central thoughts of Mahayana Buddhism, were typically recorded in the first part of those books in common. 본 논문에서는 대각 국사 의천이 중국․한국․일본의 동북아시아에서 찬술된 주석서들을 수집․정리하여 편찬한 『新編諸宗敎藏總錄』(이하 『교장총록』)에 있어서 部와 중국․티베트에서 편찬된 목록들에 있어서 부의 분류체계를 서로 대조 연구하였다. 중국에서 편찬된 불전 목록들 중에서 『출삼장기집』을 제외하고 『역대삼보기』, 『대당내전록』, 『개원석교록』, 『교장총록』에서는 화엄부와 반야부가 서두에, 그리고 『역대삼보기』, 『대당내전록』에서는 『교장총록』과 같이 화엄부가 맨 먼저 각각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교장총록』 부의 순서에 있어서 화엄부가 맨 앞에 기록된 것은 화엄사상이 대승 사상 중의 중심사상이며, 그리고 『역대삼보기』, 『대당내전록』의 참조와 영향에 의한 것이며, 또한 의천이 36년간 수행자로서 화엄종과 화엄사상과의 깊은 인연 때문이다. 이와 함께 『교장총록』 각 부의 구성에 있어서 삼장명이 앞에 위치하고, 章疏 목록들을 삼장명 뒤에 위치한 것은 『대당내전록』과 『개원석교록』을 참조하여 배열한 것이다. 티베트의 불전 목록들 중에서 前傳期에 편찬된 『댄까르마 목록』의 맨 먼저 반야부가, 그리고 後傳期에 판각된 대장경들 중에서 북경본에는 비밀부(=밀교부)가, 그리고 데게본에는 율부가 맨 먼저 각각 기록되어 있다. 티베트의 목록과 대장경들에는 화엄부가 서두에 각각 기록되고 있다. 『댄까르마 목록』에 반야부가 맨 먼저 기록된 것은 전전기 시대에 반야․중관사상이 다양하게 교학과 실천․수행면으로 전개된 것이 반영된 것이고, 그리고 후전기 시대에는 토속적인 종교인 뵌(Bon)교와 주술이 합한 신앙형태를 바꾸기 위하여 신 밀교의 움직임이 전개되고, 그리고 패불에 의해 와해된 티베트 불교 승단을 재건하기 위하여 계율을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판각되어서 북경본과 데게본은 각각 비밀부와 율부가 맨 먼저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국, 한국, 티베트에서 편찬․판각된 목록들과 대장경들에 있어서 부의 분류체계는 다르지만 대승의 중심사상인 화엄부와 반야부가 서두에 기록되어 있다는 것은 동일하고, 그리고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