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回歸分析을 통한 國民所得과 國外旅行의 相關關係 分析

        최승윤 京機大學校 附設 觀光開發硏究所 1990 觀光硏究論集 Vol.7 No.-

        Utilizing correlation method and regression analysis, I analyzed the trend of out -bound tourism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GNP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1979-1988. I explained what these two methods mean, and describe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NP and out-bound tourism by interpreting the putput obtained by these two methods. The purpose of using correlation method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The purpose of using regression analysis is to analyze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and to forecast the change of the dependent variables from the chang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It is to clarify the variable which affect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o draw a linear equation by these variables. This linear equation is called regression equation. To what extent can regression equation forecast the dependent variable, and which variable is the most predictable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in regression equation, are to be verified. In order to analyze the trend of out-bound tourism in Korea, I employed GNP as dependent variable, and also employed the number of out-bound tourists and out-bound tourism expense per capita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Lotus computer analysis method is applied, and Enter method (which inputs the independent variables at the same time)is used. R squared between GNP and the number of out-bound tourists is 0.648706; that between GNP and out-bound tourism expense per capita is 0.683855. It tells that these two relations have a considerable correlation. Simpl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out-bound tourists and out-bound tourism expense per capita based on GNP is as follows: Simple correlaton between GNP and the number of out-bound tourists is 0.8054; that between GNP and out-bound expense per capita is 0.8270. We can see magnificent correlation here. Drawn regression equation is GNP=-1897.98397+8.47146.cost+0.01579.pop. Consequently the trend of out-bound tourism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Gnp during last 10 years shows that both the number of out-bound tourists and out-bound tourism expense have close relations of 0.8054 and 0.8270 respectively with the increase and the decrease of GNP. Accordingly under the circumstances trending that economic structure of our country is being enlarged and that living standard of our people is getting elevated with the increase of GNP, it is forecast that out-bound tourism opportunity of our people is rapidly to be increased. Especially judging from the result that out-bound tourism expense is more explanatory in the correlation analysis in relation to GNP than the number of out-bound tourists is, I think out-bound tourism expense per capita will be greatly increased unless propensity to consume of our people is changed.

      • 방제법없는 증산기술투입은 병해충발생조장 - 농약과 식량증산

        최승윤 한국작물보호협회 1985 자연과 농업 Vol.6 No.1

        인류가 오늘날까지 살아온 역사는 굶주림과 각종 질병과의 싸움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근대문명을 자랑하는 현시점에서도 그 싸움은 계속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 문제만은 인류의 생존권이 요구되는 한 지워버릴 수 없는 숙명적인 과제가 될 것이다. 특히 세계의 식량사정은 날이 갈수록 어려운 사정에 접어들고 있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해서는 보다 획기적이고, 보다 혁신적으로 농업의 생산성을 제고치 않으면 인류의 불행은 모면할 길이 없다.

      •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VI. 입제형 침투성 살충제의 근계주변 토중처리효과

        최승윤,박형만,정부근,Choi Seung-Yoon,Park Hyung-Man,Chung Bu-Ken 한국응용곤충학회 1982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21 No.3

        본 시험은 침투성 살충제의 적송 근계주변 토중처리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여 유교 살충제의 선발, 나아가 현행 근계주변 토중처리 방법을 성력적인 처리방법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ldicarb$(Temik^{(R)}\;15G)$, Carbofuran$(Curaterr^{(R)}\;3G)$, Disulfoton$(Disyston^{(R)}\;5G)$를 고시, 흉고직후 cm 당 5g(유효성분량)을 근계주변원형처리(6월 25일)하여 솔잎 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Curaterre^{(R)},\;Temik^{(R)}$ 처리는 솥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우수하였으나 Disyston 처리의 방제효과는 낮은 편이었다. 난, 무처리에서 건전엽률, 피해흔적엽율은 각각 $49.9\%,\;16.4\%,\;33.7\%$인데 비하여 $(Temik^{(R)}$ 처리에서는 그들이 각각 $27.9\%,\;65.4\%,\;6.7\%$이었고 $Curaterr^{(R)}$ 처리에서는 각각 $64.8\%,\;23.7\%,\;1.5\%$이었으며 $Disystone^{(R)}$ 처리에서는 각각 $49.6\%,6.3\%,\;24.1\%$ 이었다. 처리방법 개선을 위한 시험에서는 $Temik^{(R)}$ 공시, 균고직경 cm 당 5g(유교성분량)을 6월 2일에 점식구 처리 (Pit treatment), 방사상식고랑처리(Radical furrow treatment),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Circle furrow treatment)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점식구멍처리에서는 구멍수의 증가에 따라 충영엽율이 낮었으며 방사상식고랑처리는 고랑수에 따른 충영엽율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현행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는 점식 3구멍처리와 대등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결론으로 $Temik^{(R)}$과 $Curaterr^{(R)}$의 토중처리효과는 대등하여 $Temik^{(R)}$의 대체 가능하다고 보며 $Temik^{(R)}$의 점식 3구멍 처리방법을 도입함으로서 토중처리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insecticides aldicarb$(Temik^{(R)}\;15G)$, carbofuran$(Curaterr^{(R)}\;3G)$, and disulfoton$(Disyston^{(R)}\;5G)$ were evaluated in the field for the control of the pine gall midges(Thecodiplosis joponensis Uchida et Inouye) at rate of 5 a.i.g/cm dbh using the method of circle-furrow treatment(ca. loom in furrow depth), apart 50cm Iron the trunk of the pine trees. In addition, for improving the application method of granular insecticides the effects of conventional circle-furrow treatment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it treatments and radical-furrow treatments. A single root-zone treatment of aldicarb and carbofuran i the pine trees was significanlty effective for the pressure of the gall incidence by the insects. Control effectiveness in three-pit treatment was identical with those in conventional circle-furrow treatment. The pit treatment compared with the circle-furrow and radical furrow treatments would be a further feasible method in saving labor cost.

      • 솔잎혹파리의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V. 고농도 ULV 엽면살포효과

        최승윤,박형만,정부근,Choi Seung-Yoon,Park Hyung-Man,Chung Bu-Ken 한국응용곤충학회 1982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21 No.2

        ULV기에 의한 살충제의 농도(50배희석) 엽면살포를 실시하여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비교검토하였다. 본 시험은 1980년도 경기도 시흥군 의왕면 의왕읍 일대, 10년생미만 적송림에서 수행되었다. 공시살충제 Salithion(25 EC), Decamethrin$(Decis^{(R)},\;1EC)$, Phenthoate$(Elsan^{(R)},\;47.5\%)$, Diazinon(34 EC), Chlorfevinphos$(Birlane^{(24)},\;24\;EC)$, Phosalone$(Zolone^{(R)},\;25\;EC)$ 및 Methamidophes$(Tamaron^{(R)},\;60\;SL)$를 50배로 희석, 1구 10주당 500ml씩 6월 6일에 건전시용 ULV기(12v, Union Carbide 제)로 일동 엽면처리하였다. 충영엽율은 무처리 $53.3\%$에 비하여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에서 각각 $11.8\%,\;15.4\%,\;15.5\%$로서 가장 낮았으며 다음은 $Diazinon(19.3\%),\;Chlorfevinphos(20.4\%),\;Phoslaone(24.3\%),\;Methamidophos(31.5\%)$ 순으로 방제효과가 낮았다. Salithion, Decamethrin, Phenthoate 처리의 방제 70 이상을 보였으나 그 밖에 살충제들은 비교적이다. 고농도 엽면살포에 의한 솔잎혹파리방제용 살충제 Salithion을 대체할 저독성살충제는 Decamthrin Phenothoate라고 사료된다. The insecticides salithion$(Salithion^{(R)},\;25\;EC)$, decamethrin$(Decis^{(R)}\;1\;EC)$, phenthoate$(Elsan^{(R)},\;47.5\;EC)$, diazinon$(Diaton^{(R)})$, chlorfevinphes$(Birlane^{(R)},\;24\;EC)$, phosalone$(Zolone^{(R)},\;25\;EC)$, and methamidophos$(Tamaron^{(R)},\;60\;SL)$ were evaluated on the effectiveness of single ULV foliar spray for the control of the pine fall midges(Ther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when the insecticides diluted with the 50 times of water were applied to the pine trees$(1.5\~2m\;in\;height)$ on June 6 by ULV Sprayer(Battery-type of 12 voltage, devised by Union Carbide). A single ULV foliar spray of salithion, decamethrin, and phethoate among the insecticides tested was significantly effective for the pressure of the gall incidence by the insects.

      • Carbofuran 수도근부처리가 논거미 밀도에 미치는 영향

        최승윤,이형래,유재기,Choi S. Y.,Lee H. R.,Ryu J. K. 한국응용곤충학회 1978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17 No.2

        Population density of the spiders (Micryphantidae and Lycosidae) in the two Paddy field at Suweon and Iri was studied following single root-zone application of carbofurans encapsulea and liquid-formulated and two to four paddy water applications of carbofuran to rice plants. In two field tests, the spider populations were reduced In all insecticide treatments. Among them, the reduction was greater in the capsule placement of carbofuran than in the liquid injection and broadcast of carbofuran. Their reduction was also enlarged with the increase of application rate of insecticide. The significant reduction of spider population in root-tone appliration of carbofuran was considered due to the food-chain toxicity on the spider-hopper system. 침투성 살충제 Carbofuran의 Capsule 근부처리, 액상근부주변처리 및 수면시용을 실시하였을 때 논거미(늑대거미류와 애접시거미류)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원과 이리에서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1. Carbofuran의 처리에 의하여 거미의 밀도가 저하되며 관용방법인 수면처리에 비하여 근부처리의 경우 거미의 밀도가 더욱 낮었다. 2. 액상근부주변처리에 비하여 Capsule 근부처리에서 거미의 밀도가 더욱 낮었다. 3. 근부처리에서나 수면처리에서 약량이 증가함에 따라 거미밀도가 낮어졌다. 4. 무처리에서 거미밀도는 팔굉품종에서 높았고 유신품종에서 낮았으나 약제처리에서 품종간 거미밀도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5. 해충의 방제효과가 좋았던 Capsule 근부처리에서 거미 밀도가 낮은 이유는 식물연쇄에 의한 독성 및 살해로 고찰되었다. 6. Carbofuran의 경우 처리방법을 달리하였을 때 거미에 대한 살해를 감소시킬 수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 침투성살충제의 파종용 처리의 대두해충방제효과

        최승윤,이형래,Choi Seung Yoon,Lee Hyung Rea 한국응용곤충학회 1977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16 No.1

        침투성살충제 Curaterr(Carbofuran), Cytrolane(Mephosfolan), Disyston(Disulfoton) 립제의 대두 파종용 처리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시약제 모두 대두의 입묘에 영향을 주었는데 Carbofuran 4.6mg, 9.2mg(유효성분량) 처리를 제외하고는 Carbofuran 13.8mg 처리를 포함한 Mephosfolan, Disulfoton 처리에서 비교적 낮은 입묘유를 보였다. 2. Carbofuran과 Mephosfolan은 초기의 콩잎에 약해가 비교적 심하였으나 Disulfoton은 약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Carbofuran과 Mephosfolan 처리에서는 자엽과 제일본엽에 갈색내지 흑갈색 반점 또는 엽록을 따라 갈색엽소징색이 나타났으며 Disulfoton은 엽선에 약간의 위축징상이 보였다. 그리고 약량의 증가에 따라 약해가 증대하였다. 3. 공시약제 모두 어느 약량에서나 약 3개월에 걸쳐 콩진딧물의 방제효과가 좋았으며 약량이 높아짐에 따라 방제효과가 더욱 좋은 경향을 보였다. 4. 약제처리구에서 두점박이응애의 밀도가 낮어 방제효과를 인정할 수 있었다. 특히 Mephosfolan과 Disulfoton은 처리약량의 증가에 따라 방제효과가 증대하였으며 Disulfoton의 용당 13.8mg(a.i) 처리는 약제처리 82일까지 계속 응애의 밀도가 가장 낮었다. 5. 콩나바아에 의한 콩의 초해율은 처리, 무처리 또는 약량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수량에 있어서도 그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6.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공시약제의 대두 파종용 일회처리로서는 콩진딧물과 두점박이응애의 방제는 가능하나 콩나방의 방제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The systemic insecticides carbofuran $(Curaterr\; 3\%\; G)$ mephosfolan $(Cytrolane\; 2\%\; G)$ and disulfoton$(Disyston\; 5\%\; G)$ were evaluated in the field for conrol of some insects on soybeans when the insecticides were applied in seeding-pits at the rates of 4.6, 9.2 and 13.8 mg(a.i)/pit at the planting time. Control of the soybean aphid (Aphis glycines Matsumura) and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telarius(L.)) on soybeans was obtained for about 2 to 3 months, but their treatments were ineffective against the soybean moth (Grapholitha glycinivorella Matsumura). For the control of aphids and mites, disulfoton was better than carbofuran and mephosfolan. The insecticides slightly reduced the soybean stands, while the low-dose treatments of carbofuran slightly increased the stands. Carbofuran and mephosfolan caused severe phytotoxicity at the early stages, but disulfoton showed slight or negligible phytotoxicity. The phytotoxic symptoms in carbofuran and mephosfolan treatments were shelving the large number of brown or black-brown spots on the cotyledon and the first-leaves, and in addition to that showing necrosis along the leaf-margin. The symptoms in disulfoton treatments were slight withering along the leaf-margin of the first-leaves. In spite of good control of aphids and mit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oybean y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