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생을 위한 대인관계 조화 프로그램

        최성식 한국카운슬러협회 2009 相談과 指導 Vol.44 No.-

        초등학교 시기는 대인관계 범위가 부모나 가족으로부터 학교와 친구로 확대되는 시기로서, 이 시기는 대인관계 발달적 측면에서 평생을 통해 영향을 끼치는 결정적으로 중요한 시기이다. 이러한 중요한 시기에 있는 초등학생들의 대인관계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되고 실시되었지만, 기존의 대인관계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대인관계 문제 해결 자체에 초점을 맞춘 단편적이고 증상 처방적이라는 문제점과 타당한 프로그램 개발절차가 체계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타당하고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구안하여 이를 준거로 기존의 초등학생용 대인관계 프로그램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초등학생용 대인관계 조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최성식, 2008), 이 프로그램을 안내하고자 한다.

      • 제주도산 날개응애류

        최성식,정세호 한국토양동물학회 1998 한국토양동물학회지 Vol.3 No.2

        제주도의 한라산에서 채집된 날개응애 55과 88속 112종의 목록을 작성하여 보고한다. 그 중에 76종은 제주도의 날개응애로 처음 보고되는 종이다. Hitherto, a total of 112 species of 88 genera under 55 families of oribatid mites were reported from Cheju island. Of these, 76 species were added newly recorded species as the faunal list of the island.

      • KCI등재

        국제적 소송경합에 있어서 소송의 동일성과 소송상 취급

        최성식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The Identity of the Lawsuit and Handling in Lawsuitin International Lis PendensSungsik Choi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by what standard the issue of identity of lawsuit in international lis pendens and discuss how to deal with lawsuit in which identity is recognized. The research method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international norms, theories, and revised Private International Law.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international lis pendens, matter of a lawsuit, lis pendens, and suspension of lawsuit procedur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lthough Private International Law has been recently revised and many of the issues that have arisen in international lis pendens have been legislatively resolved, the standard for judging the identity of a lawsuit is still left up to theories and precedents.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hat the discussion on the sameness of lawsuit should be judged according to independent standards, rather than being resolved with the concept of matter of a lawsuit. In conclusion, although international lis pendens has characteristics in common with lis pendens under domestic law, it has different aspects, so an independent value judgment is required. Key Words: International Lis Pendens, Matter of a Lawsuit, The Identity of the Lawsuit, Lis Pendens, Suspending of Lawsuit Procedures 국제적 소송경합에 있어서 소송의 동일성과 소송상 취급최 성 식*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적 소송경합에 있어서 소송의 동일성 문제를 어떠한 기준으로 확정하고, 동일성이 인정된 소송에 대하여 소송상 취급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국제규범, 학설, 개정 국제사법의 내용을 살펴보고, 연구내용은 국제적 소송경합의 의미, 소송물, 중복제소, 소송절차의 중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근 국제사법이 개정되어 그동안 국제적 소송경합에서 발생하는 쟁점들이 상당부분 입법적으로 해결되었으나, 소송의 동일성 판단기준은 여전히 학설과 판례에 맡겨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소송의 동일성 논의에 대하여 소송물 개념으로 해결할 것이 아니라 독자적 기준에 따라 판단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결론적으로 국제적 소송경합은 국내법상 중복제소와 공통적 성질이 있으나, 그와 다른 측면이 있으므로 독자적 가치판단이 필요하다. 핵심어: 국제적 소송경합, 소송물, 소송의 동일성, 소송계속, 소송절차의 중지 □ 접수일: 2022년 2월 15일, 수정일: 2022년 3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호남대학교 법학과 교수(Professor, Honam Univ., Email: 2009003@honam.ac.kr)

      • KCI등재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의 소송절차권

        최성식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69 No.-

        In this paper, the scope and limitations of the litigation procedural right of a supplementary intervenor alike of Co-Litigation were examined. In general, a supplementary intervenor alike of co-Litigation is described as being located between an ordinary supplementary intervenor and a joint intervenor in litig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legal status of a supplementary intervenor alike of co-litigation only with this abstract explanation. Therefore, in this article, the difference was examined in more detail through comparison with an ordinary supplementary intervenor. A supplementary intervenor alike of co-litigation is different from an ordinary supplementary intervenor in that it is a third party who has participated in a supplementary intervention during a pending litigation.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receives the effect of a trial, such as res judicata and executive force. Therefore, with respect to the litigation procedural right related to the effect of a trial, the provisions of the procedural law applicable to the ordinary supplementary intervenor are excluded.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a joint intervenor in litigation and the effect of a trial, but a supplementary intervenor alike of co-litigation is a Even if a person who has legal standing participates in a lawsuit, he is not a party to the lawsuit. Therefore, an intervenor is a litigation that only the parties themselves can exercise, even if the intervened's litigation act is a litigation act related to the effect of a trial.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the litigation act. Regarding the specific scope, this article has a different interpretation from the conventional wisdom. 이 글은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의 소송절차권의 행사 범위와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은 통상의 보조참가인과 공동소송참가인 중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추상적 설명만으로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의 법적 지위를 파악하기에는 곤란하므로, 이 글에서는 통상의 보조참가인과 공동소송참가인과의 비교를 통해 그 차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은 소송계속 중에 보조참가를 한 제3자라는 점에서 통상의 보조참가인과 차이가 없으나, 기판력·집행력 등 재판의 효력을 받는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재판의 효력과 관련되는 소송절차권에 관하여는 통상의 보조참가인에게 적용되는 소송법상의 규정은 배제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공동소송참가인과는 재판의 효력을 받는다는 점에 대하는 차이가 없으나,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은 비록 당사자적격을 가지고 있는 자가 소송참가를 하였다 하더라도 소송의 당사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피참가인의 소송행위가 비록 재판의 효력과 관련되는 소송행위라 하더라도 당사자 본인만이 행사할 수 있는 소송행위에는 참가인이 간섭할 수 없다. 그 구체적 범위에 대하여 이 글에서는 종래의 통설과 다른 해석을 한 부분도 있다.

      • KCI등재

        몇가지 조경식물에서 채집한 날개응애류

        최성식,조명래,곽용호 한국응용곤충학회 199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3 No.2

        이 연구는 조경식물에서 채집한 날개응애류를 분류한 결과로, 13종이 동정되었다. 그러나 식물에 대한 그들의 유해성은 확인하지 못했다. 그들은 엉덩이 혹응애(신청) Tubermaeus singularis Sellnick, 긴 네모지게응애(신칭) Zygoribatula elongata hammer, 야마시타자라응애 Scapheremaeus yamashital Aoki, 구멍팔자기게응애 Oribatula sakamori Aoki, 가지털왕응애 Camidia segnid(Hermans), 몽둥이 팔자지게응애 Scheloribates latipes (Koch), 어리좁쌀응애 Oppiella nova (Oudemans), 꼬불지게좁쌀응애 Lauroppoa neerlandica (Oudemans), Hemileius sp., Truncopes sp., Dometorina sp., Tecto-cepheus sp.등이다. 이중에 Tuberemaeus singularis 와 Zygoribatula elongata는 한국에서 처음 기록하는종이다.제주도 서귀포의 황금삼나무에서 채집된 Tuberemaeus singularis 의 한재료 체내(뱃속)에서 3마리의 유충이 관찰되어 이 좋은 난태생인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canled for tanonomical investigation of Olibatid mites on landscape plan& As the results, thirteen species of Oribatid mites on the plants are describ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but the harmfulness caused by the mites is not yet proved The mites are Tuberemoeus singularis Sellnick, Zygoribatulo elongoto Hammer. Scahperemaeus yamashitoi Aoki, Oribatula sakamori Aoki, Camis~a segnis (Hemann), Scheloribates Jatipes (Koch), Oppiella nova (Oudemans), Lauroppia neerlondica (Oudemans), Hemileius sp.. Oripodo sp., Twncopes sp.. and Tectocehpeus sp. etc. Among them, Tuberemaeus singularis and Zygoribotulo elongatn are recorded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And three lalvae are found out at intestine of one specimen of Tuberemoeus singularrs Sellnick which is collected on Cryptomerio japonica D, in Chep (Seoguipo). Therefore, thls mite seems to be ovoviviparous.

      • KCI등재

        상계재항변의 가부

        최성식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25 No.1

        The plea of setoff is a combination of an independent expression of intention under the substantive law of setoff and an action under the litigation law of pleading. In terms of litigation law, the plea of setoff is only one of the grounds for defense, such as the claim for repayment, deposit, and extinctive prescription. There is no reason why re-plea of setoff shouldn't be allowed. However, the plea of setoff is essential, since the confirmation of the bond provided to the setoff is premised, there is validity of fixed judicial decision. As a result, there is virtually no difference between a consolidation of claims or a cross-action, and delay of litigation may occur. In this respect, the question of whether a re-plea of setoff is acceptable in theory can be discussed. In this regard, Supreme court precedents have already considered that re-plea of setoff is not permitted. In other words, the precedent states that in order for the re-plea of setoff to be established, a counter obligation to be extinguished through re-setoff must exist to satisfy the requirements for offsetting. However, the main reason for the judgment is that in the case of a re-plea of setoff, there is no such requirement for offsetting, so there is no room to be allowed under the substantive law. On the other hand, many theories say that in theory, the requirements for offsetting can be satisfied, but in terms of litigation policy, it is reasonable to not allow re-plea of setoff. First of all, whether a re-plea of setoff is permissible is an essential and a prerequisite to whether the requirements for offsetting can be satisfied under the substantive law. In the end, the litigation aspect can be discussed only when the substantive law problem is resolved. Therefore, here, a plea of setoff is a conditional setoff, and what the meaning of the condition is was examined in detail. In conclusion, the substantive law satisfies the requirements for offsetting, so re-plea of setoff should be allowed. It is argued that the argument that this cannot be allowed as a litigation policy for fear of a lot of lawsuits and delay of litigation cannot be accepted because there is a risk of falling into judicial expediency. The pleadings principle, which is the basis of civil procedure, is completed by the free exercise of right of the parties to attack and defend. Therefore, the re-plea of setoff should be fully permitted under the current law, and a change in precedent is expected. 상계항변은, 상계라는 실체법상 의사표시와 항변이라는 소송법상의 행위가 결합된 것이다. 소송법적 측면에서 보면, 변제, 공탁, 소멸시효 주장과 같이 항변사유 중의 하나에불과할 뿐이므로, 다른 항변사유와 동일하게 상계재항변도 허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계항변의 판단에는 상계에 제공된 채권의 확정이 전제되므로 예외적으로 기판력이 있고, 이로 인해 사실상 병합청구나 반소 등과 차이가 없어 소송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도 이론상 상계재항변이 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가 논의될 수 있는데, 판례는이미 상계재항변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즉 판례는 상계재항변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재상계를 통해 소멸할 반대채권이 존재하여야 상계적상 요건이 충족될 것인데, 상계재항변을 하는 경우 이러한 상계적상 요건이 없어 실체법상 허용될 여지가 없다는 것이주된 판결이유이다. 반면 학설 중에는 이론상 상계적상 요건을 충족할 수 있으나 소송정책적으로 상계재항변은 허용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도 있다. 먼저 상계재항변이허용될 수 있는지 여부는 실체법상 상계적상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본질적이며 선행적 조건이고, 이는 결국 실체법적 문제가 해결되어야 소송법적 측면이 논의될수 있다. 여기에서는 예비적 상계항변은 조건부 상계인데, 그 조건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실체법적으로 상계적상 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므로 상계재항변은 허용되어야 하고, 소송번잡과 소송지연을 우려하여 소송정책상 이를 허용할 수 없다는 주장은 사법편의주의에 빠질 위험이 있어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민사소송의 근간인 변론주의는 당사자의 자유로운 공격방어권의 행사로 완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계재항변은 전면적으로 허용되어야 하며 판례의 변경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