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주주행동주의에 대한 대응과 자본시장법 시행령 등의 개정을 통한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의 문제점

        최준선(Junesun Choi) 한국경제연구원 2020 KERI Insight Vol.20 No.1

        In recent decades, we could have noticed several phenomena in the US capital market such as very rapid changes in shareholders, shortening the period of stock retention, and institutional investors becoming the main players in the stock markets. Individual investors, who are true shareholders, have become bystanders and are not participating in decision-making of company. In particular, recent performance of the shareholder-activism funds was notable. Shareholder activists are known to be investors with little interest in the long-term development of a company. Firms dominated by shareholder activists tend to blur the notion of corporate prosperity and co-growth between company and employee, and companies ignore wage increases of employee even when a company has achieved the ever highest performance and profit. They seek only additional profit by increasing layoffs or accelerating wage cuts through concentrating on off-shoring. This phenomenon is gradually progressing not only in the United States but also in the present Korea. In addition, tendency of belonging of a corporation to any country and to any region is weakening. Boldly give up the benefit of belonging to the state for the purpose of pursuit of profits or saving by taking advantage of regulatory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or regions. The CEOs, who are promised enormous compensation, are bent on meeting institutional investors’ hopes for short-term share price rallies while ignoring the interests of other stake-holders in the company. The typical characteristic feature of modern capital markets can be referred to as separion of ownership from individual investors, who are true stockholders, to institutional investors, who are mere agents of true stockholders. Another feature may be the separation between professional managers, who are agents of shareholders, and institutional investors, who are agents of investors. This feature can also be referred as to the conflict between two powers of ‘corporate-manager agents’ and ‘money-manager agents’. In the paper, the writer has shed light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roles of shareholder activists under the revision of the Korea Capital Market Act and examined ways to protect domestic companies from the negative aspects of the shareholder activists. 최근 수십 년간 미국 자본시장의 중요한 변화는 주식 보유기간이 단기화되어 주주 변동이 매우 빨라지고 있고, 개인들의 직접투자보다는 기관투자자들을 이용한 간접투자가 크게 늘었다는 것이다. 실제 주주인 개인투자자들은 방관자가 되어 의사결정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대신 주주행동주의 펀드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주주행동주의자들은 기업의 장기적 발전에는 관심이 별로 없는 투자자들로 알려져 있다. 주주행동주의자들이 지배하는 기업은 기업의 번영과 직원들의 동반 성장에 대한 개념은 희미해지고, 기업은 이익이 나도 임금 인상은 도외시한다. 해외업무위탁(Offshoring)을 통해 해고를 늘리거나 임금 삭감을 가속화해 추가적인 이익을 도모한다. 이런 현상은 미국뿐만 아니라 현재 한국에서도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 국가와 지역에 대한 기업의 소속감은 약화되고 있다. 지역 간의 규제차이를 이용하여 이익을 추구하거나 절세를 목적으로 국가에 대한 소속감을 과감히 포기한다. 어마어마한 보상을 약속받는 최고경영자는 기업의 다른 이해관계자의 이익은 무시한 채 단기적 주가상승을 요구하는 기관투자자들의 희망에 부응하는데 골몰한다. 현대 자본시장은 진정한 주식 소유자인 개인투자자로부터 기관투자자의 소유로 이전되는 현상을 ‘소유와 소유의 분리’(separation of ownership from ownership)라 할 수 있고, 지배주주의 대리인인 전문경영인과 소액 주주들의 대리인인 기관투자자들 간의 알력(debate)을 ‘대리인 간(corporate-manager agents and money-manager agents)의 알력’이라 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주주행동주의자들의 긍정적인 역할과 부정적인 역할을 재조명하고 주주행동주의자들로부터 국내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한다. 아울러 자본시장법 시행령 등의 개정으로 인한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그 재개정을 촉구한다.

      • KCI등재

        영국 주식회사제도의 발달 연구 - 19세기 주식회사제도의 발달지연과 특색

        최준선(Junesun Choi) 한국기업법학회 2013 企業法硏究 Vol.27 No.2

        The history of English Company Law and that of United States has been rarely studied in the Republic of Korea, although both are forefathers of the Korean Corporation Law. Due to Bubble Act of 1720 unincorporated - unregistered companies were flourished in U.K., because the U.K.Government hesitated to give charter to incorporate companies and people also did trust neither stock nor stock companies as the aftermath of the collapse of South Sea Company. The Bubble Act was repealed in 1825. In 1844 the Joint Stock Companies Registration Act was enacted. Nevertheless, unincorporated - unregistered companies were still popular. Lawyers invented a form of joint stock companies organized under a Deed of Settlement. The Deed of Settlement was a contract under which the members were the owner of the company and were personally liable for obligations of the firm without limitation of liability. Even the incorporated - registered companies under the 1844 Companies Registration Act have the same position as the member of the unincorporated - unregistered companies. Already in eighteenth century, the term “private company” was in use distinguishing from public companies incorporated by charter or statute. In 1955 the Limited Liability Act was enacted but this Act and other Acts concerning companies were repealed and consolidated in the Joint Stock Companies Act, 1856. The Companies Act of 1908 first gave a statutory definition of “private company” and distinguished it from other forms of companies. Traditionally, Companies in U.K. were emerged from “contract”, whereas in the United States corporation was incorporated by statute. As a result, the stockholder of English companies perceive themselves as the owner of the company and liable for the obligation of the company as the owner of the company. Even today, the incorporators of a company must provide their limited liability in the articles of association if they want to enjoy limited liability. “Unlimited” means that the incorporators will be liable for all losses and debts under the general principles of civil law. In U.K., shareholder primacy is still dominant and the manager of the company should consider the stakeholder as a vehicle to enlighten shareholder value. Therefore, controversies over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re not really activated in England yet.

      • KCI등재

        상법상 주식양도제한규정에 대한 재검토

        최준선(Junesun Choi) 한국기업법학회 2015 企業法硏究 Vol.29 No.3

        필자는 이 논문에서 상법상 주권발행제도의 폐지를 주장하면서 동시에 권리주양도 제한규정과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 제한규정의 폐지를 주장한다. 상법상 주식양도는 유가증권이 부존재한다면 지명채권양도의 방법에 의하고, 유가증권이 존재한다면 그 유가증권을 교부함으로써 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기존의 계약법과 유가증권법리에 적합한 해석으로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런데 상법은 권리주의 양도를 제한하고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를 제한한다. 권리주와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를 제한하는 이유는 기술적인 이유 뿐이고, 그 외에 제한할 절대적으로 타당한 이유는 찾을 수 없다. 오히려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를 금함으로써 과거 회사를 팔아먹은 자가 도로 회사를 되찾는다고 하는 엉뚱한 목적을 위하여 이 규정이 악용되는 부작용만 발생하였다. 주식양도부분 중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 제한 부분은 불필요한 규제로 많은 판례를 양산하는 원인이 되었다. 입법례도 한국과 일본에만 있다. 일본의 경우는 주권불발행을 윈칙으로 하면서 정관으로 주권을 발행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 경우에는 지체없이 주권을 발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일본 회사법 제215조 제1항). 또한 주권을 발행한 이상 주권을 교부하지 아니하면 주식양도의 효력이 발생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한다(일본 회사법 제128조 제1항).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는 주권발행회사에 대한 관계에서는 당사자 간에도 효력이 발생하지 아니하지만(일본회사법 제128조 제2항), 물론 당사자 간에는 효력이 있다고 해석된다. 다만, 법원은 회사가 주권발행을 부당하게 지체하고 있는 때에는 주주가 의사표시에 의하여 주식을 양도하고 명의개서를 요구한 경우, 회사는 신의칙에 비추어 이를 거절할 수 없다고 한다. 우리처럼 6개월의 기준을 정해두고 있지 않으며 해석에 맡기고 있다. 일본과 비교하면 일본은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는 전면 금지하는 데 비하여 한국 상법은 6개월 후에는 양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다르다. 필자는 일본법을 따라가자는 것이 아니라, 6개월 전후를 불문하고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 금지 자체를 폐지하자는 것이다. The author, in this thesis argues for the abolishment of the policies of issuing share certificates under Korean commercial law, and at the same time argues for the removal of clauses that limit the transfer of rights or the transfer of right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Transfer of shares under commercial law is done by the transfer of designated bonds if there are no existing certificates. If there are certificates, then the transfer occurs through distribution of such certificates. This does not pose an issue as it is an interpretation in line with existing contract law and commercial paper law. However, the commercial code limits the transfer of share rights as well as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The reason for the latter is only technical, and there are no absolute rationale that can justify such a policy. Rather, the banning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led to some side effects such as those having sold off the company re-purchasing his firm. The regulations on limiting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are unnecessary and have only caused many case rulings. Such cases of legislation can also be found only in Korea or Japan. As for Japan, the principle is not to issue a share certificate, but certificates can be issued under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In such a case, it is stipulated that the share certificate be issued immediately without delay. (Clause 1, Article 215 of the Japanese Corporation Law). In addition, if certificates are not distributed after issuance, the transfer of shares does not take effect (Clause 1 of Article 128 of Japanese Corporation Law).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does not take effect even in terms of the relation with the issuing company (Clause 2, Article 128 of Japanese Corporation Law), but of course is interpreted as effective between the parties directly involved in the transaction. However, the court, when a corporation delays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without any justifiable reason, and when a shareholder, through his expression of will, requests a change in the register after transferring his shares, the company, cannot deny this under good principle. There is no time limit such as the 6 month-long window in Korea and each case is left for interpretation. Compared to Japan, while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issuing certificates is completely banned in Japan, in Korea the transfer can be made after 6 months. The author is not suggesting that the Korean code simply follow the Japanese law, but to abolish the clause prohibiting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issuance of certificates, no matter whether it is before or after 6 month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國際航空運送에 관한 1999년의 몬트리올 協約上의 第5 管轄權에 관한 考察

        최준선(Junesun Choi)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4 성균관법학 Vol.16 No.1

        One of the major innovations of the Montreal Convention is the so-catled "fifth jurisdiction," Which was added to the four jurisdictions already avallable under Article 28 Warsaw Convention. The four Warsaw Convention jurisdictions are now provided for in Article 33 (1) Montreal Convention The "fifth jurisdiction" was inserted in Article 33 (2) Montreal Convetion. Article 33 (1) of the 1999 Montreal Convention atlows an action to be brought in a fifth jurisdiction, the place where the passenger has his or her principal and permanent residence and to or from which the carrier operates services for the carnage of passengers by air, either on its own aircraft, or on another carrier's aircraft pursuant to a commercial agreement, such as a code share agreement. and in which that carrier conducts its business of carriage of passengers by mr from premises leased or owned by the carrier itself or by another carrier with which it has a commetcial agreement. This writer discusses the qualifications of the fifth jurisdiction analysing major concepts such as "Commercial agreement", "principal and permanent residence", "death and bodily injury claims", "State Party", "the mearung of carrier's operation in the fifth jurisdiction" and "permanent residence". Like the jurisdiction provisions in the 1929 Warsaw Convention, the jurisdiction provisions in Montreal 1999 cannot be restricted by agreement ?The aim of the fifth jurisdiction is to allow highly mobile individuals, such as temporary expatriates, to sue carners In their home country, However, the number of passengers who may benefit from Arhcle 33 (2) Montreal Convenhon w1l1 be relatively small Moreover, the fifth Junsdichon does not apply to baggage claims, Consequently, If there is a claim for death or personal injury involving the loss or destruction of baggage, the baggage claim must be brought before one of the four Jurisdictions in Article 33 (1) Montreal Convention and cannot be brought In the jurisdiction of the passenger's principal and permanent residence, The writer suggests the revision of the Convention allowing the fifth jurisdiction to the baggage claim too.

      • KCI등재후보

        국제항공운송에 관한 1999년 Montreal Convention에 대한 一考

        崔埈璿(Choi Junesun) 한국법학원 2004 저스티스 Vol.- No.78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하여 2003년 11월 4일 발효된 국제항공운송인의 민사책임에 관한 1999년 몬트리올 협약의 내용을 간추려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조속한 가입을 촉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항공수송 능력은 세계 10위권에 진입하고 있고, 국제항공화물 운송실적은 2002년도에 2,077,000톤으로 전년 대비 11.2% 증가하였으며, 지난 10년간 연평균 9.5%의 성장을 보이고 있고, 세계 국제항공화물 운송순위에 있어서도 우리나라는 2001년도 기준으로 4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항공운송산업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산업인데, 이 산업의 성장을 위한 법적 기반은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항공운송과 관련하여 1955년 헤이그 의정서에 의하여 개정된 협약에만 가입하였을 뿐이다. 1999년의 몬트리올 협약은 그 이전의 조약이 취하였던 대부분의 원칙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손해배상한도액을 철폐한 것이라든지 새로운 관할권을 인정하는 등 상당히 개혁적인 요소를 다수 포함하고 있다. 몬트리올 협약의 주요 내용을 보면, (ⅰ) 여객의 死傷에 대한 배상액 10만 SDR까지는 항공사에 대한 엄격 책임(strict liability)을 부과하고, (ⅱ) 10만 SDR을 초과하는 손해에 관해서는 항공운송인이 자신의 과실이 없음을 입증하여야만 면책되는 과실추정책임주의(presumptive liability)를 채택하여 이른바 이원적 책임체계(two-tier liability system)를 채택하였다. (ⅲ) 화물에 가하여진 손해에 대하여는 wilful misconduct가 인정되는 경우에도 책임제한을 적용하고, (ⅳ) 여객의 운송지연시의 책임한 도액을 설정하였으며(여객당 4,150 SDR), (ⅴ) 위탁수하물과 휴대수하물의 구분 없이 수하물에 대한 배상책임한도액을 여객 당 1,000 SDR로 규정하였다. (ⅵ) 여객운송과 관련하여 제5관할권을 인정하였으며, (ⅶ) 선급금 지급제도를 도입하였고, (ⅷ) 물가변동율을 감안한 책임한도액 자동조정 장치를 확립하였으며, (ⅸ) 강제보험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몬트리올 협약은 이미 세계 주요 항공 선진국들이 서명, 가입함으로써 발효되었다. 이 협약의 발효로 인하여 종전의 바르샤바 협약을 대체하여 전 세계의 국제항공운송인의 책임관계를 규율하게 될 것이 확실하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본 협약에 신속히 가입함은 물론, 가입 후의 실행에 따른 제반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로써 우리나라가 세계항공산업 선진국들과 보조를 같이하고 상호협력체제를 구축해 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 株式의 包括的 交換과 移轉制度의 몇 가지 問題點

        崔埈璿(Choi Junesun) 한국법학원 2002 저스티스 Vol.- No.67

        2001년 개정상법에서 기업의 경쟁력 회복을 위하여 기업재편수단의 유연화ㆍ다양화를 도모하는 법적 기반정비의 일환으로 도입된 株式의 包括的 交換과 移轉制度는 방대한 조문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해석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법률에 규정되지 아니하거나 학설상 다툼이 있는 부분에 관한 해석론을 전개하였다. 주식교환과 주식이전 다 같이 완전모자회사를 창설하는 조직법상의 행위이나. 주식이전은 이에 의하여 완전모회사가 신설된다는 것이 기존의 두 회사간의 모자관계를 창설하는 주식교환과의 가장 뚜렷한 차이점이다. 이 글의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식교환ㆍ주식이전제도의 법적 성질은 會社의 組織法上 行爲說로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當事會社가 債務超過인 경우에는 주식교환ㆍ주식이전을 허용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셋째, 상법은 주식교환ㆍ주식이전의 승인결의를 하는 주주총회일의 2주간 전부터 주식교환후 6월을 경과하는 때까지 주식교환계약서 등을 이사가 공시하도록 하면서도, 이사가 이 공시의무를 위반한 경우 그에 대한 조치에 대하여 아무런 규정을 두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경우 과태료의 제재를 받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상법은 이사는 총회회일전 6월 이내에 작성한 각 회사의 최종대차대조표와 최종손익계산서를 비치하여 주주에게 열람ㆍ등사청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들 비치서류가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모호하다. 여기서의 비치서류는 6개월 내에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은 것 또는 승인을 받지 아니한 것이라면 주식교환과 주식이전을 결의하는 총회에서 승인을 받을 것을 조건으로 6개월 이내에 작성한 최종대차대조표 또는 최종손익계산서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상법은 株式移轉의 경우 株券失效節次에서 公告期間을 漏落하였는데, 이는 입법의 착오로서, 주식교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식을 이전하는 날의 1월 전에 공고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小規模株式交換의 경우에는 株式買受請求權을 인정하고 있지 아니한데, 이는 잘못이라 본다. 일곱째, 주식교환ㆍ주식이전의 성공여부와 주주보호에 있어서는 주식교환비율ㆍ주식배정비율의 공정성 확보가 관건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규정이 상법에는 없다. 오늘날 증권집단소송, 주주대표소송을 비롯한 많은 증권관련 소송에서 주식평가의 적정성이 크게 요구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금융공학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여덟째, 주식교환이 있더라도 완전자회사로 될 회사의 주주는 株主代表訴訟에서 당사자적격을 잃지 않는다고 본다. 아홉째, 완전자회사가 되는 회사가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고 있는 경우 및 주식매수선택권(stock option)을 부여한 경우, 완전자회사의 전환사채 등을 완전모회사로 되는 회사가 승계하는 규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밖에 株式交換ㆍ株式移轉無效의 訴의 提訴權者와 被告는 누구인가 등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