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末日帝參謀本部장교의 한반도 정찰과 지도제작

        남영우(Young-Woo Nam),渡理繪(Rie Watanabe),山近久美子(Kumiko Yamachika),이호상(Ho-Sang Lee),小林茂(Shigeru Kobayashi)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6

        본 연구는 조선왕조 말기에 일본 육군성 참모본부 소속의 장교들로 조직된 간첩대가 한반도에 침투하여 비밀측량을 실시한 배경과 과정을 파악하고 그 실체를 규명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지도들은 첩보장교들의 목측에 의해 은밀하고 신속하게 제작된 노상측도와 目測迅速圖로 제작된 것들이다. 종래에는 1885년경부터 노상측도가 행해진 것으로 밝혀진 바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1882년 이소바야시 중위에 의해 최초로 노상측도가 시도되었음이 밝혀졌다. 그들은 1883~1887년에 걸친 정찰루트와 간행지도를 분석한 결과 단기간에 지도제작은 물론 정보수집을 위하여 역할이 분담되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and proves the historical facts about the confidential land survey on Korean peninsula made by Japanese intelligence officers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Under the command of general staff office of Japanese army, the military officers produced several maps through road map measurements and visual measurements. Although previous literature indicated road map measurements on Korea were originally implemented from 1885, this study confirms that road map measurements were initiated in 1882 by a lieutenant Isobayashi. Reflecting secret map making procedures, the individual military intelligence officers had specialized roles for swift information collection and map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