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조선족과 재일코리안의 한류(Korean Wave) 인식에 관한 연구

        선봉규 한국동북아학회 2014 한국동북아논총 Vol.19 No.4

        Now a days, Korean wave shows establishment the phase in the global culture beyond of Asia that has significant impact on improving image of Korean culture as well as national brand value. Especially Korean wave as a phenomenon of transculturation has become a unique opportunity in communication and culture of home country for diaspora who are living as social minority or marginal group in abroad. This study analyzes how diaspora recognizing the Korean wave who live in China and Japan. The analyzing materials of this study is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Korean Chinese living in Yanji, China and Korean Japanese living in Tokyo, Jap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wareness of the image of home country improves through Korean wave among ethnic koreans in China, intent of purchasing home country product, and enhance self-esteem and image of ethnic Koreans in positive response to an item, whereas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issues and awareness by the discrimination against ethnic Korean in the middle respectively dominant negative answer. Second, the awareness of the image of home country enhances through Korean wave among ethnic Korean living in Tokyo, Japan, willing to visit home country, intent of purchasing home country product, and enhance self-esteem and image of Koreans resident in Japan in positive response to an item whereas by the daily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issues were relatively dominant negative answer.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comparison of recognition of Korean wave between Korean Chinese and Korean Japanese, overall Korean Japanese perceive respectively positive than Korean Chinese. Fourth, Total of 10 item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age enhancement for homeland, enhance the image of home country people, intention of learning home country language, willing to visit home country, intent to purchase product of home country, strengthen friendly relation with their home country, weak awareness to against of discrimination of Korean Chinese and Korean Japanese, enhance self-esteem of Korean Chinese and Korean Japanese, enhance the image of Korean Chinese and Korean Japanese in 9 item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non-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respectively on understanding of historical issues between the two countries. 오늘날 한류는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문화의 위상을 확립해가면서 한국 문화의 전파 뿐만 아니라 국가 브랜드 가치의 제고와 제품의 이미지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한류는 초문화화 현상으로써, 거주국에서 사회적 소수 혹은 주변인으로 살아가는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모국의 문화와 소통할 수 있는 특별한 계기가 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중국과 일본에 각각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과 재일코리안이 한류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분석 자료는 중국 연길과 일본 도쿄에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과 재일코리안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지 270부를 활용했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연길에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들의 한류에 관한 인식은 모국의 이미지 제고, 모국 제품의 구매 의향, 그리고 조선족의 자긍심 및 이미지 제고 등의 항목에서 긍정적인 답변을 보인 반면, 한․중간의 역사문제 이해와 조선족에 대한 차별 의식 약화 등의 항목에서는 부정적인 답변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둘째, 일본 도쿄에 거주하고 있는 재일코리안들의 한류에 관한 인식은 모국의 이미지 제고, 모국 방문 의향, 모국 제품 구매 의향, 재일코리안의 자긍심 및 이미지 제고 등의 항목에서 긍정적인 답변을 보인 반면, 한․일간의 역사문제 이해에서 부정적인 답변이 우세했다. 셋째, 중국조선족과 재일코리안 간의 한류 인식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재일코리안들이 중국조선족보다 한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체 10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은 모국에 대한 이미지 제고, 모국 사람에 대한 이미지 제고, 모국어 학습 의향, 모국 방문 의향, 모국 상품 구매 의향, 모국과 우호관계 강화, 조선족 및 재일코리안에 대한 차별 의식 약화, 조선족 및 재일코리안의 자긍심 제고, 조선족 및 재일코리안의 이미지 제고 등 9개 항목이었다. 반면, 역사문제 이해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다인종·다문화시대 지방자치단체의 이주민 지원 조례 연구: 광주광역시 지역을 중심으로

        선봉규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22 국제문화연구 Vol.15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the ordinance enactment of local governments supporting migrants living in the region in a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ordinance to support migrants in the local government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he method of analysis is divided into the normative system and the effective system of the ordinance, and the contents a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olicy target of the ordinance, some local governments exclude migrants who do not have the legal status of residence, causing confusion in policy implementation. Second, the ordinance's support scope specifies very similar projects and has a standardized framework. Third, the ordinance has provisions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ommittees and support centers for the efficient promotion of migrant policies, but they are at a non-forced level. Fourth, most of the contents related to health and medical care support for migrants remain at the level of providing living convenience and emergency relief.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ordinance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policy targets of the migrants support ordina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ordinance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f the area where migrants live. Third, local governmen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hould establish support centers and promote practical projects for the efficient promotion of migrants support policies. Fourth, local governments should revise ordinances to improve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migrants. Lastly, since this study looked at the migrant support ordinance targeting local governments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bound to have certain limitation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migrant support ordinances by expanding the research area.

      • KCI등재

        한국에서 외국인 집거지의 형성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

        선봉규 한국동북아학회 2017 한국동북아논총 Vol.22 No.2

        Korean society has lived all the while forming a community on the basis of the same nation, culture and language. However, foreign migrants recently live forming ethnic enclaves with different culture patterns and values focused on specific areas in the settlement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Koryeinmaeul’ formed during the process of settlement and adaptation of Overseas Korean residents from CIS concentrated in Wolgok-dong, Gwangsan-gu,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life in Koryeinmaeul is being carried out centered on self-employed small business such as restaurants, cafes and marts. Second, Koryeinmaeul has formed and operated self-reliant organizations for stable settlement and adaptation in the local community. Third, Koryeinmaeul is relatively equipped with facilities to solve the issue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of their children. Forth, the city ordinance for supporting the Overseas Korean from CIS was acted for the first time and it draws on the continued interest of the local community. Lastly, Overseas Koreans living in Koryeinmaeul are participating in multicultural alley neighborhood meetings and inhabitant meetings for Wolgok 2-dong in order to coexist with local residents. Henceforward Koryeinmaeul should prepare ways for the local residents and other migrants to participate in the Koryein events. In addition, Koryeinmaeul should strengthe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yein residents to communicate with local residents. 한국사회는 그동안 동일한 민족과 문화, 언어를 근간으로 공동체를 형성하여 살아왔으나, 최근에는 외국인 이주자들이 정착하는 과정에서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문화양식과 가치를 담은 집단 거주지가 형성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동 일대에 집중 거주하고 있는 고려인들이 지역사회에 정착, 적응하는 과정에서 형성한 고려인마을의 공간적 특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인마을에는 음식점, 카페, 마트 등 소규모의 자영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고려인마을에는 고려인들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 적응하는데 필요한 자생적인 단체를 형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셋째, 고려인마을은 상대적으로 자녀들의 보육 및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설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넷째, 고려인마을은 최초로 고려인주민을 지원하기 위한 조례를 제정했으며,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관심 유도와 함께 다양한 연계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고려인마을은 원주민과 공존하기 위해 다문화 골목반상회, 월곡2동 주민회의에 참여하고 있다. 향후 고려인마을은 고려인주민 행사에 원주민들과 다른 이주민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고려인마을은 고려인주민들을 대상으로 원주민들과 소통하기 위해 필요한 한국어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중국 연변조선족의 한국 연계 활동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선봉규 한국동북아학회 2016 한국동북아논총 Vol.21 No.1

        Korean-chinese who is migrated people and cross-border ethnicity has been traditionally living in the three northeastern provinces(Jilin, Heilongjiang, Liaoning) forming the ethnic enclaves. Korean-chinese had self-governing state in Yanbian by actively contributing to construction of new China so that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national education could be maintained. However, since China’s reform and opening, and after the two countries formed bilateral ti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Korean-chinese has migrated to not only the interior and the coastal urban areas in China but also the global areas such as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Japan. Especially, Korean-chinese has been rising along with the migration to South Korea regularly and contacting new culture and people, the interest in Korean-chinese identity is gr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 of activities linked with South Korea on Identity of Korean-chine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Korean-chinese living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wareness of South Korea was given more positive answers than negative one. Secondly, 86% of respondents have family and relatives living in South Korea. Thirdly, the features of activities linked with South Korea are that acceptance of the Korean wave and family’s help are more important than political intervention or participation in group activity. Fourthly, Identity of Korean-chinese was found predominantly ethnic Koreans and Chinese people-oriented rather than oriented South Korea. Lastly, correlation between activities linked with South Korea and identity of Korean-chinese shows that indirect activities are more effect than direct one. 이주민족이면서 과계민족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조선족은 전통적으로 동북 3성 지역을 중심으로 집거지를 형성하여 살아왔다. 조선족은 신중국 건설에 적극 기여함으로써 길림성 연변지역에 자치주를 건설하였고, 민족교육과 전통문화를 유지해왔다. 그런데 중국의 개혁개방과 한-중 수교가 성립된 이후부터 조선족은 새로운 삶의 기회를 찾아 내륙 및 연해지역 도시 이주와 함께 한국, 미국, 일본 등 글로벌 차원의 이동이 일상화되고 있다. 특히 연변조선족의 한국 이주가 본격화되고 새로운 사람과 문화를 접촉하게 되면서 조선족의 정체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 논문은 연변조선족이 경험한 한국 연계 활동이 그들의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변조선족자치주에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변조선족의 한국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응답보다는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둘째, 연변조선족은 한국에 가족이나 친척들이 거주하고 있는 사례가 86%에 달했다. 셋째, 연변조선족의 한국 연계 활동의 특징은 정치문제 개입이나 단체 활동에 참여하는 등 직접적인 연계 활동 보다는 한류의 수용이나 정보 수집, 가족 및 친인척의 도움 등 간접적인 연계 활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변조선족의 정체성은 조선족 지향 및 중국 지향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 연계 활동과 연변조선족의 정체성 간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접적인 연계 활동보다는 간접적인 연계 활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국 연변조선족의 9․3절 기념 축제의 콘텐츠와 정체성 연구

        선봉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4 평화학연구 Vol.15 No.3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Chinese as diasporic identity, and their social role through ‘September 3rd Celebrating Festival’ which is the most important anniversary because the day is the establishment of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According to this, the study is to carry out filed survey with 172 Korean Chinese people.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60th Anniversary of the September 3rd Celebrating Festival, Yanbian Korean Chinese is applying tools and programs to emphasize the Korean's unique characteristic and their emotions. Second, the festival is the kind of space to build multi-level identities by exchanging and blending identities between Korean Chinese and other ethnics. Third, the festival makes Korean Chinese image improves, and Korean Chinese feel pride by themselves. Lastly, the festival is contributing to social relationship among different ethnics by sharing cultures. 이 연구는 중국 연변조선족의 최대 경사인 9·3절 기념 축제에 내장되어 있는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의 특성을 살펴보고, 9·3절 기념 축제가 갖는 사회적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주도인 연길시를 현지 방문하여 수집한 기초자료와 설문조사 172부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연변조선족들은 2012년 60주년 기념 축제에서 조선족 특유의 민족적 감정과 정서를 강조하는 도구와 프로그램들을 사용하고 있다. 둘째, 연변조선족의 9·3절 기념 축제는 조선족의 정체성과 다른 민족의 정체성간의 교류와 융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중층적 정체성이 형성되는 공간이다. 셋째, 9·3절 기념 축제는 조선족의 이미지 제고 및 자긍심 고취 등 정체성 강화의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9·3절 기념 축제는 다른 구성원간의 소통 및 교류를 통해 그들의 문화를 공유하고 새로운 사회관계를 형성, 개선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 KCI등재

        근·현대 재일한인 디아스포라의 이주와 재영토화 연구: 오사카와 도쿄를 중심으로

        선봉규 한국동북아학회 2011 한국동북아논총 Vol.16 No.3

        n the modern age, the Korean-Japanese have been embroiled in extremely difficult and challenging history of struggle within their own lives in order to retain their independent identity against the backdrop of Japan’s policy towards a single-race n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use of cause of Korean migration to Japan, and how they settled down and rebuilt their lives following their migration to Japan. Moreover,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activities they have engaged in to keep their identity intact. To this end, the study looks in to the development of migr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of Korean-Japanese focusing on the Korea towns in Osaka and Tokyo, the largest dwelling area of Koreans in Japa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Korean-Japanese, who migrated for good to Ikuno-ku, Osaka City, the largest residential area of Koreans in Japan , began to form a Koreatown mainly composed of labor migrants in an involuntary and forced fashion, as a result of Japan’s colonial rule. In stark contrast, Shinjuku in Tokyo City, the second largest dwelling area of Koreans, saw a heavy influx of new Korean migration, but these Koreans are relatively free from the effects of history such as race discrimination, and are armed with confidence, thus creating a renewed Korean residential area in which adult-oriented entertainment and services businesses are clustered together. Second, in the Koreatown in Ikuno-ku, Osaka City, Japan, Koreans in their 50s top the list of migrants, accounting for 16.9%(21,994); followed by those in their 40s, accounting for 16.1%(20,955); 60s for 15.6%(20,319); and 30s for 15.0%(19,499). As for Shinjuku in Tokyo City, those in their 20s top the list, accounting for 23.6%(26,958); followed by those in their 30s, accounting for 21.9%(25,049); 40s for 15.6%(17,844); and 40s or younger for 61.1%(69,852), making up a residential area in which Korean newcomers are dominant among the population. Lastly, it was found that unlike the previous generations of Korean migrants to Japan, the Korean newcomers in Tokyo established on their own ‘The Federation of Korean Associations, Japan’ independent of other federations, for sharing information and building a social network for their successful settlement and adaptation in Japan. 한국의 근·현대의 역사적 공간에서 형성된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여러 가지 이유로 고국과 가족, 그리고 삶의 터전을 등지고 새로운 정착지(host country)에서 새로운 삶의 방식을 터득해야 했고, 때로는 동화되어 갔다. 특히 재일한인들은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배와 민족차별에 맞서 자신들의 삶의 공간에서 지난한 투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근․현대시기 재일한인들이 어떠한 이유에서 일본으로 이주(migration)해 갔으며, 이주 후 거주국에서 어떻게 삶의 터전을 마련하고, 자신들의 정체성(identity)을 지키기 위해 어떠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최대 한인 집거지인 오사카와 도쿄의 코리아타운을 대상으로 재일한인들의 이주와 재영토화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에서 최대 한인 집거지인 오사카 이쿠노구 지역에 이주하여 집거지를 형성한 재일한인들은 주로 일제 식민지 지배의 산물로, 비자발적이면서 강제적인 성격의 노동이주자들이 중심이 되어 코리아타운을 형성하였다. 반면에, 일본에서 두 번째로 한인들이 많이 살고 있는 도쿄 신주쿠지역은 민족차별과 같은 과거사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고 당당한 의식을 가진 뉴커머들이 집중적으로 유입되면서 유흥업 및 서비스업이 주종을 이루는 새로운 한인 집거지역이 되었다. 둘째, 오사카 이쿠노구 코리아타운은 50대가 16.9%(21,994명)로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40대가 16.1%(20,955명), 60대가 15.6%(20,319명), 30대가 15.0%(19,499명)순으로 나타났다. 신주쿠지역은 20대가 23.6%(26,958명)로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30대가 21.9%(25,049명), 40대가 15.6%(17,844명) 순으로, 40대 이하가 61.1%인 6만 9천 852명으로 뉴커머들이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쿄지역의 뉴커머 한인들은 올드커머와는 달리 민단에 가입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재일본한국인연합회’를 결성하여 거주국에서의 성공적인 적응을 위해 상호간의 정보공유와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문화변용 연구 - 중국조선족과 재일코리안을 중심으로 -

        선봉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4 민족문화논총 Vol.56 No.-

        이 연구는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중국조선족과 재일코리안을 대상으로 거주국사회에서의 문화변용전략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중국조선족의 최대 집거구인 연길과 재일코리안의 신집거지로 부상하고 있는 도쿄 등에 거주하고 있는 한민족 디아스포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 중국조선족 172부, 재일코리안 96부 등 총 268부가 회수되어 분석 자료로 활용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중국조선족과 재일코리안을 대상으로 한 한민족 디아스포라의 문화변용전략은 통합유형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민족 디아스포라들이 민족의 고유문화와 정체성을 계승, 발전시키고 거주국의 문화와 사회적 가치를 수용함으로써 그들과 공생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중국조선족보다 재일코리안이 거주국에서 주변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거주국의 소수민족 혹은 외국인에 대한 정책과 지배민족의 편견 및 차별적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셋째, 문화변용척도 중 언어구사력 항목에서 중국조선족에 비해 재일코리안의 수준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쿄 거주 재일코리안의 이주가 19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과 일본 정부의 차별, 배제 정책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This study is that examining acculturation strategy intended for Korean chinese and Korean japanese which are origin of Korean Diaspora. To achieve the purpose, researcher out survey intended for Korean Diaspora in yanji and tokyo where is emerging as new resident area. 172 papers of Korean chinese, 92 papers of Korean japanese are used as analyze material. Main result of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Korean chinese and Korean japanese acculturation strategy shows that integration type is superior. This menas they take symbiosis strategy as succession, development Korean culture and identity also acception social culture and value where they are in. Second, Korean japanese shows high tendency of marginalization than Korean chinese. This difference came from minority policy of country or foreign policy and prejudice of major group and discrimination attitude. Third, Korean japanese language ability among the acculturation measure appears law level compared to Korean chinese. This is valued that Korean japanese immigration was performed after 1980th and caused by Japanese government’s discrimination, exclusion policy.

      • KCI등재후보

        영주귀국 사할린한인의디아스포라적 경험과 모국사회 적응 연구: 오산과 천안 정착민 사례

        선봉규,지충남 재외한인학회 2013 在外韓人硏究 Vol.31 No.-

        This study is to examine for diasporic experience of Sakhalin Koreans(permanent returnees), and to devise ways to improve their lives as researching adaptation conditions and understand the problem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wice through field investigation, and survey and depth interviews on Sakhalin returnees from August to November, 2011. The results of this study drawn by these two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Sakhalin Koreans was the marginal persons when they stayed in Russia, they had been cherishing the memory of motherland which they and their parents were born and dreaming to return to Korea with “myth of return”. Second, Sakhalin Koreans as victim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ve characteristics of ‘Victim Diaspora’ being forced to migrate and treated as non-citizens in host country. Third, the system of permanent return for Sakhalin Korean is limited and carries out with terms of returnees, which makes them disperse secondly their families each other. In this sense, Sakhalin Koreans have lasted as diasporic lives even in this time. Lastly, in order to end diasporic lives of Sakhalin Koreans,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truth of their history and establish countermeasures such as enactment of special law. In addition, Japanese Government should make a formal apology and compensate to Sakhalin Koreans. 이 논문은 영주귀국한 사할린한인들의 디아스포라적 삶과 경험을 살펴보고, 모국 사회에서의적응 실태, 문제점 파악 및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년 영주귀국하여 경기도 오산과 충청남도 천안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들을 대상으로 2011년 8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 현지조사를 통해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두 가지의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러시아 사할린한인들은 거주국에서 주변인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부모 및 자신들이 태어난 모국에 대한 그리움이나 기억을 간직하면서 귀환을 꿈꾸는 ‘귀환의 신화’를 품고 있었다. 둘째, 러시아 사할린한인들은 일제 식민지 통치의 직접적 산물로써강제적 이주를 경험하고 거주국에서 비국민으로 취급되는 등 희생자 디아스포라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셋째, 사할린한인의 영주귀국은 제한적이면서 선별적인 조건에 의해 이루어져 또 다시제2의 이산을 겪으면서 살아가고 있다. 그런 점에서 사할린한인의 디아스포라적 삶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일제의 강제동원과 이중징용, 그리고 영주귀국 등으로 인한 이산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일본정부의 책임 있는 사과와 적절한 배상이 이루어져야하며, 한국정부는 과거사 진상규명을 위한 외교적 노력과 더불어 특별법 제정 등의 정책적 지원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최소한의 국가적 책무임을 지적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