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唐會要』의 한국고대사 기사 비교와 분석

        송영대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60

        『唐會要』는 唐代 중반부터 수집한 각종 官文書를 종합하여 편찬한 會要體 史書이다. 본래는 당대의 蘇冕이 『會要』 40권을 편찬하였고, 이를 이후 崔鉉이 감수하여 『續會要』 40권을 지었으며, 宋 初에 王溥가 이를 합치고 보충하여 『唐會要』 100권을 편찬하였다. 『唐會要』의 마지막에는 당대의 주변국 정황이 기재되었는데, 이 중에서는 한국 고대 국가들도 포함되었다. 『唐會要』에는 고구려ㆍ백제ㆍ신라ㆍ발해ㆍ탐라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었다. 분량은 간략한 편이며 국가별로 국가 소개와 연혁의 비중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번 논문에서는 『唐會要』와 『通典』을 비롯하여 각종 중국 정사도 함께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唐會要』는 『隋書』까지의 中國 正史보다, 『舊唐書』의 기록과 더 유사한 점이 많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당대 중후반까지의 자료를 섭렵하면서 내용이 보강된 결과이며, 당대의 史館에서 확보한 각종 자료가 典據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通典』과 비교해서는 자료 모음의 성격이 강하며, 기존에 알려진 내용을 요약하면서 한국 고대 국가와 당과의 관계를 최대한 반영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Tang Huiyao(唐會要)≫ is a Huiyao-style(會要體) history compiled from various official documents collected from the middle Tang(唐) period. 40 volumes of ≪Huiyao(會要)≫ were originally compiled by Sumian(蘇冕), and later 40 volumes of ≪Xu Huiyao(續會要)≫ were created under the supervision of Cuixuan(崔鉉). The compilation was finished by Wangpu(王溥) who supplemented and then compiled 100 volumes of ≪Tang Huiyao≫ in the early Song(宋) Dynasty. In the last section of ≪Tang Huiyao≫, the circumstances of neighboring countries of Tang were described including the ancient Korean countries. The book contains information on Goguryeo(高句麗), Baekje(百濟), Silla(新羅), Balhae(渤海), and Tamra(耽羅). The volume is brief and it places different importance on each country introduction and history. In this study, a comparative study on various Chinese official histories(中國 正史) including ≪Tang Huiyao≫ and ≪Tongdian(通典)≫ was made.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ang Huiyao≫ has more similarities with the contents of ≪Jiu Tangshu(舊唐書)≫ than in Chinese official histories up to ≪Suishu(隋書)≫. This is the result of reinforcing the contents of the data up to the mid-to-late Tang dynasty. Besides, it seems that various data obtained by Tang's History Center(史館) would have become references. Compared to ≪Tongdian≫, it mainly focuses on data collection and attempts to refl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cient Korean countries and Tang as much as possible while summarizing the previously known contents.

      • KCI등재

        궁예의 영역 확장과 임진강

        송영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2 한국고대사탐구 Vol.41 No.-

        Starting from Myeongju(溟州), one of the nine provinces of Silla, Gung-ye(弓裔) advanced into Sakju(朔州) and Hanju(漢州). After taking control of Cheorwon(鐵圓) in Hanju, he reached the Imjin River(臨津江) basin. The area including the Hantan River had been geographically important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conqueror seized control of the area and extended his influence to the Paeseo(浿西) area. Finally, he advanced into the Han River basin. For Gung-ye, The Imjin River had three meanings. Firstly, it was a strategic point that helped him to dominate the central part of Hanju and the Paeseo area. Secondly, the river was a bridgehead for water transportation and external exchanges. Thirdly, it was possible to strategically transform and expand by laying the foundation for maritime strategy. Lastly, he could secure a productive capacity of the Imjin River area. He actively carried out a conquest project based on the productive power of the Imjin River and surrounding areas. Gung-ye was considered as the strong in the north through the Battle of Binoi Castle(非惱城). He secured the former territory of Goguryeo and took the title of the country ‘Goryeo,’ then came to the throne. Based on the Buddhist identity, he had changed the name of country to Majin(摩震) and returned to Cheorw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Imjin River basin for Gung-ye became not only a base since the domination of Hanju but the political center. 弓裔는 新羅 9州 중 하나인 溟州 일대에서 출발하여 朔州와 漢州 지역으로 진출하였다. 한주의 鐵圓을 장악한 궁예는 臨津江 유역에 이르렀다. 임진강 유역은 한탄강을 포함한 지역으로 삼국시대부터 지리적 중요성이 높았던 곳이다. 궁예는 임진강 일대를 장악하면서 浿西 지역까지 영향력을 미치고 漢江 유역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궁예에게 있어 임진강은 3가지를 의미를 지닌다. 첫째는 한주 중부와 패서 지역을 장악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 둘째는 水運과 대외 교류의 교두보, 셋째는 해양전략 기반 마련으로 전략적 전환 및 확대, 넷째는 임진강 일대의 생산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다. 궁예는 임진강과 주변의 생산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정복 사업을 전개하였다. 非惱城 전투를 계기로 궁예는 북방의 강자로 인정받게 되었다. 궁예는 高句麗의 옛 영역을 확보하며 국호를 高麗라 칭하고 왕위에 올랐다. 이후 불교적 정체성을 앞세우며 국호를 摩震으로 내세우고 철원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렇듯 궁예에게 있어 임진강 유역은 한주 진출 이후부터의 근거지이자 정권의 중심지였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