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외이사의 독립성

        안택식 한국경영법률학회 2013 經營法律 Vol.23 No.2

        The outside director system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before 14years, so the reforming measure to ensure efficiency of the system is now necessary. It is somewhat meaningful to review the system, at this time when the Ministry of Justice is now under processing to reform company law in Korea. The independence of outside director could be ensured, when the power to restraint controlling shareholders is endowed to the outside directors. For this purpose it is appropriate to compulsory introduce cumulative voting and corporate officer system. Under the current law system, controlling shareholders could nominate most of outside and executive directors, so the independence of outside directors could not be ensured. When cumulative voting and corporate officer system are compulsory introduced, minority shareholders can nominate directors and appoint- ment and dismissal of corporate executive organization could be switched from controlling shareholders to board of directors. However at present time compulsory introduction of cumulative voting and corporate officer system should confined to the large companies having total assets amounting more than 10 trillion Korean Won. In this case the regulative burden of the large companies is so serious, so the large companies having assets amounting more than 10 trillion Korean Won could not freely establish Outside Director Nominating Committee and Auditing Committee.

      • KCI등재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의 문제점

        안택식 한국경영법률학회 2014 經營法律 Vol.24 No.4

        According to the view of majority, the company has obligation to pay price of dissenting shares within 2 months after the appraisal right being exercised by dissenting shareholders. The obligation is based on cash payment, which is under no-fault liability without culpa compensatio. This is not reasonable, so it is better for company to consult the price of dissenting shares after the appraisal right being exercised. Under this understanding the company will be exempted from no-fault liability, when he has made timely preparation for payment of price of dissenting shares. In this connection I will suggest revision of commercial law article 374.2 as follows. “The company should pay the fair price of dissenting shares suggested by the company within 2 months after agreement between the company and shareholder not being made. When the price is paid, the shares are considered to be transferred to the company.”For the listed non-voting shares, appraisal right is permitted in express provision. For the non-listed non-voting shares major view permits the appraisal right. In case of non-listed and non-voting shares, it is somewhat questionable whether the appraisal right should be given to the shareholders, who do not attend shareholders’ meeting after submitting his opposing opinion about the fundamental corporate change such as a merger and a disposition of assets etc. In this connection it is better, to give appraisal right to non-listed and non-voting shareholders also by express provision in commercial law. Under the express provision of commercial law, it is not clear whether the appraisal right could be withdrawn or not. I think opposing shareholders could withdraw the appraisal right within 20 days after general meeting. The reason is because the opposing shareholders could express their consent in the general meeting, although they have submitted their opposing opinion before the meeting. However after 20 days from the general meeting opposing shareholders could not withdraw the appraisal right without consent of the company, because the company should bear excessive burden such as fund refunding and preparation of general meeting etc. In any case the opposing shareholders could not withdraw the appraisal right after they accept the payment of share price from the company. In this connection I will suggest the revision of commercial law article 372.2 (1) as follows. “The opposing shareholders could not withdraw the appraisal right without consent of the company after 20 days from the general meet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남북경협과 무역보험

        안택식 한국무역보험학회 2017 무역금융보험연구 Vol.18 No.4

        The political tens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very high, because of nuclear explosion of North Korea. The economic sanction against North Korea from international society will be more strong. Therefore North Korea has no choice but to come back to The Six-Party Talks in order to negotiate nuclear matters of North Korea, whereby the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ould be changed from hostile to cooperative atmosphere. In this connection I will review problematic points of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nsurance to cover trade risk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suggest advisable reformation in connection with trade insurance. The present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nsurance covers only registered capital and long-term liabilities, whereby the actual value of investment of companies could not be compensated. However in case of trade insurance to be applied in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overing area of the trade risk from the North Korea will be enlarged. Trade insurance fund is larger than the fund for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hereby the trade insurance will be helpful for better coverage for the risk of North Korea in the course of economic cooperation. In case of Gaesung Industrial Complex short term export insurance will also be helpful for covering the risk of North Korea. Through the short term export insurance it will secure the protection of actual property in some cases. When the insurance for overseas investment by Korea Trade Insurance Corporation(K-Sure) is applied to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ctual business loss(business interruption loss) could be compensated by the insurance, which is not covered by the present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nsurance. 북한의 핵개발로 남북관계의 긴장은 그 어느 때보다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달이 차면 기운다”는 격언이 있듯이 북한은 이제 평화의 해법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고 할 수 있다. 조만간 북핵사태가 해결되고 남북화해가 실현될 때를 대비하여 그가 문제되었던 남북경협의 개선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에서는 남북경협의 비상위험에 대한 보상수단으로서의 경협보험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무역보험의 활용을 통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남북경협보험은 그간에 남북경협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이고 내재적인 위험을 담보하는 역할을 담당해왔다. 그러나 남북협력기금의 재원부족으로 인하여 자산기준이 아닌 장기차입금과 등록자본금만을 기준으로 산정하기 때문에 기계설비 등 대규모 장치산업을 투자한 기업들의 경우 실제 기업가치 또는 투자내용에 비해 낮은 수준의 보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남북경협에 무역보험을 활용할 경우 그간의 경협보험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다. 경협보험과 무역보험은 그 성격이 비슷할 뿐만 아니라 대북무역보험의 법적 근거도 확보되어 있으며, 무역보험기금은 경협보험기금의 자산보유액에 비해 훨씬 큰 규모라는 점을 고려할 때 실익이 있다. 개성공단의 경우 수입국 또는 수입자의 사정에 의하여 수출대금을 적기에 회수하지 못하여 수출기업에게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하는 신용위험제도인 단기수출보험을 활용하여 위 위험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남북경협에 무역보험을 활용할 경우 현재 경협보험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직접수용 이외에 간접수용에 대한 보험, 기업수요에 부응하는 이익상실 및 투자실물자산을 보장하는 문제 등에 대한 보완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집중투표제의 의무화방안에 대한 검토

        안택식 법무부 2013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63

        Since the inauguration of Korean New President, the laws of economic democracy have been steadily enacted, because the transparency of business management is strongly requested in the Korean society. Due to the laws of economic democracy, the competitive power of Korean business will be decreased. Korean corporations should introduce voluntarily outside director, compulsory cumulative voting and corporate officer system, in order not to increase public sentiment to enact the laws of economic democracy. Korean Government and National Assembly have tried to introduce compulsory cumulative voting. However many Korean scholars have opposed the system because of the american situation. In this regard the business situation in Korea is not same as that of America. In America there are not corporate group(gaebul) system, whereby CEO in separate corporation has business power. The board of directors in America appoints CEO in consideration of various oppinions in the corporation including controlling and minor shareholders, whereas in Korea controlling shareholders in corporate group appoints all managements. American courts ensure business judgement rule differently from Korea. Because of unfair business situation in Korea, compulsory cumulative voting system should be introduced until fairness in management comes true as is the case in America. However in order to avoid troubles in the board of directors, the system should be confined to the large corporations having assets amounting more than 2 trillion korean won, and only in case of appointing outside directors. 신정부 출범 이후 정부와 국회는 대통령의 공약대로 경제민주화의 입법을 서두르고 있다. 경제민화법안이 강하게 쏟아져 나오는 이유는 대기업 경영의 투명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경제민주화법안이 계속 쏟아져 나온다면 한국기업의 경영환경은 대단히 열악하게 될 것이 자명하다. 경제민주화에 대한 국민의 요망과 그에 부응하는 정부와 국회의 경제민주화입법 그로인한 기업환경의 악화라는 인과의 고리를 끊으려면 대기업 스스로 경영의 투명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자율적인 조치를 취하는 길 밖에 없을 것이다. 경영의 투명성을 자율적으로 강화시키는 방안으로서는 사외이사제도가 제대로 작동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는 집중투표제와 집행임원제를 의무화시켜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집중투표제의 의무화를 위하여 정치권에서 노력하고 있고 국회에서도 의원입법으로 발의하고 있으나, 학계에서는 미국에서 그의 의무화를 폐지하였다는 이유로 그 의무화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과 우리나라는 경영환경이 다르다. 미국의 경우 우리나라와 같은 기업집단이 존재하지 않고 개별기업중심으로 기업이 경영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우리나라와는 달리 기업집단을 지배하는 대주주가 아니라 개별기업의 최고경영자가 기업지배권을 장악하고 있다. 이러한 최고경영자는 소수의 대주주가 선임하는 것이 아니라 소수주주를 포함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이사회에서 선임하고 있다. 또한 최고경영자의 공정한 경영에 대한 국민적 신뢰가 있으므로 그러한 공정한 경영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경영판단의 원칙이 확립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기업집단이 존재하고 있고 기업집단을 지배하는 대주주가 개별기업의 경영전권을 행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한 대주주의 경영전횡에 대하여 대부분의 국민들이 불신과 혐오의 감정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 하에서 경제민주화에 대한 강한 염원을 표출하고 있다. 또한 사법부에서도 대주주의 경영전횡을 불신하기 때문에 미국과 같은 경영판단의 원칙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이 미국과 우리나라의 경영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미국과 같이 경영의 투명성이 보장될 때까지는 집중투표제의 의무화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만 그 의무화에 반대하는 논자들의 주장과 같이 집중투표제를 의무화할 경우 이사회의 갈등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모든 기업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 일단 한국기업문화를 선도해야 할 책임이 있는 자산총액 2조원 이상의 대기업에 대하여는 집중투표제를 의무화하되 모든 이사의 선임이 아니라 기업의 감독을 주임무로 하는 사외이사의 선임시에 국한시키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한국기업을 선도하는 자산총액 2조원이상의 기업은 기업민주화에 대한 사회적 열망을 잠재우기 위해서라도 집중투표제와 같은 경영의 투명화조치를 앞장서서 시행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