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단허리소리>의 분포와 관련 국면 검토

        강등학 한국민요학회 2016 한국민요학 Vol.48 No.-

        Folk songs have their own energy according to their aesthetics and emotions, and the sensitivity of consumption is formed according to the cultural landscape. Therefore, the power of folk songs is determined by the functions of their own aesthetic qualities and cultural topography, and they experience competition and conflict with other beings of the same purpose. Therefore, the distribution of folk songs has its own ecological history. This aspect is also included in the distribution phase of Tanhotisori. Most of Tanhotisori are distributed in the South Han River area and its extension areas. Gangwon-do, Hoengseong and Wonju, and the South Han River as the root. However, the South Han River basin area is the boundary area where the four major area of agricultural work songs such as Arari-area, Hanasori-area, Sangsasori-area, and Chongjasori-area meet and face confrontation. Among these areas, the high share of Tanhorisori was only in the Arari-area and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Hanasori-area. This is due to the weakening of the impulse when it enters the outer zone and undergoes a process of conflicting with other songs there. In the distribution area of Tanhotisori, the shape of the refrain is different and forms an opposite phase. In Tanhotisori's reflections where the strong influence of the base area of the foothold is strong, the model is maintained and its influence gradually weakens and the key word “tanhori” changes to “taehori” according to the level. In the Taehori-area, the ornamental phrases of the refrain are used orthodox in the vicinity of the base, and the ornamental phrases of the refrain are varied in various places. <단허리소리>는 대부분 남한강 수계지역과 그 연장지에 분포한다. 강원도 횡성과 원주 등 섬강 일대에 토대를 두고 남한강을 루트로 삼아 주변지로 퍼진 것이다. 그런데 남한강 수계지역은 아라리권, 하나소리권, 상사소리권, 정자소리권 등 4대 농요권이 맞부딪치며 대립국면을 보이는 경계지역이다. 이 중 <단허리소리>가 높은 점유율을 보인 곳은 아라리권과 하나소리권의 동남부지역에 그쳤다. 외부 권역에 진입하면서 그 곳의 다른 <논매는소리>들과 경쟁하며 충돌하는 과정을 겪으며 추동력이 약화된 탓이다. <단허리소리>의 분포지들은 후렴의 모습을 달리하며 대립적인 국면을 형성하고 있다. <단허리소리> 후렴이 섬강일대 거점지의 영향력이 강한 곳에서는 전형이 유지되고, 그 영향력이 점차 약화되면서 그 정도에 따라 핵심어 “단허리”가 “대허리”로 바뀐다. 그리고 대허리권 안에서는 거점과 인접한 곳에서는 전형 후렴의 정통형 장식어구가 쓰이고, 더 나아간 곳에서는 후렴의 장식어구가 다양하게 변이되는 양상을 보인다. 민요는 스스로 지닌 미감과 정서에 따라 각자의 에너지를 지니며, 문화지형에 따라 소비의 감도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민요의 파급력은 스스로의 미적 자질과 문화지형의 함수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바탕으로 동일용도의 다른 존재들과 경쟁과 충돌을 경험한다. 그러기에 민요의 분포는 각각 나름의 생태력을 내포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단허리소리> 분포 국면 읽기는 그것의 생태력 읽기라는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형성기 대중가요의 전개와 아리랑의 존재양상

        강등학 한국음악사학회 2004 한국음악사학보 Vol.32 No.-

        Hyangt'o minyo 鄕土民謠 Arirang 아리랑 has been handed down in Kangwŏn province 江原道 and it's nearby the mountains. But its a function and a special feature was enlarged as a field song in the later Chosŏn dyansty. And the labors who is from Kangwŏn province sang Arari 아라리 at Kyŏngbokkung 景福宮 construction works, therefore labors who is from other region liked Arari, too. Arari become increasingly popular from the labors, then the professional singers sang new style Arirang what it makes arari of Kangwŏndo style. T‘ongsok minyo 通俗民謠 Arirang is formationed like this. The cinema “Arirang” made in 1926, and the theme music of this cinema was used Arirang. The theme music is widely liked with the cinema. The cinema “Arirang” touched off a boom the song Arirang. So a composer of popular song made various kinds of Arirang what it made alike arari. From this time until comparatively lately, Arari is writing continually. Accordingly, Arirang confirmed popularity as make step forward t'ongsok minyo from hyangt'o minyo. And Arari is developing according to passage of popular song for it is express as the creative song.

      • KCI등재
      • KCI등재

        <정자소리>의 분포와 장르양상에 관한 연구

        강등학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29 No.-

        Jungjasori is one of the no refrain song with the plural verses form, which spread mainly over the eastern part of Korea; Gangwon-do, Gyeongsangbuk-do, Gyeongsangnam-do etc. Besides Jungjasori, Minari, Odoktegi, Arari, Jajinarari belong to this kind of song. And these songs are descended in a line from Minari. Jungjasori is simiilar to Minari on musical component on account of Jungjasori derived from Minari. But people who embraced Minari from necessity of song for rice-planting, changed a singing method of the song. So a singing method of these song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Minari’s singers sing roundly one by one without order, however Jungjasori’s singers who are divided into two groups, sing half of song by turns. Minari that is exchanged a singing method, gradually had been different from original on the component of words and the mood of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is song got new character of song genre. Then changed Minari was regarded new song, and called the song new name that is Jungjasori, or Monorae. Jungjasori is a unique folk song that is sung no refrain song with the plural verses form by turns of two groups singers.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Jungjasori was culturally experience that wasn’t there before. So this song could was widely gained popularity. Consequently this song spreaded over the Gyeongsangbuk-do, Gyeongsangnam-do, in addition to the neighborhood, that is became a representative farming song in the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정자소리>는 <등지>, 또는 <모노래>라고도 하는 <모심는소리>로서 영남지역 농요 중에 그 분포가 가장 넓고 고른 노래이다. 이러한 점에서 <정자소리>는 영남지역의 대표적인 농요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정자소리>는 장절형식 무후렴요의 하나이며, 이러한 장절형식의 무후렴요는 대체로 강원도와 경상북도, 경상남도를 비롯한 동부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특성을 보인다. 예를 들면 <정자소리>를 비롯해 <미나리>, <오독떼기>, <아라리>, <자진아라리> 등이 모두 그러한 노래인데, 이것들은 그 원천을 같이 하면서 서로 다른 관계를 맺으며 현재의 생태를 이루게 된 것으로 보인다. <정자소리>는 <미나리>로부터 파생된 노래이다. <미나리>는 밭매기, 논매기를 중심으로 벼베기, 꼴베기 등 지역에 따라 여러 용도로 부르던 것인데, 뒤에 이곳저곳에서 모심기의 용도로 부르는 곳이 생겨났다. 영남지역도 그러한 곳 가운데 하나에 해당하는데, 그 중 일부 지역에서는 종래 <미나리>의 가창방식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새로운 것을 채택했다. 윤창으로 부르던 노래를 사설분담식 교환창으로 부른 것이다. 그 결과 가창방식이 변경된 <미나리>는 점차 원래의 <미나리>와 다른 장르형질을 생성하면서 새로운 노래로 자리를 잡게 된 것으로 보인다. <정자소리>의 가사는 2행단위로 구성되며, 2인의 화자가 설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이것은 <정자소리>의 가창이 대화조의 언술행위로서 연행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미나리>의 가사는 1행단위로 구성되며, 1인의 화자가 설정되는 것이 원칙이다. 이것은 <미나리>의 가창이 독백조의 언술행위로서 연행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그런데 장절형식요를 사설분담식 교환창으로 부르는 사례는 <정자소리>가 거의 유일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정자소리>의 연행은 <미나리>를 윤창으로 부르는 연행에서는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문화로서 신선감을 유발하게 된다. 영남지역에서 모심기는 남녀가 함께 하는 경우가 많았던 만큼, 이들이 각각 선창과 후창을 맡아 집단적으로 노래를 주고받는 연행문화는 특히 체험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정자소리>는 영남지역의 내륙에 속하는 낙동강 이동지역에서 생성되어 낙동강 이서지역으로 나아가 각 방향에 따라 내성천, 소백산맥, 섬진강, 그리고 남해의 바다를 경계로 다소의 넘나듦을 보이며 분포를 이루어냈다. <정자소리>가 이처럼 넓게 퍼져 간 것으로 보아 당시 이 노래의 문화적 에너지가 그만큼 강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전에 없던 새로운 장르형질로 빚어낸 연행문화가 당시 민요 연행자들에게 강한 호응을 받았다는 말이다. <정자소리> 확산의 대부분이 실은 <미나리> 분포지 잠식의 결과인 점을 생각하면, <정자소리>의 문화적 에너지가 특히 <미나리>의 분포지에 강한 충격을 주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정자소리>가 <미나리>의 분포지로 확산되어 나간 것은 기존 문화에 대한 새로운 문화의 파동이라는 시각에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포괄해 보면, <정자소리>의 내력은 동부지역 장절형식 무후렴요의 국면 전개의 일환이면서 동시에 낙동강을 중심으로 분출된 새로운 연행문화의 국면 전개라는 이원적 맥락을 지니게 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노래의 말하기 기능과 민요 전승의 방향 모색

        강등학 한국음악사학회 2002 한국음악사학보 Vol.29 No.-

        In Korea, the word for folk songs is minyo 民謠, which literally means 'the songs of the people.' As in many other countries, particularly in Korea the phenomenon of folk singing does not show a clear distinction between professional and amateur. Today, however, Korean folk songs would be divided into two kinds according to the singers : one is popular folk songs by professional singers which is commonly known as t'ongsok minyo 通俗民謠; and the other, local or regional folk songs by ordinary people known as hyangt'o minyo 鄕土民謠 or t'osok minyo 土俗民謠. The popular folk songs are known everywhere, to practically every one, and they are frequently recorded by professional singers, whereas the regional folk songs are felt to be specific to a limited geographical area and are sung by ordinary folk living the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function and transmission of Korean folk songs based on it's text. This paper deals with such topics as 1) Introduction, 2) The Function and Text of Minyo. 3) The Cultural Meaning of Minyo, 4) The Present State and Transmissions of Minyo, 5) Conclusion. On the basis of examining the text and function of minyo, it is concluded that the telling function of minyo text should be considered and encouraged in terms of the present socio-cultur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