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추에서 수분 스트레스에 의한 항산화(抗酸化) 효소(酵素)의 활성도(活性度) 변화(變化)

        강상재,박우철,Kang, Sang-Jae,Park, Woo-Churl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97 慶北大農學誌 Vol.15 No.-

        4종(種)의 상치를 공시작물(供試作物)로 하여 수분(水分) 스트레스에 노출(露出)을 시켰을 때 총(總) 단백질(蛋白質)의 함량(含量)은 Flooding 처리시 그 감소율(減少率)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감소율(減少率)은 JCM이 가장 컸고, DCM이 가장 작았으며 품종간(品種間) 각 처리별(處理別) 차이(差異)가 크게나타났다. 총(總) 지질(脂質)의 함량(含量)은 감소율(減少率)이 CCM이 가장 컸고 JCM, DCM, DJM순(順)으로 감소(減少)하였다. 항산화효소(抗酸化酵素)인 Superoxide Dismutase(SOD)는 Catalase, Ascorbate Peroxidase의 활성도(活性度)는 전체적으로 감소(減少)하였으며 그 감소율(減少率)은 Catalase의 경우 처리별 JCM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DCM, DJM에서는 Flooding 처리시 효소의 활성도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Calatase의 활성도(活性度) 변화(變化)가 Ascorbate peroxidase의 활성도(活性度) 보다 감소율(減少率)이 더 크게 나타나 이는 Catalase가 Ascorbate peroxidase 보다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와 더 직접적(直接的)으로 반응(反應)을 함을 나타낸다. Drought 처리기간별(處理期間別) 효소(酵素)의 활성도(活性度)는 생육시간(生育時間)이 길어질수록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Catalase의 활성도(活性度)가 4일째 이후 가장 급격하게 감소(減少)하였다. Plants are exposed to wide range of different stresses. As plants have only limited mechanism for stress avoidance, they require flexible means for adaption to 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asearch the changes of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as caused by water stress in four lettuceUactuca sativa) lines. Four lettuce lines exposed to water stress showed premature senescence as evidenced by the consistenent reduction in the content of total soluble protein and total lipid. Water stress also caused decreased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scorbate peroxidase, but decrease rates were different. Catalase activity was decreased much more than that of ascorbate peroxidase that suggest catalase reacted with hydrogenyperoxide directly not with ascorbate peroxidase.

      • SCIEKCI등재SCOPUS

        대두-근류균의 공생에서 Lectin에 의한 결합특이성

        강상재,김진호,박우철 ( Sang Jae Kang,Jin Ho Kim,Woo Churl Park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7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0 No.6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hizobia in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system.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attern of root lectin in the presence of SDS was ascertained electrophoretically and chromatographically. The purified root lectin formed immunoprecipitin line with anti lectin rabbit IgG. Root lectin, seed lectin and root exudate were tested for chemotactic ability. Chemotactic responses of RCR3407 and KCTC2422 toward root exudate were stronger than those of seed lectin and root lectin, but there didn`t occur chemotactic responses of LPN100, not bound with seed lectin and that of LPN101, bound with seed lectin toward root exudate, root lectin and seed lectin. RCR3407, KCTC2422 and LPN-101, which nodulated with soybean, interacted with soybean lectin, but not with pea lectin. LPN-100, which was not nodulated with soybean, didn`t interact with soybean lectin.

      • SCIEKCI등재

        Flavonoids와 근류균의 상호작용

        강상재,박우철,서상현,Kang, Sang-Jae,Park, Woo-Churl,Seo, Sang-Hyun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7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4 No.4

        본 연구는 숙주특이적인 근류형성에 두과작물의 뿌리분비물에 포함된 기주특이적인 flavonoids와 근류균의 상호작용에 대해 실험하였다. Flavonoid 화합물에 대한 근류균의 생물학적 활성은 B. japonocum의 경우 대두의 뿌리분비물에 포함된 flavonoid화합물인 daidzein과 genistein에서는 생장 증진 효과가 나타났으며, alfalfa의 뿌리분비물에 포함된 flavonoid인 luteolin에서는 생장 저해 효과가 나타났으며, R. meliloti의 경우 luteolin의 경우 생장증진 효과가 나타났으며, daidzein과 genistein의 경우 생장저해효과가 나타났다. 각 근류균의 흡수 특이성은 B. japonicum에서 daidzein과 genistein이 각각 $14.95\;{\mu}g/g$와 $14.20\;{\mu}g/g$로 가장 높고 luteolin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R. meliloti의 경우 luteolin이 $18.31\;{\mu}g/g$으로 가장 높고 daidzein과 genistein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실로 숙주특이적인 flavonoids가 근류균의 숙주특이성에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biological activity a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flavonoids in Rhizobium and Bradyrhizobium an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host specific nodulation by flavonoids in rhizobium-legume symbios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biological activity and the flavonoid absorption indicates that host-specificity is induced by flavonoids in symbiotic nitrogen fixation. Biological activity increased by daidzein and genistein treatment on B. japonicum KCTC 1539 whereas decreased by luteolin treatment but increased by luteolin treatment on R. meliloti whereas decreased by daidzein and genistein treatment. Daidzein and genistein are absorbed by B. japonicum, KCTC 1539 at higher rate than other flavonoids. Especially, luteolin was absorbed at a least rate. Luteolin are absorbed by R. meliloti KCTC 2353 at higher rate than other flavonoids. Especially, daidzein and genistein was absorbed at a least rate.

      • KCI등재

        퇴비의 부숙 과정 중 추출물이 종자 발아력에 미치는 영향

        강상재(Sang Jae Kang),이창희(Chang Hee Lee),서상현(Sang Hyun Se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4 No.2

        슬러지퇴비의 제조과정에서 2, 6, 8, 12주째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이 몇 가지 식물의 종자 발아율과 뿌리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한 결괴는 다음과 같다. 퇴비시료 중의 총 질소 함량의 변화는 퇴비화 6주째까지는 그 함량이 다소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기물 함량은 퇴비화가 진행될수록 전반적으로 유기물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pH는 감소하다가 퇴비화 후반부에서는 중성 부근을 나타내었으며 EC는 6주째에는 증가하다가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의 총 질소 함량의 변화는 점차 그 함량이 증가하다가 퇴비화 12주째에는 감소하였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변화는 총질소의 변화와 같은 양상이었으며 암모늄태질소와 질산태질소와의 비율은 8주째까지는 증가하다가 12주째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양이온 함량은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퇴비화 초기 단계보다 퇴비화 후반부에서 모든 양이온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H는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평균 pH 6.48정도를 나타내었으며 EC는 퇴비화 2주째는 3.43dSㆍm?¹에서 12주째 1.72dSㆍm?¹로 낮게 나타났다. 배추 종자에서는 뿌리 생장에 대한 저해가 종자 발아에 대한 저해 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나 상추 종자에서는 뿌리 생장에 비해 종자 발아에 대한 저해가 더 크게 나타났다. 퇴비화 과정 중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에 대한 콩과 보리 종자의 발아시험 결과 콩 종자에서는 발아 저해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극히 미약했다. 반면 보리 종자에서는 발아 저해 작용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퇴비화 2주, 6주, 8주째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 처리구에서는 발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퇴비의 수용성 추출액의 저해작용은 식물의 종에 따라 그 정도는 다르게 확인되었으며, 종자 발아와 뿌리 생육에 대한 저해는 퇴비의 부숙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부숙 초기 퇴비의 수용성 물 추출액이 종자 발아와 뿌리 생장에 대한 저해가 크게 나타났으며 퇴비화가 진행될수록 종자 발아 및 뿌리 생장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ludge compost and to identify the effects water-extracts from sludge compost in 2, 6, 8, 12 weeks of decomposing process on seed germination and root elongation in cabbage, lettuce, soybean and barley plants was investigated.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in sludge compost increased slightly in 6 weeks decomposing process,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Organic matter content decreased continuously overall decomposing process. As decomposition was processing, pH of sludge compost decreased slightly, and EC increase within 6 weeks decomposing process, and then decreased. The content of nitrogen in water-extracts from sludge compost increased within 8 weeks decomposing process and decreased in 12 weeks decomposing process. The content of ammonium nitrogen was similar with that of total nitrogen, and the ratio of ammonium and nitrate increased within 8 weeks, and then decreased. Cation content and EC decreased the late of decomposing process and pH didn't change. The water-extracts from sludge compost during decomposing process inhibited seed germination and root elongation in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ettuce (Lactuca sativa), barley (Hordeum vulgare) and soybean (Glycine max). The inhibition of root elongation in cabbage was greater than that of relative seed germination, whereas relative seed germination in lettuce was more inhibit than root elongation. Relative seed germination and root elongation in soybean were inhibited slightly, but those of in barley was inhibited strongly. In this study, we would identify the effects of water-extracts from sludge compost on seed germination and root elongation was different to the species of seed. The inhibition of seed germination and root elongation treated with the water-extracts which extracted from sludge compost in the early stage of decomposing process was greater than that of in the late stage of decomposing process.

      • KCI등재

        저온 처리한 상추의 잎 내에서 ascorbate peroxidase와 dehydroascorbate reductase의 반응

        강상재(Sang-Jae Kang)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2

        상추식물에서 저온 처리를 하였을 때 저온 적응성 획득 메카니즘과 관련된 APX와 DHAR의 활성도와 mRNA 발현수준 등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잎 조직 내 과산화수소의 함량은 일정하게 증가하다가 20℃에서 저온처리를 회복시키면 그 함량이 정상상태로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단백질의 함량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엽록소의 함량은 저온스트레스를 처리할 경우 엽록소 a와 b 및 총 엽록소의 함량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온스트레스 회복 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카로티노이드 함량의 변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고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엽록소에 대한 엽록소a의 비율은 저온처리 12시간까지는 증가하다가 24시간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고 저온스트레스를 회복시켰을 때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PX와 DHAR의 활성도는 저온 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상추의 잎 조직 내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적온으로 회복시키면 정상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저온처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APX와 DHAR의 mRNA의 발현 수준이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가 원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APX의 활성도와 과산화수소의 함량과의 상관관계는 상추의 잎 조직 내 과산화수소의 함량이 증가하면 APX의 활성도가 증가하는 경향(R²=0.8715)을 보였으며, DHAR의 활성도와 과산화수소의 함량도 동일한 경향으로 증가(R²=0.8643)하였다. 그러나 과산화수소의 생성량이 증가함에 따라 엽록소의 함량과 단백질의 함량은 저온 스트레스처리로 과산화수소의 생성량이 증가하면 엽록소의 함량(R²=0.5021)과 수용성단백질의 함량과는 감소하는 경향(R²=0.8915)을 보였다.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d stress and the activity of ascorbate peroxidase(APX), dehydroascorbate reductase (DHAR), mRNA expression level of two enzymes, hydrogen peroxide content was studied in lettuce leaves under stress condition imposed by cold stress at 4℃ for 24 hr in the dark and following recovery at 20℃ from cold stress. Hydrogen peroxide content increased gradually in lettuce leaves during cold stress, but decreased slightly following recovery from cold stress. Soluble protein content, however, decreased gradually during cold stress, and then rapidly returned to normal levels following recovery. Total chlorophyll content decreased gradually during cold stress, and then keep constant following recovery. The patterns of chlorophyll a and b content similar to that of total chlorophyll content, and carotenoid content didn't change. The ratio of chlorophyll a and total chlorophyll was increased during cold stress, but decreased with rapid during cold stress, and then the ratio returned to normal levels following recovery. During cold stress, the activity of APX and DHAR in the lettuce leaves increased dramatically, and also transcript levels of mRNA of APX and DHAR, as determined by probing <SUP>32</SUP>P-labeled single stranded RNA of APX and DHAR, highly increased and returned to normal levels following recovery, respectively. Relationship between APX and DHAR activity and hydrogen peroxide highly related (R²=0.8715 and 0.8643), whereas between hydrogen peroxide and total chlorophyll content and soluble content related reversely (R²=0.5021 and 0.8915).

      • KCI등재

        퇴비의 부숙 과정 중 추출물이 종자 발아력에 미치는 영향

        강상재(Sang Jae Kang),이창희(Chang Hee Lee),서상현(Sang Hyun Se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6 No.4

        슬러지퇴비의 제조과정에서 2, 6, 8, 12주째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이 몇 가지 식물의 종자 발아율과 뿌리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퇴비시료 중의 총 질소 함량의 변화는 퇴비화 6 주째까지는 그 함량이 다소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기물 함량은 퇴비화가 진행될수록 전반적으로 유기물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pH는 감소하다가 퇴비화 후반부에서는 중성 부근을 나타내었으며 EC는 6주째에는 증가하다가 다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의 총 질소 함량의 변화는 점차 그 함량이 증가하다가 퇴비화 12주째에는 감소하였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변화는 총질소의 변화와 같은 양상이었으며 암모늄태질소와 질산태질소와의 비율은 8주째까지는 증가하다가 12주째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양이온 함량은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퇴비화 초기 단계보다 퇴비화 후반부에서 모든 양이온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H는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평균 pH 6.48정도를 나타내었으며 EC는 퇴비화 2주째는 3.43dSㆍm?¹에서 12주째 1.72dSㆍm?¹로 낮게 나타났다. 배추 종자에서는 뿌리 생장에 대한 저해가 종자 발아에 대한 저해 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나 상추 종자 에서는 뿌리 생장에 비해 종자 발이에 대한 저해가 더 크게 나타났다. 퇴비화 과정 중 시료의 수용정 추출액에 대한 콩과 보리 종자의 발아시험 결과 콩 종자에서는 발아 저해가 있었으나 그 정도는 극히 미약했다. 반면 보리 종자에서는 발아 저해 작용이 뚜렷하 게 나타났으며 특히 퇴비화 2주, 6주, 8주째 시료의 수용성 추출액 처리구에서는 발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퇴비의 수용성 추출액의 저해작용은 식물의 종에 따라 그 정도는 다르게 확인되었으며, 종자 발아와 뿌리 생육에 대한 저해는 퇴비의 부숙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부숙 초기 퇴비의 수용성 물 추출액이 종자 발아와 뿌리 생장에 대한 저해가 크게 나타났으며 퇴비화가 진행될수록 종자 발아 및 뿌리 생장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ludge compost and to identify the effects water-extracts from sludge compost in 2, 6, 8, 12 weeks of decomposing process on' seed germination and root elongation in cabbage, lettuce, soybean and barley plants was investigated.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in sludge compost increased slightly in 6 weeks decomposing process,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Organic matter content decreased continuously overall decomposing process. As decomposition was processing, pH of sludge compost decreased slightly, and EC increase within 6 weeks decomposing process, and then decreased. The content of nitrogen in water-extra따s from sludge compost increased within 8 weeks decomposing process and decreased in 12 weeks decomposing process. The content of ammonium nitrogen was similar with that of total nitrogen, and the ratio of ammonium and nitrate increased within 8 weeks, and then decreased. Cation content and EC decreased the late of decomposing process and pH didn’t change. The water-extracts from sludge compost during decomposing process inhibited seed germination and root elongation in cabbage (Brassica camp장tris), lettuce (Lactuca sativa), barley (Hordeum rulgare) and soybean (Glycine max). The inhibition of root elongation in cabbage was greater than that of relative seed germination, whereas relative seed germination in lettuce was more inhibit than root elongation. Relative seed germination and root elongation in soybean were inhibited slightly, but those of in barley was inhibited strongly. In this study, we would identify the effects of water-extracts from sludge compost on seed germination and root elongation was different to the species of seed. The inhibition of seed germination and root elongation treated with the water-extracts which extracted from sludge compost in the early stage of decomposing process was greater than that of in the late stage of decomposing process.

      • KCI등재

        저온 처리한 상추 잎에서 monodehydroascorbate 환원효소의 반응

        Sang-Jae Kang(강상재)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3

        식물의 저온 적응 메카니즘에서 아스코브산과 관련된 효소 중 MDHA 환원효소의 활성도와 과산화수소, 아스코브산의 함량, mRNA의 발현수준과의 연관성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MDHA 환원효소의 활성도 변화는 저온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6시간 이후에 엽록체분획과 세포질분획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실온으로 회복시켰을 때 효소의 활성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온에 노출된 동안 아스코브산의 함량은 비교적 일정한 경향을 보이다가 실온으로 회복시키면 그 이후에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저온에 노출되는 동안 급격히 dehydroascorbate 함량이 감소하였다가 실온으로 회복되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스코브산의 함량과 엽록체분획과 세포질분획의 MDHA 환원효소의 활성도와의 상관관계는 각각 정의 상관(R²=0.9240, 0.9108)을 나타내었으나 디하이드로아스코브산의 함량과 MDHA 환원효소의 활성도 사이에는 각각 부의 상관(R²=0.8638, 0.8980)을 나타내었다. MDHA 환원효소 활성도와 과산화수소의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과산화수소의 생성량이 증가하면 MDHA 환원효소의 활성도가 증가하는 정의 상관(R²=0.9443, 0.9647)을 나타내었다. 저온스트레스 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MDHA 환원효소의 mRNA의 발현 수준과 총 MDHA 환원효소의 활성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MDHA reductase activity and ascorbate, dehydroascorbate, and hydrogen peroxide content was evaluated, an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ange of MDHA reductase activity and the level of steady-state mRNA abundance of MDHA reductase in lettuce leaves subjected to low temperature stress. MDHA reductase activity of chloroplastic and cytosolic fraction in lettuce leaves subjected to 4℃ for 24 hr increased, followed by a steady decrease during the duration of recovery to 20℃ for 48 hr. The content of ascorbate slowly increased during low temperature treatment, followed by a rapid increase during the duration of recovery to 20℃ for 48 hr, while dehydroascorbate content rapidly de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MDHA reductase activity of chloroplastic and cytosolic fraction in lettuce leaves subjected to 4℃ and ascorbate content correlated positively (R²=0.9240, 0.9108, respectively), but MDHA reductase activity of chloroplastic and cytosolic fraction and dehydroascorbate were reversely correlated (R²=0.8638, 0.8980, respectively). Hydrogen peroxide content and MDHA reductase activity of chloroplastic and cytosolic fraction in lettuce leaves subjected to 4℃ correlated positively (R²=0.9443, 0.9647, respectively). North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mRNA transcript of MDHA reductase was similar to total activity of MDHA reductase, and also that the level of mRNA of MDHA reductase after recovery to 20℃ for 24 hr decreased.

      • KCI등재

        수분 부족 스트레스 처리시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MDHAR)의 반응

        강상재(Kang Sang Ja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7 No.4

        수분 공급을 제한하여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상추식물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MDHAR)의 활성도, 엽록소 함량, 과산화수소의 함량 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생육배지의 수분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식물체내 과산화수소의 생성량이 증가(R²=0.8851)하였으며, 수용성단백질 함량은 점차 감소(R²=0.9826)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엽록소함량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공시작물에서의 함량이 정상 생육시 보다 그 함량이 대체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엽록소 a와 엽록소 b함량 변화도 총 엽록소의 함량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총 엽록소에 대한 카로티노이드의 비율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식물에서 정상생육 시 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분 부족 스트레스가 진행됨에 따라 아스코브산의 함량은 정상 생육시 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형인 디하이드로아스코브산의 함량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초기에 정상생육 시 보다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MDHAR의 활성도는 사이토졸(cytosolic) 분획과 엽록체(chloroplastic) 분획에서 공히 크게 증가하였으며 MDHAR의 mRNA 전사 정도도 수분 부족 스트레스가 진행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다. 수분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MDHAR의 활성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또한 과산화수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도 MDHAR의 활성도가 크게 증가(R²=0.9937과 0.8645)되어 수분 부족 스트레스로 나타나는 요인들과 MDHAR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deficit stress and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MOHAR) activity was determined in lettuce (Lactuca sativa L.) leaves under water stress condition imposed by with-holding water for 72 hrs. Relative water content determined in water deficit stressed lettuce leaves gradually reduced from 91.29% to 74.58%, and water content of medium drastically decreased 4.73% after quitting of irrigation. Hydrogen peroxide content in leaves subjected to water deficit stress rapidly increased, but soluble protein content rapidly decreased when those were compared to control plan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water content and hydrogen peroxide content in stressed leave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²= 0.8851, but soluble protein content reversely correlated with R²=0.9826. Total chlorophyll content in stressed plant leave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lant, and increased rapidly in early stage of treatment of both stressed and control plants. Carotenoid content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lant, and the ratio of carotenoid to total chlorophyll in stressed plant was higher as compared to control plant. As water deficit stress continued progressively, total ascorbate content in stressed plant leaves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lant. But dehydroascorbate (DHA) content within 6 hr of water deficit stres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lant, and then, content of control plant in 12 hr of stress treatment higher than that of stressed leaves. The activity of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of cytosolic and chloroplastic fractions increased dramatically, and mRNA of MOHAR was highly detected by probing <SUP>32</SUP>P-labeled single stranded MOHAR RNA of lettuce plant leaves subjected to water deficit stress. Relationship between MOHAR activity and relative water content and hydrogen peroxide highly correlated with R²=0.9937 and 0.8645,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