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어 형성론의 관점에서 분류한 한국어의 감탄사

        오규환 한국어의미학회 2019 한국어 의미학 Vol.65 No.-

        In this paper, I have accounted for some issues which are concerned with the Korean interjec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interjection is a part of speech which is similar to sentences. Second, there are two criteria[e.g. functional criterion and structural criterion(the internal structure of interjections)] which can classify the Korean interjections on the perspective of word-formation. Third, based on the functional criterion, Korean interjections are classified into hesitative interjection, emotive interjection, reply interjection, call-up interjection, command interjection, and onomatopoeic interjection, etc. Fourth, based on the structural criterion(the internal structure of interjections), Korean interjections are classified into simple interjection(e.g. root interjection, base-modificated interjection, partial reduplicated interjection, etc.) and complex interjection(e.g. compound interjection, derivative interjection, full reduplicated interjection, ending-combined interjection, josa-combined interjection, etc.). Fifth, base modification is mostly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emotive interjection and onomatopoeic interjection. Sixth, nonmorphological word-creating rule and lexicalization are mostly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reply interjection, call-up interjection, command interjection.

      • KCI등재

        한국어 관형사, 단어 형성론의 관점에서교차 분류하기 - ‘우리말샘’ 등재어를 중심으로 -

        오규환 한국어의미학회 2020 한국어 의미학 Vol.69 No.-

        I explained some issues about Korean adnominals(listed-words of ‘wulimalsaym’) on the perspective of word-formation. By cross-classifying Korean adnominals on two criteria(e.g. formal criterion, semantic/functional criterion), I could get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semantic/functional criterion, Korean adnominals can be classified into grammatical adnominals(e.g. deictic adnominals, interrogative/infinitive adnominals, modal adnominals) and lexical adnominals(e.g. state/property adnominals, numeral adnominals, modal adnominals). Second, based on the formal criterion, Korean adnominals can be classified into simple adnominals(e.g. root adnominals, base-modificated adnominals, partial-reduplicated adnominals) and complex adnominals(e.g. compound adnominals, derivative adnominals, full-reduplicated adnominals, ending-combined adnominals, cosa-combined adnominals). Third, most of grammatical adnominals are simple deictic adnominals, and most of lexical adnominals are simple state/property adnominals. Fourth, some adnominals can be classified into two or more categories(e.g. deictic/modal adnominals, deictic/state/property adnominals, infinite/modal adnominals, state/property/numeral adnominals).

      • KCI등재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일석문고에 소장된 『七大萬法』의 서지와 언어

        오규환 이화어문학회 2018 이화어문논집 Vol.45 No.-

        이 글에서는 서울대학교 奎章閣과 一石文庫에 소장되어 있는『七大萬法』의 서지적ㆍ언어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一石文庫本은 문헌의 보수가 잘못 이루어졌으며 한 면이 9행 17~19자로 이루어진다는 기존 해제는 한 면이 9행 11~22자라고 수정되어야 한다. 둘째, 이 문헌에서는 한자어 어휘가 한글로 적혀 있는 경우(, 시혹, , 량반, 반샹, 常녜, 寶등), ‘ㅿ’과 ‘ㅸ’의 표기(겨, , , 어버; 受苦- 등), ㅂ계 합용 병서와 ㅅ계 합용 병서(들, 디, , 디, 가; 우니, ), ‘ㄹ’ 말음 한자어가 계사나 조사와 통합할 때의 중철 표기(阿彌陀佛리라, 淸淨法身佛리라, 空王佛른, 無量壽佛리라, 萬物레; 子息기, 草木기; 世間냇, 千百億化身니라, 賤人니며) 등이 확인된다. 셋째, 이 문헌에서는 ‘ㅿ>ㅅ’을 반영한 어휘들(‘어버시’, ‘겨슬’, ‘’, ‘시’)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이 문헌에서의 활음 첨가는 선행 자음이 격음인 경우에 주로 관찰되며, 활음화보다는 활음 첨가가 두드러진다. 여섯째, ‘가지아짓’, ‘우석구석’, ‘머섬’ 등은 이 문헌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have compared Chiltaemanpeop Kyucangkakpon(KCK) with Chiltaemanpeop Ilsekmwunkopon(ISMK) bibliographically and linguistically(Korean is transliterated using Yale Romaniz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meone did not repair ISMK correctly and the explanation of letters per page is wrong because letters per page vary from 11 to 22 letters. Second, we still can observe the letters ‘ㅿ’ and ‘ㅸ’(겨, , , 어버; 受苦-), and word-initial consonant clusters(들, 디, , 디, 가; 우니, ) in this book. Third, we can observe that some Sino-Korean words which have ‘l’ in the word-final position are written with double spelling(阿彌陀佛리라, 淸淨法身佛리라, 空王佛른, 無量壽佛리라, 萬物레). Fourth, we can observe the change from ‘ㅿ’ to ‘ㅅ’ in some words(어버시, 겨슬, , 시). Fifth, we can observe both glide insertion and glide formation, however, glide insertion is more frequently observed. Sixth, ‘kaciacis’, ‘wusekkwusek’, ‘mesem’ are only observed in this book.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의존 명사 ‘것/거’의 조사 결합형과 관련한 몇 문제

        오규환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7

        이 글에서는 한국어의 의존 명사 ‘것/거’의 조사 결합형과 관련한 몇 가지문제들에 대한 우리의 관견을 피력하였다. 이 글에서 다룬 내용들을 요약하면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한국어의 ‘것’과 ‘거’는 쌍형어인데, 이때 ‘거’의 조사결합형인 ‘게’와 ‘걸로’는 그 도출을 음운론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우므로 이들은조사 결합형 전체가 어휘부에 등재된 것으로 처리할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둘째, ‘것’의 음절 말 ‘ㅅ’이 탈락하는 현상은 15세기부터 ‘게’라는 주격형에서 산발적으로 관찰되는데 이는 ‘것’이 고빈도로 사용되고, 주격형이 가장 많이 출현하는 조사 결합형이며, ‘것’이 음운론적 단어의 비어두 위치에 나타났다는 점 등이복합적으로 관여하여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셋째, ‘거’의 조사 결합형 ‘걸로’ 는 18세기 무렵에 이르러서야 관찰되는데 ‘걸로’라는 조사 결합형은 ‘널로’, ‘날로’, ‘일로’, ‘절로’ 등에 유추되어 출현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넷째, 현대 한국어의 ‘거’의 조사 결합형은 ‘게’와 ‘걸로’뿐만 아니라 ‘거가’와 ‘거로’도 관찰되는데이는 ‘거’의 조사 결합 패러다임이 유추적 확장에 의하여 ‘것’의 그것과 닮아가는 양상을 보여 주는 것이다. 다섯째, 출현 빈도가 높은 ‘X것’형 사전 등재어와 문법화를 경험한, ‘것’이 포함된 다단어 구성에서도 ‘것’과 ‘거’가 보이는 형태론적/음운론적 행태를 관찰할 수 있는데 우리는 이와 같은 현상이 빈도 효과와관련을 맺고 있을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