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젬스키 소보르(Земский Собор)의 형성

        오두영 숭실사학회 2012 숭실사학 Vol.0 No.29

        이 논문은 16세기 전반기 바실리 III세 사후 진행된 궁정 권력 갈등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이반 4세의 정치개혁 과정의 일부로서 젬스키 소보르의 구성 動因을 살펴보고 있다. 15세기 말~16세기 전반기 러시아 사회에서는 근대로의 이행기적 경제 현상들이 발전함과 동시에 새로운 신분질서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이반 3세 이래 全러시아를 단일의 통치 체제로 통합하는 정치적 중앙집권화의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정치적 중앙집권화의 초기 형태로 출현한 것이 신분제적 대의제 기구의 성격을 지닌 젬스키 소보르 였다. 젬스키 소보르가 16세기 모스크바 국가 정치사에서 어떤 역할과 성격을 지녔는가에 대해서는 19세기 후반 이래 많은 논의가 있어왔다. 그러한 논의들의 근거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젬스키 소보르의 구성과 역할 그리고 짜르와의 역학관계와 더불어 무엇보다도 이반 4세가 젬스키 소보르를 구성하게 된 動因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16세기 후반에 젬스키 소보르는 단지 세 번 소집되었고 매년 그 역할과 기능이 달랐으며, 그 동안의 연구 결과로 볼 때 그것을 서구적 의미에서의 대의제 기구로서 규정하는데 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보다 중요한 것은 이반 4세가 왜 젬스키 소보르를 구성하게 되었는가 였다. 이반 4세가 ‘젬스키 소보르’ 라는 새로운 국가통치기구 구성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우선 그 저변에 16세기 전반기 모스크바 국가의 사회 경제적 변화가 있었다. 15 말~16세기 전반기는 새로운 사회계층의 부상과 더불어 새로운 신분질서가 형성되고, 정치적으로 全러시아를 단일의 통치체제로 통합하는 중앙집권적 군주제를 지향하는 시기였다. 그러나 젬스키 소보르의 형성은 무엇보다도 16세기 30~40년대의 지배계층 내 첨예한 정치권력 갈등에 기인한 것이다. 15세기 말부터 이어져 온 대공의 중앙집권적 통치체제 강화 정책과 이에 대한 보야르 계층 및 공후세력 간 갈등이 초래한 새로운 통치 기구였다. 바실리 3세 이후 엘레나 섭정기를 거치면서 대공의 위상이 위협받는 상황이 지속되자, 이반 4세는 절대군주체제의 확립을 위한 국가통치체제의 개혁을 구상하였고, 그 결과 젬스키 소보르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이반4세의 중앙집권적 권력강화 의지와 그 정책을 명확히 드러냈던 것이 보야르 두마의 성원변화 모색이었다. 이반 4세가 대공의 중앙집권적 권력을 강화해 나가는데 가장 저항적인 구심체가 보야르 두마라고 판단한 이반 4세는 보야르 두마의 영향력을 약화시키지 않고는 자신의 실질적 권력을 강화하기 어려웠고, 따라서 엘레나 글린스카야 섭정기 이래 추진해 왔던 보야르 두마 성원의 변화를 모색하였다. It has long been argued if Ivan IV had intention to compose political representative system as a reign system. But he only aimed to strengthen his own absolute soveriegn power. Why did he organize Zemskii Sobor despite already composed ‘Chosen council’? In the first half XVI century Muscovy was changing social economical backing and therefor creating new social class different from traditional feudal lass. This phenomenon was coming up to the new social classes. Until Ivan IV ascend the throne in 1547, the most powerful aristocratic clans engaged in a chaotic and brutal struggle for power. One after another, they seized control of the government only to fall victim to the intrigues of their rivals. The principal contenders were the Glinskiis and Belskiis, Ivan’s relatives through his mother, and the Shuiskiis, princes from Suzdal who dominated the Boyar Duma at the time of Vasilii's death. Those boyar enjoyed greater prestige and additional benefits of rule. But during the chaos of feuds, disgraces and executions, the dominant court clans made no attempt to weaken the royal administration, for they had no interested in doing so. Boyars could not rule or aspire to rul because of weakening their political and economical power. Boyar shared real autority with the soverign. Innercircles of Boyar in effect dominated the Muscovite court. All disagreement shall be dispell and total agreement and harmony shall be maintained among Boyars and princes. So, if tsar were to establish his own absolute soveign power, he must have weaken Boyar Duma’ political power. So Ivan IV tried to change its component. His effort to change its component had long continued after Elena’s death. The tsar addressed a combined meeting of the Boyar Duma and a church council on 27 Febrary 1549 and demanded that the great nobles stop oppressing the lesser nobles and peasants as they had during his childhood. He forgave them transgressions they had committed during his minority. When the boyars promised to obey him. The meeting of 1549 was the first of many occasions on which the tsar publicly met with ecclesiastical and lay leaders to announce his government’s policies.

      • KCI등재

        니콘의 교회 개혁

        오두영 숭실사학회 2009 숭실사학 Vol.23 No.-

        17세기 중엽 짜르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취 치세기에 총대주교 니콘에 의해 진행된 교회개혁은 ‘라스콜’(Раскол)로 불리우는 교회 대분열을 초래하면서 종국적으로 뾰뜨르 대제시기에 완성되는 국가에 대한 교회의 예속을 촉진 시켰을 뿐 만 아니라 정부 및 지배계층과 일반 민중들 간의 신앙적․정서적 괴리를 고착화시켜 향후 러시아 근대사의 사회․정치적 갈등의 질곡의 단초를 제공한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개혁이었다. 이 교회개혁은 일반적으로 총대주교 ‘니콘의 교회개혁’으로 총칭되듯이, 교회개혁에 있어 니콘은 그 주창자이자 실행자로 간주 되었고, 연구자들은 교회개혁 전반의 성격을 규정하는데 있어서도 니콘의 역할과 위상을 중심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대체로 러시아 사회에 대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평가되는 17세기 교회개혁은 니콘의 의도와 역할에 대한 부정적 견해와 일치되어왔다. 즉 교회개혁이 러시아 정교회의 순수성을 회복하는 종교적 목표를 지향했으나 결국 러시아 정교회, 나아가 러시아 사회의 영속적 분열을 초래했고, 그것의 주 원인이 니콘의 종교적․정치적 야망과 오류를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1551년 이반 4세기 주교 마카리가 주도한 백항회의(Стоглавый Собор)가 그리스식 대신 러시아의 전통적 예전양식을 채택하고, 그리스 원전보다 러시아의 성인들에 더 큰 비중을 둔 러시아의 민족적 자긍심을 한층 높인 종교회의 였음에도 신앙적 갈등이나 교회분열을 초래하지 않았던 예에서도 볼 수 있듯이 니콘의 예전양식개혁 그 자체가 ‘라스꼴’의 주된 요인은 아니었다. 사실상 니콘이 세속권력을 장악하거나 국가권력에 대한 교회권력의 우위를 실현시키고자 한 구체적인 근거는 없다. 단지 상실된 교회의 권리와 위상을 회복하려 했을 뿐 이다. 그의 개혁 추진도 자신에 대한 짜르의 절대적인 지지와 정교회 신앙의 순수성을 회복하는 것이 자신에게 주어진 사명임을 인식한 사제로서의 입장에 근거한 것이었다. 짜르 알렉세이가 니콘이 실행한 교회개혁을 계속 실행하면서 개혁의 반대자들에 대한 가혹한 박해를 본격적으로 실행한 것은 니콘의 몰락 이후 였음에서 드러나듯이 교회개혁의 실질적 추진자는 짜르 알렉세이와 그의 측근들이었고, 니콘은 개혁의 주도자가 아니라 짜르의 충실한 조력자에 불과했다. 니콘은 단지 짜르의 교회개혁 추진 이면에 있는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고, 당시 러시아 사회의 급격한 변화의 흐름을 지각하지 못했을 뿐 이다. 여기에 덧붙여 비쟌틴 제국의 몰락 이후 종래 러시아 총대주교가 지닌 위상과 권위에 익숙한 그의 면모가 그를 독단적이며 정치적 야망에 가득 찬 인물로 간주 되도록 한 것이다. After the Time of Troubles new religious currents became to appear in russian society. Many people regarded reasons of The Troubles as the depravity of orthodoxy faith, so demanded in any forms church reforms. The goals of the innovators among the laity were to enforce and deepen the role of religion in the daily life of the laity, to move away from a religious life that stresses liturgy and miracle cults as the central religious experience, in favor of one that stressed morality. It was obvious that over a long period of time, errors and others mistakes in translation from the Greek had crept into some Muscovite religious texts and rituals. Replacement of old rites and ceremonies by Greek ones destroyed in some cases long-established traditions and customs in the Russian liturgical practice. From 1640’ s formed ‘The Zealots of piety’ around tsar Alexei. Nikon, one of the ‘Zealots’, had carried reforms on specific ceremonies that have Greek or Ukrainian prototypes. Nikon’s principal objectives were obvious in the strengthening of the patriarch’s power through manly the unification of rites and liturgical books on the Greek manner. But In fact Nikon did not know or understand the substance of the reform suggests that ignorance rather than subterfuge lay behind Nikon’s assertions that ancient monks were the basis of the reform. Nikon proceed to act in his usual determined manner which before long became a drastic manner. And to defeat the opposition, Nikon proceeded to obtain the highest possible authority and support for his reform. The reform of the orthodox church and the consequent schism of old belief led to a pronounced reduction in its influence on the state. The great split or schism in the 17 th century revealed serious weakness in the apparently mighty and monolithic Muscovite church. Generally Nikon, was known as a advocate or pioneer of church reform. But he only practically followed the support and intention of tsar Alexei as to restore the purity of the faith of ancient orthodox church and to enforce the role and place of the Russian church in the Eastern orthodox church. Nikon only scaled up the political and religious meanings of Russian patriarch’s role and place, and did not recognize the drastic social and political transformations which was occurring inside and outside of Russian society in that times.

      • KCI등재

        17세기 전반기 러시아의 네덜란드 상인들 - 정부정책과 상거래 조건을 중심으로 -

        오두영 숭실사학회 2014 숭실사학 Vol.0 No.32

        16세기 후반 이래 러시아는 수공업 생산의 증가와 전국적인 단일 시장의 출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 본주의적 관계가 발전하고 있었고, 이러한 발전과정에 있어서 토대적 추진력으로서 가장 중요한 동인 의 역할을 한 것이 상업자본의 형성이었다. 당시 이러한 상업자본의 형성을 주도할 상인 계층이 미숙 한 상태였던 러시아 시장에서 그러한 역할을 대신한 것은 서유럽 상인들이었다. 이른 바 ‘대항해 시대’에 보다 적극적인 상교역 활동을 확대하고 있었던 서유럽 국가들은 오랫동안 서 유럽과의 관계가 단절되어 왔던 러시아와의 상교역 교류를 모색하게 되었고, 러시아는 그들의 새로운 상교역 대상으로 부상했다. 16세기 후반 이래 러시아와의 상교역에 가장 먼저 진출한 것은 영국 상인 들이었으나, 이후 네덜란드, 함부르그, 뤼벡 등이 진출 하면서 이들 간의 경쟁 또한 치열해졌고, 17세기 들어 양적, 질적 모두에서 러시아와의 상교역을 주도한 것은 네덜란드 상인들이었다. 네덜란드 상인들 은 곧 영국 상인들을 제치고 가장 많은 상인과 교역량을 보이게 되었다. 네덜란드 상인들은 ‘혼돈의 시대’의 커다란 손실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에서이 상교역을 유지 확대하기 위해 정부에 탄원서를 제출하거나 황실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기 위한 노력을 각별히 기울였다. 또한 이들이 상교역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그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러시아 상인들과의 갈등도 커져갔다. 이 러한 어려움 가운데 그들이 러시아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노력은 계속되었다. 이는 그들이 주도적으로 러시아와의 상교역 활동에 필요한 유리한 조건을 형성해 나가 서유럽 상인들 에 대한 러시아 정부 정책에 있어 우선권을 부여받았고, 러시아 상인 및 귀족들과의 신용대부거래와 다양한 품목에서의 판매독점권 장악에서도 잘 나타난다. 1640년대 이후 서유럽 상인들에 의해 불이익 을 받은 러시아 상인들의 청원에 의해 러시아 정부가 서유럽 상인들에게 부여했던 감세 등 특혜를 철 회함으로서 어려움에 직면했지만 여전히 네덜란드 상인들의 상교역 활동은 제철업 등 다양한 생산업 에 진출함으로서 다른 서유럽 제국들에 비해 17세기 중엽까지 건재하였다. 이는 러시아 시장에서의 네 덜란드 상인들의 비중이 컸음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서유럽 상인들 중 소수만이 부여 받았 던 상교역 ‘인가장’의 대부분을 네덜란드 상인들이 행사했음은 이를 잘 보여준다. 이와 같이 네덜란드 상인들이 러시아 시장에서 주도적 위상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러시아 정부의 필요성과 이해관계 판 단에 의한 것이었지만 황실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는 등 네덜란드 정부와 상인들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 과였다. 당시 상교역 거래에 있어 관행 이었던 신용대부거래의 현황은 네덜란드 상인들이 러시아 시장 에 막대한 자본력을 투여하고 있었고, 러시아 시장에서의 상업자본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 다.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Russia began to capitalist development, including the formation of national single market. But yet Russian merchants had no sufficient capital to initiate domestic markets. Instead, Western europe merchants had contributed to form this commercial capital. Especially, The Dutch merchants had played principle role in formation of the commercial capital of the early modern Russia. After the Time of Troubles The Dutch merchants seized the initiative in the trade with Russia on behalf of the English merchants. They received grant of privilege which could trade freely in the territory of Russia and had only a handful between western merchants. And received a franchise in the various items that they had wanted to gain. At the beginning of Michael’s reign the English merchants retained their most favoured nation satus, paying no duties at all, while the Dutch paid half. Gradually, however, the English merchants’s, who traded mostly with their own goods, lost ground to the Dutch, who acted more as middleman for items both Western and Eastern, and who managed to win from the English merchant the monopoly on pitch. Western merchants managed to insinuate their way deeply into other forbidden territory, succeeding to such an extent that even an English representative, John Merrick. A series of petitions from the ‘guests’ and other Russian merchants finally led after many refusals of half-hearted responses to a complete repeal of the privileges of all foreigners in 1646, just after the death of Michael. Trade might be necessary, but it brought with it many infectious and harmful alien influences, including threats to the basis of the Muscovite state. Tsar Michael’s government policy for the Western European merchants was favorable because of its economic needs. But Russian merchant’s resistance to keep their previous commercial rights had changed such condition. The Dutch merchants manage to administrate the considerable amounts of capital through credit transactions that at that time was trading practices. These demonstrate that The Dutch merchants ha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Russian commercial capital.

      • KCI등재

        안드레이 루블료프 : 비잔틴적 유산에 대한 재해석

        오두영 숭실사학회 2011 숭실사학 Vol.0 No.27

        안드레이 루블료프 : 비잔틴적 유산에 대한 재해석 오 두 영 러시아 정교회에 있어 이콘은‘그림으로 그린 성서’혹은‘색채로 말하여진 신학’으로서 미학을 통해 영성신학을 드러내는 성스러운 매개체이다. 10세기 말 블라지미르 大公이 희랍 정교회를 수용한 이후 비잔틴 교회의 다양한 상징적 형상들과 더불어 본격적으로 러시아에 수용된 비잔틴의 이콘은 끼예프 공국 시대와 분령시대를 거치면서 비잔틴적 유산의 특징에 동슬라브적 고대전통이 가미 되었고, 점차 슬라브의 독창적인 시각적 이미지를 형상화시킨 이콘으로 변모 되어 나갔다. 이콘은 곧 중세 러시아人들의 정교회 신앙적 표상으로 자리잡게 되었고, 특히 분령시대의 혼란과 몽고지배하의 고난의 시기 동안 오히려 러시아 이콘은 그 내용과 특성에 있어 풍성한 개화기를 보였다. 안드레이 루블료프는 이러한 중세 러시아 이콘예술를 대변하는 최고의 성상화가였다. 그는 1405년 페오판 그렉과 함께 작업한 모스크바 블라고비쉔스키 성당 이코노스타스의 이콘들과 1408년 다니일 쵸르느이와 함께한 블라디미르 우스펜스키 성당의 벽화들 그리고 즈베니고로드의 사비노스따로쥅스키 수도원내 이콘들과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는‘삼위일체’에 이르는 이콘화들을 통해 수도사로서의 깊은 러시아 정교회적 영성을 구현했다.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이콘예술에 관한 연구는 도상학적 측면에서는 물론 그것이 내재하고 있는 정교회적 영성에 대한 신학적 측면에서의 분석도 병행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연구는 시대흐름과는 별개로 각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다음의 두 가지 상반된 견해를 보여왔다. 하나는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이콘예술은 비잔틴의 고전적 이콘화의 전통과 14세기 ‘팔레올로고스 르네상스’시대의 헤시카즘적 영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이콘신학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는 견해이다. 다른 한편에서는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이콘과 벽화들은 도상학적 측면에서 뿐 만 아니라 정교 신학적 측면에서도 비잔틴의 유산을 그대로 모사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조형적 구도와 색채미를 구사하고 있고, 이콘에 내재해 있는 이콘신학적 영성에 있어서도 단순히 비잔틴의 것을 그대로 따른 것이 아니라 특히 13세기 이래 루시 영역에서 형성된 독특한 러시아 정교회적 영성, 구체적으로 14세기 러시아 정교회의 영적 지도자였던 세르기 라도네쥐스키의 영성을 이콘화에서 구현하였다고 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견해들이 근거하고 있는 비잔틴 이콘예술의 전통과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이콘영성과의 관계를 재조명해 보려고 한다. Andrei Rublev : Tne Reinterpretation of Byzantine Legacy Oh, Doo Young Andrei Rublev considered to be the greatest medieval Russian painter of Orthodox icons and frescoes. And he who is considered the founder of the Moscow School of painting stands out as most prominent. The first mention of Rublev is in 1405 when he decorated icons and frescos for the Cathedral of the Annunciation of the Moscow Kremlin in company with Theophanes the Greek and Prokhor of Gorodets. Theophanes was an important Byzantine master brought traditional Byzantine Iconopici to Russia. The Hesychasm revised by Gregorius Phalams in the Byzantine Empire and so-call ‘Palaeologian Renaissance’ in the arts were delivered to Russia by the greek artists, including Theophanes the Greek. Theophanes's fresco in the church of our Saviour in Nobgorod reflect the hesychasts' striving for a more intense and authentic experience of God's presence through the holy lights. He assisted Theophanes the Greek in decorating the Cathedral of the Annunciation in Moscow. Andrei Rublev worked with together Theophanes in the Cathedral of Blagobyshenskii had been influence by his Iconopici and Byzantine Othodoxy spirituality. But He reinterpretaed his Iconopici expressed in Byzantine traditions, created new Russian tendency in Icon and fresco. In 1408 he painted together with Daniil Cherni, the Assumption Cathedral in Vladimir and in 1425~1427 the Cathedral of St. Trinity in the Trinity-St. Sergius Lavra. After Daniil’s death Andrei came to Moscow’s Andronikov Monastery where he painted his last work, the frescoes of the Savior Cathedral. He distilled the traditional themes and techniques of the icon and the fresco into a highly individual manner. In the “Saviour” he expressed the doctrine of the Incarnation, the conviction that Christ was both God and man, with a subtlety that few artists have ever approached. The greatest of medieval Russian icon painters, he is best known for The Old Testament Trinity. He became a monk fairly late in life. His famous Icon, “The Trinity” that depicts the Old Testament Trinity, three angels who visited Abraham and Sarah and predicted that, in their old age, they would have a son, is based upon an earlier icon known as the “Hospitality of Abraham”. Rublev removed the figures of Abraham and Sarah from the scene, and through a subtle use of composition and symbolism changed the subject to focus on the Mystery of the Trinity. In Rublev's art two traditions are combined. That it were, the highest asceticism and the classic harmony of Byzantine mannerism. The characters of his paintings are always peaceful and calm. After some time his art came to be perceived as the ideal of Church painting and of Orthodox iconograph in Russia. He was trained wholly in the stylized tradition of Byzantine art, but to the more humanistic approach it had adopted by the 14th century he added a truly Russian element, a complete unworldliness that distinguishes his work from that of his predecessors and successors.

      • 열적 전처리를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종류별 지질 회수

        오두영,김대기,송형운,이종근,박기영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기존의 하수슬러지 처리는 슬러지의 안정화와 감량화를 주목적으로 하였으나 최근 슬러지 처리계획은 처리 후 슬러지의 유효이용을 포함하게 되었다. 특히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는 하수슬러지를 biosolids로 정의하고 슬러지 처리방법을 자원화에 이용하고 있으며, 매립지 부족 및 대체에너지 확보를 위한 하수슬러지 감량화/에너지화 기술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슬러지의 에너지화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고 에너지화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혐기성 소화가 이용되고 있으며, 연구의 초점이 소화조 설비 및 가용화 기술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하지만 최근 유럽, 일본 등지에서는 혐기성 소화 이외에 하수슬러지 내에 포함된 지방 및 지질 성분으로부터 화학 촉매를 적용하여 바이오디젤로 전환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하수 슬러지의 지질 함량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지질회수율과 지질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수슬러지의 지질 함량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학적 방법인 지질의 용매 회수법을 사용하였으며, 지질회수율의 증대를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열적 전처리를 사용하여 지질회수율 증대를 확인하였다. 최적의 지질의 용매 회수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3가지 용매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열적 전처리의 최적 조건을 찾아보고자 125~250℃의 온도를 25℃ 범위로 시행하였다.

      • KCI등재

        20세기 초 모스크바의 외국인들:일상생활 및 사회활동을 중심으로

        오두영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8 중소연구 Vol.41 No.4

        In the early 20th century, industrialization has been accelerated in Russia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in Moscow, a center of orthodox and cultural and scholarly as well as Russian commerce and industry, which surpasses Saint Petersburg, the capital of the Russian Empire, each fields of society was rapidly changing. It was the foreigners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hange and dynamics of this Moscow society. The influence of the foreigners who lived in Moscow in the early 20th century on Moscow society was multifaceted and important, which greatly influenced the nature of the newly formed civil society. It is true that economic factors in this period were the biggest factor in attracting foreigners to Moscow, and their commercial activities were prominent throughout Moscow society. However, it was the daily life and social activities, including education and cultural life, that foreigners who came to Moscow had a more direct and long-term impact on Moscow society. Foreigners were under Russian rule, enjoyed legal rights that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Russian citizens despite some restrictions, and some enjoyed the privilege of being a foreigner. In addition, they increasingly demanded their legal status be improved. Though some foreigners were poor, most of them lived a normal life and enjoyed a relatively rich cultural life such as sports, music, exhibitions and circus. Their children also received a high level of higher education in Moscow. They also came to Moscow for the purpose of receiving education at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particular, art schools such as music, literature, and art have attracted foreigners. Most foreigners have been successfully fused into Moscow society quickly, despite a number of conflicts and problems. In addition, foreign artists who visited Moscow temporarily enriched the leisure life of Moscow citizens and foreigners, especially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as well as introducing and communicating western culture. 20세기 초 러시아에서는 19세기 말 이래의 산업화가 가속화되고 있었고, 특히 당시러시아 제국의 수도였던 상트 페테르부르그를 능가하는 러시아의 상공업 뿐 만 아니라 정교회 및 문화와 학문의 중심지였던 모스크바는 도시 생활방식부터 사회 각 분야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모스크바 사회의 변화와 역동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외국인들이었다. 20세기 초 모스크바에 거주했던 외국인들이 모스크바 사회에 준 영향은 새로이 형성되고 있던 시민사회의 성격에 큰 영향을 줄 만큼 다면적이고 중요했다. 이 시기 경제적 요인이 외국인들을 모스크바로 끌어들이는 가장 큰 요인이었고, 그들의 경제활동이 모스크바 사회 전반에서 두드러졌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유입된 외국인들이 모스크바 사회에 보다 직접적이고 장기적인 측면에서 더 큰 영향을 준 것은 교육 및 문화생활을 포함한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이었다. 외국인들은 러시아 법률의 지배하에 있었고, 일부 제약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시민과 큰 차이가 없는 법적 권리를 누렸으며, 일부분에서는 외국인으로서의 특권도 누렸다. 나아가 그들은 점차 보다 확대된 자신들의 법적 지위 향상을 요구하기도 했다. 외국인들은 일부 빈곤자들도 있었으나, 대부분 평범한 생활을 하였고, 스포츠, 음악, 오락 등 비교적 풍족한 문화생활을 누렸다. 여기에 자녀들도 모스크바의 높은 수준의 고등교육을 받았다. 또한 그들은 여러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기 위한 목적으로 모스크바로 왔다. 특히 음악, 문학, 미술 등 예술학교들은 외국인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흡인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적지 않은 외국인들이 보모나 가정교사 그리고 각급 교육기관에서 선생으로 일했고, 다양한 문화예술분야에서 활동하였다. 대부분의 외국인들은 빠르게 모스크바 사회에 성공적으로 융합되었다. 또한 모스크바에 초빙된 일시 방문 외국인들도, 특히 문화예술 분야에서 모스크바 시민 및 체류 외국인들의 여가생활을 풍부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서유럽 문화를 소개하고 전달해주는 역할도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