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語オノマトペに對する母語話者と韓國人學習者のイメ一ジの違い

        吉田たか(요시다 다카) 한국일본어학회 2010 日本語學硏究 Vol.0 No.28

        일본어는 오노마토페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언어이다. 그러나 일본어를 학습할 때 학습자가 오노마토페를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모어화자와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일본어 오노마토페를 접했을 때 받는 이미지를 의미미분법(semantic differential)을 이용해서 조사·비교하였다. 그 결과 청음·탁음·반탁음 대립의 이미지에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일본어모어화자는 반탁음>청음>탁음 순으로 “가늘다, 약하다, 조용하다, 가볍다”등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한국인학습자는 청음>탁음>반탁음 순서로 이러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고, 반탁음 이미지에 자이를 볼 수 있었다. 또, 한국인 학습자에게 구별이 어려운 무성파열음과 유성파열음에서는 이미지에도 대립이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終助詞使用状況

        吉田たか(요시다 다카) 한국일본어학회 2011 日本語學硏究 Vol.0 No.32

        자연스러운 일본어회화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것 중에 하나가 종조사이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아직까지 종조사에 대한 지도가 상세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종조사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경우가 많다. 본고에서는 OPI데이터 중에서 한국인일본어학습자만을 대상으로 종조사 사용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그 중에서 가장 사용수가 많았던 「ね」를 기능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나타난 학습자의 레벨별 「ね」사용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초급레벨에서는 절반의 학습자가「ね」를 사용하고 있으나 오용 또한 많이 나타났다. 중급학습자에서는 ‘동의’ 의 용법에서의 오용은 감소하였으나 그 외의 용법에서는 여전히 부적절한 사용을 다수 볼 수 있었다. 상급학습자가 되면 사용수가 급증하고, 다양한 용법을 구사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말하는 사람에게 정보가 있는 용법이 과반수를 넘게 되는데, 「のだ」와의 접속을 올바르게 하지 못해 부자연스러운 표현이 많이 나타났다. 또, 최상급레벨에서는 전체적으로 모어화자의 사용실태와 가까워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또한「ね」의 사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초급?중급에서는 듣는 사람에게도 정보가 있는 ‘동의’의 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상급?최상급에서는 말하는 사람에게 정보가 있는 용법을 많이 사용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