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突发公共事件中的心理障碍与应激行为 - 基于心理弹性的中国民众COVID-19应激行为调适机制研究 -

        LUTANSHENG,卞青阳,陈琪钰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20 중국과 중국학 Vol.- No.40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에서 중국 시민들이 갖는 스트레스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코로나19 스트레스를 인지적 평가, 정서적 공포 및 방위적 행동 등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중국 시민들의 불안감과 우울감 등의 심리적 장애가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이들의 각 영역별 코로나19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 냄으로써 코로나19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 하고, 나아가 전세계 코로나 우려를 극복하는 데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에 있어서는 중국 시민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회수된 1248부를 분석자료에 대하여 내적일관성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통계와 단계적 회귀분석, 그리고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사대상자의 불안감과 우울감이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부정 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대상자의 우울감은각 영역별 코로나19 스트레스을 억제시키는 반면에, 불안감이 코로나19 스트레스 중의 정서적 공포 및 방위적 행동에 유의미한 양(陽)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사태에서 중국 시민들의 심리적 장애(불안감과 우울감)와 각 영역별 코로나19 스트레스의 관계에 서, 회복탄력성이 부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함의와 앞으로의 전망을 논의하였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disorders, resilience and COVID-19 stress in order to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crisis of COVID-19 epidemic. In other words, through empirical study on COVID-19 stress, this study tried to find an effective flexible adjustment mechanism that can buffer the stress response to public emergencies. Data collected from 1,248 Chinese men and women through a network survey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Also several analysis techniques, including internal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were adopted by using SPSS 23.0 ver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found out that psychological disorders (anxiety & depression)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resilience statistically, secondly,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sub-categories of COVID-19 stress and anxiety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COVID-19 stress statistically, among the sub-categories of COVID-19 stress, cognitive evalu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xiety, but panic and defense respon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xiety, and thirdly, resilie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disorders and all sub-categories of COVID-19 stress. Findings provide impetus for future investigation testing additional hypotheses and mechanisms of the COVID-19 stress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