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근대적 죽음 이해와 소통 방식에 대한 연구

        선영(Sun Young Chun)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1

        이 논문은 죽음에 대한 근대적 이해와 소통방식을 연구함에 있어서 의료인들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형적 근대의료기관인 병원에서 죽음은 흔히 회피, 금기 내지는 억압된다고 여겨지며 이러한 인식은 병원에서의 비인간적인 임종상황과 맞물리면서 쉽게 사회적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필자는 이같은 설명이 한편으로는 나태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명백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보고, 성급한 도덕적 담론에서 한 발 물러나, 병원이라는 공간에서 죽음이 이해/소통되는 성격과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이때 우리는 병원에서 죽음이란 현상이 지극히 ‘기능적으로 특화된’ 맥락 안에서 경험된다는 사실에 충분히 주목해야 한다. 병원에서 죽음은 더 이상 어떠한 의학적 통제나 조작도 가능하지 않은 몸의 상태로서만 그 실체를 드러내며, 몸이 그러한 상태에 이르게 된 것은 관찰되고 측정된 질환의 자연스러운 경과와 예후 또는 그 질환의 치료를 위해 행해진 의료적 처치의 결과이다. 전자의 경우 그것은 ‘예상되었던 것’이므로 놀랄 일이 아니며, 후자의 경우에 죽음은 그 동안 행해진 구체적인 의료적 치료의 내용과 결과로 환원되어 설명되어지는 것이다. 의학적 일상에서는 ‘합리적’ 설명이 가능한 개별적 죽음들만이 존재하고, 이런 맥락에서 죽음은 질병의 이름 또는 행해진 치료의 성공과 실패로 환원되어져야만 하며, 이를 통해서만 인식과 소통이 가능해진다. 때문에 병원이라는 조직에서 나타내는 특정한 죽음 이해/소통 방식은 죽음의 억압이나 왜곡된 전문성(deformation professionelle)의 결과물이 아니라 조직의 안정적 존속과 유지 나아가 효율적 작동을 위해 진화적으로 선택된 방식인 것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죽음의 기능적?전문적 이해가 곧바로 병리적이거나 부정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근대적 삶의 구조적 조건을 반영하고 있을 따름이다. 그러나 물론 죽음에 대한 의과학적 이해가 지나치게 ‘비대화’하는 것은 경계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적 기능체계들과 그 조직들 안에서 이루어지는 우리의 일상 ‘저편’에 ‘전체로서의 나’를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을 수 있도록 해주는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 비로소 우리의 죽음 또한 ‘한 인간의 총체적 죽음’으로 인식될 수 있는 가능성을 ‘다시’ 얻게 될 것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modern way of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f death, focusing on people involved with the medical activities. Death is usually regarded as something which should be avoided or suppressed in the hospital, the typical modern medical institution. That recognition becomes a critical point easily in society in relation to the inhumane situation of the hour of death in hospitals. This explanation, in some aspects, is naive, and, at the same time, shows a clear limitation. Stepping back from the hasty moral discourse, this article is going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y of understanding & communication of death in the space of hospital in concrete. Though the phenomenon of death might be an everyday experience because of its frequent happenings in the hospital, we are suppos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death is experienced in the ‘functionally specialized’ context. The death in the hospital could reveal its substance with the medically uncontrollable and unmanageable physical condition. The reason the body leads to the condition is the result of the natural procedure of disease and all the medical treatments. The first one is not so surprising because it was ‘expected', and the second one is explained as the result and content of the concrete medical treatment. There is no any philosophical and ontological meaning in relation with the death in the medical everyday experience, but just an individual death which might be ‘rationally' explainable. In this context, the death should be reduced to the name of disease or the success & failure of the medical treatment, through which the recognition and the communication could be possible. Accordingly, the special way of understanding & communication of death in the medical institution, so-called hospital, needs to be seen not as the result of the suppression of death or of the deformed professionalism, but as the evolutionarity chosen way for the safety and preservation of the organization, furthermore for the efficient working. The functional and specialized understanding of death is not necessarily interpreted as something negative and pathological, but that is just one reflection of the structural condition of modern life. However, we should be careful not to stress the medical & scientific understanding of death too much. It is necessary to build the “social safety” which makes it possible to open the potentiality that forms “I as an whole” “beyond” our daily life in the social functional systems and the organizations. Finally, our death would get the possibility “again” to be considered as “the death of a man/woman on the whole”.

      • KCI등재
      • KCI등재

        미셸 푸코의 근대적 죽음론 - "인간의 탄생"과 그의 "죽음", 그리고 "인간적 죽음", 그 사회 이론적 함의-

        선영 ( Sun Young Chu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6 담론 201 Vol.9 No.3

        미셸 푸코가 죽음의 문제에 대해 정교하고 체계적인 이론을 남긴 것은 아니지만, 죽음이 그의 사상 전반에 걸쳐 있는 중요한 주제 중 하나라는 것은 분명하다. 이 글에서는 죽음의 문제에 대한 푸코의 사유를 근대적 주체가 자기 자신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 하는 것의 지표라는 관점에서의 4가지 모티브들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그 사회이론적 함의를 짚어 보았다. 먼저 근대에서 죽음은 여하한 형이상학적, 종교적, 상징적 요소들을 탈각하게 되고 비로소 개인을 개인이게 하는 동력으로써 자리잡게 된다(``근대적 주체 형성 추동력으로서의 죽음``).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인간 존재 그리고 인간과학적 토대 자체의 ``불안전성``을 동시에 가시화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그 스스로에게 ``유한성``을 선고하게 될 가능성을 내재적으로 포함한다(``인간의 죽음``). 나아가 삶에 대한 통제를 자기의 목적으로 하는, 그리하여 그 스스로 어찌할 수 없게 된 죽음을 구체적 개인들의 실존의 가장 비밀스럽고, 사적인 지점으로 되돌려놓는 근대사회의 생체(통제)권력 메커니즘은 종국에는 죽음을 무화(無化)시키는 경향이 있다(``타자화된 죽음``). 이런 상황에서 어떤 보편적, 절대적 원리나 윤리에 근거하지 않는, 오로지 자기준거와 자기배려에 기초한 새로운 개인윤리의 형성은 두려움 없는 죽음에의 ``내재적``, 즉 ``비초월적`` 직면을 가능케 해줄 수 있는 가능성의 조건으로 이해될 수 있다(``인간적 죽음``). 이러한 푸코의 논의는 우선 ``타자화된 죽음``, 또는 ``터부로서의 죽음``을 거의 유일한 근대적 죽음이해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겐 논의의 폭을 넓히고 깊게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푸코를 통해 우리는 그러한 죽음담론 형성의 ``고고학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이론적 도구를 갖게 된다. 그리고 덧붙여 푸코가 오늘날 ``죽음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에 대해 뭔가 이야기를 해주어야 한다면, 아마도 그것은 마지막에 다루어진 자기배려로서의 ``인간적 죽음``과 관련이 있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 때 자신의 죽음과 ``내재적``으로 직면해야 하는 - 스스로를 윤리적으로 구성하는 - 주체(화)는 개인의 선한 선택에 기대도 좋은 ``기호품`` 같은 것이 아니다. 그것은 전 실존의 ``완벽한`` 개별화/개체화와 죽음의 사사화(私事化)라는 역사적 맥락 안에서의 필연적 요청이며, 그 안에서 새로운 가능성들이 모색될 수밖에 없는 절박함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죽음의 신비화 내지 절대화, 죽음의 타자화 그리고 죽음의 윤리화에 반대하는 푸코의 입장을 우리 사회의 죽음담론의 종교화/신학화, 의학화 그리고 교육화 현상을 비판하는 준거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It is certain that death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for Michel Foucault. But it is also true that he did not ever leave a systematic theory on death. This paper reconstructs and discusses the socio-theoretical meaning of Foucault`s thoughts about modern death. First of all, for Foucault, death is a generative motor for the modern individual. But at the same time, the modern individual is aware of themselves as a limited being. It means that the birth of the modern individual leads to cognition/perception of one`s own death as a purely human task. For the first time in human history, this situation is a necessary consequence. So the modern individual pronounces his own death. Furthermore, modern society`s ``bio-power`` leads death to be dismissed as a purely private thing and to totally eliminate it. In this situation, the individual should develop a new personal ethic that does not originate from a universal principle or an ethic that should make possible the immanent confrontation with one`s own death. One has no Foucault`s thought ranges over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death. It also makes understandable the origin of modern death and our form of correspondence/response to it. And Foucault`s requirement of death as ``self care`` does not mean a preference that we can leave out of personal choice, but an inevitability for everybody. Further, we can refer to Foucault`s position as a critic about theologicalization/medicalization/educationalization of death in our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소통의 시대에 생각하는 불통(不通)의 사회학

        선영(Chun, Sun You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4 사회와 이론 Vol.25 No.-

        우리사회의 화두 중 하나는 소통이다. 다른 말로 그것은 우리가 ‘불통’이라는 ‘문제’ 때문에 머리를 싸매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런 상황 이해 속에서 본 논문은 니클라스루만 이론 전체를 끌어가는 방법론적 도구이자 핵심적 개념인 커뮤니케이션 의사회 이론적, 나아가 실천적 함의를 시론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 글의 핵심적인 주장은 그의 커뮤니케이션 개념이 우리 시대의 소통 문제를 논의하는데 있어 탁월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를 관찰하고 분석하는 방식자체를 바꿔 놓는다는 점에서 혁신적인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개념은 본래적으로 사회적인 것인데 각각의 체계가 서로에게 블랙박스인 조건하에서 발생한다. 커뮤니케이션은 계속 재생산됨으로써 체계를 유지하고 구성 하지만, 그것은 이해나 합의를 전제로도 목적으로도 하지 않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각기서로 다른 자기 재생산적 원리로 작동하는 체계 간 ‘불통’은 그의 이론적 입장에서는 지극히 ‘정상적인 것’으로 이해될 가능성을 획득한다. 나아가 진화론적으로 성취된 ‘성공적 소통’이라는 상태가 역설적으로 얼마나 대단한 인류문명사적 성취인지 인지하게 된다.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개념을 통해 우리는 체계 간 소통/불통을 해결되어야만 하는 사회문제로 인식하는 것을 넘어 각각의 체계에서 서로 다른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관찰되고 기술되는지를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시각을 얻게 된다. 그의 시선을 따라가 보면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연결망 속에서 사회를 지탱시키는 것은 합의의 생성이 아니라(이런 점에서 그의 이론은 하버마스식 비판이론에 대한 비판으로 읽을 수 있다).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자체이며, 그 속에서 지속적으로 생산되는 차이를 견딜 수 있는 힘이다. One of central topics in our society is communication. Failure to communicate is its big problem. In this context analyzes this pape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meaning of Kommunication, the key theoretical concept of Niklas Luhmann. The central argument of this paper is showing the usefulness of Luhmann’s Kommunikation. The concept of Kommunikation in Luhmann’s theory is creative, and this concept reverses the method of observation and analysis of society fundamentally. Luhmann’s Kommunikation, which is genuinely social, is produced on and on and through that consists and sustains the social system. However, it does not assume or purpose neither understanding nor agreement. Failure to communicate between social systems, which are closed operationally, is in Luhmann’s theory simply normal. Presumption of “successful communication” is defined as a highly important achievement evolutionarily. With Luhmann we can get a new perspective on how Kommunikation is observed and described in society. We can also understand why it is important for power to endure difference rather than to aim for agreement.

      • KCI등재

        한국 여성 사회학자에게 있어 ‘직업으로서의 학문

        선영(Chun, Sun You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3 사회와 이론 Vol.22 No.-

        생물학적으로 여성인 사회학자이면서 여성학전공자도 아니고 페미니스트도 아닌 글쓴이는 여성학 전공자나 페미니스트들이 제도로서의 사회학계나 사회학과에서 경험하는 것과는 또 다른 방식으로 ‘내부적 이방인’ 경험을 했고, 하고 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이 글은 직업적으로 사회학자의 길을 걷고 있는 한국여성사회학자들에게 있어 직업으로서 학문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그들은 어떤 학문적경력을 어떤 방식으로 쌓아가게 되는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대답이 가능하겠지만 우선 이 글에서는 몇가지 개념(화)을 통해 대략의 지형도를 그려보고자 한다. 주장의 요지는 직업적으로 사회학자의 길을 가는 ‘여성’ 사회학자들이 때로 ‘무성화’ 때로 ‘유성화’될 것을―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명시적으로든 비명시적으로든―요청 받아왔다는 것이며 그것이 여성사회학자들의 학문적경력에 있어 특정한‘경로’를 만들어왔다는 것이다. 그것은 사회학전체지형에서 여성학적관점이 차지하는 비주류적상황과 반대로 학계에 진입한 여성사회학자 다수의 전공을 여성학 쪽으로 한정하는 역설적 결과를 낳았다. 이 과정에서 여성 사회학자들의 위치는 게토적으로 설정되었고 여성학자군(群)이 특정한 방식으로 재생산되어온 경향이 있다. 그 과정에서 여성학 전공이 아니거나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로 이해하지 않는 여성 사회학자들이 마주하게 되는 구조적상황을 ‘중층적소수성’이라 이름 붙여보았으며, 긍정적으로 새롭게 규정될 수 있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무성화’의 새 시대에 대한 기대를 표명하는 것으로 글을 마무리했다. Author, who is a biologically female sociologist, not a specialist in women’s studies or a feminist, has felt like “an internal outsider” which is different from what is felt by specialists in women’s studies or feminists in the world of sociology. Based on, this paper poses a question to female professional sociologists in Korea on Wisenschaft als Beruf: What kind of academic career can they build, and in what way can they do this? With this question in mind, this paper attempts to draw a cognitive map through several conceptualizations. The main point of the argument is that female professional sociologists have sometimes been required to undergo an “invisibilization of gender” process and sometimes the “visibilization of gender”, be this direct or indirect and explicit or implicit. This has carved a certain “path” - referred to as canalization - for the academic careers of female sociologists. This results in a paradoxical outcome that confines most female sociologists in academia pertaining to women’s studies. In this process, the status of female sociologists has been “ghettoized”. The author terms the structural situation in which female sociologists do not major in women’s studies and do not regard themselves as feminists a “multi-layered minority”. This paper concludes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new “invisibilization of gender” era will differ from what it was and thus that it can be defined in a new way.

      • KCI등재
      • KCI등재

        ‘노약자석’을 통해서 읽는 공간의 일상 정치

        선영(Chun, Sun You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09 사회와 이론 Vol.14 No.-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는 더불어 사는 사회 구현을 그 중요한 목적의 하나로 이해하는 오늘 우리의 일상에서 중요한 덕목 중 하나임에 분명하지만, 이 글에서는 지하철 노약자석을 하나의 ‘공간적 배치’로 읽고, 그 도덕적 선함에 대해 잠시 눈감고, 노약자석이라는 공간에서 관찰되는 많은 ‘파생적이고 비의도적인’ 이야기들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먼저 ‘공간의 사회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특정한 공간 배치와 그 사회적 효과/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는 본 논문이 한국 사회가 보여주는 특정한 사회적 관계, 가치, 구조와 권력의 양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논리적 배경으로 하여 본 논문은 연구 대상이 된 지하철 노약자석을 사회적 범주 규정과 그에 수반되는 사회적 긴장, 공간의 분할과 격리 그리고 가치, 규범/일탈이라는 네 가지 차원에서 분석하면서 이 공간의 사회적 성격과 결과를 토론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우선 노약자라는 범주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측면뿐 아니라 동시에 스스로 적극적으로 ‘구성하는’ 측면을 지니는 복합적 개념임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현재 한국의 지하철 노약자석이 ‘깨끗한’ 분할과 격리를 구현하는 공간 구조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예의와 배려, 가치와 덕의 문제가 규범과 위반/일탈의 문제로 변환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이를 통해 노약자석이―비의도적이고도 역설적 결과로―상호 격리를 공고히 하는 공간으로 변질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공간은 고정적 실체가 아닌 하나의 사회적 구성물로서 우리 사회의 공간 인식, 나아가 공간을 매개로 한 사회적 관계 형성의 논리와 구조를 투영한다. 그런데 현재의 지하철 노약자석이라는 공간에서 우리가 확인하게 되는 것은 안타깝게도 부적절한 범주 구분의 창출과 그 구분의 강화, 배제와 격리 메커니즘의 확산 등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