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벼 생태형별 염농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鄭鎭一,劉肅種,吳明圭,白南玄,高在權,李載吉 韓國作物學會 2002 한국작물학회지 Vol.47 No.6

        비염해지인 육답에 대한 간척답의 염농도가 0.2%, 0.3%, 0.4%인 지역에서 수도 생육 및 수량반응을 비교 검토하여 수도의 내염성 및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일반계 품종 6품종 통일형 5품종을 공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지연 정도는 육답 대비 0.2%포장에서는 일반계 품종은 2일, 통일형품종은 3일이 지연되었고, 0.3%포장에서는 일반계품종이 5일, 통일형품종이 8일, 그리고 0.4%포장에서는 각각 10일과 13일이 지연되었다. 2. 간장은 일반계품종이 13-39%, 통일형품종이 12-35% 감소율을 보였고, 수수는 일반계품종이 16-40%, 통일형품종이 14-35% 감소율을 나타내어 간장 및 수수의 감소율은 일반계 품종이 더 심하였다. 3. 수당립수는 일반계품종과 통일형품종 공히 10-40%의 감수율을 보였으나, 등숙율은 일반계품종 20-48%와 통일형품종 19-52%의 감수율을 보여, 통일형품종이 더 심하였다. 4. 천립중은 23% 이내의 비교적 적은 감소율을 보인 반면, 수량은 일반계 품종은 20-62%, 통일형품종은 25-68%의 감소율을 보여 통일형품종이 더 컸다. In other to find out the basic information on cultivation and breeding for salt tolerance in rice,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at salinity paddy fields containing 0.2, 0.3, 0.4% of salt and normal paddy field using 6 Japonica type, 5 Tonsil type varieties and Annapurna. On these fields a series of investigation was made for the responses of rice growth and yield to salt content of saline sails. The heading dates of the rice cultivated at salinity 0.2, 0.3 and 0.4% were delayed compared by 2 or 3,5 or 8 and 10 or 13 days respectively in Japonica and Tonsil type varieties to those at the normal paddy fields. The culm length at salinity paddy fields decreased by 13-39% in Japonica type and 14-35% in Tongil type varieties. But the number of panicles per hill decreased by 16-40% in Japonica type and by 14-35% in Tongil type varieties. The number of grains per panicle in saline paddy fields decreased by 10 to 40% in all varieties, but the percent ripened grain decreased by 20-48% in Japonica type and by 19-51% in Tongil type varieties. 1000 grains weight was decreased by lower than 23% in all varieties, but yield was reduced to 20-62% in Japonica and 25-67% in Tongil type varieties

      • KCI등재

        참깨종자의 과위화 재료에 따른 발아 및 물리적 특성

        吳明圭,金宗太,劉肅鍾,高鍾喆,朴文洙,李仲用 韓國作物學會 1997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2 No.5

        종자가 작아 솎음작업이 불편한 참깨 종자를 과립화하여 솎음작업 노력을 절감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과립화 방법은 종자+과립화 물질(제올라이트, 피트, 활성탄소) + 알진산용액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든 후 플라스틱 병에 담아 4mm 배출구를 만들어 조금씩 배출 CaCl2 용액에 떨어뜨려 과립을 만들었다. 각 재료별 과립종자의 특성 및 발아율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ellet당 1~3개의 종자를 목표로 할 때 증량제 1 당 87g의 종자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2. 과립종자의 경도 및 줄뿌림 파종시 파괴율은 과립화 물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재료별로 zeolite의 경도가 강했고, 파괴율도 2% 낮았다. 3. 과립종자의 수분 흡수율은 재료별로 피트 + 활성탄소 > 피트 > 활성탄소 > 제올라이트 순으로 낮았다. 4. 활성탄소를 재료로한 과립종자의 발아율은 95%로 무처리 (일반종자) 98%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경도가 크고 충격에도 안정적일 뿐 아니라 맥류세조파기의 파종 롤러에 의한 파괴도 적어 공시재료 중 가장 유망시 되었다. 5. 복토 정도에 따른 발아율은 과립종자가 지면에서 1/4 보이게 파종시 pelleting재료에 따라 80~92% 였으며, 이중 활성탄소가 가장 좋았다. A seed pelleting technique was developed for easy handling of small sesame seeds (Chinbaeckkae) and for direct seeding in field. The mixture of pelleting material, binder(sodium alginate) and seeds were dropped in 100mM CaCl2 solution. Charcoal was appeared as a best material among all to make pellets with the characters of hardness, breakdown, destruction rate and germination percentage. Zeolite formed the hardest pellet seeds among the materials and 1~3 seeds contained in a pellet on the treatment of 87g of sesame seeds mixed in 1~ell CaCl2 solution was estimated optimum rate of seed mixure with few appearance of seedless pellet. The moisture absorption rate was greater in the order of peat+charcoal > peat > charcoal > zeolite. Germination percentage of pelleted seeds with charcoal was the best and similar to that of common non-treated seeds. Germination percentage of pelleted seeds by sowing depth of exposing a quarter of pellet seeds on the surface of vermiculite germination test box and were 92% in charcoal treatment and was the best among all released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