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획밀집도 인지가설의 검증

        구본영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4 No.-

        Since discovery of word superiority effect, many students have tried to prove word shape effect. Nevertheless, word shape effect has never been corroborated yet. Bonyoung Koo indicated one of the reasons of fail to prove word shape effect is from narrow interpretation of whole image of word, mentioned as potent factors of word shape effect. He formulate hypotheses that stroke density also works as one of factors of whole image of word and proved it. However, it was possible that unexpected factors affected his experiment. The text that the stroke density was strengthened stands out visually. Consequently, this study prepared an experiment to cut off unexpected factors; the darkness of the parts of strokes was manipulated according to stroke density.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ext that stroke density effect was exaggerated was more readable than that was reduced(P>0.05). Although it was not enough to prove stroke density effect, the stroke density effect is supported by the experiment, considered with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hypotheses. 단어우월효과의 발견 이래 100여 년간 서구의 연구자들은 단어윤곽인지론의 증명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나, 아직까지 확증적 결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구본영은 단어우월효과에서 도출된 단어의 총체적인 이미지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 단어윤곽 인지론이 정립되지 못한 원인의 하나로 판단하였다. 그는 획밀집도 역시 단어의 총체적인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소로 판단하고 실험을 통해 증명한바 있다. 그러나 그의 획밀집도 인지실험에 사용된 획밀집 강화형 문장은 본문이 배경에 비해 두드러져 보이는 효과가 나타나, 실험목적 외적요인이 개입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적요인의 개입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획밀집 영역과 그 외 영역의 획의 명도를 달리하여 독서 수월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획밀집효과 강화형 문장의 독서속도가 약화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선행연구결과와 함께 해석 하면 획밀집도 역시 단어의 인지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정체성과 미래의 전망

        구본영 한국문헌정보학회 200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6 No.3

        The Study focused on the four area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changing identity of the LIS Professionals, and change in LIS curricula. Second, the study addressed the transition from the traditional library to the virtual model. Third, the study asked how the traditional technical service of LIS professionals is changing to user-centered service. Finally, the study viewed the skills and the roles of the LIS professionals. 이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정체성을 밝히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교과과정, 전통적인 도서관 대 가상도서관으로의 변화, 전통적인 기술 업무에서 이용자 중심 서비스로의 변화, 그리고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기술과 역할에 대해 제시하였다. 전통적으로 사서직의 가치는 인문학적이고 민주적인 것이었으며, 사람들의 지혜를 증진시키고, 오락을 제공하며 그리고 교육을 담당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의 지식과 삶을 향상시키고 풍요롭게 하는 문화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사서직 기능). 그런데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보의 양이 급증하고, 다양한 정보매체와 정보형태는, 적절한 정보를 적자(이용자)에게 적시에 제공하기 위해, 정보검색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보창출을 위한 정보전달의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정보전문직 기능). 현재 우리는 전통적인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 환경을 함께 맞고 있다. 전통적인 도서관에서는 기록정보를 보전 전승하는 문화적인 기능이 강하고, 디지털 도서관은 정보전달과 정보공유의 기능이 강하다. 전통적인 도서관과 디지털 도서관이 공존할 수 밖에 없는 현재의 정보환경에서, 사서직과 정보전문직의 기능을 함께 수행해야 할 막중한 책임이 우리에게 있기 때문에 문헌정보학의 정체성 규명은 필요한 연구이다.

      • KCI등재

        OPAC에 있어서 키워드/불연산자 탐색에 대한 이용자 지식수준 연구

        구본영,Koo Bon-Young 한국문헌정보학회 199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2 No.4

        SELIS(SEoul Women's University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AC에 대한 이용자의 키워드/불연산자 탐색의 지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4가지 사항에 따라 질문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보면 SELIS OPAC 이용시 키워드 탐색에서 불연산자의 사용이 쉽다고 생각하고 불연산자의 사용으로 검색결과를 만족하는 이용자는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이용자 보다 키워드/불연산 탐색의 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설문문항에서 제시한 지식은 키워드 탐색의 특성(단일 키워드 사용, 2개 이상의 키워드 사용), 키워드 탐색 시 불연산자의 사용, 색인에 대한 지식, 불용어 리스트에 대한 지식(비통제 용어) 키워드 탐색기법(전방일치, 우측절단). 불연산자의 올바른 사용, 키워드의 브라우징으로 주제어 선정에 관한 것이다. 앞에서 제시한 이러한 지식들은 OPAC의 키워드/불연산자 탐색에서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성공적인 탐색을 위해서는 정보검색과정에 대한 개념적인 지식 즉, 정보요구를 탐색 가능한 질의어로 바꾸는 것과 주어진 시스템에서 질문의 결과를 얻는 방법에 대한 어의적인 지식(시스템의 특징을 어떻게 언제 이용할 것인가 하는 지식) 그리고 이용자의 질문에 대한 과학적인 기술 즉, 기본적인 컴퓨터 기술과 상세한 탐색문을 작성하는 구문론적인 지식이 요구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용자에 대한 온라인목록 탐색의 중요한 지식으로 간주해온 것은 과학적인 기술방법에 관한 지식에만 치중하고 어의적인 지식, 개념적인 지식을 강조하는 것은 부족하였다. 따라서 온라인목록 이용에 관한 교육을 너무 과학적인 기법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어의적 지식, 구문에 관한 기술과 개념적인 지식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It is the analyses of replies showed 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kinds of matters to see level of knowledge among SELIS (SEoul Women's University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AC users of keyword/boolean search. The result of this analyses is : in SELIS search, users who prefer keyword search than any other, who satisfy work of retrieval by means of boolean operator, and who think it easier, show lusher level of knowledge than those who deny it in the questionnaire. Knowledges Presented in the survey are ; characteristics of keyword search, single or double keys, using boolean operator in keyword, knowledge of index, knowledge of stop list, uncontrolled term. keyword search technique, right truncation, correct application of boolean logic operator, and selecting major subject in keyword browsing. The above mentioned knowledges will work as important factors n keyword/boolean search, OPAC. For successful search it requires conceptional knowledge of information retrieval processing, or inquiry word transformation how to search required information, and semantic ability to get result questioned In the given system, when and how to app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nd scientific record for user's inquiry, or fundamental computer technology and syntax knowledge to make search word in detail. But so far now important knowledge considered as user's online index search, has been emphasized on knowledge of scientific record, and has been lag of semantic and conceptional knowledge. So, it is recommendable for online index user to train to concentrate semantic knowledge, syntax ability, and conceptional knowledge, rather than scientific technique too much.

      • KCI등재

        한국에 있어서 사서실습교육의 실태 조사연구

        구본영,Koo Bon-Young 한국문헌정보학회 198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10 No.-

        1. Library practice education in Korea is in the form of field experience, that is, Practicum, which is one type of field experience. 2. The practicum is a short-term work experience guided by the academic institutions. (2 to 6 weeks of full time employment in a library, or one to two semesters of approximately 10 to 12 hours weekly) 3. Field work is largely accepted as a required subject. 4. Field work is usually carried out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senior year. (or of sophomore year in junior college) 5. Libraries in other universities (or in other institutions) can beused for a student's field work. But the current tendency is to use his or her own university's library. 6. Most universities give one credit for 2 weeks' field work. 7. The method of evaluation is strict: A or 'excellent' (above 90), B or 'good' (above 80), C or 'fair' (above 70), D or 'bad' (above 60). 8. The expense of field work is usually included in the tuition fees. However, some think that an additional fees should be collected in the case of special practice. 9. Respondents to my survey say that the field experience is necessary so that professional librarians can connect theory and practice. 10. They also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in library practice education: administrative difficulties in the department chairman's office, the burden on professors in the library being used, and the limited number of libraries in which the field work is practicable. 11. The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is responsible primarily for providing faculty supervision over the students, and secondarily for the preparation of evaluation cards and field work reports. 12. Most of the faculty respondents use evaluation cards for the field work, some of which serve as grade sheets, some as field work diaries, and some as field work reports.

      • KCI등재

        정보학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연구

        구본영,박미영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학문으로서의 특성과 가치에 대하여, 정보의 이용자와 관련된 측면에서 정보서비스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정보학은 정보자체의 속성을 연구하고 그것이 최종이용자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가, 그리고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와 같은 기관의 정보 환경 안에서 어떻게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를 개발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면서 이론적인 연구가 실제적인 정보서비스와 정보시스템 개발에 반영된 결과를 다음 5개 주요영역에서 살펴보았다: (1) 정보요구와 정보이용 (2) 정보저장과 검색 (3) 정보의 특성과 가치 (4) 계량서지학과 인용분석 (5) 관리와 경영. This study has been examined in information service in related aspect of its user. Also this subject is researching of information itself attribution and relationship with end user And, in information faciliti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it has been studied how to develope satisfaction service for user, along with fur causing both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 For this object it has been also reviewed theoretically through out 5 fields as below; 1) information need and using 2)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3) information property and value 4) bibliometrics and citation analysis 5)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 KCI등재

        문헌정보학에서의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과정 연구

        구본영,박미영,Koo Bon-Young,Park Mi-Young 한국문헌정보학회 199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직면하고 있는 기술과 시스템 환경변화에 적합한 정보전문가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육의 내용을 규명해보는데 있다. 그 중에서 현재 정보환경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최신정보기술인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이 필요함을 인식하여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의 어떤 교육내용이 문헌정보학에 도입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기본적 자료를 얻어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도의 정보기술과 컴퓨터의 발전으로 인하여 문헌정보학의 전통적인 핵심내용이 새로운 내용 즉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원 탐색, 온라인데이터베이스 검색, 정보시스템 분석과 설긴 컴퓨터활용능력, 정보검색전략 개발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내용 중에서 문헌정보학 교육에 중요한 내용으로는 데이터베이스처리 시소러스 자연언어처리, 지식표현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헌정보학 교수들은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과목 주제가 대다수 학생들에게 유용한 주제라고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넷째, 앞으로 사서/정보전문가를 돕는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의 역할이 참고봉사, 편목${\cdot}$ 분류, 정보검색${\cdot}$ 문헌전달 업무에서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다섯째, 문헌정보학과 교수들이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과목 주제를 중요하게 인식함에 따라 앞으로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과정이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개설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내용 중에서 중요하다고 조사된 데이터베이스처리. 시소러스 자연언어처리. 지식표현의 과목은 앞으로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pecify cont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train information professional to meet environment change of technology and system. Among them. recognizing necessity of presen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ort System (AI and ES) required by changing environment of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also the purpose of this work to figure out fundamental data and the way of solution how to introduce what contents out of AI and ES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briefed results are as follows. 1. Due to rapid change of high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puter application it is the most important essential points, In order of Importance, in finding available network source, In indexing on-line data base, in analysing and design information system. and in computer application ability. 2. In contents of AI and ES, most Important training por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e : data base treating, thesauru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knowledge representation. 3.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ors recognize It necessary for bigger number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to be educat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ert system. 4. During forthcoming age it shows more important reorganization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ert system improves information professional in reference service, cataloging, classification, information retrieval, and documentation delivery 5. According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ors more important reorganization on the subject of AI and ES, the curricular on AI and ES is, forthcoming, to be Introduced to curricular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nation, In order of importance, (see 1. above).

      • 情報化 社會와 女性司書의 投劃

        具本英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7 사회과학논총 Vol.3 No.-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사회의 출현으로 제반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르는 여성의 고용문제, 특히 그 가운데서도 도서관의 기능 변화에 수반된 여성사서의 역할과 여성적종으로서의 사서직에 대해 검토하였다. 미국의 도서관에서는 전체사서의 80%이상이 여성이며 한국에서도 전국의 문헌정보학과 신입생 및 졸업생에 대한 최근 몇년간 (1986-1990)의 추이에서 여성의 수가 약 86%의 압도적인 숫자로 나타나고 있다. 정보화 사회가 진전되고, 사회가 다양해질수록 전문지식, 정보, 데이터 등은 점점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도서관의 기능도 컴퓨터와 동신의 발달로 고도의 전문지식을 요구하게 되었다. 종래 여성적종으로 크게 각광을 받고 있었던 전동적 기능이 새롭게 변질되면서 여성의 섬세함과 유연성, 봉사성, 참신성 그러고 전문성 등으로 해서 여성사서의 인기는 계속 상승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여성 사서는 앞으로 절저한 전문직업 의식과 봉사정신을 바탕으로 하는 지적능력의 자기 개발이 요구된다는 사실을 살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