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身体政治理论视角下的朝鲜前中期

        zexing zhe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1

        韩国处于东亚儒家文化圈,传统儒学中 男女有别”、“男尊女卑” 等观念对女性贞节提出了要求,由此古代韩国出现了顺应这一要求的 “烈女” 现象。但就现代性别议题的发展来看,仅解读历史或性别因素显然不够充分,性别中不平等的权力关系是当前性别问题探讨的一大热点。本文将尝试以福柯的身体政治理论为研究视角和框架,在把握历史背景的基础上,分析朝鲜前中期的烈女现象,揭示其背后的权力关系及运作机制,为当代社会性别问题探讨提供新的思路和参照。 According to opinions such as “male-female distinction”, “superior status of men” in traditional Confucianism, chastity is required for females. To comply with this requirement, in ancient Korea, a country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 culture circle, the phenomenon of YeolNeo(열녀, 烈女, Chaste Women) occurred. However, the focus on historical or gender factors proved insufficient for the discussion of modern gender issues, while the unequal political power relations between males and females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From the perspective of Foucault’ s theory of body politics,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YeolNeo in Early and Middle Chosun Dynasty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o reveal the power relations and the mechanism of power behind this phenomenon. Hopefully, this paper will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studies of modern gender issues.

      • KCI등재

        身體政治理論視角下的朝鮮前中期烈女現象硏究

        ( Zheng Zexing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구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1

        韓國處于東亞儒家文化圈,傳統儒學中”男女有別”、“男尊女卑” 等觀念對女性貞節提出了要求,由此古代韓國出現了順應這一要求的 “烈女” 現象。但就現代性別議題的發展來看,僅解讀歷史或性別因素顯然不勾充分,性別中不平等的權力關系是當前性別問題探討的一大熱点。本文將嘗試以福柯的身體政治理論爲硏究視角和框架,在把握歷史背景的基礎上,分析朝鮮前中期的烈女現象,揭示其背后的權力關系及運作机制,爲當代社會性別問題探討提供新的思路和參照。 According to opinions such as “male-female distinction”, “superior status of men” in traditional Confucianism, chastity is required for females. To comply with this requirement, in ancient Korea, a country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 culture circle, the phenomenon of YeolNeo(열녀, 烈女, Chaste Women) occurred. However, the focus on historical or gender factors proved insufficient for the discussion of modern gender issues, while the unequal political power relations between males and females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From the perspective of Foucault’ s theory of body politics,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YeolNeo in Early and Middle Chosun Dynasty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o reveal the power relations and the mechanism of power behind this phenomenon. Hopefully, this paper will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studies of modern gender issues.

      • KCI등재

        조선 초기 명사(明使) 영접의례의 전개와 『번국의주(藩國儀注)』의 위상

        ZHENG ZEXING 호서사학회 2023 역사와 담론 Vol.- No.108

        조선 초기에 제정되고 시행했던 명사 영접의례는 명과의 천자국-제후국 관계와 더불어 왕조 개창 이후의 국가 과제를 고려한 것이었다. 이러한 여말선초 명사 영접의례의 정비에는 명에서 제작하고 고려에 보내준 ‘번국의 의주’들과 조선 초기 이들을 집성한 『번국의주』가 지대한 역할을 했다. 명사 영접의례는『번국의주』를 저본으로 자주적인 보완과 상세화 작업의 성과물이었으며, 그 작업의 저변에는 현실 수행의 필요성과 외교 의례의 상징적 의미에 대한 재인식이 작동되었다. 내용상의 변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종대 이후 명사 영접의례에 관한 대외적 논쟁과 내부 논의에서 항상 『번국의주』를 준거로 제시하며 조선 조정의 주장을 피력했다. 명 고황제 주원장으로부터 받은 『번국의주』는 국초부터 계속 준행한 것으로, 조선의 의례 전통과 외교 역사에 합류한, ‘제후국의 조종지법’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 하에 교외에서 조서를 맞이할 때 행할 배례나 사용할 이동 수단에 대한 조선 나름의 독자적 규정은 명분을 부여받을 수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조선 초기의 지배층들은 『번국의주』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텍스트를 하나의 의례 자원으로 확보하기도 했다. 황제 문서의 영접 순서나 국왕 상향 여부 등 문제에서 『번국의주』의 규정은 현실 문제의 해결을 위해 고려된 여러 의견 또는 비교 대상의 하나였다. 『번국의주』는 명에서 제작하고 보내준 것이지만 텍스트의 수용 및 전유를 통해 조선은 그에 대한 ‘자결권’을 가지게 되었으며 명사 영접의례의 제정과 개정은 그러한 ‘자결권’ 행사의 결과였다고 볼 수 있다. In the early Chosŏn Dynasty, the government designed and conducted the receiving ceremony to Ming’s edicts in consideration of the suzerain-vassal relation with Ming and the issues of new state’s building. ‘Etiquettes for Vassal States’, sent to the late Koryo Dynasty from Ming and assembled as the book Beonguk-euiju in King Taejong’s reign, had played an essential role during this period. Firstly,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receiving ceremony by copying Beonguk-euiju as well as partially adapting it out of operational necessity and their comprehension to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etiquettes. Secondly, despite the adaption, from King Sejong’s reign the government presented Beonguk-euiju as criteria in discussions on the receiving ceremony. On one hand, Beonguk-euiju, described as an authority which was received from Zhu Yuanzhang-the founder of Ming and had been consistently applied since Chosŏn’s foundation, turned into a part of ancestor’s laws that integrated with Chosŏn’s conventional decency and diplomatic history. Thus regulations like king’s bowing or using a sedan chair when receiving emperor’s rescripts gained legitimacy through the reference to Beonguk-euiju although they were not declared in it.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thorough understanding of Beonguk-euiju, the etiquette makers appropriated the text as an ritual resource. For example, in the discussion on the order of receiving different edicts or the person who offers insence, the government invoked Beonguk-euiju as one of the reference opinions and for solving immediate problems, did not adopt its regulations. By accommodating and appropriating Beonguk-euiju that came from Ming, Chosŏn Dynasty retained its right of self-determin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receiving ceremony.

      • KCI등재

        조선후기 어보(魚譜)의 ‘명물고증’ 작업과 동아시아의 지식 유통

        ZHENG ZEXING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 한국학 Vol.46 No.1

        조선후기 김려의 우해이어보 (1803), 정약전의 자산어보 (1814), 그리고 서유구의 난호어목지 「어명고」(1820)는 명물・고증을 통해 동아시아의 박물 전통을 새롭게 반영하였다. 어보들의 명물고증 작업은 물고기의 이름과 그의 생물학적 실체 사이의 대응관계를 증험하되 이 대응관계를 바탕으로 한 어류 지식 체계를 구축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그 특징으로는 첫째, 물고기의 이름을 확정하여 표제로 삼을 때 주로 한자를 사용하였다. 둘째, 자산어보 와 「어명고」에서 재인용이나 간접 인용 방식을 많이 취했다. 셋째, 중국과 일본 문헌에서 등장한 한자 명칭으로 쓰인 물고기가 조선 속명으로 불리는 또 다른 물고기와 서로 같은 종류인지를 판별하였다. 넷째, 물고기 이름과 실체 사이 대응관계가 성립되었다면 중국과 일본 문헌을 통해 경험적 지식을 보완하고 또 기존의 문헌 정보를 수정하였다. 이 작업은 기존의 문헌 지식과 경험적 지식을 조율하고, 그리고 한자 중심의 지식 체계를 공유하는 동아시아에서 외래 지식과 토착 지식을 비교・검토하는 과정이었다. 이 작업을 통해 어류 지식 체계를 재구축하고자 한 것은 저자들이 다시금 지식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확보하고자 했으며, 동아시아란 정치적 위계질서 다분한 공간 속에서 비교적 균형 잡힌 지식 구조를 구현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