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들의 인식으로 살펴본 정책행위자 요인이 공적개발원조(ODA) 정책집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책요인과 환경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 Choi¸ Yena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7 No.3

        본 연구는 시민들의 인식을 토대로 다양한 정책행위자 요인이 공적개발원조 정책집행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정책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탐색적으로 분석한다. 분석결과, 국제사회 문제 논의는 공적개발원조 효과성에, 공적개발원조 제공사실 인지는 개도국 빈곤퇴치 및 경제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부정책의 공정성, 민간·시민사회의 참여 지원은 모든 공적개발원조 효과성에, 예산 운영 투명성, 빈곤층 정부지원 찬성수준은 공적개발원조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원조대상 국가 및 사업 결정시 체계성은 공적개발원조 효과성에, 공적개발원조 찬성정도는 개도국 빈곤퇴치 및 경제발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원조활동 참여의사 또는 예산 운영 투명성과 사업결정시 체계성이 증가하면 공적개발원조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공적개발원조를 홍보하고 교육 프로그램, 열린 토론회 등을 마련한다. 둘째, 공정한 정책수행을 통해 국민신뢰를 높이고 시민참여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예산의 투명성과 원조대상 및 사업 선택의 체계성, 자원관리 활동의 합리성을 높인다. This study exploratively analyzes the effects of various policy actors’ factors on the effectiveness of ODA’s policy Implement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olitic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ir relationship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iscussions on international community issu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ODA’s policy Implementation, and recognition of the fact of providing ODA had a positive effect on poverty eradi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Second, the fairness of government policy and the support of private and civil society’s participation in ODA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ffectiveness of ODA’s policy Implementation. The transparency of budget operation and the level of support for the poor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ffectiveness of ODA’s policy Implementation.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mote ODA, and to organize educational programs and open discussions. Second, government should increase public trust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fair policy implementation. Third,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the budget, the systematization of aid targets determination and project selection, and the rationality of resource management activities.

      • KCI등재

        SNS 이용자의 성격이 SNS 이용유형과 SNS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최예나 ( Yena Choi ),황하성 ( Hasung Hwa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6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페이스북 이용자의 성격특성이 페이스북 이용유형과 어떠한 관련이 있으며, 페이스북을 실제로 이용하면서 이용자들의 성격에 따라 페이스북 몰입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지를 실증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페이스북을 가장 활발히 이용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의 성격 5요인, 페이스북 이용유형, 그리고 SNS 몰입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외향성과 친화성은 이용유형의 하위요인 중 정보확산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개방성, 성실성, 신경증은 정보생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용자의 성격 요인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외향성은 지속적, 규범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경증은 지속적, 규범적, 정서적 몰입 모두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페이스북 이용에 있어 이용자의 성격특성에 따라 SNS 이용유형과 몰입의 종류와 정도가 각각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ollege students use Facebook and the ways in which they feel of commitment while using Facebook. The Big Five Personality Model has been considerably used in the psychology fields, and the researchers have started to explore the role of characteristic factors in influencing an individual`s use of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which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social networking site in the world.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ims to specify the links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Model and usage patterns as well as commitment of Facebook. Two hundreds thirty fiv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ho were high in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were more likely to do information sharing activities such as sharing posts to their friends, writing comments on the other`s posts. In addition, participants who were high in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were more likely to do information producing activities including offering events, group, or public pages to meet people both on and offline. Secon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commitment to the Facebook, the study found that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were related to users` commitment to Facebook.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literature regarding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were representative personality factors when it comes to commitment of media. Specifically, the study found that those who were high in neuroticism were more likely to produce information such as posting photos repeatedly or tagging their friends on posts, and also more likely to feel commitment on Facebook. These findings confirm that personality is a highly relevant factor in determining individual`s behavior and the degree of commitment on Facebook.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서비스 고용성과에 대한 지역요인의 영향 연구

        최예나(Choi, Yena)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다양한 지역요인(지자체 특성,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인적자원 요인)이 사회서비스 고용성과(일자리 양과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여러 해(‘09년-’14년)의 지역단위 자료를 활용하여 패널모형으로 고용현황을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자체 요인 중 재정자립도는 사회서비스 일자리 질에 부(-)의 영향을 미쳤고 둘째, 사회적 요인 중 고령자 비중은 사회서비스 일자리 양과 질에 모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여성인구 비중은 사회서비스 일자리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 요인 중 지역 생산수준(지역내 산업체 종사자수)은 사회서비스 일자리 양에, 그리고 실업률은 사회서비스 일자리 질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경제활동참가율은 사회서비스 일자리 양에는 부(-)의 영향을, 사회서비스 일자리 질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지역내 인적자원은 사회서비스 고용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사회서비스 일자리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재정자립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지방정부는 사회서비스 산업을 활성화하는 등 고용성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내 고령자 비중이 높을수록 지방정부는 사회서비스 고용성과를 높이기 위해 근로조건 개선 등 인력유인정책을 마련해야 하다. 셋째, 지역생산 수준이 높고 경제활동이 활발한 지역일수록 균형있는 산업정책을 통해 사회서비스 산업을 동반육성해야 한다. 넷째, 지방정부는 여성인력 활용 등으로 사회서비스 공급인력을 늘리고 일자리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서비스 산업과 고용성과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개선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analyze determinants of quantity and quality in social service employment focusing on regional factors like local government characteristics, social factors, economic factors, human resource factors. In order to analyze, multi-year s regional employment data and panel analysis are used.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scal self-reliance ratio makes a negative influence on quality. Ratio of the aged makes a negative influence on quantity and quality of employment. And, ratio of the woman makes a positive influence on quality. Number of employee makes a negative influence on quantity and unemployment rate makes a negative influence on quality, but activity rate makes an influence on quantity negatively and on quality positively. Based on analysis,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region with high fiscal self-reliance ratio or high local production, high activity rate must facilitate social service sectors. Second, region with high ratio of the aged needs to strengthen quantity and quality in social service employment. Third, local authorities must increase supply of social work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through developing woman power. Four,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 to improve constantly social service industry and employment performance.

      • KCI등재

        시민참여가 분배적 정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제도적 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Choi, Yena)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1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시민참여가 사회적 정의로서 분배적 정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에서 제도적 질로서 공정한 행정서비스 제공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정치․사회 현안에 대해 블로그·트위터·페이스북·온라인 게시판 등에 의견제시, 불매운동 참여, 제도적 질은 복지혜택의 공정성과 경제·사회적 분배 구조의 공정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공무원, 정치인에게 민원·의견 전달은 복지혜택의 공정성에, 탄원서·진정서·청원서 등 제출은 경제·사회적 분배구조의 공정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상호작용항의 영향은 탄원서·진정서·청원서 등을 제출하고 제도적 질이 높으면 복지혜택의 공정성과 경제·사회적 분배구조의 공정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면 첫째, 공정한 행정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공개 청구를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정부부처들의 공정성 지표를 특화하여 신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공론화나 협치위원회의 구성이 필요하다. 넷째, 시민참여를 조직화하는 시민단체, 즉 비영리단체와 정부간 정기적인 소통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itizen participation on distributive justice as social justice b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stitutional quality. In our analysis, we found that institutional quality and opinions about political and social issues on blogs, tweets, and other online media had positive effects on the fairness of welfare benefits as well as the fairness of the economic and social distribution structure. Furthermore, if petitions and complaints were submitted and the institutional quality was high, the fairness of both welfare benefits and the economic and social distribution structure was amplified. These findings have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irst,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s must be both allowed and encouraged. Second, government departments should establish distributive justice indicators. Third, public debate or cooperation committee based on big data analysis is necessary.

      • KCI등재

        심리치료에서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최예나 ( Choi Yena ),이영애 ( Lee Young-a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4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치료에서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요인과 관련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 47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동맹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 요인의 전체 효과크기는 ESr=.529로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작업동맹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 요인 중 보호요인 전체의 효과크기는(.541)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보호요인 내 하위요인 효과크기는 상담자 역량 (.582), 상담과정 촉진태도 (.525), 상담자 개인 내적 특성(.512)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작업동맹에 영향을 주는 상담자 요인 중 위험요인 전체의 효과크기는(-.502)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위험요인 내 하위요인 효과크기는 상담과정 방해태도(-.621), 상담자 개인 내적 특성(-.421)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출판물 형태에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심리치료에서 작업동맹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상담자 역량 증진을 위한 후속 연구에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perform a thorough and systematical analysis of counselor’s factors that are affecting the working alliance during psychotherapy. Firstly,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counselors’ factors that influence the working alliance showed a large effect size(.529). Secondly, the effect size of the protective factors(.541) showed a large effect size. Among protective factors, the effect size of counselor’s competence(.582) was in order before attitude during counseling(.525)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 counselor(.512). Thirdly, the effect size of the risk factors among counselors’ factors that influence working alliance(-.502) showed a large effect size. Among risk factors, the effect size of disruptive behavior during counseling(-.621) was in order before counselor’s individual internal characteristic(-.421). This study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counselors’ factors that influence the working alliance in psychotherapy. The findings are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academic advancements and enhance counselors' skills by guiding future research endeavors.

      • KCI등재

        부패요인이 정부수준별 부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패방지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Choi, Yena) 서울행정학회 202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정부수준(중앙정부, 광역지방정부, 기초지방정부)별로 다양한 부패요인(개인적 요인, 제도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정부부패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부패방지정책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제도적 요인 중 공직내부의 자체적인 통제기능 미약, 공직사회 내부의 상납 등 관행, 환경적 요인 중 사회전반의 부조리 풍토가 모든 정부의 부패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절변수인 부패방지정책은 모든 정부의 부패수준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지연 및 학연 등 사적인 관계의 작용이 있을 때, 정부의 부패방지정책이 잘 집행된다면 모든 정부의 부패수준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정부수준별 부패 수준을 낮추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청렴교육을 의무화하여 청렴한 공직문화를 형성하고 둘째, 청렴시민감사관 제도를 활성화하여 공직사회의 부패관행을 타파하여야 한다. 셋째, 청렴문화 확산을 위하여 민관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넷째, 정부의 부패사례에 대해 처벌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f corruption on the government corruption by government level (central government, regional government, basic local govern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nti-corruption policy in their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weak internal corruption control function of the public organization, the practices such as repayment within the public officials and the corruption-friendly climate of the whole societ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government corruption.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a personal relationship such as academic relations, the good implementation of the government’s anti-corruption polic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level of corruption in all govern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useful to make the mandatory integrity education program to form an honest public service culture. Second, it is desirable to revitalize the integrity citizen inspector system to break the corruption practices of public official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ublic-private cooperation system to spread a culture of integrity. Fourth,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unishment for government corruption cases.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지방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예나(Choi, Yena)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이 지방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주민들과 지방정부간 소통과 주민들과 지방의회간 소통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소속감, 사회적 이타성, 타인 신뢰, 지방정부의 청렴성이 높거나, 소통이 활발할수록 지방정부의 신뢰가 높아진다. 둘째, 사회적 이타성과 삶의 만족도가 높을 경우 지방정부와 지방의회가 주민들과 소통을 활발히 하면 지방정부의 신뢰가 높아지고, 지방정부의 청렴성이 높은 경우에는 주민들과 소통을 활성화하면 오히려 지방정부의 신뢰가 낮아진다. 셋째, 사회적 자본과 지방정부의 신뢰간 관계에서 주민들과 지방정부간 소통, 주민들과 지방의회간 소통의 역할에 차이가 존재한다. 즉 지방정부의 경우 지역사회공공모임참여가 활성화되거나 행복감이 높으면서 주민들과의 소통이 활발히 될 경우 지방정부의 신뢰가 낮아진다. 반면, 지방의회는 사회운동단체활동참여가 활성화되고 주민들과 소통이 활발히 될 경우 지방정부의 신뢰가 증가한다. 이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로는 지방정부의 신뢰를 제고하기 위해 주민주도의 다양한 공유경제 또는 사회적 경제 등과 관련된 프로젝트 추진, 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지방정부의 청렴 또는 부패에 관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 지방청렴거버넌스 구축, 지방의회 주도의 의정포럼 개최 등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i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trust in local government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between citizens and elected institutions like local government and local council. Findings are as follows: Sense of community, social altruism, social trust like personal trust, local government’s integrity and personal communication make positive influences on trust in local government. And when communic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citizens is active, public gatherings make a negative influence on trust in local government. But when communication between local council and citizens is active, civic associations make a positive influence on trust in local government.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Citizen-driven sharing economy or social economy projects, information disclosure on local government’s integrity and parliamentary forum should be promoted.

      • KCI등재

        정부 간 재정관계로서 지방 국고보조금제도의 성과 결정요인 연구 : 상황론적 정책집행요인을 중심으로

        최예나(Choi, Yena),김이수(Kim, Lee Soo) 한국지방정부학회 2017 지방정부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지방국고보조금제도를 정책집행 관점에서 바라보고, 상황론적 접근방식을 사용하여 지방국고보조금 제도의 성과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국고보조금제도의 목표달성도에는 거시적 집행구조 요인의 경 우 국고보조금 사업성과평가의 적절성과 국고보조사업 성과결과의 환류성, 국고보조사업 지방이양, 차등보조율 활 용의 적절성과 중앙-지방간 국고보조사업 성과계약, 중앙정부의 관리요인인 갈등관리역량, 중앙정부의 성과관리 합리성이 영향을 미쳤고, 미시적 집행구조 요인의 경우 지방정부의 관리요인인 사업집행시기 선택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국고보조금제도의 집행효율성에는 거시적 집행구조 요인의 경우 국고보조금 예산배분의 합리성 과 국고보조금 사업성과평가의 적절성, 중앙-지방간 국고보조사업 성과계약, 갈등관리역량, 중앙정부의 지역간 재 원의 균형 배분이 영향을 미쳤고, 미시적 집행구조 요인의 경우 지방정부의 관리요인인 사업별 예산 재원 배분 재량 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는 첫째, 국고보조금 사업성과평가의 적절성 제고, 둘째, 중앙정부의 갈등관리역량 강화, 셋째, 상향식 접근방식의 효과성 강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사업집행 시기의 적절한 선택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determinants of performance in grants-in-aid focusing on contextual approach with the view of policy implementatio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suitabil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the feedback of performance evaluation, decentralization revenue sharing system, the proper use of differential subsidy ratio and the contract of performance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make influences on the performance in grants-in-aid as macro-implementation factors. And the capability of conflict management and the rationality of performance management also make influences on the performance in grants-in-aid as central government’s management factors.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timing of project execution makes an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in it as micro-implementation factors. Furthermore, the rationality of budget allocation, the suitabil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the contract of performance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he capability of conflict management and regional balanced revenue allocation make influences on the efficiency of execution in grants-in-aid as macro-implementation factors. And local government’s discretion in program-budget allocation also makes an influence on it as a micro-implementation factors. Based on analysis,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performance evaluation suitable. Second, central government has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conflict management. Third, local government’s choice of the appropriate time in project execution increases the effectiveness in grants-in-aid as bottom-up approach. Fourth, the way for central government to allocate regional balanced revenue should be complemented to heighten its effect.

      • KCI등재

        코로나 19 이후 디지털 활용역량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 Choi Yena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1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8 No.3

        본 연구는 디지털 활용역량이 시민들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 디지털 사회적 자본이 미치는 효과(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결과, 코로나 19 이후 검색 및 이메일, 콘텐츠 서비스 활용역량, 정보생산 및 공유 활용역량, 사회참여 활용역량, 디지털 비대면 소비 활용역량, 디지털 소통, 디지털 사회적 이타주의, 코로나 19 이후 네트워킹 활용역량과 디지털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 코로나 19 이후 검색 및 이메일, 콘텐츠 서비스 활용역량과 디지털 사회적 이타주의의 상호작용 등이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시민들의 삶의 만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방향으로 생애주기적 디지털 활용역량 교육 강화, 사회 및 지역문제 해결사업에서 디지털 소통 활성화, 디지털 시민성 교육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digital utilization capabilities on citizens' life satisfaction after COVID-19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utilization capabilities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igital utilization capabilities in content services, information production and sharing, social participation and digital non-face-to-face consump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digital communication, digital social altruism, interaction between digital networking utilization capability and digital social capital, interaction between digital content service utilization capability and digital altruism had also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a life-cycle digital literacy education to enhance digital utilization capabil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nhance digital communication to vitalize the local community problem solving project. Third,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is needed to enhance digital social altru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