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Naturalistic Interpretation of Whitehead: Focused on the Concept of God

        ( Wang Shik Jang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6 화이트헤드 연구 Vol.33 No.-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유행하고 있는 자연주의 철학의 추세를 소개하면서 그것과 화이트헤드 의 유신론을 비교하는 것이다. 특히 화이트헤드의 철학이 전형적인 자연주의 철학의 하나라는 가정 하에, 그것에서 신의 자리를 제거하는 입장이 지닌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본 논문의 주목적은 자연주의자 화이트헤드가 어떤 근거에서 신을 들여오는지 탐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논자는 먼저 동아시아의 불교, 유교 및 도교 등에서 자연주의가 어떻게 꽃피웠는지 간단히 살펴본다. 그 후 서구의 자연주의 철학에 대해서 살펴보겠는데 우리는 주로 스피노자와 들뢰즈가 발전시킨 자연주의 철학의 특색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전형적인 자연주의자였던 스피노자의 “신 즉 자연”이라는 명제에 집중하면서 들뢰즈는 스피노자를 철학계의 그리스도라 칭하기도 한다. 들뢰즈는 스피노자의 자연주의에 매료되면서 그를 새로운 유형의 사상으로 인류를 구원할 구세주로 치켜세우고 있는데, 들뢰즈를 그토록 유명하게 만든 것도 한마디로 말하면 그가 택한 스피노자식의 유물론적 자연주의 때문이다. 이에 따라, 나는 여기서 들뢰즈 철학의 특징을 일의성 존재론(一義性 存在論, univocity ontology)과 내재성의 철학, 그리고 잠재성의 철학이라고 놓고서, 들뢰즈의 자연주의가 이런 철학적 개념들을 통해서 어떻게 세공되는지 살펴보려 한다. 자연주의에 대한 일반적인 특징들을 규명한 후 화이트헤드 철학의 그것과 비교해 보는 것이 본 논문의 두 번째 작업이다. 잘 알다시피 화이트헤드는 유신론의 철학을 전개한 것으로 유명한데 하지만 최근에는 그의 철학을 자연주의로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강하다. 따라서 유신론자로서의 화이트헤드가 어떻게 자연주의자로 해석될 수 있는지를 보는 것은 철학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토론거리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논자 역시 화이트헤드는 분명히 하나의 자연주의자로 해석할 수 있다는 사실에 동의하면서 먼저 그것에 대해 펼쳐 보이겠다. 하지만 화이트헤드의 자연주의는 최근에 인기를 끌고 있는 유물론적 자연주의나 환원주의적 자연주의와는 상반되며, 특히 질 들뢰즈가 강조하는 일의성 존재론이나 내재성과 잠재성의 철학과는 여러 면에서 차별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겠다.

      • 현대 과정 종교철학의 흐름과 화이트헤드 철학의 전망

        장왕식 ( Wang Shik Jang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6 화이트헤드 연구 Vol.12 No.-

        창조성을 궁극자로 보는 화이트헤드의 과정 형이상학은 세 가지 도전에 직면해 왔다. 그 하나는 신을 궁극자로 보는 서구의 전통 형이상학의 도전이며, 다른 하나는 최근의 카오스 이론에 입각한 자연과학과 해체주의에 입각한 현대 서구 철학의 도전이며, 마지막으로는 비실재론적 무와 공의 철학에 입각한 동아시아 종교철학의 도전이다. 비록 이렇게 다양하고 새로운 도전들에 직면하고 있더라도, 우리가 보아 왔듯이 화이트헤드의 과정 종교철학은 이런 도전들을 하나로 아우르면서도 동시에 자기 자신의 체계를 훼손하지 않을 수 있는 하나의 탄탄한 형이상학적 체계를 갖추고 있다. 나는 그렇게 해석될 수 있는 실마리를 화이트헤드의 미학적 우주론, 즉 미를 최고의 가치론적 궁극자로 설정하는 그의 문명론에서 찾고자 하였다. 물론 화이트헤드철학의 공식 체계 내에 미는 궁극적 설명의 범주에 들어가지는 않는다. 이미 말한 바대로 화이트헤드 내에서, 미는 그저 가치론적으로 설정된 궁극적인 목표일뿐 모든 특수적 사태들을 설명해 내는 일반적 원리는 아니기 때문이다. 화이트헤드 체계 내에서 이런 일반적은 원리로 기능하는 궁극자는 창조성이다. 하지만 미가 가치론적으로 하나의 궁극적일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화이트헤드의 가정은 오늘날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수많은 현대의 종교철학적 난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As far as a Whiteheadian philosophy of religion regards creativity as ultimate reality, it is faced with two challenges at least. A challenge is from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religion in the West that construes God to be an ultimate reality. The other challenge is from a contemporary philosophy of religion in the East that construes nothingness or emptiness to be an ultimate. Although these challenges are so phenomenal as to be threatening to Whitehead`s philosophical system, I believe that a Whiteheadian philosophy of religion has a framework in which while it can incorporate these ultimates into its system of thought, it does not have to result in any damage to its own metaphysical syst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a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Whitehead`s philosophy can be successful in incorporating God and Emptiness into its own metaphysical system, without losing the peculiar doctrine of ultimate reality in which creativity is regarded as the ultimate reality. My thesis is that although it goes without saying that creativity is the only ultimate reality in Whitehead`s philosophy, it does not do away with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in which both God and Emptiness can be construed as an ultimate. I believe such an interpretation is to be made possible when we rely on Whitehead`s theory of civilization where the production of Beauty is said to be the teleology of our universe. My argument is that Beauty is to be regarded as an axiological ultimate toward which the teleology of the Universe is oriented. Furthermore, while both God and Emptiness are considered to be an ultimate in Whitehead`s system, Creativity is still the only explanatory item by means of which all the entities of the Universe, including God and Emptiness can be explained.

      • 유물론적 창조 이론을 넘어서: 과학주의 유물론 vs. 철학적 유신론

        장왕식(Wang Shik J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세계 Vol.- No.99

        이 글의 주요 목적은 과학적 유물론을 비판하는 것이다. 과학적 사고가 모든 문화적 담론의 표준이 된 이 시대에 유물론은 과학주의를 대표하는 주류 목소리가 되었다. 국내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과학적 유물론은 모든 사회적 이슈와 문제를 다룰 때 지성인들이 고려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목소리가 되어 왔는데, 이는 장점도 지니지만 많은 문제점도 노출하고 있다고 논자는 생각한다. 특히 과학주의를 등에 업은 유물론은 인간이 합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학문적 방법을 제공해 왔다는 점에서는 나름 공헌했으나, 반면 그것은 인류의 과학적 사고를 매우 단순화시키고 편협하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문제를 일으켰다고 본다. 이런 전제하에, 논자는 유물론의 지닌 문제점, 특히 그것이 과학주의와 만날 때 생겨나는 물리학적 주장과 해석에 대해 세밀히 분석한 후, 그것이 일으키는 논쟁점들에 대해 철학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해 보려 한다. 유물론의 약점은 그것이 물리적 환원주의와 만날 때 생성된다는 것이 나의 주장이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 논자는 창발론도 소개하도록 하겠는데, 이는 과학계에서 창발론을 대안으로 도입해 물리적 환원주의의 문제를 해결해 보려는 시도가 있었기에 그것을 보여주려는 것이다. 그러나 창발론 역시 오늘의 과학계가 지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상적 담론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른 대안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하면서 또 다른 과학철학의 입장을 소개한다. 이를 위해 논자는 과학적 유물론이 지닌 약점으로서, 과학주의, 기계론, 물리적 환원주의 등의 특색을 지적한 후, 그것들이 지닌 약점을 교정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화이트헤드의 철학에 입각한 과정신학과 그 유신론을 소개하겠다. 그러나 주제가 지닌 복잡성을 감안해 본 논문은 이런 모든 작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주로 창조론 혹은 창조이론의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토론을 진행하려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로 유물론의 창조이론과 유신론의 창조론이 비교되고 대조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다. This is an attempt to explore how today"s theology can take scientific thinking seriously. However, it also tries to show how a theology can go beyond the limits of science and suggest an alternative to scientific thinking that produces such limits. I will argue that the scientific thinking has been promoted and represented by a scientific materialism. Based on this, I will also hold that although I acknowledge that scientific thinking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oday"s civilization, it also made a lot of problems insofar as it is based on a materialism. To prove this, I will first examine how som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materialism have created the problems that lead to the limits of science. And then, to support my argument, I will introduce the theory of emergence that has been regarded as a suggestion to solving the problems of materialism. However, I will hold that the theory of emergence can not become an ideal type of alternative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materialism. Therefore, while overcoming the inadequacy of emergent theory, I tried to find another ways to use some fruitful ideas to prepare a more appropriate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weaknesses of scientific materialism. I will suggest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weaknesses of scientific materialism is its dogmatic attitudes in the sense that it only thinks its academic methodology to be true and authentic. But I will explain that such a thinking is so one-sided as to become a big mistake. Therefore, I will present a philosophical method to avoid the dogmatic attitudes of scientific materialism, while actively embracing some of positive ideas taught by today"s science. I believe that the best way to overcome the dogmatism of scientific materialism is to show a metaphysical system of thoughts, because only such a system can cure the problems of a dogmatism which is one-sided and biased. As an ideal type of philosophical theology based on such a metaphysical system of thoughts, I will introduce Whitehead’s process metaphysic. Whitehead’s process theology introduces a number of devices that can correct the narrow vision of scientific materialism. Therefore, those who pursue a desirable academic alternative in the future will be able to get some fresh ideas from a Whiteheadian process theology. It can also correct the various kinds of troubles that today"s scientific community has faced. It can do it by making the encounter of natural sciences and Christian theology. Therefore, I will finally show that a process theology can further develop a sound theory of creation too that encompasses science and theology at the same time.

      • 오늘의 자연주의와 유신론

        장왕식(Jang, Wang-Shik)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8

        본 논문은 자연주의 철학의 추세를 소개하고 그것과 화이트헤드의 유신론을 비교하는 것이다. 특히 화이트헤드의 철학이 전형적 인 자연주의 철학의 하나라는 가정 하에 자연주의자 화이트헤드가 어떤 근거에서 신을 들여 오는지 탐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논자는 먼저 자연주의의 일반적 현황에 대해 소개하겠다. 자연주의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발달했는데 따라서 불교,유교 및 도교 등에서 자연주의가 어떻게 꽃피웠는지 간단히 살펴본다. 그 후 서구의 자연주의 철학에 대해서 살펴보겠는데 우리는 주로 스피노자와 들뢰즈가 발전시킨 자연주의 철학의 특색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전형적인 자연주의자였던 스피노자의 ‘‘신 즉 자연’’이라는 명제에 집중하면서 들뢰즈는 스피노자를 철학계의 그리스도라 칭하기도 한다. 들뢰즈는 스피노자의 자연주의에 매료되면서 그를 새로운 유형의 사상으로 인류를 구원할 구세주로 치켜세우고 있는 것이다. 들뢰즈 스스로는 20세기가들뢰즈의 세기가 될 것이라고 푸코로부터 칭찬을 받을 만큼, 서구 철학사에 대한 꼼꼼한 연구와 새로운 해석을 통해 그 만의 독자적 인 철학을 구축하면서 최근 동서에서 가장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했는데, 들뢰즈를 그토록 유명하게 만든 것도 한마디로 말하면 그가 택한 스피노자식의 유물론적 자연주의 때문이다. 이에 따라,나는 여기서 들뢰즈 철학의 특징을 일의성 존재론(一義性 存在論,univocity ontology)과 내재성의 철학,그리고 잠재성의 철학이라고 놓고서,들뢰즈의 자연주의가 이런 철학적 개념들을 통해서 어떻게 세공 되는지 살펴보려 한다. 자연주의에 대한 일반적 인 특징들을 규명한 후 화이트헤드 철학의 그것과 비교해 보는 것이 본 논문의 두 번째 작업이다. 화이트헤드는 유신론의 철학을 전개한 것으로 유명한데 하지만 최근에는 그의 철학을 자연주의로 해석하려는 움직 임이 강하다. 따라서 유신론자로서의 화이트헤드가 어떻게 자연주의자로 해석될 수 있는지를 보는 것은 철학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토론거 리라 하지 않을수 없다. 화이트헤드는분명히 하나의 자연주의자로 해석할수 있다는 사실에 동의하면서 먼저 그것에 대해 펼쳐 보이겠다. 하지만 화이트헤드의 자연주의는 최근에 인기를 끌고 있는 유물론적 자연주의나 환원주의적 자연주의와는 상반되며,특히 질 들뢰즈가 강조하는 일의성 존재론이나 내재성과 잠재성의 철학과는 여러 면에서 차별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 논자의 또 다른 목적이다. 자연주의 철학이 어떤 면에서 한계를 지니는지에 대해 유신론적 관점에서 비판해 보는 작업도 부수적으로 병행될 것이다.

      • 악의 실재성에 대한 과정신학적 이해 -화이트헤드 철학에 기초하여-

        장왕식 ( Wang Shik Jang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9 화이트헤드 연구 Vol.19 No.-

        본 작은 글의 목적은 악의 실재성을 인정하는 종교철학적 주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논자는 이 글에서, 악을 참으로 존재하는 하나의 실재로 가정하는 것이 최근의 철학적 추세라는 것을 소개하려 하며, 왜 이런 입장이 최근에 호소력을 얻게 되었는지를 보여 주려한다. 특히 본논문은 일부 유신론자들을 겨냥하여, 유신론자들이 악의 실재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에 대해 비판하려 한다. 대부분의 유신론자들은 악의 실재성을 인정하는 것이 비종교적이며 나아가 자신들의 신앙에 위협적이라고 믿어왔는데, 논자는 이런 그들의 믿음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보여 주려는 것이다. 악의 실재성을 인정하는 것은 유신론 전통 속에서도 매우 오래된 전통이며, 나아가 그렇게 인정하는 것이 악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오히려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악의 실재성에 대해서 긍정하면서도 동시에 인간의 신앙 체계에 흠결을 만들지 않는 입장으로서 과정신학을 소개하고자 한다. 화이트헤드에게서 발아되고 데이비드 그리핀에게서 발전된 과정신정론(過程神正論, ProcessTheodicy)은 악의 실재성을 솔직하게 긍정하면서도 동시에 신의 실재성에 근거한 유신론적 신앙체계를 변호하는 독특한 철학적 체계를 발전시켜왔다는 것을 보여 주겠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some philosophical positions that affirm the reality of evil. Not only do I state that many people today tend to affirm the reality of evil, but I also show the reason why this has been appealing to many people recently. Especially, this paper is targeted at some theists who reject the reality of evil. I will insist that they are wrong. Many theists have believed that the affirmation on the reality of evil is not religious and therefore is harmful to their faith. I believe that their position is off base. I will show that Christheistradition has mainly relied on the doctrine in which the reality of evil is recognized even if some theists may not favor my position. I will argue that the affirmation on the reality of evil will be of great help to solve many problems caused by human and natural evil. Finally, I will try to introduce a process theodicy, which honestly affirms the reality of evil, but at the same time does not do any harm to human beliefs of God.

      • KCI등재

        생태문명을 지향하여 - 화이트헤드적 관점에서 -

        장왕식 ( Jang Wang Shik ) 한국환경철학회 2019 환경철학 Vol.0 No.28

        이 글은 생태문제의 근원을 철학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그것에 근거해 새로운 생태문명의 건설을 문제해결의 대안으로 제시한다. 대안은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에 기초해 추구된다. 화이트헤드의 입장에서 볼 때 생태학적 문제는 근대주의의 핵심 이론인 기계론과 인간-중심적 주체론에 연관되어 발생한다. 물론 이 두 이론은 근대문명의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하지만 동시에 그것은 생태학적 문제도 함께 가져왔다. 논자는 이 두 이론이 어떻게 근대주의의 핵심이 되었는지를 일차적으로 설명하고, 나아가 이들이 어떻게 생태학적 문제의 원인이 되어 왔는지도 설명한다. 하지만 이 글은 단지 근대주의의 부정적인 면만 지적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해결책도 함께 모색한다. 인간중심적 주체론이 일으키는 문제에 대해서는 화이트헤드 철학의 범-경험주의(pan-experiencialism)로서 응답할 수 있다고 주장하겠으며, 기계론의 문제에 대해서는 유기체의 철학으로 맞대응할 수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겠다. 또한 이 글은 화이트헤드의 생태철학과 심층생태학의 주장을 비교한다. 논자는 화이트헤드의 철학이 심층생태학의 입장과 여러 면에서 유사점을 지닌다는 것을 먼저 지적하겠다. 그의 유기체 철학은 비-인간적 존재자들의 주체성을 과감하게 인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이트헤드의 철학은 인간과 다른 존재들 간의 무차별적 동등성을 주장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심층생태학과 구별된다. 이를 규명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화이트헤드 철학의 생태문명론이 인간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추가로 보게 될 것이다. This paper philosophically attempts to analyze the root causes of ecological problems. Based on that, it proposes the construction of an ecological civilization as an alternative to those problems. This alternative is pursued based on Whitehead’s philosophy of organisms. From a Whiteheadian perspective, ecological problems arise in conjuction with the core theory of modernism, e.g. mechanism and human-centered understanding of subjectivity. Of course, These two theories have contributed a lot to the advancement of moder civilization. But at the same time, it has brought about ecolofical problems too. I first attempt to explain how these two theories have become the core messages of modernism, and further explains how they have been the root cause of today’s ecological problems. But this article not only points out the negative side of modernism, but also seeks for a solution to it. I will argue that those problems caused by human-centered understanding of subjectivity can be tackled by a pan-experimentalism in Whitehead philosophy, and further point out that those problems caused by mechanism can be solved by the philosophy of organisms. This paper also compares the claims of Whitehead’s ecological philosophy with those of a deep ecology. I will first point out that Whitehead’s philosophy has some similarities to the positions of deep ecology in many ways. This is because his philosophy of organisms boldly acknowledges the subjective identity of non-human beings. But Whitehead’s philosophy is distinct from deep ecology in the sense that it does not claim indiscriminate equality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n the process of elucidating this, I will further show how the ecological civilization theory based on Whitehead philosophy sees the status and role of human beings in eco-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