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ISCIE
      • SCISCIESCOPUS

        <i>Drosophila</i> Atlastin regulates the stability of muscle microtubules and is required for synapse development

        Lee, Mihye,Paik, Sang Kyoo,Lee, Min-Jung,Kim, Yoon-Jung,Kim, Sungdae,Nahm, Minyeop,Oh, Soo-Jin,Kim, Hyun-Man,Yim, Jeongbin,Lee, C. Justin,Bae, Yong Chul,Lee, Seungbok Elsevier 2009 Developmental Biology Vol.330 No.2

        <P><B>Abstract</B></P><P>Hereditary spastic paraplegia (HSP) is an inherited neurological disorder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spasticity and weakness of the lower extremities. The most common early-onset form of HSP is caused by mutations in the human gene that encodes the dynamin-family GTPase Atlastin-1 (Atl-1). Recently, loss of the <I>Drosophila</I> ortholog of Atl-1 (Atl) has been found to induce locomotor impairments from the earliest adult stages, suggesting the developmental role of atlastin-subfamily GTPases. Here, we provide evidence that Atl is required for normal growth of muscles and synapses at the neuromuscular junction (NMJ). Atl protein is highly expressed in larval body-wall muscles. Loss-of-function mutations in the <I>atl</I> gene reduce the size of muscles and increase the number of synaptic boutons. Rescue of these defects is accomplished by muscular, but not neuronal expression of Atl. Loss of Atl also disrupts ER and Golgi morphogenesis in muscles and reduces the synaptic levels of the scaffold proteins Dlg and α-spectrin. We also provide evidence that Atl functions with the microtubule-severing protein Spastin to disassemble microtubules in muscles. Finally, we demonstrate that the microtubule-destabilizing drug vinblastine alleviates synapse and muscle defects in <I>atl</I> mutants.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Atl controls synapse development and ER and Golgi morphogenesis by regulating microtubule stability.</P>

      • KCI등재

        Comparison of Conventional Surgical Tracheostomy and Percutaneous Dilatational Tracheostomy in the 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

        Sungdae Lim,Hyun Park,Ja Myoung Lee,Kwangho Lee,Won Heo,Soo Hyun Hwang 대한신경손상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Neurotrauma Vol.18 No.2

        Objective: Tracheostomy is a necessary procedure for patients admitted to the neurosurgery intensive care unit (ICU) with severe brain injury, because mechanical ventilation must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following neurologic fail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nventional surgical tracheostomy (CST) and percutaneous dilatational tracheostomy (PDT) performed at the bedside in critically ill neurosurgery patients requiring tracheostomy to determine which procedure has comparative advantages. Methods: This ret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January 2019 and December 2020. PDT was performed on 52 patients and CST was performed on 44 patients.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procedural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outcomes were recorded. Results: The mean operative time in the CST group was 25.5±6.5 minutes and that in the PDT group was 15.1±2.5 minute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Four patients in the CST group and none in the PDT group experienced bleeding requiring transfus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ICU mortality or length of hospital stay.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individual complication categories between the 2 study groups. Conclusion: There were fewer procedure-induced complications among patients receiving PDT than among those receiving CST. In addition, the treatment time for PDT was shorter than that for CST treatment.

      • KCI등재

        법인 등 조직체의 형사책임과 자연인 책임의 관계 : 양벌규정에 의한 조직체와 구성원 책임을 중심으로

        이성대(Lee, Sungdae)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성균관법학 Vol.33 No.3

        이 글은 오늘날 다방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법인 등 조직체의 형사책임과 그 조직체를 구성하는 자연인의 형사책임 사이의 관계를 검토함에 목적이 있다. 이에 ① 현행법상 법인 등 조직체의 책임형식과 조직체 책임의 귀속모델, ② 조직체의 형사책임과 개인의 형사책임 사이의 종속관계, ③ 조직체 처벌의 책임주의 위배여부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전통적인 법인 등 조직체의 형사책임에 대한 견해대립에 불구하고 현행법은 양벌규정을 통하여 조직체 처벌의 필요성에 일부 대응하고 있는데, 현행법상 유일한 조직체 책임의 근거인 양벌규정은 대표자위반행위사례유형(종속모델)과 종업원등위반행위사례유형(독립모델)을 포함하는 혼합(결합)모델의 일종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직체의 형사책임과 그 구성원의 형사책임 사이에 종속관계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와 관련해서는 조직체 종속처벌방법, 자연인 포함처벌방법, 조직체·자연인 독립처벌방법 등 크게 세 가지의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이는 조직체 책임의 귀속모델과는 강한 논리적 연관성을 보이지는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판례는 2007년 이후의 양벌규정 단일화 작업을 전후로 법인 등 조직체 형사책임의 독자성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법인 등 조직체의 처벌이 형법상 책임주의와 충돌하는 것은 아닌지와 관련하여 보면, 법인의 범행능력을 부정하는 전통적인 관점이 지적하고 있는 것과 같이 조직체와 자연인이 상이한 존재이므로 각각의 고유한 행위구조를 전제로 양자의 책임이 병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자연인을 전제하지 않고도 법인 등 조직체에 고유한 책임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조직체 책임의 이해는 조직체 책임귀속의 구체적인 형태에 따라 법인 등 조직체의 형사책임과 그 구성원인 자연인의 책임 사이의 관계를 구체화하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iminal responsibility of an organization, such as a corporation that is expanding its influence in many ways today, and the criminal responsibility of the natural person who make up the organization. For this purpose, ① the form of responsibility of organizations such as corporations under the current law and the model of attribution of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② the subordin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riminal responsibility of the organization and the individual criminal responsibility, and ③ whether or not the responsibility principle of organizational punishment is violated was examined. First, despite competing with traditional corporate and other organizational criminal liability, current law partially responds to the need for organizational punishment, which can be understood as a mix of representative violations (subordinate models) and employee violations (independent models). Next, with regard to whether there is a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criminal responsibility of an organization and the criminal responsibility of its members, there are three major possibilities: the method of subordinate punishment of an organization, the method of punishment involving natural persons, and the method of independent punishment of organizations and natural persons, this does not show a strong logical connection with the attribution model of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In addition,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precedent is in the process of changing in the direction of recognizing the independence of criminal responsibility of organizations such as corporations before and after the unification of joint penal provisions since 2007. In terms of whether punishing organizations, such as corporations, conflicts with criminal accountability, as the traditional view points out that organizations and natural person are different beings, so both responsibilities can exist on the premise of each unique behavioral structur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unique responsibilities for corporations and other organizations without presupposing natural person, and this understanding can be the basis for sha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inal responsibilities of corporations and their members.

      • KCI등재

        형법상 피의사실공표죄의 정비방안 : 범죄피해자 보호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성대(Lee, Sungdae) 한국피해자학회 2021 被害者學硏究 Vol.29 No.1

        형법 제126조에서 피의사실 공표행위를 처벌하는 근거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범죄사실로 인하여 무죄추정을 받는 피의자의 권리가 부당하게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 규정은 1953년 제정형법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형법전에서 위치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 규정에 근거하여 처벌이 이루어진 예는 사실상 찾아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피의사실공표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비교적 높은 편이라 할 수 있는데, 이 글은 피의사실이 공표되는 경우 피의자의 권리만을 침해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피의사실이 언론매체를 통하여 보도되는 경우 피의사실이 아니라 피해사실과 피해자에 대하여 더 많은 관심에 집중되는 경우가 적지 않고, 이로 인하여 범죄피해자측이 원하지 않는 2차 피해에 노출되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형사절차상 피의자・피고인은 형법상의 피의사실공표죄뿐만 아니라 무죄추정의 원칙에 의한 일반적 보호를 헌법상 보장받고 있는 반면에 범죄피해자는 피의사실공표죄의 직접적인 보호대상이 아닌데다가 범죄피해자보호법 등 개별법령에 의한 보호밖에 기대할 수 없는 현실에 놓여 있다. 이에 형법상 피의사실공표죄를 정비함에 있어서 범죄피해자 친화적 관점을 여러 고려사항 중 하나로 고민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범죄피해자의 권리보호(특히, 정보자기결정권)를 고도화하는 과정에 하나의 관점 내지 가능성을 제공하려는 취지이다. 결론적으로 현행법상 피의사실공표죄가 그 생명력을 잃어버리고도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피해자의 권리가 조명 받고 있는 지금의 상황에 주목한다면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수도 있다고 보았다. 범죄피해자 정보의 이면이라 할 수 있는 피의사실의 공표를 금지하고 있는 형법 제126조는 피해자와 피해자의 정보를 보호함에 있어서도 일정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우선 형법상 피의사실공표죄의 해석에는 범죄피해자 보호라는 관점을 반영하여야 한다고 보았으며, 다만 현행 형법을 전제로 하는 해석만으로는 공익적 관점에서 요구되는 공개수사나 중간수사발표를 정당화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으므로 위법성조각사유를 명시하는 것과 범죄사실공표의 주체를 확장하는 방안에 대하여는 입법적 차원에서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범죄피해자 보호라는 취지를 반영한다는 목적에서 범죄피해자 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이념규정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범죄피해자에게 가해지는 2차 피해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공감대와 범죄사실에 가까이 위치한 형사사법종사자와 언론인의 인식변화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e criminal law prevents unfair infringement upon rights of a suspect who committed uncertain crime to be effective and valid since enactment in 1953. However, suspects have been rarely punished so far. And, social interest in the publication of facts of suspected crime was rather high because the publication could infringe upon rights of the suspect and others. When the suspect was reported in the press media, people were interested in suspect and victim to be exposed to the second suffering. The criminal law procedure can protect the suspect as well as the accused, while the criminal victim can be protected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Protection of Criminal Victim. The study examined reformation from point of view of victim friendly to elevate elevation of rights of crime victim. Publication of facts of suspected crime lost its life for a long time: Currently, rights of sufferer has been paid attention to discover new possibility. Article 126 of the Criminal Law prohibited publication of facts of suspected crime to play a role at protection of information of the victim. Interpretation of the publication of facts of suspected crime reflected point of view of protection of the victim. The interpretation of the Criminal Law could not justify public investigation and/or intermediate investigation from point of view of public interest and expansion of subject of publication of facts of suspected crime was needed from point of legislation. The study suggested introduction of ideology of decision-making authority of information. The study put an emphasis upon change of idea of not only criminal law persons but also the pressmen being close to crime facts to take counter action against the pressmen.

      • KCI등재
      • Graf regulates hematopoiesis through GEEC endocytosis of EGFR

        Kim, Sungdae,Nahm, Minyeop,Kim, Najin,Kwon, Yumi,Kim, Joohyung,Choi, Sukwoo,Choi, Eun Young,Shim, Jiwon,Lee, Cheolju,Lee, Seungbok The Company of Biologists Limited 2017 Development Vol.144 No.22

        <P>GTPase regulator associated with focal adhesion kinase 1 (GRAF1)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GPI-enriched endocytic compartment (GEEC) endocytosis pathway. Mutations in the human GRAF1 gene are associated with acute myeloid leukemia, but its normal role in myeloid cell development remains unclear. We show that Graf, the Drosophila ortholog of GRAF1, is expressed and specifically localizes to GEEC endocytic membranes in macrophage-like plasmatocytes. We also find that loss of Graf impairs GEEC endocytosis, enhances EGFR signaling and induces a plasmatocyte overproliferation phenotype that requires the EGFR signaling cascade. Mechanistically, Graf-dependent GEEC endocytosis serves as a major route for EGFR internalization at high, but not low, doses of the predominant Drosophila EGFR ligand Spitz (Spi), and is indispensable for efficient EGFR degradation and signal attenuation. Finally, Graf interacts directly with EGFR in a receptor ubiquitylation-dependent manner, suggesting a mechanism by which Graf promotes GEEC endocytosis of EGFR at high Spi. Based on our findings, we propose a model in which Graf functions to downregulate EGFR signaling by facilitating Spi-induced receptor internalization through GEEC endocytosis, thereby restraining plasmatocyte proliferation.</P>

      • KCI등재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형사상 활용에 따른 법률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성대(Lee, Sungdae) 미국헌법학회 2016 美國憲法硏究 Vol.27 No.2

        갈수록 흉포화되어 가고 있는 현대의 범죄현상들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디엔에이정보 등을 활용하는 과학수사(Forensic Science)가 필요하다는 점에는 이론이 없을 것이다. 2010. 1. 25. 법률 제9944호로 제정되어 2010.7.26. 시행된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디엔에이법’)」은 이러한 필요에 치우친 나머지 인권침해의 가능성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점에 대한 보호장치를 마련함에 소홀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동법이 제정된 이후 개인정보의 보호에 대한 일반법인 (통합)개인정보보호법이 제정되었고,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도 개인정보이므로 양법률 사이의 관계를 전제로 일반법인 개인정보보호법의 가치체계 속에서 디엔에이법의 문제점을 검토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여기에서 디엔에이법이 시행된 이후 상당한 시간이 흘렀음에도 다시금 동법을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형사상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활용과 관련한 법률적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디엔에이 신원확인정보의 활용가능성과 미국을 중심으로하는 제외국의 활용현황(Ⅱ)을 살펴보았으며, 현행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Ⅲ)을 검토하였다. 특히 인간의 존엄성, 정보자기결정권 그리고 무죄추정의 원칙 등과의 관계에서 디엔에이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법률이론적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어서 이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이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현행 법률의 체계적 정비방안과 제도의 개선방안(Ⅳ)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검토의 결과 ① 법률목적의 명확화, ② 디엔에이정보 수집대상의 합리적 축소, ③ 통합개인정보보호법과의 관계에서의 체계정합적 정비라는 세 가지가 가장 시급한 과제에 속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었다. 이 중에서 개인정보보호법과의 관계에서 체계적 정합성을 확보하는 문제는 개인정보보호법이 등장한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되고 있는 단골소재들 중 하나로서 디엔에이법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엔에이법은 개인정보 중에서도 민감정보로 취급되어야할 내밀한 정보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섬세한 검토가 필요한 분야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Forensic science that makes use of DNA information is needed to take proper actions against modern crime phenomenon that has become ferocious. Act on Use and Act on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called DNA law) that was enacted by law No. 9944 on January 25, 2010 to be effective from July 26, 2010 considered such a need too much to neglect protective devices against infringement upon human rights. Since enactment of the law, act on (integrated) personal information of common corporation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is subject to relations of both laws to have valu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of common corporation and to investigate problems of DNA law. At time elapse after enactment, DNA law is needed to review. The study investigated legal problems and reformation of use of cri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tudy investigated possibility of the use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se of the information in USA and other countries(Ⅱ) and legal problems(Ⅲ)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tudy investigated systematic maintenance and reformation of the law(Ⅳ). At discussion, three problems should be urgently solved: ① Clarification of legal purposes, ② reasonable lessening of DNA information collection, ③ systematic consistency at relation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Systematic consistency at relation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was thought to be important, and DNA law had sensitive inform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require careful investigation. Technical development could give benefit when laws were reformed at rapid changes of scientific technology: If not, negative effect could be made to create surveillance society.

      • KCI등재

        피해자 등에 대한 신변안전조치의 개선방향

        이성대(Lee, Sungdae) 한국피해자학회 2021 被害者學硏究 Vol.29 No.3

        이 글은 현행법상 범죄피해자 등에 대한 신변안전조치의 현황과 그 개선방향을 검토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범죄피해자 신변보호의 정책변화(Ⅱ), 범죄피해자 등에 대한 신변안전조치의 근거법령(Ⅲ) 범죄피해자 등 신변안전조치의 강화방안(Ⅳ) 등을 순차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나름의 생각을 제시하였다. 먼저, 범죄피해자 신변보호와 관련한 정책은 지금까지 3차에 걸쳐 입안되고 시행된 범죄피해자 보호・지원계획에 의하여 상당한 진척을 이루었음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범죄피해자의 사생활의 평온 및 신변안전이라는 정책과제는 제1차 기본계획에서 제3차 기본계획에 이르는 과정에서 다양한 입법적 시도와 정책추진의 결과로 인하여 점차로 명확하고 구체적인 세부과제로 진화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범죄피해자 등에 대한 신변안전조치의 근거법령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지금까지 신변안전조치의 기본적 형태는 「특정범죄신고자 등 보호법」에 기반하고 있었다. 그러나 가정폭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을 시작으로 범죄신고자법과는 다소 구분되는 취지의 신변보호제도가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이는 종래 증인 및 참고인보호를 출발점으로 하여 신변보호제도가 발전해 왔다는 점을 고려할 때 피해자의 특성을 반영한 신변보호제도로의 분화와 특화가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음을 나타내는 사실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아동학대 등 가정폭력범죄와 데이트폭력 등 스토킹범죄가 이러한 분화와 특화를 가속화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범죄피해자 등 신변안전보호조치의 강화방안으로 ① 범죄피해자 신변보호를 위한 일반법적 근거마련, ② 증인보호와 피해자보호의 분리, ③ 접근금지명령의 활성화, ④ 범죄신고자법 및 가정폭력처벌법 등 개별법률의 정비를 통한 신변안전조치의 개별화와 다각화가 요구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덧붙여서, 종래 범죄피해자 보호・지원에 관한 기본계획을 통하여 추구되어 온 신변보호 조치의 실효성 제고, 개별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신변보호조치의 법제화, 수사기관의 인식변화와 대국민 홍보를 통한 사회일반의 인식제고, 검찰과 경찰 등 유관기관 사이의 명확한 역할분담 등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e of personal safety measures for crime victims, etc. under the current law and the direction of their improvement. To this end, we sequentially review policy changes for the protection of crime victims (II), laws based on personal safety measures for crime victims, etc. (Ⅲ), and measures to strengthen personal safety measures for crime victims (IV). First, it can be said that the policy related to the personal protection of crime victims has made considerable progress through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nd support plan devised and implemented three times so far. The policy tasks of peace in the privacy and safety of crime victims according to the plan have gradually evolved into clear and specific detailed task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rious legislation and policy promotion in the process from the 1st Basic Plan to the 3rd Basic Plan. It can be said that it has been Next, we looked at the laws based on personal safety measures for crime victims, etc. The personal safety measures under the current law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type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ersonal protection system has developed with the protection of witnesses and witnesses as a starting point,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personal protec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victim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witnesses. I thought that stalking crimes could be the trigger. Lastly, as a measure to strengthen personal safety protection measures for crime victims, etc., ① prepare a general legal basis for personal protection of crime victims, ② separate witness protection and victim protection, ③ activate an order prohibiting access, ④ crime reporter law and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law The revision of individual laws was suggested. In addition, improv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 protection measures that have been pursued through the conventional basic plan for protection and support for crime victims, enactment of personal protection measures implemented by individual institutions,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investigative agencies, and public awareness of the general public through public relations He pointed out that there is also a need for a clear division of roles between relevant agencies such as prosecutors and pol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