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블랭킹 공정에서 연성파괴 예측

        鄭準基,曺性郁 弘益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2001 科學技術硏究論文集 Vol.12 No.-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escription of ductile fracture initiation, which is needed to predict product shapes in the blanking process. In order to accurately simulate sheet-metal cutting processes by shearing mechanism, such as blanking and punching processes, a finite element model has been developed for the numerical description of such processes. Damage and crack propagation have been taken into account by means of an elastoplastic constitutive law.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ation of processes parameters on the geometry of sheared edges and the force-punch penetration evolution, we have implemented the algorithm of calculation by means of ABAQUS/Standard finite element code. Result of the FEM simulation agrees will with the experimental one.

      • 광주시 특화거리의 자생력 강화 방안 : 예술의 거리를 중심으로

        양상욱,장희천 호남대학교 2008 학술논문집 Vol.29 No.2

        This thesis investigated details like followings to draw up plans centering around 'Street Of Art' which one of four specialized streets was indicated in existing plan. The aim of this thesis is securing of autogenous power in the future through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 (1) Containing comprehensive approach (2) Incremental Approach (3) Community Driven (4) Under public-private effort (5) Build on Existing Assets (6) Can make positive change in the future (7) Implementation Oriented

      • KCI등재

        저신장 소아에서 성장호르몬 치료가 두개안면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정성호,김진욱,박용훈,황충주,이희경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growth hormone treatment (GHT) on craniofacial growth in children of short stature. Methods: Nineteen untreated children of short stature were referred from the Pediatric Departmen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as a subject group. All subjects had lateral cephalograms taken before, after 1 year and after 2 years of growth hormone treatment. As a reference group, we selected 19 normal children with paired sampling who matched the subjects' age and sex, from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sults: Before GHT, anterior cranial base length and upper posterior facial height, posterior total facial height, mandibular ramus length, and mandibular corpus length were significantly smaller in the reference group. In angular craniofacial measurements, saddle angle and mandibular plane angle were larger. SNA and SNB were smaller in the reference group. After two years of GHT, growth hormone accelerated growth in several craniofacial components. The posterior total facial height, the anterior,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and the mandibular ramus length were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in mandibular plane angle and ANB value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group was decreased. Conclusions: GHT over 2 years leads to a craniofacial catch-up growth tendency, which is pronounced in interstitial cartilage and condylar cartilage. 저신장이란 같은 연령 및 성별 소아들의 표준 신장 평균치에서 -2.0 SD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신장 소아의 두개안면골격의 특성을 분석하고, 성장호르몬 치료가 신장을 성장시킴과 동시에 두개안면골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함이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저신장으로 진단받은 소아를 대상으로 성장 호르몬 치료 전 그리고 치료 후 1년, 2년 후 총 3회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의 촬영을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정과에 소장된 한국인 평균 신장의 2 표준오차 내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을 2년마다 10년간 촬영한 자료를 이용하여 저신장 소아의 연령과 성별을 기준으로 짝진 표집(paired sampling)을 하였다. 성장 호르몬 치료 전 저신장 소아는 작고 후퇴된 하악골과 편평한 두개저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 호르몬 치료 후 anterior, posterior cranial base length, upper posterior facial height,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posterior total facial height, mandibular ramus length, mandibular corpus length와 overall mandibular length 성장량이 정상군에서의 2년 성장량과 비교했을 때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도 계측에서는 saddle angle, mandibular plane angle과 ANB변화량이 정상군에서의 2년 성장량과 비교했을 때 큰 변화를 보이며 정상군의 평균치를 따라잡는 경향을 보였다. 성장 호르몬 치료는 불균형적인 성장의 징후 없이 정상화를 향한 성장(따라잡기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특히 하악과두의 성장과 후안면고경의 성장을 촉진시켜 저신장 소아의 convex 한 profile을 완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구진상괴사성 결핵진 3례

        손보성,송준영,정재봉,김병천,이상숙,류영욱,이규석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4 계명의대학술지 Vol.13 No.4

        Papulonecrotic tuberculid is an eruption of necrotizing papules, particularly affecting the extremities and occurring in more or less symmetrical crops, and responding to antituberculosis therapy. Individual lesions heal with scarring. Histologically, vascular involvement is seen in early lesions. Late lesions are divided into two forms. In superficial forms, wedge shaped area of necrosis forms in epidermis and upper dermis. Epithelial and lymphoid cells gather around its periphery. In deep forms, with no epidermal change, granulomatous changes surrounded by well defined palisading histiocyte and lymphoid, epithelioid cells are seen. In mid-dermis and perivascular area, vessel shows vasculitis. In the first case, leukocytoclastic vasculitis and early granuloma formation were seen. In the second case, palisading granuloma formation was seen. In the third case, tuberculoid granuloma formation was seen. We report three cases of papulonecrotic tuberculid showing three different stages of histological finding, in individual cases.

      • SCOPUSKCI등재

        인체 혈장에서 염산시프로플록사신(시프로플록사신으로서 250㎎) 정량을 위한 HPLC 분석법의 유효성검토

        하용화,조성희,천성국,서성훈,류재환,최영욱,이경태 한국약제학회 2004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34 No.4

        A simple HPLC method with ultraviolet detection of ciprofloxacin in human plasma was developed and validated. After protein precipitation with trichloroacetic acid,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ciprofloxacin in plasma was achieved at 50℃ with a C_18 column and methanol-phosphate mixture (pH 2.5), as mobile phase. Quantitative determination was performed by ultraviolet detection at 278 nm. The method was specific and validated with a limit of quantification of 100 ng/ml. The infra- and inter-day coefficients of variation were between 1.67% and 10.55% and accuracy between 92.01% and 106.09%. The method has been successfully applied in a bioavailability study of 250 ㎎ ciprofloxacin hydrochloride tablet.

      • KCI등재
      • KCI등재
      • 성인 급성 림프구성백혈병 고위험군에서 일차관해시 동종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의 성적 비교 : 단일기관 치료경험 A Single Center Experience

        이석,민우성,민창기,김동욱,이종욱,김유진,박은정,박윤희,김춘추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0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5 No.2

        배경:성인 ALL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은 전처치요법 및 이식편대백혈병 효과에 의한 효과적인 백혈병세포의 제거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나 자가 조혈모세포이식과 화학요법과의 비교 연구에서는 대상환자의 다양성 등으로 인하여 상이한 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최근 진단당시 환자의 임상적·세포생물학적 특성 및 관해유도요법 후의 백혈병세포의 제거 속도 등을 기준으로 한 위험인자가 정의되면서 이를 근간으로 위험도에 따른 관해 후 치료방침의 결정이 타당성 있는 접근방법으로 제시되고 있고, 특히 고위험군에서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방법: 성인 ALL 고위험군에서 일차 완전관해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최근 5년간 가톨릭의대 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서 ALL로 진단 후 일차 완전관해 상태에서 동종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고 임상적 특성과 세포면역학적 특성 및 세포유전학적 검사결과가 모두 확인 가능하였던 환자 중 고위험군에 해당된 50례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고위험군은 진단시 연령이 30세 이상인 경우, 백혈구수가 30,000/μL 이상인 경우, 관해유도기간이 30일 이상 소요된 경우, Ph 혹은 t(4;11)이 동반된 경우 중 하나 이상의 인자를 갖고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대상환자의 중앙연령은 30세(15~43세)이었고, 남녀 비는 27:23이었다. FAB 분류상 L1 29례(58.0%), L2 21례(42.0%)였으며, precursor B-lineage 항원이 양성인 경우는 36례(72.0%), T-세포 항원이 양성인 경우는 9례(18.0%), 골수구계 항원이 동시에 발현된 경우는 5례(10.0%)였다. 세포유전학적 검사상 23례(46.0%)에서 불량한 염색체유형 [Ph 19례, t(4;11) 4례]이 동반되었다. 전체 환자 중 31례에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였으며, 19례에서는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이 시행되었다. 동종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군간의 임상적 특성은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상환자의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27개월(7~72개월)이었고, 전체 환자의 2년 무병생존율 및 전체생존율은 각각 59.0±7.6%, 68.2±7.1%이었다. 조혈모세포이식에 따른 치료성적을 비교한 결과 전체생존율은 동종 조혈모세포이식군 71.4±8.6%, 자가 조혈모세포이식군 62.7±12.4%로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재발율은 동종 조혈모세포이식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빈도를 보였으며(25.8% vs 52.6%, P=0.05), 무병생존율에 있어서도 각각 70.6±9.0%, 42.1±12.2%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군에서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7). 이식 후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를 분석한 결과, 진단시 연령, 백혈구수, 관해유도기간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Ph 혹은 t(4;11)이 동반된 경우에서 무병생존율이 동종(28.5±16.0% vs 94.4±5.4%, P=0.0002) 및 자가 조혈모세포이식군(18.1±11.6% vs 80.0±17.8%, P=0.0046)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일차관해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고위험군 성인 ALL에서는 관해 후 치료법으로써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이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치료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추후 국내에서도 보다 장기간의 추적관찰을 통한 전향적 임상연구를 시행하여 보다 정립된 관해 후 치료방침의 결정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Optimal postremission therapy remains controversial in adult patients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In this study, we compared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lloBMT) with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autoPBSCT) using the result of the human leukocyte antigen typing (HLA). Methods:Patients were eligible if they were in first remission (CR1) and had either: adverse cytogenetics [Philadelphia chromosome (Ph), t(4;11)], age >30 years, required more than 1 induction course to achieve remission (time-to-CR1 >30 days) or presenting WBC >30,000/μL. From July 1994 to June 1999, 50 consecutive adult patients with high-risk ALL underwent HLA-matched alloBMT (n=31) or autoPBSCT (n=19) at the Catholic Hem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Center. Results:There were 27 males and 23 females with median age 30 (range, 15~43) years. The distribution of phenotype was as follows: L1 (n=29), L2 (n=21), precursor B (n=36), T (n=9), myeloid marker coexpression (n=5). Adverse cytogenetic abnormalities at diagnosis were shown in 23 (46.0%) cases. All pretransplant characteristics were well balanced between these two groups. Most patients were treated with total body irradiation containing regimen as part of the conditioning. With a median follow-up of 27 months in both groups,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probabilities at 2 years were 59.0±7.6% and 68.2±7.1%, respectively. The relapse ra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lloBMT and autoPBSCT groups (25.8% vs 52.6%,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urvival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alloBMT had a trend toward better DFS (70.6±9.0% vs 42.1±12.2%, P=0.07). None of the pretransplant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ffected outcome after transplantation, except adverse cytogenetics. Prognosis of ALL with Ph or t(4;11) was significantly poorer than that of the remaining high-risk ALL patients (P<0.01). Conclusion: We conclude that alloBMT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than autoPBSCT in prolonging initial CR for high-risk ALL patients. Prospective studies addressing additional clinical variables are needed to guide clinical decision making about transplant choices for adult patients with ALL. New therapeutic strategies for the management of ALL with adverse cytogenetics will be also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