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fadabhängigkeit und Transformation

        Park, Yeong-Soo 동아대학교 독일학연구소 2004 獨逸學硏究 Vol.- No.20

        經路依存性(Path dependence, Pfadabhängigkeit)이란 원래 David(1985)와 Arthur(1989)가 만들어 낸 개념으로 제도적 진화가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으로 어제의 제도적 틀이 오늘의 정치적 및 경제적 참여자들에게 나아갈 길을 제공한다는 의미이다. North(1990)는 "역사가 중요하다(History matters)"라고 강조한 바 있지만, 이것은 제도변화에서 나타나는 경제발전의 경로의존성을 가리키는 것이라 하겠다. 만약 0의 去來費用(Transaction cost)을 가진 제도가 존재한다면 역사는 별다른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되는데, 왜냐하면 相對價格 또는 消費者選好가 변화할 경우, 그에 대응하여 제도가 즉각적으로 변화할 것이기 때문이다. 경로의존성이 작용하는 경우, 기슐의 점진적인 변화가 어떤 특정한 방향으로 접어들면 상대적으로 덜 효율적인 기술이라도 실제적 또는 잠재적으로 더 효율적인 기술에 승리를 거두는 결과가 가능하게 된다 위와 같은 배경 하에 본고에서는 구 동구권 사회주의국가들의 體制轉換過程(System transformation process)이 어느 정도 제도적 경로의존성에 의존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물론 여기에서 동구권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전환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수많은 이론적 및 실증적인 문제를 모두 다루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경로의존성에 대한 지식이 체제전환을 이해하는데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는지 몇 가지 관점만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제Ⅰ장 서론에 이어 Ⅱ장에서는 경로의존성 개념을 명백히 규명할 것이다. 즉, 경로의존성의 정의 및 경로의존적 과정의 기본적 특성에 관한 논의가 될 것이다. Ⅲ장에서는 동구권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전환과정이 어느 정도 경로의존성을 응용한 경우인지 살펴볼 것이다. 또한 경로의존성 논의와, 漸進主義(Gradualism)과 急進主義(Big-Bang Approach) 중 어느 전략이 더 성공적인 체제전환전략인지를 가리는 논쟁인 체제전환전략의 문제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해볼 것이다. 마지막 두 장에서는 경로의존성 견해를 설명하기에 적합해 보이는 두 가지 관점을 다루게 될 것이다. 먼저 Ⅳ장에서는 內部化된 사회주의 제도들이 체제전환을 어렵게 하는 효과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그 다음 Ⅴ장에서는 과거 사회주의 체제에서 광범위하게 형성된 地下經濟(Shadow Economy, Shattenwirtschaft)의 범주 안에서 비공식적인 제도들의 체제전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Ⅵ장에서는 각 장들의 결론을 요약할 것이다.

      • Entwicklung der Law and Economics

        Park, Yeong-Soo 동아대학교 독일학연구소 2005 獨逸學硏究 Vol.- No.21

        법에 대하여 경제적 분석을 적용한다는 것은 법제도 혹은 법규칙을 연구하는데 經濟的 效率性(Economic efficiency)이 유용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法經濟學(Law and Economics) 또는 법의 경제적 분석(economic analysis of law)이 지속적으로 확장ㆍ발전되어 온 사실은 그것이 일정한 근거를 가짐을 示唆한다고 하겠다. 법경제학은 여타의 경제 분석과 같이 크게 實證的 分析과 現範的 分析으로 나뉜다. 먼저 실증적 분석은 상이한 법원칙이 사람들의 법률행위에 영향을 끼친 결과 자원배분의 효율성에 미치는 상이한 효과에 관한 예측적 含意를 도출하려고 한다. 즉 법제도나 법규칙이 효율성을 추구ㆍ확대하는 방향으로 進化되어 왔다는 것인데, 그것은 법률 관계자들의 의도적 선택의 결과라기보다는 이기적인 경제주체들의 합리적 의사결정의 축적을 통하여 이루어져 왔다. 이것은 시장경제의 효율성에 관한 '보이지 않는 손'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또 다른 경제적 접근방법은 특정한 법률행위에 어떤 법원칙을 적용해야 하는가의 규범적 문제에 관한 것으로서, 행위에 들어가는 총비용을 극소화하는 원칙을 채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효율성이 단지 법제도의 발전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법제도가 '어떠해야 하는가'를 제시하는 윤리적 기초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법경제학은 1970년대와 80년대에 법학자들과 경제학자들의 學際間 프로그램으로 미국에서 발달하였다. 이 시기 이후 법경제학은 한편으로는 앵글로색슨 세계의 법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경제학에서 독자적인 분야로 자리 잡았다. 다른 대륙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법경제학의 확장 및 수용은 비교적 시차를 두고 행해졌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미래에 대한 전망은 매우 크게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독일어권의 秩序經濟學(Economics of Social Order, Ordnungsökonomik)에서 법과 경제에 대한 학제적 분석은 하이에크(F.Hayek)에 의하여, 그리고 오이켄(W.Eucken)등의 독일 질서자유주의 학파(Ordoliberalismus, Die Freiburger Schule)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추구되어 왔다. 이 때 이론의 배경은 「경제적 후생과 개인의 자유는 결정적으로 경제체제의 제도적인(법적인) 기본조건에 좌우되며, 이러한 기본조건의 적절한 구성이야 말로 경제정책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질서정책)」는 질서이론의 중심적인 명제였다. 따라서 최근 영어권 문헌에서 프라이부르크 학파를 법경제학의 프라이부르크 학파(Freiburg school of law and economics)라고 표현하는 것은 잘못된 것은 아니다. 본고에서는「앵글로 색슨 세계에서 발달된 법경제학이 사회의 적절한 규칙체계의 문제에 대해 답하고 있는 질서경제학의 기본관심사에 매우 중요할 수도 있다」는 명제가 대변될 것이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순서에 의해 논의가 진행될 것이다. 법경제학의 형성 및 발달에 대한 간략한 소개(Ⅱ장)이후 법경제학의 이론적(실증적) 및 규범적 기초가 소개될 것이다. 이 때 비판적 평가와 이에 따른 최근의 발전양상이 소개될 것이다.(Ⅲ장). 그 뒤를 이어 법경제학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불법행위법과 계약법과 관련하여 실례를 들어 보여줄 것이며, 질서 정책적 관점에서 신고전학파의 법경제학 원리의 문제점이 명료하게 분석될 것이다(Ⅳ장).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전망을 논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지역의 조류 현황

        강화연(Hwa-Yeon Kang),서슬기(Seul-Gi Seo),박세영(Se-Yeong Park),이지용(Ji-Yong Lee),권영수(Young-Soo Kwon) 국립공원연구원 2015 국립공원연구지 Vol.6 No.4

        서해안 육상지역을 통과하는 조류의 이동생태를 파악하기 위해, 2014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지역의 조류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관찰된 조류는 총 14목 30과 88종 23,230개체이며, 평균 조사일당 159.7개체가 관찰되었다. 전체 우점종은 괭이갈매기 Larus crassirostris 21.1%, 되새 Fringilla montifringilla 18.5%, 박새 Parus major 12.7%,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us 8.2%,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5.8% 순이었다. 이동시기인 5월과 10월에는 각각 56종, 조사일당 평균 310.5개체로 가장 많은 종과 개체수가 기록되었다. 종과 개체수가 가장 적은 시기는 여름철인 8월로, 기록된 종 수는 24종이며 조사일당 평균 95개체가 관찰되었다. 종풍부도(R ) 지수는 가장 많은 종이 관찰된 5월에 가장 높았으나, 종다양도(H )와 종균등도(E )는 오히려 이동시기에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부 상위 우점종의 개체수가 월등히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부, 문화재청, IUCN 등이 지정한 멸종위기 및 법정보호종은 총 9종이 관찰되었다. From July 2014 to Jun 2015, bird survey was conducted in Hakampo, Taeanhaean National Park. A total of 23,230 and 159.7 per day of birds representing 14 orders, 30 families, 88 species were observed. The most abundant species were the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21.1%), the Brambling Fringilla montifringilla (18.5%), the Great Tit Parus major (12.7%), the Vinous-throated Parrotbill Paradoxornis webbianus (8.2%), Yellow-throated Bunting Emberiza elegans (5.8%).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 was the highest in May and October, respectively, as 56 species and 310.5 individual per day were recorded. According to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Cultural Herigage Adinistration of Korea and IUCN Red List, a total of 9 protected species were recorded during the survey.

      • 競爭自由原理-E. Hoppmann의 分析體系

        朴英秀 동아대학교 부설 사회과학연구소 1993 사회과학논집 Vol.10 No.-

        Die wichtigsten Konsequenzen aus bisherigen U¨berlegungen werden wie folgt zusammengefaβt. Das Konzept der Wettbewerbsfreiheit ist eine Gegenposition zu derjenigen Auspra¨gung des Workability Konzeptes, das den funktionsfa¨higen Wettbewerbs als Norm der Wettbewerbspolitik im einzelnen positiv beschreibt. Nach dem Verstandnis des neuklassischen Wettbewerbskonzeptes werden die Kriterien aus den Zielen der Wettbewerbspolitik gewonnen, die sich in zwei Zielkomplexen zusammenfassen lassen "Wettbewerbsfreiheit" und "O¨konomische Vorteihaftigkeit". Freiheit des Wettbewerbs wird erstens als Freiheit der Aktionsspielra¨ume fu¨r aktuelle und potentielle Tei??chmer am Markt und zweitens als Abwesenheit von Zwang durch andere verstanden. Die Wettbewerbsfreiheit ist sowohl fu¨r die Beziehungen der beiden sich gegenu¨berliegenden Marktseiten(Austauschprozeβ) als auch fu¨r die Beziehungen auf jeder Marktseite(Parallelprozeβ) als Ziel relevant. Dieo¨konomische Vorteilhaftigkeit betrifft die wirtschaffichen Ergebnisse wettbewerblicher Marktprozesse. Wettbewerb wird im individualistischen Ansatz als ein fu¨r alle Marktteilnehmer nu¨tzliches Instrument angesehen, um wirt schafthch vorteilhafte Ergebnisse zu erreichen. Dabei wird in Anknu¨pfung an die evolutionstheoretische Sichr der Klassiker Wettbewerb als ein Such, Lern und Informationsprozeβ aufgefaβt. Die These von der Identita¨t von Wettbewerbsfreiheit und o¨konomischer Vorteilhaftigkeit wird der Hypothese des wettbewerbspolitischen Dilemmas entgegengestell. Die Identita¨tsthese(Non-Dilemma These) wird damit be gru¨ndet, daβ Wettbewerb als Instrument zur Herbeifu¨hrung individueller o¨konomischer Vorteile prinzipiell vereinbar mit Freiheit der Marktteilnehmer zum Wettbewerb ist. Nach dem theoretischen Konzept der Wettbewerbsfreiheit kann sich die Wettbewerbspolitik nicht an einzelnen Marktergebnissen orientieren, sondern muβ vielmehr beiden Beschra¨nkungen der Wettbewerbsfreiheit ansetzen. Dessen Lo¨sung erfordert zuna¨chst, zwischen ku¨nstlichen und natu¨rlichen Beschra¨nkungen zu unterscheiden. Bei ku¨nstlichen Wettbewerbsbeschra¨nkungen mu¨ssen die unternehmerischen Praktiken und deren wettbewerbspolitische Wirkungen erfaβt und beurteilt werden. Da es aus systemtheoretischer Perspektive nicht moglich ist, im einzelnen wettbewerbspolitische Spielregeln zur Verhinderung von wettbewerblich unzula¨ssigen Verhaltensweisen festzulegen, mu¨ssen Spielregeln aufgestellt werden, die allgemein, abstrakt und universal anwendbar sind. Nach diesem Grundsatz hat sich die Wettbewerbspolitik auf Per-se-Verbote eindeutig identifizierbarer Verhaltensweisen von Wettbewerbsbeschra¨nkungen zu konzentrieren. Die kritischen Einwa¨nde richten sich gegen den theoretischen Ansatz des neoklassischen Wettbewerbskonzeptes (Theorie der Wettbewerbsfreiheit, Identita¨tsthese), gegen einzelne konzeptionelle Bausteine und gegen einige Schluβ folgerungen aus der Forderung nach Per-se-Verhaltensverboten fu¨r die praktische Wettbewerbspolitik. Insgesamt kann aus den Ergebnissen der bisher angestellten U¨berlegungen ein vorsichtiger Schluβ gezogen werden : Trotz aller kritischen Einwa¨nde, die sich gegen den theoretischen Ansatz des neuklassischen Wettbewerbskonzeptes, gegen einzelne konzeptionelle Bausteine und eininge Schluβ folgerungen aus der Forderung nach Per-se-Verboten fu¨r die praktische Wettbewerbspolitik richten, erscheint das Wettbewerbspolitische Konzept der Wettbewerbsfreiheit die geeignete Grundlage fu¨r eine rationale Wettbewerbspolitik zu sein.

      • 흡착에 의한 식염폐수의 처리

        박영태,도갑수 慶北工業專門大學 1980 論文集 Vol.18 No.-

        식품공장에서 배출되는식염폐수는 주로 채소를 소금물에 절이는 과정에서 생겨나며, 이 폐수는 생물학적으로 분해 불가능한 염과 유기고체의 혼합물로 되어 있으므로 응접 및 생물학적 처리만으로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소금의 농도가 10% 이상을 유지하므로 이 소금을 재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식염폐수를 공장에서 직접 채취하여 모래 층에서 여과한후 흡착질용액으로 하고 흡착제로 zeolite와 입상활성탄을 사용하여 회분흡착실험을 통하여 흡착평형과 흡착능 및 식염폐수의 재상용 능성을 조사하였다. 평형에서의 흡착량은 입상활성탄이 6.1㎎/g adsorbent, zeolite가 5.5㎎/g adsorbent가 되었다. 실제 공장에서 쓰여질 흡착탑의 설계를 위하여 fixed bed에서 연속실험을 했으며 유량과 폐수의 초기농도 및 흡착제 종류에 따른 break through curve 를 얻어 설계를 위한 제반인자를 설정하고 흡착 process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process의 고정투자비를 각 흡착제별로 계산하고 경제적인 타당성을 고찰한 결과 폐수의 량을 20㎥/day로 가정했을때 고정투자비 기준으로 약 0.12원/liter SPB 이 되어서 경제성이 있음을 알았다. A continuous process ofr recovery of spent pickle brine(SPB) by preliminary filteration on a sand bed to remove suspended solids, followed by adsorption treatment in an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zeolite-sand micture column to remove colour and odor causing organic compounds is investigate. Batch isotherm adsorption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SPV-adsorbent system is respectively 6.1㎎ total organic carbon per gram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5.5㎎ total organic carbon per gram zeolite a t25℃. It is estimated that a low capital investment of 0.12 won per liter of recycled treated SPB is required for a 20㎥/day capacity. This cost is much lower than that of fresh salt, and thus will be defrayed by savings on recycled salt.

      • 프라이부르크 학파와 하이에크

        박영수 동아대학교 독일학연구소 2007 獨逸學硏究 Vol.- No.23

        社會主義의 몰락이라는 거대한 실패를 예상하고 이 예상을 이론적으로 분석한 것은 프랑스 啓蒙主義의 合理主 義사상을 기초로 한 主流經濟學이 아니었다. 오히려 사회주의의 거대한 실패를 이론적으로 정립하면서 자유로운 시장경제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후원을 한 것은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철학, 오스트리아 학파와 秩序自由主義이다. 이 세 가지 전통을 체계화시키고 발전시킨 것이 秋序經濟學 (Economics of Social Order) 이다. 이 논문의 목적 은 질서경제학적 시각에서 오스트리아 학파의 대표자인 하이에크의 사상과 질서자유주의(프라이부르크 학파 )사상 의 창시자인 오이켄의 사상을 비교 · 분석하여 양 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하이에크의 사상과 프라이부르크 학파의 사상은 특히 시장의 競爭秩序에 대한 시각에서 일치하고 있다. 하지만 오이켄은 뷰캐넌과 마찬가지로 문화적 進化에 대해 비판하면서 질서자유주의 구상을 제안하고 있다. 문화적 진화 의 설명에 기여한 인물이 바로 하이에크이다 문화적 진화는 다윈주의적 생물학적 진화가 아니라 라마르크적 진화 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행동규칙을창출하고 타인들에 의해 이들이 습득되어 전수된다. 따라서 인간들은 자유로운競爭秩序를 의도적으로 창출하려고 노력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행동규칙들이 선별되고 보유될 것인지는 문화적 진화과정에 의해 비로소 알려진다. 이 과정은 發見的 節次이다. 뷰캐넌과 오이켄은 해야 될 것이 그대로 될 수 있고, 하고자 하면, 즉 뜻하면 뜻한 바대로 될 수 있다는 것을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다. 즉 당위 ought와 희망will은 될 수 있음können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 이다. 뜻한 바대로 될 것인 지, 해야 할 바가 이루어질 수가 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이것은 文化的 進化過程을 통해서 비로소 알 수 있다. 하이에크는 자유로운질서는 인간에 의해 창출되었지만 그러나 인간계획의 산불만이 아니라, 문화적 선별의 결과라 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퍼거슨의 말대로 인간행위의 결과 이지 인간계획의 결과가 아니다. 오이켄과 뷰 캐 넌 은 결국 이 문제를 생각하지 못 했고 비로소 하이에크에 의해 이들의 불완전성이 메워진 것이다.

      • ‘Transaction Cost Economics’ und ‘Law and Economics’

        박영수 東亞大學校獨逸學硏究所 2006 獨逸學硏究 Vol.- No.22

        법경제학 연구는 1960년대 초 코즈(Coase, The Problem of Social Cost, 1960)와 칼러브레시(Calabresi, Some Thoughts on Risk Distribution and the Law of Torts, 1961)의 연구를 계기로 財産法(Property right law), 契約法(Contract law), 不法行爲法(Tort law) 등의 實體法(Substance law)까지 경제학적 분석방법이 체계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코즈(Coase)는 특히 外部效果(Externality)가 존재할 때 조세나 정부보조금이 없어도 당사자 간의 협상에 의해 사적비용과 사회적 비용을 일치시키려는 시장의 힘의 존재한다는 주장으로 외부경제에 대한 피구(Pigou)적인 전통적 견해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주류 법경제학의 중심적인 목표는 신고전학파 일반균형이론에 바탕을 둔 후생경제학적 의미에서의 효율적인 資源配分이다. 입법이든 사법이든지 그 범주 안에서 공정한 법규칙이 무엇이냐의 문제에 있어서는 효율성에 대한 법규칙의 효과가 결정적인 판단기준이다. 완전경쟁 모델에서나 상정될 수 있는 거래비용이 없는(zero transaction cost) 세계에서는 재산권법 및 법적인 규칙의 구체적인 규정은 중요하지 않다(Coase: 1960). 그 이유로 경제주체들은 권리의 初期配分(Ausgangsverteilung)에 관계없이 비용이 들지 않는 교환행위를 통하여 아무런 문제없이 효율적 자원배분을 약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경제주체들 당사자 간에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협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국가에 의해 소유권을 누구에게 할당하든 그것은 자원의 배분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소유권의 구체적인 형성(책임의 할당)은 이 분배와 할당으로부터 결과하는 자원배분과는 관계가 없으며, 또한 사적인 거래를 통해 법적으로 분배된 권리들은 효율적으로 재분배된다는 것이 코즈(Coase: 1960)의 定理이다. 그러나 코즈는 사회적 비용의 문제를 다룰 때 주로 거래비용이 존재하고 있는 세계를 분석하고 있다. 거래비용이 없는 세계를 그가 다룬 것은 단지 피구가 제안한 조세에 의한 해결책은 이러한 세계에서는 불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을 뿐이다. 코즈(Coase)는 그의 논문 2부에서 거래비용이 0이라는 가정을 버리고 외부효과의 문제를 새로운 시각에서 분석하고 있다. 또한 소유권법적인 지위는 배분적으로 중립적이라는 가정을 포기하고 있다. 그 이유는 거래를 통하여 행동권리를 재구성하기 위한 협상은 비용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Coase, 1960, 16.). 이러한 경우, 입법을 통해서든 사법부의 판결을 통해서든 국가는 보다 심각한 피해를 피할 수 있는 방향으로 행동권리를 형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권리의 배분은 그 배분이 사회적 생산에 미치는 효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거래비용이 존재할 때에는 외부효과에 대한 책임규칙이 중립적이지 않다. 따라서 책임은 순수한 배분적 이유 때문에 그 외부비용은 당사자들 중 최소의 비용을 가지고 피할 수 있는 당사자에게 할당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칙은 칼러브레시(Calabresi)의 연구에 의해 발전한 不法行爲法과 관련된 사고법 이론에도 적용되고 있다. 그는 이러한 원칙에 의해 가장 적은 비용으로 당해사고를 피할 수 있는 사람에게 사고비용의 부담책임을 지우는 법정책을 제안한다. 마찬가지로 이 원칙은 계약법 이론에도 적용되고 있다. 계약법적 정책에서도 예기치 않은 특수상황에 대한 책임을 최소비용으로 회피할 수 있는 사람, 또는 최소비용으로 보험할 수 있는 사람에게 轉嫁한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코즈 및 신고전학파 전통의 연장선상에 있는 법경제학자들은 입법정책으로서 費用-便益 分析을 제안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효율성 분석인 것이다. 코즈-定理(Coase-Theorem)는 코즈적 관심사를 명료하게 하기 위한 매력적인 도입부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다. 코즈의 분석은 「법질서는 효율적인 제도적 장치를 추구할 때 거래비용뿐만 아니라, 중요 참여자들의 개인적인 합리적 행동도 고려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결론적으로 새로운 법질서운동에 대한 코즈의 기여는 거래비용의 발견에 있는 것이 아니라 특수법의 카테고리로 재산을 해석하고, 이에 근거한 相互性(Reziprozität)의 보다 심도 있는 분석에 있다고 하겠다.

      • 獨逸의 카르텔政策에 관한 考察 : Unter besonderer Berucksichtigung der freigestellten Kartellen 適用除外카르텔을 중심으로

        朴英秀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7 大學院論文集 Vol.12 No.-

        Die wichtigsten Konsequenzen aus bisherigen Uberlegungen werden wie folgt zusammengefaBt. 1. Die deutsche Kartellpolitik beginnt im Zuge der Industrialisierung im letzten Drittel des 19. Jahrhunderts. Sie hat seitdem sehr verschiedene Phasen durchlaufen. 2. Das Gesetz gegen Wettbewerbsbeschrankungen (GWB) konnte am 27 Juli 1957 verabschiedet werden und trat am 1.Januar 1958 in Kraft. Es war das Ergebnis eines rund zehnjahrigen ringens zwischen den anhangern des traditionellen europaischen MiBbrauchs-und den Ver-tretern des amerikanischen Verbotsprinzips. Dieses Ringen endete bei Kartellen mit dem Sieg des Verbotsprinzips, das allerdings durch zahlreiche Ausnahmeregelungen stark aufgelockert wurde. 3. Ein adaquater Kartellbegriff hat von dem Ziel der Wettbewerbspolitik(=sicherung der Funktionsfahigkeit des Wettbewerbs) auszugehen. Der ubliche Kartellbegriff hat vier elemente: a) Vereinbarung b) horizontaler Art c) zu gemeinsamem Zweck d) Resultat der Vereinbarung=Wettbewerbsbeschrankung 4. Es mag Falle zwischenbetrieblicher Vereinbarungen geben, die den Wettbewerb nicht beschranken. Empirisch zeigt sich aber, daB solche Vereinbarungen im Zeitablauf doch zunehmend als Kartelle erkannt werden. Eine Differenzierung zwischen echten und unechten Kartellen anhand von Begriffsmerkmalen vornehmen zu wollen, erscheint wenig sinnvoll und birgt die Gefahr des politischen Gebrauchs dieser Termini. Entscheidend ist vielmehr eine okonomische analyse, die auf die faktische Eignung zur Wettbewerbsbeschrankung abzustellen hat. 5. Bei kartellpolitischen Konzeptionen werden bestimmte Ziele und bestimmte Mittel kombiniert. Die erfahrungswissenschaft kann - verschiedene empirisch vorzufindende Konzeptionen beschreiben. - die innere Konsistenz einer Konzeption uberprufen (Zielkonformitat), - die kartellpolitische Konzeption als Teil der umfassenderen wirtschaftspolitischen Konzeption auf die Konsistenz mit dieser Wirtschaftsverfassung hin uberprufen (Systemkonformitat). 6. Es gab tendenzen, das Kartellverbot, soweit es uberhaupt nur im Gesetz steht, zu reduzieren: a) Durch Selbstbeschrankung des Bundeswitschaftsministeriums b) durch die Kooperationsfibel c) aus Opportunitatserwagunged des Wirtschaftsministeriums, das in bestimmten Fallen ein-gegriffen hat, eachte Kartelle nicht zu verfolgen. 7. Als Ausblick konnen wir sagen : Das Kartellverbot ist in bestimmten Bereichen verbesserungsfahig. Vor allem is der Gleich-heitsgrundsatz nicht mehr gewahrt. D.h. ein bestimmtes kartell hat die Moglichkeit dem Kartellverbot zu entkommen, unter einem Wirtschaftsminister einer bestimmten Patei. Nach einem wechsel der Partei kann jedoch unter Umstanden dieses kartell unter das Berbot fallen, wechsel der Partei kann jedoch unter Umstanden dieses Kartell unter das Verbot fallen, wahrend andere Kartelle moglicherweise immunisiert werden. 8. In den ??2-8, 28 GWB werden bestimmte Kartelltypen von dem Verbot des ?1 ausgenommen. Die freistellungen lassen kein einheitliches Prinzip erkennen. Einige Freistellungen reichen aus, um fur bestimmte Wirtschaftszwege das Kartellverbot des ?1 GWB okonomisch bedeutungslos werden zu lassen. Die Bewertungskriterien bei den einzelnen Freistellungen sind sehr verschieden. Das bedeutet, daB die Freistellungen wettbewerbspolitisch nicht konsistent und auch nicht rationel sind. 9. Konditionen-Kartelle(?2), Rabattkartelle(?2), Rationalisierungskartelle(?5, Ⅱ, Ⅲ), Wettbewerbsregeln (?28) sind vom Kartellverbot freigestellt worden: - Konditionen und Rabattkartellen wurde eine Erhohung der Markttransparenz nachgesagt. - Von Rationalisierungskartellen wurde angenommen, daB sie die Leistungsfahigkeit ode, Wirtschaftlichkeit der beteiligten Unternehmen wesentlich heben und dadurch die Befriedigung des Bedarfs verbessern. - Wettbewerbsregeln sollten der Fordeerung und Sicherung des lauteren und leistungsgerechten Wettbewerbs dienen. 10. Die freistellungen bedeuten praktisch die Ersetzung des Verbotsprinzips durch das MiB-brauchsprinzip. Die Mibbrauchsuberwachung war bisher wenig wirksam und sie war interventionistisch. Im ubrigen ist es bei allen Freistellungen sehr fraglich, ob sie zielkinform sind. Soweit bisher festgestellt wurde, daB sie es nicht sind, gibt es keine Begrundungen mehrdiese zu erhalten, weil sie auBerdem systemwidrig sind.

      • 自由主義 經濟思觀에 나타나는 人間像과 制度

        朴英秀 서울大學校經濟硏究所 2004 經濟論集 Vol.43 No.3

        이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현재까지 세계경제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自由主義 經濟思想이 어떠한 人間像과 연관되어 있는가이다. 특히 자유주의 질서관에 기초하고 있는 인간상이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질서와 제도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자유주의 사관의 대표적인 주창자들의 견해를 확인하는 일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자유주의 질서관에 기초하고 있는 인간상과 부합하고 있는 제도들은 무엇인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셋째, 古典的 自由主義와 新自由主義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아직도 어느 정도 고전적 자유주의의 프로그램이 유용한지를 알고자 한다. 이러한 비교는 자유주의의 인간상을 확인하는 데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자유주의 질서관에 기초하고 있는 인간상의 비교를 통해 신자유주의에서 제안하고 있는 여러 가지 제도는 고전적 자유주의와의 차별성을 보여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본고에서는 고전적 자유주의에 대한 논의는 스미스로 국한하고, 신자유주의에 대한 논의는 그 대표적 주창자들인 미제스, 오이켄, 하이에크의 견해를 대비하여 분석하려고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