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 중인 환자의 우울과 스트레스반응에 미치는 효과

        신봉자 ( Shin Bong Ja ),김혜순 ( Kim Hye Soon ),이명희 ( Lee Myung H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만성 신부전증으로 혈액투석 중인 환자에게 비디오를 이용한 유머중재가 우울과 스트레스 반응인 상태불안과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비디오 유머중재 선행 연구(Kim & Suh, 1996; Suh & Kim, 1994)에 의하면 입원환자들은 유머의 내용으로 TV 코미디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였고, 유머 중재시간은 아침보다는 점심 때를 더 선호하였고, 유머 중재시간은 10-20분, 20-30분의 순이었고, 개인보다는 집단으로 유머를 즐기는 것을 좋아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자인 혈액투석 환자는 외래환 자로서 혈액투석이 주 3일, 4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특성상 개별적으로 침상TV를 이용하여 혈액투석 중간인 오전에 30분간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하였다.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Beck의 도구로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19,34점에서 12,73점으로 6.60점 감소하였고, 대조군은 21.42점에서 19.04점으로 2.38점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비디오 유머중재 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웃음요법중재가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켰다는 Lee 등(2006)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또한 혈액투석환자의 우울 정도는 Lee 등(2006)의 연구에서 21.9점, Yun, Yang과 Hahn(1999)의 연구에서 22.9점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Lee 등(1995)이 우울 점수 9점 이하는 정상(normal), 10-15점은 경한(mild) 우울상태, 16-23 점은 보통 (moderate) 우울상태, 24-63점은 심한(severe)우울상태로 구분한 것에 의하면 혈액투석 환자는 보통의 우울상 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Zung의 도구로 검증한 Kim 과 Suh(1996)의 연구에서 비디오 유머중재가 기동성장애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지 않았다는 결과와 Suh와 Kim(1994)의 유머중재가 항암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지 않았다는 연구와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선행연구와 상반된 연구결과가 나타난 것은 우울과 관련되는 복합적인 변인들이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즉 Suh와 Kim(1994)의 연구대상인 암환자의 경우중개기간이 항암제 치료기 간으로 항암제 부작용을 경험하는 시기라는 점을 고려할 때 유머중재에 관심을 적게 갖지 않았나 하는 점도 고려할 수 있다. Kim과 Suh (1996)의 연구대상인 석고붕대나 견인장치로 기동 성장애를 경험하는 환자들은 기동성의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Suh와 Kim (1994)의 암환자의 우울점수 39,9점보 다 많은 42점으로 나타나 대상자 특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uh와 Kim (1994)은 우울은 상황적인 요소라기보다는 특성적인-요소로 여겨지며 단기간의 간호중재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머중재 연구에 대한 반복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중간에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한 후 혈액투석이 끝나는 1 시간 30분 후에 사후검사를 측정하였으나 Kim과 Suh (1996) 의 연구에서는 비디오 유머중재를 실시한 후 10분 후에 사후검사를 측정하여 유머중재 전에 우울도구와 우울점수에 따른 유머중재의 횟수와 시간, 내용을 다르게 적용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디오 유머중재 이후 대상자들은 혈액투석시간 이외에도 대상자들 간에 서로 바라보며 웃기도 하고 큰소리로 이야기도 나누는 모습들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혈액투석치료를 평생 받으며 살아야 한다는 심리 · 정서적 압박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혈액투석환자들만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투석을 받는 시간만이라도 의료인들이 대상자의 심리 · 정서적 지지방법으로 비디오 유머중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도 좋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투석시간외 일상생활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유머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디오 유머중재 전 · 후 상태불안, 혈청 코티졸을 검증 한 결과, 상태불안은 차이가 있었으나 혈청 코티졸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불안은 실험군은 43.86점에서 35.08 점으로 감소되었으나 대조군은 47.85점에서 49.71점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유머중재가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의 불안을 감소 시켰다는 Suh와 Kim (1994)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였으나 비디오 유머중재가 기동성장애환자들의 불안 감소에는 효과적이지 않았다는 Kim과 Suh (1996)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 혈액투석환자의 상태불안 점수 43점은 기동성 장애 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3점(Kim & Suh, 1996), 척추손상 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4점(Song, 2003), 암환자들의 상태불안 점수 44점(Kam, 2003)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기동성장애 환자의 경우 생명에 위급함을 느끼기 않는 만성적인 질환인 반해 일상생활에서 생명의 위급함을 느끼고 있는 혈액투석 환자의 경우에는 비디오 유머중재를 통하여 불안이 더욱 더 감소되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사료된다. 불안은 주관적 근심과 걱정에서 오는 막연한 것으로 두려움, 근심, 죽음이나 재앙이 당장 일어날 것만 같은 느낌을 갖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Jo & Sung, 2000). 혈액투석환자의 불안은‘투석기계에 생명을 의존하고 살아가는 것’,‘ 가족에 대해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 투석 치료로 인한 경제적 부담’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Lee, 2007). 혈액투석은 만성신부전을 치료하기 보다는 주기적으로 체내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내어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에 불과하므로 대부분의 환자들은 병의 예후에 대한 불안감과 함께 치료계획에 따라 기계에 의존해 치료를 받아야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혈액투석환자들의 상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유머중재에 대한 반복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혈청 코티졸 검정결과에서 실험군은 8.64㎍/dL에서 13.12mg/dL으로 4.47㎍/dL 증가, 대조군은 8.85㎍/dL에서 16.29㎍/dL으로 7.43㎍/dL으로 모두 증가하였다. 대조군이 실험군에 비해 혈청 코티졸 수치가 2.96㎍/dL 더 높게 상승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웃음요법을 혈액투석환자에게 실시한 Heo (2007)의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오전에 검사한 혈청 코티졸의 정상범위가 6-28 ㎍/dL임을 감안할 때 정상범위이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높게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혈액투석환자의 혈중 코티졸 농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유지한다고 보고한 Daugirdas, Peter와 Todd (2001)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그러나 Heo (2007)의 연구에서 실험군은 0.30 ㎍/dL, 대조군은 1.57㎍/dL 증가하여 본 연구에서 코티졸 상승범위가 더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는 투석중에 개인별로 유머비디오를 적용하였으나 Heo (2007)의 연구에서는 투석이외의 시간에 집단별로 웃음요법을 시행한 결과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CRH-ACTH계의 활성증가를 통해 CNS에 의해 매개되는 코티졸 분비의 현저한 증가는 모든 종류의 스트레스적인 상황에서 발생한다(Galla & Luke, 1996). 혈장 코티졸 농도의 증가폭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자극 세기에 비례하며, 스트레스는 질병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질병 과정에 깊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질병과 치유과정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혈액투석환자들은 Glucocorticoid의 활동으로 조직의 저항에 의하여 혈중 코티졸 수치가 올라가고 반감기가 증가된다(Daugirdas et al., 2001). 또한 코티졸 수치는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혈액투석과정에서 혈청 코티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혈액투석환자들의 투석 전, 중, 후에 따른 비디오 유머의 효과에 대한 반복연구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비디오 유머중재가 혈액투석환자의 우울과 상태불안을 감소시키는 간호중재로 가정과 임상에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humorous video on the depression and stress responses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Methods: The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 treatment group (n=23) and a control group (n=21). Treatment was watching humorous video tapes 30 min each time, three times a week. The depression level and state anxiety level were assessed using a questionnaire. Cortisol was measured by a blood tes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V-test, and t-test. Results: Depression and anxiety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group. Conclusions: Humorous video tape could be a usefull tool at home and clinical setting as a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the patients on hemodialysis.

      • 開化期小設과 女性敎育論

        金熙子 건국대학교 1988 論文集 Vol.27 No.1

        In this thesis the theory of the women education and the educated woman in the novels of the Kae - wha Period are studied. In those days pioneers declar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Especially the education for girls was urgent because none of them were learned and women's life was slavery to men. Girls' schools were erected one by one. The education of women was carried out to some degree. The second important issue for women was remarriage. Any young widow couldn't be remarried. She should remain unmarried through out her long life. It was so inhumanious that learned persons asserted remarriage. Some novelists of the Kae-wha Period had an effect on social enligtenment with his works. The Edification Movement and the Literature of Enlightenment are both do carry out a reform. In 「自由鍾」 「The Bell of Liberty」 and 「天中佳節」 「The Beautiful Season of May」, women discussed education and vocational posture just as in the papers, 「Dognip - Sinmun」, 「Daehan - mail - Sinbo」 etc. Educated women are seen very often in the novels of the Kae - wha period All of them are young but married (or to be married). A lot of them become widows but couldn't married because of taboo of digamy of a woman. Ok - ryun, a heroin of 「the Bloody Tear」 tried out a free marriage but to fail. Opening the Law of Digamy, started from the Inovation of Kab - o (갑오경장), some of them were remarried carefully. Lee Tae - hee is a model of remarried young widow she is a heroin of 「홍도화」(「The Pink Peach Blossoms」). Her young husband died of sickness. When Tae - hee returned her maiden home, she remarried to Sang - ho who had been known stance school boy. And she showed doing away with her esteemed mother - in - law's superstitions All of those comes of schooling or education. Lee Jung - sook (「收丹花」:「A Peony Blossom」 had experience to be a teacher when she made filer escape from Uju - jip (의주집), a mistress of brothel. She had finished a normal school and taught well in Seo - hung school. And she organized the club of women only. She had public speech or lecture as a man. It's homologous to the real society. A novel as a mimesis of a real society forms reality under the renditions of language and style. 「The authors realized the present age, the Kae - wha Period, with his words and circumstances of the times. Ok - ryun, Tae - hee, and Jung - sook are the creatures of the times.

      • 급성 백혈병 환자에서 감염증의 양상 및 예후인자에 관한 연구 : 1988년∼1995년까지

        정희진,김병수,신상원,김열홍,김우주,김민자,김준석,박승철,김권범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3

        목적 : 급성 백혈병의 경우 골수기능이 억제되고 항암화학요법에 따른 골수기능 저하로 감염의 위험이 증가하며 감염의 치료가 환자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저자들은 1988년부터 1995년까지 고대 구로병원에 급성 백혈병으로 입원했던 환자들 중 입원 기간 내 감염이 있었던 경우를 대상으로 하여 감염의 위험인자 및 감염증의 예후를 후향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급성 백혈병환자의 감염의 치료에 대한 지침을 얻고자 하였다. 방법 : 급성 백혈병으로 확진된 환자들 중 감염병에 이환된 경우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을 미생물학적 확인감염, 임상적 확인감염, 그리고 설명 불가열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경우에서 감염 당시의 호중구 수, 호중구 감소 기간, 항암화학요법과의 연관성, 감염 병소, 배양된 검체 및 원인균, 선택적 소화관 살균법의 사용여부 및 골수회복 여부 등을 조사한 후 환자의 예후와 어떤 관계가 있는 지 조사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은 총 113예로 남녀비는 46:67 이었고 평균연령은 34±13세, 진단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이 84예,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이 29예였으며, 감염시 평균 호중구수는 663±1678/㎣이었고, 호중구 감소 기간은 평균 18±13일이었다. 감염양상은 항암화학요법과 연관된 감염이 84예로 대부분이었고 미생물학적 확인 감염이 40예로서 35%였으며, 폐렴과 원발성 패혈증이 각각 20예와 19예로 가장 많았고, 카테터 연관 감염이 7예로 나타났다. 배양된 균주는 E. coli가 10예(25%)로서 가장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E. coli, P. aeruginosa, K. pneumoniae 등의 그람음성균이 6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최근 그람양성구군 및 진균의 분리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감염증의 예후를 분석한 결과 진균 감염인 경우나 호중구 감소 기간이 긴 경우 사망률이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골수 기능이 회복 여부가 환자들의 생존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P=0.01). 결론 : 급성 백혈병 환자들에서의 감염은 관해유도화학요법 후 초래되는 호중구 감소와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폐렴 및 패혈증의 임상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고, 원인균별로는 그람 음성균이 주류를 이루나 최근 그람 양성균 감염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감염의 예후 인자로는 진균 감염인 경우나 호중구 감소 기간이 긴 경우 사망률이 높았으나 골수 기능의 회복여부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급성 백혈병 환자의 치료에 있어 감염 빈도의 감소와 감염에서의 조속한 회복을 위해서는 골수 기능의 회복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Inf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fatal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The characteristics of infection in acute leukemic patients are different from those in other diseases by the lack of normal inflammatory responses or distinct clinical evidence except fever. To improve the outcome of acute leukemia, it is very important to recognize the risk factors, patterns and prognostic factors of acute leukemia. Methods :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atterns of infection from 113 febrile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from January, 1988 to December, 1995.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and the outcome of infection,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analyzed: the presence of neutropenia, use of chemotherapeutic agents, type and site of infections, isolated organisms, gastrointestinal decontamination, duration of neutropenia, and bone marrow recovery. Results : Out of 113 febrile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84 infection episodes(74%) occurred after chemotherapy. The mean duration of neutropenia was 18±13 days. The incidence of microbiologically-documented infection(MDI) was 35%(40/113). Pneumonia was the most common infection(26%), followed by primary sepsis(24%), catheter-related infection(9%). In cases of MDI, 63% were caused by gram-negative bacteria, followed by gram-positive bacteria(28%), and fungi(10%). Escherichia coli(25%) was the most common isolated in MDI. Regarding the prognostic factors in cases with infections, the recovery of bone marrow function was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P=0.01). Conclusion : Infection has been a major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acute in acute leukemic patients. To prevent infection and thereby improve the prognosis of acute leukemia, restoration of bone marrow function at early stage is important.

      • SCOPUSKCI등재

        간호실무에서 신봉이론(Espoused theories)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문자,김혜숙,이은희,박영숙,조경숙,강현숙,임난영,김주현,이소우,조복희,이명하,지성애,하양숙,손영희,권성복,김희진,추진아 성인간호학회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1

        As a nursing practice involves nurses' actions in a specific context of health care, this study has focused on exploring the espoused theories in nursing practice within the action science perspectives, Espoused theories are the belief, principles, and rationale expressed by the practitioner as guiding her/his actions in a situation of practice. The data were analysed qualitatively and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of nursing action were identified and clustered into 6 categories. The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are as follows: The clinical nurse worked in wholistic and individual nursing, focussed on the patient's needed, comfort and supportive nursing (5 theories of nursing goal) ; excellent skills, knowledge based, assessment and data collection, explaining, educating or a scientific basis(6 theories of nursing intervention): advocacy, value oriented, treatment, account- ability and commitment(4 theories of nursing ethics) ; human respect. partnership, trust(3 theories of patient-nurse relationship) : knowledgable, accumulated clinical experiences and personally lived experiences. positive perspectives(4 theories of nurse), role of intervention. rewarding peer relationship(3 theories of situations) The above mentioned espoused theories are similar to that of nursing textbooks which students learned through basic nursing education and almost the same as the Acts ofa Nurse in Korean. However, we are doubtful whether nurses actually do as they think.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review the theories-in-use in order to and any discrepancies between the espoused theories and the reality of nursing actions

      •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vancomycin 내성 장구균에 대한 Quinupristin/dalfopristin(Synercid®)을 포함한 10종 항균제의 시험관내 항균력

        정희진,박기호,김동림,김우주,김민자,박승철,신종희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2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고려대 병원과 전남대 병원에서 임상 검체로부터 분리된 VRE 16균주를 대상으로 하여 장구균 감염의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항균제인 ampicillin, gentamicin, vancomycin, teicoplanin과 VRE에 대해서도 비교적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기존의 chloramphenicol, doxycycline, erythromycin, ciprofloxacin, rifampicin, 그리고 다제 내성 그람 양성균의 치료를 위하여 새로이 개발된 quinupristin/dalfopristin을 이용한 시험관내 항균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총 16균주의 VRE faecium을 대상으로 quinupristin/dalfopristin (Synercid^(R))를 포함한 10종 항균제에 대한 최소 발육 억제 농도(MIC)를 한천희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은 NCCLS에서 제시한 기준에 의거하여 해석하였다. 결과 : 1) 5균주의 vanB VRE에 대한 항균제의 MIC_(90)은 ampicillin, erythromycin, gentamicin, cipro- floxacin에서 각각 64㎍/㎖, 512㎍/㎖, 512㎍/㎖, 4㎍/㎖로서 100%에서 내성을 보였고, doxycycline, chloramphenicol의 경우 4㎍/㎖, 4㎍/㎖로서 100%에서 감수성을 보였다. Teicoplanin의 MIC_(90)은 1㎍/㎖로서 모두 감수성을 보였고 quinupristin/dalfopristin에 대해서도 MIC_(90) 0.25㎍/㎖로서 감수성을 보였다. 2) 11균주의 vanA VRE에 대한 항균제들의 MIC 범위는 vanB VRE보다는 다양하였다. MIC_(90)을 보면 amplicillin, erythromycin의 경우 256㎍/㎖, 512㎍/㎖으로 100%에서 내성을 보였응며, gentamicin은 MIC_(90) ≥500㎍/㎖의 고도내성을 보인 경우가 8 균주로서 73%에서 내성을 보였다. Ciprofloxacin은 vanB VRE에서와 마찬가지로 MIC≥32㎍/㎖의 100%의 내성을 보였다. Chloramphenicol의 경우는 MIC_(90)이 16㎍/㎖로서 vanA VRE faecium에 대해서도 감수성이 있는 약제로 남아 있었다. 반면에 doxycycline은 MIC_(90)이 4㎍/㎖로서 시험관내에서는 100% 감수성을 보였고, quinupristin/dalfopristin은 MIC_(90)이 2㎍/㎖로서 내성을 보인 균주는 한 균주도 없었다. 결론 : 국내 임상분리 VRE 16균주는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chloramphenicol, doxycyline등의 항균제에 대하여 시험관내에서 100% 감수성을 보였으며 quinupristin/dalfopristin과 같은 새로운 항균제에 대해서도 중등도 또는 완전 감수성을 보여 향후 VRE에 의한 감염증 치료에 있어 이들 약제의 병합요법등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Background : Vancomcyin-resistant enterococci (VRE) have become a major nosocomial pathogen in the USA during 1990s. In Korea, VRE have recently emerged as a important nosocomial pathogen and posed therapeutic difficulty. We evaluated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linical VRE isolates to the antimicrobial agents that are commonly used to treat enterococcal infections and to some alternative drugs and to a newer antibiotic such as quinupristin/dalfopristin(Synercid®). Methods : We evaluated 16 clinical VR-E. faecium (5 vanB VRE, 11 vanA VRE) strains that were isolated from Korea Universtiy and Chonnam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last five years (1994-1998).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to the species level by using API 20system. The in vitro susceptibility testing was performed by the agar dilution methods, following the criteria described by the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 The VRE isolates were tested against antimicrobial agents commonly used to treat enterococcal infections (vancomycin, teicoplanin, ampicillin, gentamicin), potential alternative drugs (chloramphenicol, doxycycline, ciprofloxacin, erythromycin, rifampicin) and a newer antibiotic (quinupristin/dalfopristin). Results : 100% (5/5) of vanB VR-E. faecium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gentamicin and ciprofloxacm, but 100% (5/5) were susceptible to chloramphenicol, doxycycime, teicoplanin and quinupristin/dalfopristm. 100% (11/11) of vanA VR-E. faecium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ciprofloxacm, 73% were resistant to gentamicin, and 100% (11/11) were susceptible to chloramphenicol and doxycycline. Quinupristin/dalfopristm showed intermediate or high level susceptibility against all vanA VRE isolates. Rifampin is less susceptible (MIC: 4-16 ㎍/mL) against both vanA and vanB VR-E. faecium. Conclusion : The treatment options for infections caused by VRE seem to be very narrow since a small percentage of those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the other antmicrobial agents commonly used to treat these infections. And only a few of the alternative drugs including quinupristin/dalfopristm tested showed good in vitro activity. This study suggested that chloramphenicol, doxycycline and qumuprisitin/dalfopristin would be a good candidate to treat VRE infection, but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demonstrate the clinical role of these antimicrobial agents.

      • 분편 인플루엔자백신(split influenza vaccine)의 임상효과 및 면역원성에 관한 연구

        우흥정,김동림,정희진,천병철,이주연,안정배,김지희,박찬,신영규,김우주,김민자,박승철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1

        목적 : 아단위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백신의 인플루엔자 예방효과, 인플루엔자 방어 항체형성, 인플루엔자 백신의 안전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총 571명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하였고, 이들 접종자에서 인플루엔자 양질환의 이환을 조사하여 인플루엔자 백신의 인플루엔자예방효과를 알아보았고, 백신의 접종 전 및 접종 4주 후 혈청에서 혈구응집억제물(Hemagglutination Inhibition : HAI) 항체 검사를 실시하여 백신의 방어항체생성을 조사하였고, 백신의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해 백신접종 후 1주일 이내의 부작용을 조사하였다. 결과 :백신 접종군과 백신 비접종군에서 인플루엔자 양 질환의 이환을 조사한 결과 접종군 28.35%, 비접종군 35.88%으로 나왔으며, p 값이 0.001로 통계적으로 접종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인플루엔자 양 질환의 예방 효과는 20.97%를 보였다. 백신의 방어항체 형성의 평가를 위해 유럽의 인플루엔자 백신 허가 기준을 조사하였는데 B/Guangdong/5/94균주의 백신접종 후 항체가 40이상의 비율을 제외한 다른 기준은 모두 만족 시켰다. 부작용은 전체 조사자 521명중 149명(29%)으로 주로 접종 부위의 국소 부작용을 호소했고, 전신 부작용은 2% 내외였으며 특별히 심각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 분편 인플루엔자 백신은 인플루엔자양질환의 예방과 방어항체생성에 효과 있으며 안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influenza vaccine are well known in developed country. The influenza vaccination has been recommended as one of the tentative immunization schedule for indicated persons since 1997 in Korea. But there are still no available data about them, even though nearly 5 million doses of influenza vaccine were used in 1997-1998 season. So it is immediately needed to investigate the safety. efficacy and immunogenicity of influenza vaccine among Korean. Methods : We studied the clinical efficacy of influenza vaccine by monitoring Occurrence of influenza-like illness in influenza risk group(vaccination ; 300, non-vaccination; 215) from December in 1997 to March in 1998. We used the split quadrivalent influenza vaccine containing 15 microgram of hemagglutinin of A/Beijing/262/95(HlNl), A/Wuhan/359/95(H3N2), B/Mie/1/93 and B/Guangdong/5/94. Hemagglutination inhibition(HA1) antibody titers were determined before immunization and 1 months after vaccination And we evaluated adverse effect of influenza vaccination at 7 days after vaccination. Results : Influenza vaccination was associated with si@icant reductions in influenza-like spptoms(vaccination group; 28.35%, non-vaccination group, 35.88%, p=0.001). The preventive effect of influenza-like i3lne.s among influenza risk goup was 20.97%. And immunogenicity of influenza A and B exceeded all of the European licensure criteria for immunogenicity except postvaccination proportion of titers 240 of B/Guangdong/5/94 strain. And the adverse effects were mainly local injection site problem and no serious adverse effect was noted. Conclusion : Split influenza vaccine is safe, inmunogenic and eff'tive in influenza risk group in Korea.

      • 간호 지식관리시스템 개발

        민효숙,문원희,김미자,김선미,황윤신,황관옥,심희숙 충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6 충남대 간호학술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the nurse and to identify its effectiveness.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development of the contents and programing. And the system was operated to 85 nurse for three weeks. Data collection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of May 1, 2005 to December 30, 2005. The data was collected from 85 nurses using questionnaires. In order to ascertain the validity of clinical application of the system, Prior experience of the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user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were analyzed. The instruments for the study were satisfaction(Kim, 2000), utilization(Kim, 200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WIN 11.0 program. The results showed average score which is the satisfaction(6.09) showed middle satisfaction scores. It is concluded that if Nurs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s operated considering all the above factors, It wound be one of the best qualified continuing clinical method for nurses.

      • 만성 간질환에 대한 DDB(Biphenyl Dimethyl Dicaboxylate)의 임상적 효과

        이헌영,임의혁,김성걸,김진희,육은주,성자원,김병호,정형용,강대영,김영건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4 충남의대잡지 Vol.21 No.2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ort-term administration of DDB(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for decreasing elevated serum aminotransferase levels in chronic liver diseases, authors applied 3 capsules of DDB per day at each meal time for 35 patients and compared with 35 patients treated with other conservative manage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47.1± 180.0 IU/L of pretreatment level to 96.6±126.0 IU/L, 61.1±62.7 IU/L and 38.0±26.8 IU/L after 1, 3 and 6 months of treatment(p<0.05) and effective rates were observed in 60.0%, 71.4% and 88.6% of patients after 1, 3 and 6 months of treatment. 2.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levels decreased also significantly from 167.8±96.9 IU/L of pretreatment levels to 124.4±155.0 IU/L, 77.9±49.6 IU/L, 60.6± 46.9 IU/L after 1, 3 and 6 months of treatment(p<0.05), but decreasing pattern of serum AST was less significant than that of serum ALT. 3.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observed in the serum ALT and AST changes according to the cause and duration of hepatitis. 4. No significant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in whole patients treated with DDB. It is suggested that small dose administration of DDB is effective for decreasing serum aminotrans ferase levels in chronic liver disease in which other conservative management was not effective.

      • SCOPUSKCI등재

        뇌졸중환자의 사회적 재적응과 관련요인

        조남옥,서문자,김금순,김인자,최희정,정성희 성인간호학회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1

        Social readjustment is very important in rehabilitation of stroke surviv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social readjustment and related factors in stroke survivors. Especially, to find the most useful predictor for social readjustment is a major point of this research. The study included 254 outpatients who were given follow-up care after discharge from. Occupational rehabilitation and resumption of the perceived meaningful social activity prios to the stroke were used to measure social readjustment. The resumptions of first meaningful social activity was the best predictor for life satisfaction in stroke survivors(r=.245, p<.01). The substance of perceived meaningful social activities were job, meeting with friends, hobby and activities for the family. The sum of meaningful social activities (r = 175. p<.01)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r= 116, p<.05)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IADL,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resumption of meaningful social activity. But, occupational rehabilitation was not related to depression. The level of social readjustment was different between occupational rehabilitation and resumption of meaningful social activity. It was 45.7% in the first meaningful social activity and 36.6% in occupational rehabilitation. The related factors with resumption of the first meaningful social activity were that of IADL, depression, illness intrusiveness and cognitive function. And the level of IADL, illness intrusiveness, cognitive function, and ag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occupational rehabilitation.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resumption of the first meaningful activity in stroke survivors is the best predictor of social rehabilitation. Thus. nurses need to work for resumption of meaningful activity as well as occupational rehabil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