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The Choreographic Writing of the Law in Plato's Nomoi

        Anthony Curtis Adler 한국비평이론학회 2010 비평과이론 Vol.15 No.2

        The Laws, Plato's longest dialogue and also one of his last, has often been read as either a "popularization" of his more esoteric philosophy, if not a "degenerate" turn away from the rigors of philosophical discourse, or as the attempt to articulate a "second-best republic," acceding to the limitations of reality. It is only recently, with the work of Leo Strauss, Eric Voegelin, and Seth Benardete, that scholars have begun to recognize the full importance of the Laws within Plato's oeuvre. Yet even these readings, while acknowledging the originality of the Laws, nevertheless tend to subordinate the Laws to the metaphysics (and political theology) of the middle dialogues, and above all the Republic. The following paper will argue that the Laws represents a much more fundamental revision of Plato's metaphysics than has been recognized. Indeed, it marks a turn away from metaphysics to a concept of political, and ultimately philosophical, choreography. The focus of my paper is on several deliberate inversions and transformations of the imagery and conceptual hierarchies of the Republic. By challenging the dichotomy of the playful and the serious (and, accordingly, theory and practice, and speech and writing) upon which Plato's earlier metaphysics depends, the Laws insists on the impossibility of the separation, given such powerful expression in the cave analogy of the Republic, of philosophy from everyday life. The Laws also transforms the motif of the cave: the interlocutors of the Laws are on a pilgrimage towards the cave and temple of Zeus, the legendary site of the original lawgiving of the Minoan kingdom. And finally, the Laws challenges Plato's earli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between the political and poetic work -unlike in the Republic, where the former is the imitation of the idea of the good, and the latter a mere imitation of an imitation, poetry and politics are placed on the same level. These various inversions and transformations, I argue, suggest a fundamental change in Plato'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philosophy: the laws no longer represent an image of a truth that has been securely grasped in an act of philosophical intuition, but instead prescribe forms of praxis that, if followed, will bring a community of beings nearer to an experience of a truth that has only been glimpsed and not securely grasped.

      • KCI등재

        소설 『야콥 폰 군텐』에서 나타난 봉사, 문자, 움직임. 로베르트 발저의 안무된 메타정치

        안토니커티스아들러 ( Anthony Curtis Adler ) 韓國獨語獨文學會 2009 獨逸文學 Vol.110 No.-

        스위스 작가 로베르트 발저(1878-1956)의 작품들은 지난 수 십년 동안 점차 주목을 받기 시작하면서, 그는 문학적 모더니즘의 위대한 선구자 중 한 명이 되었다. 하지만 그는 현실에 어둡고 생활에 무능력하다는 명성을 완전히 떨쳐버리지 못했다. 그래서 그의 글은 아직도 자주 순수 미학적인 관점에서 관찰되고 있다. 이에 반해서 본 논문은 발저가 시종일관 "정치적 사유"를 견지했음을 보여주려고 한다. 그의 "정치적 사유"는 당시의 정치적 의문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을 보여주지 않고 보다 정확히 말하면 "메타정치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푸코의 생명철학의 변신과 논쟁하는 것으로 이해해도 좋겠다. 그리고 고전적인 의미에서 정치가 실종될 위험이 가장 강한 곳에서 정치의 가능성을 구출하는 것으로 이해해도 된다. 메타정치적인 경향은 소설 『야콥 폰 군텐』에서 나타난다. 이 작품은 이미 루소, 쉴러, 그리고 특히 클라이스트의 작품에서 전개된 자유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자유의 가능성이 사유나 반성이라는 근대적 문화에 의해서 위협을 받는 경우에, 소설 『야콥 폰 군텐』은 한 천재적인 해법을 발전시킨다. 자유의 감정은 과격한 규율을 통해서 다시 영원이 된다는 것이다. 사람은 봉사를 배워야 한다. 이 독특한 교육과정은 몸의 움직임을 아주 정확하게 한 안무 규정에 따른다. 이 규정은 이성적인 분석에서 벗어남으로써 상상할 수도 없는 신비가 된다. 실천을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비로소 실천에서 유래하는 진리의 경험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 KCI등재

        괴테의 세계 -친화력 에 나타난 세계성과 세계문학

        앤소니커티스아들러 ( Anthony Curtis Adler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3 獨逸文學 Vol.128 No.-

        괴테의 세계- 『친화력』에 나타난 세계성과 세계문학앤소니 커티스 아들러 (연세대)현재 세계 문학 학계에서 큰 중요성을 지니고 있는 괴테의 세계문학의 컨셉트는 내적보다는 외적으로 해석 되고 있다 - 이는 문학 산업의 글로벌화를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 나는 『친화력』을 읽고 괴테에게 있어 문학은 세계의 컨셉트 자체를 다시 생각하고 다시 바라보는 것이라고 주장하려 한다. 괴테에게 있어 소설은 단지 세상을 묘사하는 것이 아닌 객관적으로 존재하지만 일시적이고 공간적배경의 인간의 존재를 대체한다. 더 자세히 나는 『친화력』의 상반되는 등장인물들인 오틸리에과 루치아네를 통해 두 개의 다른 세계관을 보여준다: 한 면에서는세계가 쇠퇴하는 봉건적인 체제에 대응하는 외적인 존재와 인식이지만 한 면에서는 세계가 삶 자체의 경제적인 체제라는 것을 보여준다. 소설에서는 이 둘의절충을 찾으려 하지만 두 번째 파트의 비극적인 전개는 두 상반되는 세계관을섭렵하지 못한 절대적인 실패를 보여준다. 이 비극적인 전개는 결론적으로 모방의 문제로 연결 될 수 있는데, 이 작품은 에두아르트의 공간을 떠나는 루치아네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모방성”의 퇴출을 보여주고자 하지만 독창성으로 보여지는 오틸리에의 본성은 성모 마리아를 모방함으로써 더 위험하고 악마적인 모방을 보여준다. 그녀의 순교는 패러디의 방식을 띄고 있으며 에두아르트는 비극을뛰어넘는 고통의 운명을 겪어야 한다. 모방 할 수 없는 것을 모방하는 창피한실패를 하는 것이 그의 과제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