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朝鮮時代 以後 韓國 傳統 旗(깃발) 硏究

        정명교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908

        문화란 인류가 생활을 영위하면서 장구한 세월을 거치면서 쌓아 온 한 민족의 독특한 집체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문화는 그 민족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냄과 동시에 그 민족의 원형적 특질 또한 가장 잘 간직하고 있다. 예술 또한 민족의 전통적 사상과 문화가 융합하여 발전했으며 미의식의 바탕에는 민족의 생활에 저변을 이루고 있는 민족성과 사상인 것이다. 우리의 전통깃발은 전통사회의 생활저변 곳곳에 자리 잡고 있었으며 쓰임새 역시 다양했다. 깃발은 전통사회에서 다양한 목적과 기능으로 사용되어왔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깃발은 예로부터 전해 내려온 뿌리 깊은 민족적인 신앙이나 미의식의 반영이라 할 수 있으며 상고시대로부터 오늘에 이르는 동안 실생활의 필요성과 함께 발달하여 온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도처에서 깃발의 사용을 목격한다. 각 국가별 국기, 올림픽을 상징하는 오륜기, 유엔기 등에서 볼 수 있으며, 위험의 표지, 각종 알림, 거리광고 등 전 세계적으로 각 민족의 나름대로의 깃발문화를 가지고 있다. 또한 깃발은 현재 한국미술에서 대규모 깃발의 군락을 이루는 야외 깃발 전시의 형태로 제시되며 새로운 예술의 형태로 진행 중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기원 및 유형과 발달', '소재별 분류와 상징', '조형적 특성과 계승'등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전통깃발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예술적 자치를 확인하며 전통과 창조라는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전통의 재발견으로 새로운 예술의 창조적 기틀로써 현대미술에서의 돌파구 찾아야 하며 깃발문화의 올바른 정착과 정체성에 관한 문제는 전통의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Culture represents a unique intensive phenomenon of a race, which has been accumulated by the human race for a long period of time. Accordingly, a culture not on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ce very clearly but also preserves original features of the race perfectly. Art has also been developed by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ideology and the culture of a race. On the basis of aesthetic sense, there are racial traits and ideologies that compose the lowest stratum of racial life. Our traditional flag took many places in various stratum of life i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was used in various ways, too. Flags have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functions. Therefore, our traditional flag can be the reflection of ingrained racial faith or aesthetic sense that has succeeded since early times. Flags have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need in a daily life since ancient times. Nowadays we witness that flags are in use anywhere. We can see them in the national flags of each country, the flag bearing the five-ringed Olympic emblem, the flag of the UN, and so forth. They are also in the signs of danger, various notices, advertisements on the street, etc. Each race has its own flag culture all over the world. Moreover, flags are presented as a form of outdoor flag exhibition constituting a large group of flags in Korea art now, and they are currently in progress as a new form of art. At this point, through the studies on 'origin, form, and developm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materials and symbol', and 'formative features and succession',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 of the traditional flag has to be identified and a breakthrough for modern art should be found as a creative foundation of new art by rediscovery of tradition in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cre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problems regarding the right settlement of flag culture and its identification can be solved through clear understanding about tradition.

      • 해방기 소련 기행문학 연구 : 이태준, 한설야, 오장환을 중심으로

        조영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613

        This paper analyzes the Soviet visit and travel writings of Yi Tae-Jun, Han Seol-Ya, and Oh Jang-Hw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with a comparative reading of the writers' other literary works, tries to point out how the narrative features of power, self-reflection, and amity of nations embodied in the travel writings echo the liberation-period literary or early North Korean literary issues of nation-building, self-reflection, and Soviet-Korean friendship. In addition to providing writers with the landscape and experience about the 'model' of the society of the socialist system, the visit to the Soviet Union stimulated writers to 'cross-reference' and establish avenue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DPRK and the Soviet Union, which stimulating them to summarize and reflect on their literary works of the colonial period and to explore new literary challenges at the new stage of history. On the one hand, Korean writer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looked back and reflected on their colonial history and their own literary history in the "ethical" space of the Soviet Union, the victorious power in World War II. On the other hand,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North Korean writers rejoined the "world" through political cooperation with Soviet Union and found a place to make their voices heard. As intermediaries o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cialist world, North Korean writers needed to create a new literary language that would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establish friendly relations, while at the same time thinking about how to maintain the emphasis on the subjectivity of (North) Korea as a new national state and not lose their own inherent literary language while advocating following the Soviet Union.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Korean writers in relation to this cultural and political practice is not to elucidate their perceptions and feelings about the Soviet Union or socialist society and to judge their rights and wrongs, but to attempt to re-examine the literary dilemmas faced by Korean writers after liberation in the context of world cultural history. By analyzing the Soviet travel narratives of Yi Tae-Jun, Han Seol-Ya, and Oh Jang-Hwan,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Korean writers' participated in the cultural endeavors of the nascent socialist stat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to understand how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explored and established itself in cross-border cultural exchanges and practices, helping us reconceptualize the literary practices of writers throughout the late colonial and liberation periods. In Chapter 2, by focusing on the reminiscences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history of the colony in the Soviet travel texts, we can find that, on the one hand, the socialist social landscape of Soviet Union provided the writers with imaginative resources to conceive the future of Korea, and on the other hand, the sublime image of the ethical subject presented by the Soviet Union as an anti-fascist victor inspired the Korean writers to reflect on and reconstruct the past colonial histor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riters were demanded to liquidate the individual/collective history of the colonial past, and their desire to reflect and explore in order to grasp the future was extremely strong. The writers' reflections on the colonial past triggered and implicated in the foreign land of the Soviet Union distantly echoed and extended the public discussions on 'self-criticism' within Korea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is can help us to discover the Soviet Union's intervention as the Other in the wave of literary self-reflecti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Chapter 3 examines how Yi Tae-Jun rethinks and reshapes his own traditional aesthetics, language and structure of feelings develop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his visits to the Soviet Union and China. In his Soviet travel texts, he skillfully employs symbolic element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Korean culture to establish the similarities and affinitie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in terms of history and natural landscapes. Traditional notions of aesthetics provided a perspective for Yi Tae-Jun to establish an affinity with the unfamiliar socialist Soviet Union. On the other hand, during his visit to the Soviet Union, Yi Tae-jun was also fully aware of the difficulties and changes in the construction of a new nation-state, and for this reason felt the need to renew his aesthetic concepts and literary language he had constructed in the past in order to adapt to the new social development. However, the novel The Dust, written in 1950, but set in 1948, seems to indicate the ultimate failure of this effort. Like the character types that often appear in Yi Tae-jun's previous novels, the novel's protagonist, Mr. Hanmwe, is a collector who loves the traditional culture. However, Yi Tae-Jun infuses Mr. Hanmwe with a new sense of action and subjective initiative. In The Dust, Mr. Hanmwe 'travels' through the reality of the North-South divide, exploring whether the traditional aesthetics still has a place to survive and thrive in the chaotic historical situation. However, as the ending of The Dust reveals, Mr. Hanmwe suffers various setbacks in South Korean society and eventually chooses to return to Pyongyang. On his way back, Mr. Hanmwe was killed by gunfire on the 38th parallel. This may suggest that in the midst of the great changes of the times, the traditional aesthetic subject cannot find a new way out and is eventually eliminated by history. The values represented by traditional aesthetics and the patterns of behavior, emotions and language shaped by them could not overcome the divisions within the nation in the face of the violence of history, much less establish a way of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the outside world. When Yi Tae-Jun visited China in 1951, he seemed to abandon the language of traditional aesthetics to establish a sense of intimacy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emphasizing instead that China and North Korea were both new socialist countries. After the traditional aesthetic subject is buried by the violence of history in The Dust, the lived experience of socialist society becomes the 'common language' of amity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 By analyzing Han Seol-Ya's Soviet travelogue and novels with Soviet protagonists, Chapter 4 examines the writer's actual experience of communicating with the Soviets and the literary phenomenon associated with it.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inevitable language barrier that the writer encountered during his travel and the narrative strategies he employed to turn the language barrier between the North Korean and Soviet characters into a favorable condition for constructing the kinship between them. In 1947, Han Seol-Ya became the Director of Education of the North Korean People's Committee and traveled to the Soviet Union to visit North Korean students and promote educational cooperation between the DPRK and the Soviet Union. In his role as an official, he had extensive exposure to the Soviet elite in the fields of politics and culture, and ignited a passion for learning Russian. However, at that time, the DPRK had just been liberated and conditions for learning Russian were lacking. Therefore, there was always a big gap between the reality that Russian was not yet widespread and the political need for an urgent establishment of amity between the DPRK and the Soviet Union. Through his works of fiction depicting Soviets and Koreans, Han Seol-Ya attempts to overcome or conceal this realistic dilemma in fictional texts. In The Face and The Steam Whistle, Han describes how Koreans imagine and confirm the friendship with Soviets by observing their "body language" such as the expressions on the face and body movements. Furthermor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version()1946 and the revised edition(1956) of the novel Hats reveals that Han Seol-Ya readjusted the mechanism of establishing the inter-Korean-Soviet friendship. In the original version of The Hat, the Soviet soldier stationed in North Korea suffers from severe war trauma caused by the loss of his loved ones and homeland in World War II. Although he comes to North Korea in the role of an assistor, he is always used to shooting in order to overcome his traumatic reaction and find peace in the sound of gunfire, so he is actually an abuser to the Korean civilians. However, in the revised version, Han Seol-Ya describes how the Soviet soldier gets rid of his trauma by watching a traditional Korean monk dance and feeling the hope of renewal in the language of the dancers' body movements. In this way, the Korean become the "rescuer" of the Soviet soldier, and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viet Union as the helper and the DPRK as the recipient, previously dominant in the discourse of inter-Korean relations, is reversed. Ultimately, Han Seol-Ya rewrites the novel so that the North Koreans become the rescuers of the Soviets, thereby dominating and redefining the structure and emotional content of inter-Korean-Soviet Amity.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discover how Han Seol-Ya's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captures and presents the coexistence of Korean and Russian in the post-liberation Korean social and literary world. While existing studies analyzing the intermingling of English, Japanese, and Korean in South Korean societ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focus on the cultural and political conflicts caused by translations and interpretations, Han Seol-Ya's novel allows us to discover that in North Korean society, which is in a social atmosphere of Korean-Soviet amity, it is the suspension or castration of the translation device that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issue of languages intermingling in North Korean literature. Chapter 5 attempts to show that Oh Jang-Hwan's experience visiting the Soviet Union for medical treatment was more than a mere incidental experience in his life or a political practice rich in ideological propaganda. As a writer, the mechanics of the triple identity of "patient-traveler-poet" changed as the journey began and ended, inspiring him to produce two different collections of travel poems. Oh Jang-Hwan wrote and published travel poetry in North Korean journals while undergoing medical treatment and only having time to travel briefly through the city. Many of the poems reflected the propaganda needs of the Soviet Union and DPRK at the time and glorified the achievements of Soviet social development. Writing in this style conceals, in part, Oh Jang-Hwan's dilemma concerning his inability to gain adequate access to travel insights because of his treatment, and the consequent difficulty in writing travel poetry. After the poet finished his treatment and had left the Soviet Union, this tension between treatments and travel was eased. Upon his return to North Korea, Oh Jang-Hwan published Red Flag, a collection of Soviet travel poems that he had previously published in magazines, and significantly changed the overall appearance and emotional value of Soviet travel poetry by rearranging the collection order and rewriting the texts. In some sense, the arrangement of the poems outside of chronological order disrupts the chronological structure of travel experiences that should be found in a travel poetry collection, which to some extent prevents exposing the lack of content of travel poetry collections due to a poet's lack of travel experiences. Further, the poet removes some of the verses that glorify the Soviet Union and replaces them with verses that emphasize North Korea's subjectivity as a new "republic" country and adds the poet's perspective on retracing individual historical memories. Through Red Flag, therefore, the Soviet travel song sings not only the monotonous chant presented in the first version of the travel poems, but also adds two different vocal tones, in which the poet proclaims the subjectivity of the "republic" and calls for individual memories of history. Many studies have analyzed Red Flag only to comprehend Oh Jang-Hwan's Soviet journey, viewing it solely as a political propaganda tex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version of the Soviet travel poems and its rewritten version, this paper seeks to provide a more complete picture of Oh Jang-Hwan's creative process and reflections on the Soviet poetry. Furthermore, Oh's travel poems hardly reflect the main experience of his trip to the Soviet Union, namely, that of treatment. However, "treatment" implies that the subject is in a constant state of "stagnation," unable to move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 of "travel" has always been intrinsically limited to Oh Jang-Hwan's writing of Soviet travel poetry. In this sense, Oh Jang-Hwan's writing and rewriting Soviet travel poetry is also a way of witnessing and documenting the creative dilemma that he faces of "not being able to record the travel". 본고는 이태준, 한설야와 오장환로 대표되는 해방기 조선 문인들의 소련 방문과 그 기행문학을 주된 연구대상으로 그것을 같은 시기 동일 작가들의 기타 문학 작품들과 겹쳐 읽고자 한다. 이로써 본고는 이들의 소련 방문 및 그 기행문학에서 드러난 권력/권위성의 역학 작용과 자기반성, 그리고 '우호·친선'의 서사적 특징을 살피고, 이러한 서사적 특징이 해방기 문학, 혹은 (북)조선 문학의 당면과제 즉 건국과 자기비판의 시대적 요구, 조소 친선 등 테제와 어떻게 연동되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소련 방문이 해방기 조선 작가들에게 사회주의 제도 및 사회의 '본보기'로서 소련에 관한 실제적인 상황과 경험을 제공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문학 창작 주체로서 이들의 감각과 사유를 자극 및 갱신하여 조선과 소련 간의 '상호 참조성'을 획득하고 대화 혹은 '교류'를 가능케 하는 역할을 하였다고 본다. 이는 창작에 있어서 조선의 작가들로 하여금 과거의 문학 행위를 반성 혹은 정리하고 시대에 걸맞은 문학창작으로 나아가게 하며, 새로운 창작의 난제도 경험하게 한다. 다시 말해, 해방기 조선의 작가들은 2차 세계대전 전승국으로서의 소련이라는 '윤리'적 장소에서 자기 민족의 식민지 역사 및 자신들의 문학창작의 과거를 돌이켜 보고 반성한다. 한편, 조선이 일본 식민지 치하에서 벗어나 소련과 친선 관계를 맺는 정치적 협력 과정을 경유하면서 '세계'로의 재진입을 꾀하고 주체로서 '발성(發聲)'할 수 있는 위치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조선의 작가들은 사회주의 세계와의 접촉과 교류의 주체로서 그러한 교류와 친선 관계를 성립시키는 새로운 문학 언어를 탄생시켜야 하는 동시에, 그 과정에 (북)조선이라는 신생 국가의 주체성 확립 과제와 작가 고유의 문학 언어를 어떻게 함께 유기적으로 결합하며 발전시켜야 할지라는 창작의 딜레마도 봉착하게 된다는 것이다. 지식인의 소련 방문이라는 세계문화사적인 이슈를 둘러싼 조선 문인들의 인식 변화와 글쓰기 실천의 양상을 고찰하는 목적은 단지 이들의 소련 혹은 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인식과 감회를 추적하여 그것의 옳고 그름을 헤아리기 위해서보다는, 식민지 말기에 고착된 이들의 창작 상태와 해방 직후 이들이 직면하였던 문학 난제를 세계문화사적인 시야 속에서 재조명하기 위해서이다. 본고는 이태준, 한설야, 오장환 등의 소련 견문 서사를 세밀히 살피는 작업은 식민지 말기에 형성된 문인들의 창작 상태가 사회주의 신생 국가의 문화 공작 사업과 마주하면서 생긴 복잡한 전화(轉化)와 상호작용의 양상을 해명하는 작업이자, 식민지 말기와 해방기를 관통하여 작가들의 문학 창작 상태와 실천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우선, 소련 기행문학에서 보이는 식민지기 개인과 집단의 과거에 대한 회고적 논의를 통해 우리는 소련이라는 타자의 중요성을 발견하게 된다. 당대의 조선 문인들은 소련의 사회주의적 성과와 현실을 자신들이 장차 도달할 '미래적 현실'로 상상함으로써 '건국'의 이념을 정립하는 한편, 소련이라는 현장에서 반파시즘 전승국으로서의 소련의 위상을 재확인하게 됨으로써 소련을 숭고한 윤리적 주체로 형상한다. 즉 이는 탈식민지기에 위치한 조선 문인들에게 식민지기 과거사에 대한 반성과 재구성의 계기를 마련해 준다. 해방기는 워낙 작가들로 하여금 개인/집단의 식민지 과거사를 청산하도록 요구하던 시기였으며,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 반성과 모색이 작가들의 강렬한 내적 욕구로 작동하던 시기였다. 이리하여 소련이라는 '윤리적' 존재가 야기한 식민지기 역사에 대한 반성은 당대 조선 내부의 '자기비판'의 열기와 맞물림으로써 그 공공의 논의의 장을 확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이는 우리로 하여금 해방기 문학이 지녔던 '자기반성'적 특징이 소련이라는 타자의 개입과도 연동되어 있음을 사유하도록 한다. 다음, 이태준과 한설야, 그리고 오장환의 소련 기행문집은 식민지 상황에서 갓 벗어난 작가들이 2차 세계 대전 종결 후 처음으로 소련을 방문하여 그 소감을 적은 글들로써 과거와 미래, 서로 다른 작품들, 그리고 정치의 장과의 복잡한 의존성과 상호 텍스트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첫째, 해방 이후 소련과 중국 등 사회주의 국가를 방문한 이태준이 일찍 식민지기에 형성한 자신의 전통 지향적 미학관념 및 언어와 감정 구조를 재사유하고 '개조'해가는 내적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의 소련 기행문에서는 자신이 익숙한 조선적인 미학적 상징들과 감정을 통해, 그리고 소련과의 역사적 연관성에 대한 강조를 통해 친근한 모습의 소련을 '발견'하고 언술하고 있다. 이는 사회주의 소련과의 접근과 소통을 위한 이태준 나름의 효과적인 대화법이었다 할 것이다. 다른 한편, 이태준은 민족국가 건설의 지난함과 다중성, 다변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 자신이 과거에 구축했던 미학적 관념이나 문학 언어들을 새롭게 변화시키고 '개조'해야 한다는 각오를 소련 방문 과정에서 얻게 되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그의 이러한 노력은 1950년에 창작한 소설 「먼지」를 마감으로 종결되고 만다. 이 소설의 주인공 한뫼 선생은 과거 이태준 소설 속에 흔히 나타난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전통적인 지식인에 지나지 않으나 '자기 눈으로 직접 확인'하려는 실천적 의지를 가진 인물로 새로운 의미를 지니게 된다. 남에 의해 좌우지 되지 말고 독자적 판단력을 지키는 것을 신념으로 해온 한뫼 선생은 위험을 무릅쓰고 남과 북을 찾아다니며 자신의 눈으로 새로운 사회적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태준은 한뫼 선생이라는 과거적 인물에 새로운 능동성과 행동력을 부여함으로써 사회적 변화 속에서 자신이 그동안 구축해 왔던 전통 지향적인 미학과 문학적 언어의 새로운 쓰임을 모색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먼지」에서 보다시피 남에서 여러 가지 좌절을 겪고 평양으로 귀환하던 한뫼 선생은 결국 분계선에서 탄환에 맞아 최후를 맞는다. 이는 시대적 격변 속에서 새로운 진로를 찾을 수 없었던 전통 지향적 미학주체의 종결을 상징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즉 역사성과 문화성을 담지한 미학주체로서 전통 지향적 언어와 감정을 가진 화자는 더 이상 청중을 사로잡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 전통적 어법으로는 도저히 시대적 폭력 앞에 놓인 민족 내부 분열을 극복할 수가 없으며 더욱이는 조선과 외부 세계와의 소통을 위한 새로운 언어로 거듭날 수는 없었으므로 결국 시대의 저편으로 막을 내리고 만다. 1951년 이태준의 중국 기행문을 살펴보면, 그가 북조선과 중국의 공통성, 즉 공통된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신생 사회주의국가에서의 생활체험이라는 '공통 언어'를 조・중 친선 관계를 구축하고 풀이하는 대화법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통 언어' 습득을 위한 노력이 전통 지향적 미학 주체가 소실되고 난 후의 빈자리를 채우고 있다. 둘째, 해방 직후 한설야의 소련 기행문과 소련 인물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들, 즉 1946년부터 1950년 사이에 창작 혹은 출판된 「帽子―어느붉은 兵士의 手記」 (1946), 「얼굴」 (1948), 「기적」 (1950) 등의 텍스트들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작가와 '소련군'(소련인)과의 조우와 교류라는 실제 경험과 그것이 문학화된 양상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특히 소련인과의 실제 만남에서 피할 수 없었던 언어불통의 경험과 이에 대한 조선어 주체로서의 서술, 그리고 '조소 친선' 담론의 상징계를 구축해야 하는 '작가'로서 이러한 언어불통의 실상을 작중 인물 사이에 친선 감정이 형성되는 데에 유리한 조건으로 전환시키는 방식 등 일련의 '교류' 경험 및 재현의 양상을 문제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1947년 한설야는 북조선인민위원회 교육국장으로서 재소 조선 유학생들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한편 교육영역에서의 조・소 간의 협력을 추진하기 위해 소련을 방문한다. 그는 정부 요직을 담당하고 실행하는 과정에 소련의 문화・정치 분야의 엘리트들과 광범위한 접촉을 하게 되며 따라서 러시아어 학습의 열의를 불태우게 된다. 그럼에도 해방기 북조선 사회는 아직 본격적인 러시아어 보급을 실현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이에 언어 습득의 실제와 하루 속히 사회주의 소련과의 친선관계를 구축해야만 했던 시대적 과제 사이에는 늘 거대한 낙차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한편 이는 한설야의 소설작품인 「얼굴」이나 「기적」 등에서 조선인들이 소련인들의 표정이나 동작 등 '신체 언어'를 관찰하고 읽어 냄으로써 소련인들과의 친선관계를 상상해내는 작업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1946년 처음 발표된 한설야의 소설 「모자」가 1956년에 이르러 개작되는 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조・소 친선 기제의 내적 맥락의 변화를 밝힐 것이다. 초판에서 조선에서 주둔하고 있는 소련 병사는 독일과의 전쟁 중에 가족을 잃고 심한 트라우마에 시달린다. 그는 비록 원조자(援助者)이지만, 총소리 속에서만 심리적 안정을 찾을 수가 있어 마구잡이로 총을 쏘아대는 폭력성을 보인 위협자이기도 한다. 그러나 나중에 소설이 개작되는 과정에 이 소련 병사는 조선 전통 무용인 승무를 관람하면서 무용수의 몸짓, 즉 신체적 언어가 드러내는 감정을 통해 심적 치유과정을 완성하는 '피(被)원조자'의 역할을 맡게 된다. 이는 과거의 조・소간의 원조-피원조 관계를 전복시키는 재구성 과정이었다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소련 병사로 하여금 조선에서 치유되고 초월의 경지에 이르게 함으로써 조선이라는 주체성에 의한 조・소관계의 반전(反轉)을 이루어내는 것이다. 결국에는 북조선이 소련의 '원조자' 역할을 맡게 됨으로써 사회주의 국가 간의 '친선관계' 및 감정의 내포와 생성 기제에서의 주도권을 탈환하게 된다. 이로써 해방 이후 러시아어라는 사회주의 모국-어와 공존할 수밖에 없었던 북조선의 사회와 문학 세계의 언어적 혼재를 직접 경험하고 포착하여 적극 문학화한 한설야의 해방기 문학의 특징을 새롭게 발견할 것이다. 기존 연구들이 해방기에 남한 사회에서의 영어, 일본어, 조선어의 혼존 상태를 분석하면서 번역/통역이 야기한 문화 정치적 충돌 현상과 그것이 작품화된 양상을 중요하게 탐구하였다면, 한설야의 소설을 통해 우리는 조소 친선이라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 놓여있던 북조선 문학 세계에서 번역/통역 장치가 방치되거나 거세되는 징후적 현상을 만나게 될 것이다. 셋째, 1948~1950년 사이에 창작된 오장환의 소련 기행시를 고찰함으로써 치료차 소련을 다녀 온 오장환의 소련 기행시 창작이 단지 시인 삶에서의 예외적 사건이나 이데올로기적 선전물이 아니라 주체의 다중성 및 그 체험과 관여되는 문학적 실천이었음을 논의하고자 한다. 시인은 여정의 시작에서 종결에 이르기까지 환자, 여행자, 시인이라는 동시적 신분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었는데, 이러한 다중적 신분의 엇갈림과 그 역학관계의 변화에 따라 같은 소재를 둔 두 가지의 기행시 텍스트(군)을 낳게 된다. 먼저, 오장환은 소련에서 치료를 받는 한편 극히 제한된 방문활동을 하게 되며 그에 기초한 기행시를 창작해 북조선의 잡지에 발표하였다. 이 기행시들은 그 장소나 시간에 있어서 모두 '기행' 텍스트들이 지닌 고유한 특징인 현장성과 시간적 순서성을 드러낸다. 특히 그 중 대부분의 시는 조소친선이라는 시대적 주제를 표현하였으며 소련의 사회 및 경제적 성과들을 송가의 형식으로 노래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시대와 정치적 '현장성'에 대한 포획은 어느 정도 입원 치료로 인해 초래된 기행 견문과 그 현장성의 결핍이라는 '사실'을 은폐 혹은 보완해주었다 할 것이다. 그 이후 오장환이 치료를 마치고 귀국하게 됨으로써 소련 체류 기간 보였던 치료와 여행 간의 갈등이나 그로 인한 기행시 창작의 난경(難境)은 어느 정도 해소된다. 이에 오장환은 이미 잡지에 발표하였던 소련 기행시들을 시집 『붉은 기』로 묶어 출판하는데 새로운 편성 체계와 개작을 통해 그 내용에서 시적 정서에 이르기까지 큰 변화를 보인다. 즉 시집에서는 새로운 시적 배열을 통해 기행 순서의 시간성을 분해, 교란시킴으로써 견문 일정과 내용상의 결핍을 극복한다. 또한 소련에 대한 송가식 시구들을 삭제하고 대신 '공화국'으로서의 북조선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내용을 삽입하는가 하면 개인의 운명을 주목하고 그 개체로서의 기억을 환기하는 시적 장치를 드러내기도 한다. 따라서 시집 『붉은 기』는 잡지에 처음 발표되었던 기행시들이 지닌 도식화되고 정치적 색채가 농후한 단조로움을 극복하고 국가적 주체성과 개체성에 대한 호명이라는 다중적 '노래'를 추가적으로 드러내게 된다.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1950년 5월에 출판된 시집 『붉은 기』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시인의 소련기행 및 그 의미를 짚어내고자 하였기 때문에 흔히 시집이 지닌 정치적 색체와 성격을 지적하는 데 그친다. 이에 본 장은 잡지에 처음 발표되었던 기행시와 그 이후 시집을 통한 변화와 개작을 꼼꼼히 대조함으로써 오장환의 전후(前後) 소련 기행시가 지닌 상호텍스트성과 그 변화의 과정, 즉 역동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비록 소련 체류기간 가장 많은 시간과 내용을 점하였던 병 치료 과정이 시에서 거의 드러나 있지 않지만 '치료'야말로 시인의 기행 견문은 물론 시 창작에 이르기까지 모두 '내적인 저항 요소'로 작용했으며, 나아가서 기행시 창작의 '지연(遲延)'적 완성 혹은 텍스트의 중첩을 낳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오장환의 소련 기행시는 진실하고 완전한 기행과 그에 준한 창작이 불가능했던 창작의 난경에 대한 기록에 가깝다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