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외거주선교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 관련 요인

        이미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3338

        본 연구는 해외거주선교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관련 요인을 구명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생활양식의 실천을 중재하며, 향후 선교사를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기획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일 선교단체 소속의 선교사이며, e-mail을 통해 320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AS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과 t-test,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평균 2.93점(최고 4점)이며, 연령이 높을수록, 미혼보다는 기혼의 경우,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평균수면시간이 길수록, 정확한 출퇴근 근무형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11개 하부 영역 중에서 실천정도가 높은 것은 위생적 생활, 조화로운 관계, 자아실현 순이었으며, 낮은 것은 전문적인 건강관리, 운동 및 활동, 자아조절 순이었다. 2. 인지-지각요인은 지각된 유익성이 3.53점(최고 4점), 지각된 장애성이 1.72점(최고 4점), 자기 효능감이 3.89점(최고 5점), 사회적 지지 2.96점(최고 4점), 지각된 건강상태는 2.88점(최고 4점)이었다. 3.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지각된 유익성, 장애성,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 지각된 건강상태, 연령, 평균수면시간, 거주기간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특별히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가장 높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5632, p<.0001)가 있었다. 4.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관계있는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 효능감, 연령과 평균수면시간이며, 이 요인들이 증가 할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도 증가하는 양의 관계가 있다. 또한 24시간 상근 및 기타의 근무형태가 정확한 출퇴근 근무에 비해, 또 비만(BMI 25이상)의 경우가 표준체중에 비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가 감소하는 음의 관계에 있으며, 가장 관계있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R²=.3221, p<.0001)이며, 모든 변수들의 설명력은 49.73%이다. 따라서 선교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현지선교사와 긴밀한 네트웍을 형성하여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연락과 격려로 고립감이 없도록 하며, 현지에서는 소그룹을 형성하여 상호 협력 및 교통을 통한 관계성을 향상하여, 자존감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긍정적인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대한 정기적인 정보 제공 및 교육을 실시하며, 특별히 스트레스 대처나 자아조절, 운동, 안전관리 등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실생활에서의 실천을 유도한다. 전문기관과 전담상담자를 통한 선교사종합관리시스템(Total member care system)을 구축하여, 선교사의 선발부터 은퇴까지 선교사의 건강관리 및 복지 혜택을 제공관리하며, 정확한 출퇴근 근무로 근무형태를 개선하도록 권장하며, 규칙적인 생활을 실천하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overseas missionaries and to help them develop and practice such a lifestyle and also to use it in the health promoting program for missionaries. Missionaries from one mission organization have been targeted for this study. After getting 320 questionnaires answered via e-mail, we have calculated and have come up with a statistical data using the SAS Window program as well as th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targeted person''s general distinctive qualities, the rate for practicing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2.93 on average. Statistically, the older people, those who were married, and had high incomes, as well as the people with the average of longer sleeping hours in general showed to have a constant numeric data of working hours with accurate time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each day''s work. Out of the eleven way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sanitary life, harmonious relationship and self-achievement were the three that were best practiced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 least practiced ones were professional health maintenance, exercise and activity and self-control. Second, measured datas as follows : the perceived benefits:3.53, perceived barriers:1.72, perceived self-efficacy:3.89, social support:2.96, perceived health status:2.88. Third, statistically, the amount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being practiced, the perceived benefits, barriers, self-efficacy, social supports, perceived health status, age, average sleeping time, residing period and human relationships are meaningfully related. The amount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being practiced and social support are highly related in meaningful ways.(r=0.5632, p<.0001) Fourth, social support, perceived benefits and health status, self-efficacy, age and average sleeping time are related to health promoting lifestyle. As these factors increase or improve, one''s health promoting lifestyle also gets better. Also, health promoting lifestyle worsen in one''s life when one works 24 hours a day each day compared to another working for a set amount of time. The same thing happens when one is over weighed (over BMI 25) compared to another with a standard weight. The most related factor to this is social support(R²=.3221, p<.0001) and the combination of that variable explained 49.73%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missionaries, it is important to form a tight network with the missionaries. They should make sure to create no isolation through continuous and regular contact and encouragement. On their mission fields, they should form a small group through which they can help each other and build relationships through fellowship which can improve their self-respect. They should start an education that will provide a regular and continuous information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It is important to prompt people to practic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by making programs on stress relieving, self-control, exercising and safety management. They should establish a total member care system with the help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counselors and provide a health welfare benefits to the missionaries from the time of their recruitment to retirement. They should also try to improve the working time by setting up an exact time for starting and finishing their work each day. It is important to let them live an orderly life.

      • 군 간부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수준 및 관련요인

        정세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332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practical and fundamental data for expediting a health promotion program, which was based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related factors of military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NCOs). A self-administrativ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7 days from Dec 18 to Dec 24, 2005 upon 269 officers and NCOs, who were stationed at the First ROK Army Headquaters in Kangwon provinc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21 questions, which covered 14 for general characteristic areas, 11 for health habit, 8 for perceived benefit, 10 for perceived barrier, 10 for self-efficacy, 18 for social support and 50 for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The SAS program has been used for data analysis. The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1. From the all responses, 59.5% were 40 or older in age, 55.4% were major or higher ranking officers, 59.9% was combat related in specialty, 50.6% were office workers in work style, 37.9% were graduated from universities or in school, and 34.2% were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s. 87.4% were married, among them 60.6% were staying with his/her family. 45.9% were in service for more than 20 years. 61% perceived themselves healthy in general.2. The average points for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were 2.51 on a 4-point scale. In detail, the highest points were the spiritual growth subsection with 2.82, while the health responsibility was the lowest with 2.16.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according to age, service period and perceived health status(p<0.05).4. Among the responses, 49% had breakfast everyday, 63.6% were working out on the regular basis at least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42% smoked cigarettes; 84.8% drank alcoholic beverages.5. The level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were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support(r=0.53, p<0.01), self-efficacy(r=0.53, p<0.01) and perceived benefit(r=0.23, p<0.01), while negatively related to perceived barrier(r=-0.34, p<0.01).6.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most influential and significant factor for affecting 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was social support(r=0.45, p<0.001), followed by perceived barrier(r=-0.14, p=0.004).In conclusio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of military officers and NCO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barrier. Therefore, a health promotion program, involving family members, friends, colleagues might be more effective for the officers and NCOs to practice healthy lifestyle. Further research would be needed to find out whe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replicated with different samples and wh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generalized to the entire group of military officers and NCOs. 본 연구는 군 간부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수준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건강증진 사업 전개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원주시에 소재한 사령부에 근무하는 간부(하사 이상 대령) 중에서 임의로 표본 추출한 269명을 대상으로 2005년 10월 18일부터 24일까지 7일간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서술적 통계,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40세 이상이 59.5%, 영관장교가 55.4%, 전투병 과가 59.9%, 업무형태에서 사무형이 50.6%, 대학재/졸의 경우가 37.9% 로 가장 많았으며, 대학원 이상도 34.2%였다. 기혼이 87.4%, 가족과 동 거하는 경우가 60.6%, 군 복무년수는 20년 이상이 45.9%로 가장 많았 고,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건강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61%였다.2. 대상자들의 전체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평균은 2.51(±0.40)이었고, 하위 영역별로는 영적성장 영역이 2.82(±0.47)로 가장 높았으며, 건강책임 영역이 2.16(±0.55)으로 가장 낮았다.3. 일반적 특성과 건강증진 생활양식과의 관계에서는 연령과 군 복무년수,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 대상자의 건강습관은 식사습관이 규칙적인 경우가 66.2%, 맵거나 짜게 먹는 편이 33.5%, 싱겁게 먹는 편이 15.2%, 아침식사는 거의 매일 먹는 경우가 49%, 규칙적으로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가 63.6%를 차지하였으 며, 흡연자가 42%, 담배를 끊은 금연자가 28.3%였고, 음주율은 주 1회 가 47.6%, 주 2회 이상이 37.2%였다.5. 인지 지각 요인과 건강증진 생활양식과의 관계에서는 사회적 지지 (r=0.53, p<0.01), 자기효능감(r=0.53, p<0.01), 지각된 유익성(r=0.23, p<0.01)이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지 각된 장애성(r=-0.34, p<0.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6. 대상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된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연령, 군 복무년수, 지각된 건강상태와 인지 지각 요인으로 지각된 유익성, 지 각된 장애성,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를 포함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회귀계수 0.45(p<0.001)로 가장 영향력 있는 변 수였으며, 다음으로는 지각된 장애성이 회귀계수 -0.14(p=0.004)로, 사회 적 지지가 증가할수록, 지각된 장애성의 정도가 감소할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증가함을 나타냈다. 전체 변수의 설명력은 35.2%였다.결론적으로 군 간부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사회적 지지, 지각된 장애성과 유의한 관련이 있으므로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높이기 위한 가족, 직장동료 등의 동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지지 체제를 강화함으로써 군 간부의 좋은 건강습관유도와 건강증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전방사단 간부들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경숙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3311

        Recently there has been rising interests in health promotion and one of the important aspects of health promotion is the lifestyle factors which can be modified.$$a$$a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military officers and sergeants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re are could potentially influence the health practices of there subordin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 effective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army. For the survey, Kyung-Ki province were selected and 336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from July 1st to 30th July, 2005.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FANTASTIC Lifestyle by Wilson & Ciliska(1984), the health perception qestionnaire by Ware JE(1978), and the General Self-efficacy by Sherer & Maddux(1982).$$a$$a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AS 8.2 program.$$a$$a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a$$aIn the model 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ed 1 dependent variables and many independent variables like marriage state, family structure, perceived-health status, experience of acute disease, anxiety levels of physical-ability test and they accounted for 26.79%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 dependent variable.$$a$$aIn model 2, the health perception, self-efficacy,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excluding significant variables in Model) accounted for 47.62%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a$$aAccordingly, it is recommended a special program to take care of military officers and sergeants, who are staying alone in the infiltration area apart from family. Such a program will strengthen the combat ability of military in the long run.$$a$$a 본 연구는 전방사단에서 근무하는 군 간부들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구명하여 체계적인 군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a$$a연구 도구는 일반적 특성 13문항, 건강지각 33문항, 자기-효능감 17문항, 건강증진 행위 25문항 등 총88문항으로 구성된 조사표를 사용하였다. 이 조사표는 경기북부지역 주둔한 ○○사단 간부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하였고, 2005년 7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420부를 배포, 336부 회수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a$$a회수된 자료들은 SAS 8.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a$$a다중회기분석 모형1에서는 결혼상태, 동거상태, 주관적인 건강상태, 급성질환 이환경험, 체력측정 부담감등 5개의 일반적 특성이 유의한 변수로 채택되었고 종속변수인 건강증진 행위 변동의 26.79% 설명하고 있다.$$a$$a특히 “가족과 동거하는 간부”가 단독 거주하는 간부에 비해 건강증진행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a$$a다중회기분석 모형2에서는 “결혼상태”, “동거상태”,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3개 변수를 제외하고 “건강지각”과, “자기-효능감”의 두 변수를 연구목적에 맞게 넣어서 분석한 결과 이들 두 변수가 건강증진 행위에 매우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고 이 모형은 전체 변동의 47.62%를 설명하였다.$$a$$a따라서 부득이 가족과 떨어져서 홀로 전방에서 살며 근무하는 군 간부들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군 당국의 여러 가지 측면의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배려는 장기적으로 군 전투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a$$a

      • 직장인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 및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엄정숙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3309

        국문요약인구의 고령화와 웰빙문화 확산으로 건강기능식품은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운동부족과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직장인들은 커다란 노력 없이 건강에 유익한 성분을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2004. 1. 31.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이 처음 시행된 이후 직장인들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와 섭취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 본 연구는 경기도 수원시의 직장인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기재가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451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건강기능식품 섭취와 관련된 요인들을 조사한 결과 건강기능식품은 여자가 많이 섭취하고 연령과 수입이 많을수록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또한 정상체중을 가진 사람, 비흡연자와 비음주자,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건강기능식품 섭취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건강기능식품 섭취자들은 비섭취자 보다 자기신체의 변화에 민감하고 정기적인 검진을 받고, 적절한 영양을 고려한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을 하였으며, 대인관계 측면에서도 다른 사람에게 관심, 사랑, 따뜻함을 쉽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성향이 높았다. 그리고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해소방안도 가지고 있었다. 건강증진 생활방식을 분석한 결과에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건강생활방식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젊은 연령층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건강행위의 실천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결혼생활이 건강에 대한 관심과 건강생활방식을 수행함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고 건강검진을 받는 주기가 빠를수록 건강증진 생활방식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담배를 피우다가 금연한 연구대상이 자기통제위와 건강증진 생활방식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이는 금연을 성공한 자기효능감이 건강행위를 실천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섭취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과 태도로 분석되었고, 건강기능식품의 효능에 대한 신뢰 및 건강기능식품 구입과 정보에 대한 접근편리성 여부가 섭취여부를 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섭취를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섭취 및 건강증진 생활방식과 관련한 결론 및 제언을 하면 첫째, 건강기능식품 효능에 대해 불신감이 높으면서도 과반수의 직장인들이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고 있고,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섭취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므로 건강기능식품 섭취의 오남용을 막기 위해서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의 통로가 필요하다. 둘째, 특히 금연을 실행한 연구대상들의 건강생활방식이 좋은 것은 건강의 획득이 본인의 결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서 각자가 건강한 삶을 결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건강증진방법에 대해 쉽고 정확한 정보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회적 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연령이 높아질수록 건강증진 생활방식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젊은 시절의 생활습관이 평생의 건강을 좌우하는 요인이 됨을 주목할 때 특히 젊은층에 대한 건강행위 실천 교육이나 지도 계몽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 표본수가 적고 지역과 직업적인 한계가 있어 우리나라 직장인을 대표한다고 볼 수는 없으나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이 처음 시행된 이후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실태조사 및 기초 연구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할 것이며, 앞으로도 다양한 계층이나 직업 등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에 관한 조사 및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국민건강증진과 건강기능식품의 발전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보다 폭넓고 체계적인 조사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Ingestion status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influencing factors for office workers Um Jung-sook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Directed by Professor Cho Woo-hyun, MD, Ph. D.)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spread of well-being culture have triggered a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health functional foods, which are also preferred by office workers who suffer from lack of exercise and stress to easily take in substances benefitting their health without putting in much effort. This study, aiming to identify the status of workers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the effects of the ''Law on Health Functional Foods'', first enforced on January 31st, 2004. on the health functional foods intake, had as the subject of 600 office workers in Suwon City, Gyeonggi Province, analyzing questionnaires submitted by 451 persons, excluding incomplete one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elements related to health functional foods ingestion, health functional foods were ingested more by women and by those with higher age and income. In addition, the ratio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gestion was relatively higher for people with normal weight, non-smokers, non-drinkers, and those with chronic diseases. Ingesters of health functional foods were more sensitive than non-ingesters about changes in their bodies, getting regular check-ups, and engaging in regular exercise and meals considering appropriate nutritions, and more easily expressed interest in other people in terms of personal relations, with higher tendency to respect other people''s views. They also had solutions for stress manage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s, people of higher ages took on healthier lifestyles, showing the need for younger people to have an interest in health and practice health activities. In addition, marriag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concern for health and practice of health lifestyles, while those with shorter intervals between health check-ups were more likely to practice health promoting practices. In particular, subjects who were formerly smokers and had quit smoking showed higher scores in self-control and healthful lifestyle, which implies that the self-efficacy leading to success in quitting has served as a factor for practicing health behavior. It was analyzed that awareness of and attitude towards health functional foods were more important factors than health lifestyles in leading to inges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and that ingestion was decided by the trust in health supplement benefits as well as easy access to information and purchase of health functional foods, which demonstrates the necessity of accurate information for proper health functional foods inges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mmary and proposal for health functional food inges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may be presented. First, since many office workers were found to be ingesting health functional foods despite their strong distrust in health functional foods benefits, and since the awareness of and attitude toward health functional foods were found to be decisive factors for ingestion, a channel for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on health functional foods is needed in order to prevent abuse or misapplica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Second, the health lifestyle of subjects who actually quit smoking is good because it shows that health can be obtained by one''s own decision, and thus a social institution is needed to provide easy and accurate information on diverse health promotion methods to help each person to choose hisher own health lifestyle.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age, the more health promoting lifestyle is practiced, and seeing that lifestyle during one''s youth determines hisher health of the whole lifetime, young people in particular desperately need to be educated and enlightened with regard to pursuing good health. This study has geographical and occupational limitations and involves a limited sample of subjects, and therefore could not be considered to fully represent all of Korea''s office workers, but it will contribute to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health functional foods studies and to the development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s industry. Investigations and researches will need to continue with regard to various social factors and related variants, and furthermore, a broader and more systematic investigative research will need to be implemented for public health promotion and advancement in health functional foods.

      • 약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 및 관련요인

        이은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3307

        본 연구는 개국 약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서초구, 서대문구, 영등포구에서 약국을 개설하였거나 개설약국에 근무하는 약사 중 임의로 표본 추출한 173명을 대상으로 2002년4월 9일부터 4월 18일까지 10일간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시술적통계,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전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의 평균은 2.53(± 0.37)이었고, 하위 영역별로는 영역별로는 영적 성장 영역이 2.83(± 0.48)으로 가장 높았으며, 건강책임 영역이 2.10(± 0.56)으로 가장 낮았다. 2. 일반적 특성과 경험별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의 관계에서는 1일 근무시간과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전의 건강관련행위는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76, p<0.01)를 보였다. 3. 인지 및 감정요인, 행동계획 수립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의 관계에서는 자기효능감(r=0.48, p<0.01), 행위관련 감정(r=0.52, p<0.01),사회적 지지(r=0.42, p<0.01), 행동계획수립(r=0.54, p<0.01)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지각된 장애성(r=-0.33, p<0.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에 관련된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연령, 성별, 결혼상태, 1일 근무시간, 1일 수면시간, 지각된 건강상태, 이전의 건강관련행위와 인지 및 감정요인을 포함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고, 이전의 건강관련해위가 회귀계수 0.48(p<0.01)로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이었으며 이전의 건강관련행위가 증가할 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증가하였다. 다음은 자기효능감으로 회귀계수는 0.13(p<0.01)이었으며 자기효능감이 증가할 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증가하였다. 전체 변수의 걸명력은 72.3%였다. 결론적으로 대상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이전의 건강관련행위,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으므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관련행위를 하였을 때의 성취감을 통하여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야 할 것 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among pharmacists working at community pharmacy setting in Kore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pon community pharmacists from 3 local areas - Seocho-Gu, Seodaemun-Gu, and Youngdeungpo-gu - in Seoul, from April 9 to April 18.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36 question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10 scales: general characteristics (12 questions), implementation of health-promoting lifestyles (46), prior related behavior (7), perceived benefit of health-promoting life styles (8), perceived barrier (10); self-efficacy (7); activity-related affect (11), social support (18), situational influence (5), and commitment to plan action (12).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 fo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scale was 2.53 on a 4-point scale, with the highest score for the subscale of spiritual growth (average score = 2.83) while the lowest score for health responsibility (2.1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according to daily working hours (p<0.05) and perceived health status (p<0.05). 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prior related behavior(r=0.76, p<0.01), self-efficacy(r=0.48, p<0.01), activity-related affect(r=0.52, p<0.01), social support(r=0.42, p<0.01) and commitment to a plan action(r=0.54, p<0.01) while negatively related to perceived barrier(r=-0.33,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influential and significant factor to affect the degree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was prior related behavior(r=0.48, p<0.01), followed by self-efficacy(r=0.13, p<0.01). In conclusion, prior related behavior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of community pharmacists in Korea.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see whe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replicated with different samples and wh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generalized to the entire group of community pharmacists.

      • 부산지역 대학교수들의 건강관련 생활양식 실천에 관한 연구

        유선주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306

        본 연구는 부산지역 대학교수들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수행정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 생활양식 수행과 관련된 요인들을 규명하여 교수들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고, 체계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 하였다. 자료는 부산지역 소재 5개 대학교에 재직중인 교수 208명을 대상으로 2003년 3월 20일부터 4월 12일에 걸쳐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10.1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교수들의 25.5%는 스트레스가 많다고 느끼고 있었고, 교직원 건강검진 외에 건강검진을 전혀 받은 적이 없는 교수들은 32.7%이었으며, 61.5%는 자신들의 건강 상태에 대해 보통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건강상의 문제가 있는 교수들은 31.7%로서 만성피로 13.0%, 심혈관계 질환 9.1%, 소화기 질환 6.7%, 간 질환 5.3% 등의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교수들의 현재 흡연률은 31.2%로 비교적 낮았으나 음주율은 63.9%로 과반수 이상의 교수들이 주 1~2회 음주를 하고 있었으며, 주 3~4회 이상 음주를 하는 교수들도 12.5%나 되었다 교수들의 79.8%는 주 1~2회 이상 운동을 하고 있었으며, 1회 운동시간은 30분~l시간이 42.8%로 가장 많았다. BMI에 의한 과체중인 교수의 비율은 23.6%이었고, 0.2%는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82.7%는 대체로 또는 항상 규칙적으로 세끼식사를 한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조사대상 교수들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수행정도는 5점 척도에 대해 평균 3.28점의 보통 정도 이상의 수준을 나타내었고, 각 영역별 평점은 영적 영역이 3.54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인관계 영역 3.46점, 영양요인 영역 3.36점, 스트레스 영역 3.28점, 신체활동 영역 3.08점의 순으로 나타났고, 건강책임영역이 3.00점으로 가장 낮았다. 넷째, 교수들의 제 특성별 건강증진 생활양식 수행정도는 연령, 월 급여, 교직경력, 현직급, 운동빈도, 1회 운동시간, 아침식사 여부, 세끼식사 여부 등의 특성에서 유의하게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통제감, 도전감, 참여감 등 강인성의 하부요인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6개의 하부요인 모두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그 중 통제감과 스트레스 요인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기효능감의 하부요인들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하부요인들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자기효능감의 자신감요인과 영적 요인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조사대상 교수들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수행에 유의하게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는 운동빈도, 세끼식사 여부, 건강지각 정도, 강인성, 자기효능감 등 5개 의 변수로서 건강증진 생활양식 수행정도를 61.9% 설명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면 교수들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 수준은 타 직종 또는 타 인구집단보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생활 양식의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운동, 규칙적인 식사, 강인성, 자아효능감 등으로 다른 집단과 유사하였다. 따라서 자율성이나 독립성이 보장되어 있는 교수들의 참여를 보다 자발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보건교육 및 운동시설 설치 등 다양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egree of practicing health-promoting life styles and to asses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e of health-promoting life styles among some university professors, so 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to promote health for the professors and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pertinent to professo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8 professors working at 5 universities in Busan from March 20 to April 12, 2003 by using a structured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PSS for Windows(Version 10.1k)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or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vel of stress was recognized as high by 25.5% of the professors, and 32.7% had never received health examination except routine health screening test for school personnel. Although 61.5% o( the professors perceived their health as medium level, 31.7% had some problems on their health, such as chronic fatigue for 31.7%, followed by cardiovascular disorders for 9.1%, gastrointestinal disorders for 6.7%, liver disorders for 6.7%, and so on. 2. Although the rate of current smoking for the professors was 31.2%, more than half of the professors used to drink once or twice a week, and even 12.5% 3~4 times a week. Exercise was practiced by 79.8% of the professors at least once or twice a week, and by 42.8% for 30 minutes to an hour in a round. The rate of overweight classified by BMI was 23.6% while 8.2% was obese, and 82.7% used to have meals three times a day. 3. The degree of practicing health-promoting lifestyles was on the average score of 3.28 overall in a scale of one to five, showing the highest score in the area of mental enrichment for 3.54, followed by supporting personal relationship(3.46), nutritional factors(3.36), stress control(3.28), physical activity(3.08) and responsibility for health(3.00). 4.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ors, the degrees of practicing health-promoting lifesty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monthly income, leaching career, current position, frequency of exercise, duration of exercise, whether or not having breakfast, and whether or not having three meals a day. 5.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subarea factors of hardiness including control ability, participation ability and challeng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the subarea factors of health-promoting lifestyles, showing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control ability and stress control area. All the subarea factors in self-esteem also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six subarea factors in health-promoting lifestyles, especially showing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self-confidence and mental enrichment area. 6. The practice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by some university professors surveyed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such variables including frequency of exercise, whether or not having three meals a day,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hardiness and self-esteem by explaining 61.9% of variations in the degree of practicing health-promoting lifestyle. The result in the above showed that the level of practicing health-promoting life style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other professions or population groups, and was influenced by those factors such as exercise, health perception, regularity of meals, hardiness and self-esteem.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types of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example, providing exercise facilities, pertinent to professors should be developed to encourage participation of the professors.

      • Lifestyle Behaviors that Contribute to Wellness of Healthy 30–40 Year Olds

        Crouch, Jason Ashford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33295

        The identified topic looked at what it takes for individuals to be healthy and well. Discussed in detail were the definitions and significance of health behaviors, and the numerous lifestyle factors relevant to the models and theories of health and wellness. The over-arching research question was how does wellness through the lens of the biopsychosocial model of health determine how lifestyle behaviors of 30-to-40 year olds influence their health? The project’s intent was to explore a group of healthy individuals to discover, through the lens of the biopsychosocial model, the lifestyle elements and behaviors that contributed to health at an individual level. The research approach was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descriptive single case study. This approach offered the possibility to explore complex topics within lifestyle behaviors through the lens of the biopsychosocial model. Examining the fundamental lifestyle behaviors of an individual allow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what is required to maintain or improve health and well-being. Behavior is an essential concept for one to maintain and enhance his or her mental and physical health. Because health and wellness differ considerably from one individual to the next, a personalized approach needs to be considered when focusing on lifestyle behaviors. A practicable implication for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 the significant behavioral factors and elements that lead to wellness. The biopsychosocial model takes a dynamic approach that includes the combination of body, mind,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that affect one’s health and wellness. The findings from the stud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approach the person as a whole, rather than focus on solitary influences. Results from this study can help provide insight into designing comprehensive lifestyle programs. Progressive thinking and practical methods of research and application are necessary to promote wellness, develop new or improved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increase awareness through health education.

      • 테니스참가자와 비 참가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차이

        김상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3020

        본 연구는 테니스참가자와 비 참가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차이를 알아보고 성과 연령에 따라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다른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설문지를 제작한 후, 519명의 운동참가자와 비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변인에 따른 차이는 일원 다변량분산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분석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테니스참가자가 비 참가자보다 건강증진 생활양식 이해수준이 높았다. 둘째, 남,여 모두 테니스참가자가 비 참가자보다 건강증진 생활양식 이행수준이 높았다. 셋째, 연령별에서는 30대와 40대 테니스 참가자가 비 참가자보다 건강증진 생활양식 수준이 높았으며, 20대와 50대에서는 건강증진 생활양식 수준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difference in health promotion lifestyle between tennis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and to verify whether health promotion lifestyle i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For this purpose, the author prepared a questionnaire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surveyed 519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Difference according to variable was examined through One-way multivariate ANOVA and One-way ANOVA, and the major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 performance was higher in tennis participants than in non-participants. Second, for both men and women, the level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 performance was higher in tennis participants than in non-participants. Third, by age, the level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 performance was higher in tennis participants than in non-participants for people in their 30s and 40s, but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vel between tennis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for people in their 20s and 50s.

      • 환경 관련 활동가들의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습관 관련요인

        박선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020

        Based on the HPM (Health Promotion Model),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HPLP) and Health Habit of Environmental Activists in order to improve their health status. Survey data were obtained from 113 adults living in Seoul city and Gyong-gi Province from April 15 to May 15 2008 by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147 items covering 9 categories. The data was analyzed with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Among the study subjects, 63.7% were women; 87% were in 20s to 30s; 61.1% were not married; 85.8% has college education; 71.7% had an income less than 1.5 million won; and 75.2% had less than 5 years of NGO experience. Percentage of working hour less than 40 hours per week was only 15.9%, and 77% of them worked overtime. 58.6% of men were overweight, 11.1% of women were underweight. 28.3% of them perceived their health status as unhealthy and 30.1% of them felt that they were unhealthier than others in the same age.Among the factors for the recognized perception, perceived benefit score was the highest (77.5) and the perceived barrier score was the lowest (41.3). On the other hand, among the factors for the HPLP, nutrition score was the highest (50.7), followed by health responsibility (34.9), and physical activity (27.6). With regards to health habits, 64.6% were non-smokers, 24.8% were smokers, 10.6% were ex-smokers. 78.8% consumed alcohol,15.9% did not consume alcohol and 5.3% were former alcohol drinkers. 43.9% did not exercise regularly while 43.9% and 22.2% of men and women, respectively, exercised regularly.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With regards to the recognized perception, perceived barrie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religion and education.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health status. BMI was also related to the perceived benefit and social support was related to the perceived health status. With regard to the factors influencing HPLP, religion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for health responsibility and gender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for nutrition. Women had higher HPLP nutrition score than men. Christian had the highest health responsibility score (39.2), followed by no religion (32.9), buddhist (30.8), and catholic (25.3).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PLP and the recognized perception factors showed that self-efficacy was correlated with physical activity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greater than 0.2); health responsibil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rarrier; health responsibility and nutrition were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benefit; and health responsibil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ocial support.HPLP score for health responsibility were higher for women, higher for older people, higher for those who had the perceived benefit, higher for those who felt social support. HPLP for physical activity was higher for those who with high BMI, higher with the perceived unhealthy than same ages. HPLP for nutrition was higher among the higher perceived benefits.In conclusion,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nvironmental activists should focus on changing their health habit and lifestyle in order to improve their health status. 이 연구는 Pender(1996)의 수정된 건강증진모형을 기초로 환경 관련 단체 활동가들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습관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건강과 관련된 정책제안과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이다. 2008년 4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환경 관련 단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활동가들로부터 취합한 118부 중 결측치가 많은 5부를 제외한 총 113부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일반적 특성(15문항), 자기 효능감(17문항), 지각된 장애성(10문항), 지각된 유익성(11문항), 직무스트레스(21문항), 사회적지지(18문항), 건강증진행위(22문항), 건강습관(18문항), 질병(15문항) 포함한 147문항을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AS 9.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일반적인 특성은 여성이 63.7%이고, 20~30대 젊은 층이 87%이였으며 미혼이 61.1%, 대졸이상이 85.8%의 분포를 보였다. 월평균수입은 150만원 미만이 71.7%였다. 현 직장 근무경력은 5년 미만이 75.2%, 다른 NGO 근무경력은 5년 미만이 92%로, 장기근속 비율이 낮고 이직률이 높았다. 평균근무시간은 주당 근무시간 40시간이하가 15.9%에 불과했고 시간외 근무가 잦은 근무형태가 77%에 달했다.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는 남성은 58.6%가 과체중 및 비만에 관한 관리가 필요한 반면에, 여성은 11.1%가 저체중에 관한 관리가 필요하였다. 지각된 현재 본인의 건강상태는 ‘나쁨’이라고 인식하는 비율이 28.3%였고, 지각된 같은 나이의 다른 사람과 비교 시 본인의 건강상태도 ‘나쁨’이라고 인식하는 비율도 30.1%나 되었다.대상자의 인지지각요인은 이들 측정 변수들을 0~100점으로 표준화 했을 때 지각된 유익성이 77.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각된 장애성은 41.3점으로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는 이들 측정 변수들을 0~100점으로 표준화 했을 때 영양이 50.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건강책임 34.9점, 신체활동 27.6점 순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의 총평균은 37.7점이었다. 건강습관을 보면 흡연은 비흡연이 64.6%로 가장 높았고 흡연이 24.8%, 과거흡연은 10.6%였다. 음주는 현재음주가 78.8%로 가장 높았고 하였으며 비음주는 15.9%이고 과거음주는 5.3%였다. 규칙적인 운동은 69%가 안 한다고 했으며 30.1%만이 한다고 했다. 성별에 따라 남성의 경우 43.9%가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고 한 반면 여성의 경우 22.2%만이 한다고 하였다.인지지각요인을 보면 지각된 장애성은 종교와 교육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종교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각된 유익성은 BMI에 의해서만, 지각된 현재 본인의 건강상태는 사회적 지지에 의해서만, 지각된 같은 나이 타인과 비교 시 본인의 건강상태는 직무스트레스에 의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일반적 특성과 영역별 건강증진행위를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영양에 대한 건강증진행위가 높았으며, 종교에 관해서는 기독교가 건강책임이 39.2점으로 가장 높았고 종교 없음이 32.9점, 북교가 30.8점, 천주교가 25.3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건강증진행위와 인지지각요인과의 상관관계는 자기효능감은 신체활동에 대해서만, 지각된 장애성에 대해서는 건강책임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각된 유익성에 대해서는 건강책임, 영양에 대해서, 사회적 지지에 대해서는 건강책임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건강증진행위에 관해서 남자보다 여자인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지각된 유익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책임에 대한 건강증진행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BMI가 높을수록, 신체활동이 높았고, 같은 나이 타인과 비교 시 지각된 본인의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신체활동이 낮았다. 지각된 유익성이 높을수록 영양에 대한 건증진행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결론적으로 환경관련 활동가들의 특성을 고려한 세부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바람직한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습관이 형성 될 수 있도록 교육, 홍보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