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rom genocide to development : a study on collective learning process of Gasi-ri village, Jeju, Korea

        고혁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941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Gasi-ri village, this research examines the process of and motivation for collective learning in community development. Although the village was burned to the ground and more than 300 people were branded as communists and massacred by the government in 1948, the village was successfully reconstructed and received “The Best New Village Award” in the 1970s. In order to analyze the historical singularity of Gasi-ri village in the perspective of learning, this study introduces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as a conceptual framework. By conceptualizing humans’ object-oriented behaviors as an act of learning, CHAT enables us to capture everyday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learning. In this regard, the villagers’ interaction which occurred in the process of village reconstruction is analyzed as a collective learning system that continues to create expansive activities. Meanwhile, the central pillar of the village’s historical singularity is the memory of genocide caused by the Jeju 4.3 Incident.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ocidal experience and village reconstruction has been raised as a crucial factor during the data collection proces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of the village based on the collective memory theory, which deals with memory and identity at the group level. With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the researcher conducts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village reconstruction of Gasi-ri can be seen as a collective learning process. The first stage of group learning occurs when a group member shares a common objective from their inner necessity. In the case of Gasi-ri, the discovery of economic crops which are suitable to cultivate in the village served as a momentum of common objective sharing, and the crops were identified by the “Gasi-ri 1.5th generation,” who mainly led all of the rebuilding activities since the early 1950s. The 1.5th generation was a few educated people who survived the genocide by virtue of their young age and they played a central role in rebuilding the village with their distinctive responsibilities. By introducing modern economic food 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those for making sliced potato and dried slice radish, they made it possible for the villagers to set the common objective of increasing income through the mass production of economic crops. Since then, the villagers began to forge a collective learning system under a common objective. In order to realize effective mass production, they divided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arenting tasks according to their roles in the village. In addition, they established several sub-organizations such as the Youth Association, Men and Women’s Association, and Agricultural Cooperative to systematically implement each role, while the village’s general assembly decided on the ground rules of co-production and co-sale to respond to external commodity price fluctuations. Through this interaction process, the villagers not only learned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increasing income, but also established a collective learning system that enabled them to improve their circumstances. Once the system was established, it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of new future objectives, not to mention the overcoming of immediate difficulties. In the early 1970s, for instance, the villagers determined to pave new mountainous road for improving the distribution of goods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d already achieved considerable improvement in terms of income and standard of living. In this determination, the group’s enhanced ability to learn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collective learning system was heavily affected. As a result of sustained collective learning activities, the community of Gasi-ri village achieved economic prosperity. Furthermore, by being recognized by the state, they could recover their self-esteem, which was severely damaged following the 4.3 Incident. Secondly, the genocidal memory of the Jeju 4.3 Incident heavily influenced the motivation of collective learning in the village. During the field study and in-depth interview processes, the researcher found that most of the villagers had an ambivalent attitude about the 4.3 incident.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contradiction caused by the recognition gap between the past-self and the present-self. Specifically, the villagers’ past-selves are represented by fear and chagrin. On the other hand, their present-selves are signified by the regretful remembrance of their ignorance. Among these, the latter is directly linked to the motivation of village reconstruction. Since the villagers recognized that their ignorance had caused the genocide in the village, they felt that being freed from the fetters of ignorance was the only way to prevent future tragedies. The researcher’s analysis suggests that the external (or environmental) context, which suppressed the memory of genocide, and the internal context, which endeavored to protect the unity of the community, were simultaneously affected in the process of recognition. As the decades-long military dictatorship had created an oppressive atmosphere in the village, the villagers could not mention anything about the genocide and state violence. Nevertheless, the survivors could not be thoroughly frustrated; they distorted their memories of genocide by transforming them from “resentment against the state” to “blaming themselves for being ignorant.” It was the only constructive alternative to maintaining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situation of extreme poverty and social disgrace. Additionally, the memory of conflict and enmity between the villagers, especially the tragedy of fratricidal experiences, has become a tacit taboo in the village. Therefore, the distortion of collective memory was not only an internally attributed response to social oppression, but also self-censoring to protect the solidarity of the community. Namely, it is found that the community tried to sublimate their tragic experience into a new driving force for the village reconstruction. The newly formed collective memory caused the formation of a new collective identity characterized by diligence and austerity, responsibility, and the desire to learn. It was a catalyst to facilitate the learning activities in the village. The researcher conceptualizes the process as a collective learning mechanism in the following manner: contradiction recognition, collective memory formation, collective identity 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ctivity system. This process seems to be not linear but cyclical. Meanwhile, not all contradictory recognition is connected to a new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and identity. For a successful collective learning progress, it is necessary for group members to share recognition of the common objective. In addition, a contributory factor such as a successful experience is helpful for the recognition-sharing process. In the case of Gasi-ri village, the 1.5th generation, who had a different identity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and other villagers, they could share their collective memory by being encouraged by the success of economic crop mass-cultivation in the early 1960s. Consequently, Gasi-ri village reconstruction was a collective learning process which followed the procedures of setting a common objective, deciding on rules and the division of labor, and acting collectively under a common objective. In this process, the villagers’ contradictory perception of the Jeju 4.3 Incident worked as a fundamental motivation by forming a new collective memory which blamed the villagers’ ignorance to facilitate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collective learning system, the villagers continuously learned and extended their objective, thereby resulting in the villagers’ economic prosperity and psychological recovery.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mplies that we ne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historical factors of each community when it comes to implementing a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development studies, it offers the significant possibility for researchers to explain the development process with the integrated concept of learning rather than the existing traditional tendency in development studies, which considers education and learning simply as an instrumental facto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process. 이 연구는 제주 가시리 마을의 재건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주민 주도형 지역사회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집단 학습의 양상과 성과, 학습이 발생하게 된 동인을 탐구한다. 연구 지역인 제주 가시리는 1948년 제주 4.3사건으로 인해 마을 전체가 전소되고 300여 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20여 년 만에 자체적으로 마을을 재건하여 1970년대 국가로부터 최고 새마을 칭호를 받은 특징적인 역사를 지니고 있다. 연구자는 가시리 마을의 역사적 특이성을 학습의 관점에서 면밀히 분석하기 위하여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개념틀로 도입하였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은 개인과 집단의 목표 지향적 행위를 학습의 과정으로 개념화함으로써 일상의 활동들을 학습의 맥락에서 포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재건 과정에서 발생했던 주민들의 상호작용과 역동들은 지속적인 활동을 창출하는 집단학습의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가시리 마을 역사의 특이성을 구성하는 또 다른 중요한 축은 제주 4.3사건 즉, ‘집단 학살의 기억’이다. 자료 수집의 과정에서 집단학살의 경험과 마을 재건의 연관성이 중대한 탐구요소로 제기된 바, 연구자는 집단의 기억과 정체성의 문제를 다루는 집합기억이론을 토대로 마을 재건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심층면담 및 참여관찰, 문헌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가시리 마을의 재건 과정은 마을 공동체가 지속적으로 목표를 확장하며 의미를 산출해 나가는 집단학습의 과정으로 분석된다. 일차적으로 집단 내에서 학습활동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집단적 필요에 의해 구성원이 공유할 수 있는 공통의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가시리의 경우 1960년대 초 마을의 토양과 기후에 적합한 경제작물의 발견이 목표 설정의 계기가 되었다. 경제작물 발견의 주체는 4.3사건 직후 야학 설립에서부터 70년대 초 도로확장에 이르기까지 마을 재건활동의 전반을 주도했던 ‘가시리 4.3 1.5세대’였다. 이들은 4.3의 참상을 직접 목격하였으면서도, 15세 미만의 어린 나이 덕분에 생존할 수 있었던 마을 내 소수의 교육받은 인재들이었다. 이들은 ‘마을을 재건해야 한다.’는 특유의 책임감으로 재건 활동의 촉진자 역할을 담당했다. 이들은 농업기술원으로부터 ‘절간 고구마(주정원료)’, ‘무말랭이’ 등 경제작물 가공기술을 도입, 마을 내에 소개함으로써 마을 공동체에 ‘경제작물 대량생산을 통한 소득 증대’라는 공통의 목표 형성을 가능케 했다. 이러한 공통 목표 아래 가시리 마을 공동체는 집단학습체제를 구축하기 시작한다. 효율적인 생산과 유통을 실현하기 위한 ‘생산 - 유통 - 육아’의 분업구조를 마련하는 한편, 각자에게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청년회, 부녀회, 협동조합 등의 세부 실천조직이 마련되었다. 마을 총회를 위시한 공동체 내 이러한 조직들은 여러 차례의 토론 과정을 거쳐 “공동생산, 공동유통을 통해 상품 가격 변동에 대비하는 동시에 마을 전체의 소득을 증대시킨다.”는 내부규칙을 정했다. 이러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과정 속에서 마을 주민들은 소득향상을 위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했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현실 개선을 가능케 하는 학습체제를 구축할 수 있었다. 일단 구축된 집단학습체제는 눈앞에 주어진 난관의 해결뿐 아니라, 미래의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1970년대 초 이미 상당부분 소득 증대를 이루었음에도 마을 주민 전체가 상품유통 개선을 위한 산간도로 확포장을 추가적으로 결의하게 된 배경에는 학습체제 구축으로 인한 집단의 학습능력의 증대라는 요인이 작용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4.3으로 폐허가 된 땅을 일구어 집단적 학습체제를 20년 이상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학습한 결과, 가시리 공동체는 소득 증대라는 경제적 목표를 성취했을 뿐 아니라, 국가의 인정을 받아 4.3으로 인해 심각하게 손상되었던 심리적 자존감 또한 회복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가시리 마을에서 집단학습이 발생하게 되는 과정에 4.3이라는 집단학살의 기억이 하나의 계기로써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연구자는 증언 수집 과정에서 대다수의 주민들이 과거의 자아와 현실의 자아의 괴리에서 발생하는 4.3에 대한 이중적 인식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유 없이 가족들이 죽임을 당해야만 했던 원통함’, ‘그로 인한 군경과 빨치산에 대한 분노’ 등이 과거의 자아를 대변한다면, ‘이 모든 것이 자신들의 무지로 인한 것이었다는 후회’가 현실의 자아를 대변하고 있었다. 이 중 후자의 서사구조가 마을 재건의 명분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4.3의 비극이 주민들의 ‘무지’로 인한 것이라면, 무지로부터 벗어나는 것이야말로 미래에 있을지 모르는 비극을 방지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되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인식에 이르게 된 과정에 학살의 기억을 억압하려는 환경적 맥락과 공동체의 결속을 유지하려는 주민집단의 내부적 맥락이 동시에 작용한 것으로 분석한다. 4.3사건 발생 이후 수십년 간 계속된 군사독재정권은 가시리 주민들로 하여금 집단적 추모 행위는 물론 집단 학살과 국가 폭력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할 수 없도록 억압적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거대한 억압적 환경 속에서 생존자들은 자신들의 부모 세대처럼 철저하게 좌절당할 수만은 없었다. 그래서 이들은 4.3에 대한 자신들의 기억을 ‘국가에 대한 원망’으로부터 ‘무지에의 자책’으로 왜곡하였다. 극도의 빈곤과 ‘폭도 마을’이라는 불명예 속에서 이러한 집단 기억의 왜곡은 마을 공동체 유지를 위한 유일한 건설적인 대안이었다. 더불어 4.3사건 당시 마을 내에서 서로 갈등하고 반목했던 기억들, 경찰과 주민, 주민과 주민 간에 서로 죽고 죽여야만 했던 참담한 기억들은 마을 주민들 사이에서도 절대로 발설해선 안되는 암묵적 금기였다. 따라서 집단 기억의 왜곡은 사회적 탄압에 대응하기 위한 내부 귀인의 과정이자, 공동체의 유지를 위한 자기 검열 과정이었던 것이다. 여기에는 참상의 기억을 마을 재건을 위한 새로운 동력으로 삼으려는 마을 공동체의 의도가 강력하게 반영되어 있다. 4.3에 대한 변화된 인식은 근면과 내핍, 책임감, 배움에의 열망 등의 특성을 지닌 새로운 집단 정체성의 형성을 가져왔고, 이는 재건을 위한 학습활동을 촉진시키는 기폭제가 되었다. 연구자는 새로운 집단 기억의 형성이 학습활동을 촉진시키기까지의 과정을 ‘모순 인식 -《인식의 공유 - 집단 기억 형성(이중화) - 집단 정체성 형성》- 활동체제 구축’으로 개념화한다. 모순을 인식함에서부터 새로운 집단 기억이 등장하여 집단 정체성으로 형성되는 내부 과정은 단선적이기보다는 순환적이다. 한편 모순적 상황에 대한 인식이 모두 새로운 집단 정체성의 형성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 과정에는 새로운 집단 기억을 확산시키려는 의도에 공감하는 많은 구성원들의 인식 공유가 필요하며, 인식 공유에는 성공경험과 같은 일종의 유인 기제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가시리의 경우 이전 세대와 다른 새로운 집단 기억을 가진 ‘가시리 4.3 1.5세대’가 경제작물의 도입에 성공함으로써 인식공유를 이루고 새로운 집단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요컨대, 가시리의 경우 4.3에 대한 모순적 인식이 ‘무지’를 자책하는 새로운 집단 기억을 형성함으로써, 마을 재건 참여의 동인으로써 작용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마을 재건의 과정은 집단의 구성원들이 토론을 통해 공통된 목표를 설정하고, 그러한 목표 아래 규칙과 세부 조직 분업관계를 설정하여 추진하는 집단적 학습의 과정이었다. 이러한 집단학습체제의 구축으로 마을 주민들은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목표를 확장해 나가며 학습함으로써, 경제적 성취뿐 아니라 잃었던 마을 공동체의 자존 또한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지역사회개발에 있어 지역 공동체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함을 다시 한 번 시사하는 한편, 학습이 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한 수단이라는 도구적 개념을 넘어 개발 과정 전반을 설명할 수 있는 통합적 개념틀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 가상머신의 메모리 관리 최적화

        최형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895

        Memory management is one of key components in virtual machine and also affects overall performance of virtual machine itself. Modern programming languages for virtual machine use dynamic memory allocation and objects are allocated dynamically to heap at a higher rate, such as Java. These allocated objects are reclaimed later when objects are not used anymore to secure free room in the heap for future objects allocation. Many virtual machines adopt garbage collection technique to reclaim dead objects in the heap. The heap can be also expanded itself to allocate more objects instead. Therefore overall performance of memory management is determined by object allocation technique, garbage collection and heap management technique. In this paper, three optimizing techniques are proposed to improve overall performance of memory management in virtual machine. First, a lazy-worst-fit object allocator is suggested to allocate small objects with little overhead in virtual machine which has a garbage collector. Then a biased allocator is propo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garbage collector itself by reducing extra overhead of garbage collector. Finally an ahead-of-time heap expansion technique is suggested to improve user responsiveness as well as overall performance of memory management by suppressing invocation of garbage collection. Proposed optimizations are evaluated in various devices including desktop, embedded and mobile, with different virtual machines including Java virtual machine for Java runtime and Dalvik virtual machine for Android platform. A lazy-worst-fit allocator outperform other allocators including first-fit and lazy-worst-fit allocator and shows good fragmentation as low as rst-t allocator which is known to have the lowest fragmentation. A biased allocator reduces 4.1% of pause time caused by garbage collections in average. Ahead-of-time heap expansion reduces both number of garbage collections and total pause time of garbage collections. Pause time of GC reduced up to 31% in default applications of Android platform.

      • Reducing memory pressure for in-memory MapReduce frameworks

        Jang, Hakbeom Sungkyunkwan university 2019 국내박사

        RANK : 2894

        Recently, in-memory big data processing frameworks have emerged, such as Apache Spark and Ignite, to accelerate workloads requiring frequent data reuse. With effective in-memory caching these frameworks eliminate most of I/O operations, which would otherwise be necessary for communication between producer and consumer tasks. However, the benefit of in-memory caching and computation is nullified due to expensive data spills and garbage collection (GC) if the memory footprint exceeds available memory size. For example, in case of Spark, such scenario can lead to a significant amount of garbage collection (GC) operations which can account for nearly 50% of execution time, thus incurring more than a 2x system slowdown. Therefore, the primary challenge for in-memory computing frameworks is to carefully tune memory usage to achieve optimal performance. This thesis presents three techniques to reduce memory pressure for in-memory MapReduce frameworks. First, we introduce WASP, a workload-ware task scheduler and partitioner, which jointly optimizes both the number of data partitions (Npartitions) and the number of tasks per each executor (Nthreads) at runtime by considering workload characteristics (RDD graph and input data) and the execution environment. WASP first analyzes the DAG structure of a given workload and uses an analytical model that predicts an optimal setting of Npartitions and Nthreads for each stage based on both workload and platform parameters. Taking this as input, the GC-aware task scheduler further optimizes Nthreads during task execution via runtime monitoring of individual tasks. Thus, WASP maximizes CPU utilization while minimizing the overhead of data spills and GCs. Second, we introduce e-spill, an eager spill mechanism, which dynamically finds the optimal spill- threshold by monitoring the GC time at runtime and thereby prevent expensive GC overhead. Our e-spill maintains a feedback loop between the master node and worker node and gradually increase the spill-threshold until it reaches the optimal point without substantial GCs. The proposed e-spill achieves a robust performance for shuffle-heavy workloads without requiring any workload-dependent tuning parameters. Finally, we present SSDStreamer, an SSD-based caching system, which delivers competitive performance to in-memory caching at a fraction of its cost. Instead of using DRAM as primary cache, SSDStreamer uses it as a stream buffer for coarse-grained prefetching from a large SSD cache built on top of a lightweight user-space I/O stack. SSDStreamer delivers robust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working set size as only the first request in a stream misses at DRAM, while the subsequent ones hit with effective prefetching. We integrate these techniques on Apache Spark, and evaluate their performance on a 5-node cluster and a cluster of virtual machines (VMs) on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EC2) using data analytics workloads from Intel HiBench Suite. Our evaluation demonstrates that the proposed three techniques provide robust performance over the baseline following Spark Tuning Guidelines with the state-of-the-art multi-level caching policy. 최근에, Apache Spark나 Ignite와 같은 인-메모리 컴퓨팅 프레임워크의 등장으로, 같은 데이터 셋에 반복해서 접근하는 반복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워크로드의 성능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러한인-메모리캐싱특징은기존디스크기반의캐싱보다 긴 I/O시간을 숨길수 있기 때문에 반복 알고리즘에 매우 효율적이다. 그러나, 인-메모리 캐싱 및 연산의 이점은 메모리 사용량이 사용 가능한 메모리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가비지 컬렉션 오버헤드로 인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park의 경우 메모리 사용량이 사용 가능한 메모리를 초과할 경우 가비지 컬렉션 오버헤드가 실행 시간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시스템 성능을 2배 이상 저하시킨다. 따라서, 인-메모리 컴퓨팅 프레임워크를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시스템 및 워크로드의 특성을 고려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조율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메모리 맵리듀스 프레임워크의 메모리 부담을 줄이기 위한 세 가지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워크로드의 특성 (RDD 그래프 및 입력 데이터)을 분석하여 런타임 시에 데이터 파티션 수 (Npartitions)와 동시에 동작하는 태스크의 수(Nthreads)를 함께 고려하 여 최적화하는 WASP (Workload-Aware task Scheduler and Partitioner) 스케줄러를 제안한다. WASP 스케줄러는 주어진 워크로드의 DAG를 분석하고, 워크로드의 특성과 시스템 정보를 고려하여 각 단계에 필요한 최적의 Npartitions 와 Nthreads 을 예측하는 분석 모델을 사용한다. 각 단계에서는 이렇게 예측된 값을 초기 값으로 하여 수행되며, 런타임에는 가비지 컬렉션을 모니터링하여 Nthreads 를 조절하면서 메모리 사용량을 최적화한다. 따라서, WASP은 가비지 컬렉션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면서 반면에 CPU 사용을 극대화함으로써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 다. 그다음, 실행 시간에 가비지 컬렉션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spill 임계 값을 동적으로 찾는 e-spill (eager spill mechanism)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e-spill은 오프라인 프로파일링 없이 WASP 스케줄러에 비해 데이터 셔플(shuffle)이 많이 발생하는 워크로드에서 강인한 성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SSD 기반 캐싱 시스템인 SSDStreamer를 제안한다. DRAM 기반의 캐싱 대신 SSDStremer는 스트림 버퍼를 사용하고 경량 I/O 스택과 효율적인 프리패칭 기법을 통해 적은 비용으로 인-메모리 캐싱에 비교하여 경쟁력 있는 성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법들을 Spark에 통합하였고 Intel Hibench 워크로드를 사용하여 5-노드 클러스터 및 아마존 EC2의가상시스템에서성능평가하였다. 이러한세가지기법들은멀티레벨캐싱및튜닝 가이드라인을 따른 최신 방식들 보다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 Applying reinforcement learning to mitigate long tail latency problem in SSD

        강원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893

        NAND flash memory is widely used in a variety of systems, from realtime embedded systems to high-performance enterprise server systems. Flash memory has (1) erase-before-write (write-once) and (2) endurance problems. To handle the erase-before-write feature, apply a flash-translation layer (FTL). Currently, the page-level mapping method is mainly used to reduce the latency increase caused by the write-once and block erase characteristics of flash memory. Garbage collection (GC)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long-tail latency, which increases more than 100 times the average latency at 99th percentile. Therefore, real-time systems or quality-critical systems cannot satisfy given requirements such as QoS restrictions. As flash memory capacity increases, GC latency also tends to increase. This is because the block size (the number of pages included in one block) of the flash memory increases as the capacity of the flash memory increases. GC latency is determined by valid page copy and block erase time. Therefore, as block size increases, GC latency also increases. Especially, the block size gets increased from 2D to 3D NAND flash memory, e.g., 256 pages/block in 2D planner NAND flash memory and 768 pages/block in 3D NAND flash memory. Even in 3D NAND flash memory, the block size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Thus, the long write latency problem incurred by GC can become more serious in 3D NAND flash memory-based storage. In this dissertation, we propose three versions of the novel GC scheduling method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method is to reduce the long tail latency caused by GC by utilizing the idle time of the storage system. Also, we perform a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RL-assisted GC solution. RL-assisted GC scheduling technique was proposed which learns the storage access behavior online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GC operations to exploit the idle time. We also presented aggressive methods, which helps in further reducing the long tail latency by aggressively performing fine-grained GC operations. We also proposed a technique that dynamically manages key states in RL-assisted GC to reduce the long-tail latency. This technique uses many fine-grained pieces of information as state candidates and manages key states that suitably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load us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memory resource. Thus, the proposed method can reduce the long-tail latency even further. In addition, we presented a Q-value prediction network that predicts the initial Q-value of a newly inserted state in the Q-table cache. The integrated solution of the Q-table cache and Q-value prediction network can exploit the short-term history of the system with a low-cost Q-table cache. It is also equipped with a small network called Q-value prediction network to make use of the long-term history and provide good Q-value initialization for the Q-table cache. The experiment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reduces by 25%-37% the long tail latency compared to the state-of-the-art method.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실시간 임베디드 시스템으로부터 고성능의 엔터프라이즈 서버 시스템까지 다양한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 되고 있다. 플래시 메모리는 (1) erase-before-write (write-once)와 (2) endurance 문제를 갖고 있다. Erase-before-write 특성을 다루기 위해 flash-translation layer (FTL)을 적용 한다. 현재 플래시 메모리의 write-once 특성과 block erase특성으로 인한 latency 증가를 감소 시키기 위하여 page-level mapping방식이 주로 사용 된다. Garbage collection (GC)은 99th percentile에서 평균 지연시간의 100배 이상 증가하는 long tail latency를 유발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실시간 시스템이나 quality-critical system에서는 Quality of Service (QoS) 제한과 같은 주어진 요구 조건을 만족 시킬 수 없다.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GC latency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것은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이 증가 함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의 블록 크기 (하나의 블록이 포함하고 있는 페이지의 수)가 증가 하기 때문이다. GC latency는 valid page copy와 block erase 시간에 의해 결정 된다. 따라서, 블록 크기가 증가하면, GC latency도 증가 한다. 특히, 최근 2D planner 플래시 메모리에서 3D vertical 플래시 메모리 구조로 전환됨에 따라 블록 크기는 증가 하였다. 심지어 3D vertical 플래시 메모리에서도 블록 크기가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따라서 3D vertical 플래시 메모리에서 long tail latency 문제는 더욱 심각해 진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RL)을 이용한 세 가지 버전의 새로운 GC scheduling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술의 목적은 스토리지 시스템의 idle 시간을 활용하여 GC에 의해 발생된 long tail latency를 감소 시키는 것이다. 또한, 우리는 RL-assisted GC 솔루션을 위한 정량 분석 하였다. 우리는 스토리지의 access behavior를 온라인으로 학습하고, idle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GC operation의 수를 결정하는 RL-assisted GC scheduling 기술을 제안 하였다. 추가적으로 우리는 공격적인 방법을 제시 하였다. 이 방법은 작은 단위의 GC operation들을 공격적으로 수행 함으로써, long tail latency를 더욱 감소 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우리는 long tail latency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하여 RL-assisted GC의 key state들을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Q-table cache 기술을 제안 하였다. 이 기술은 state 후보로 매우 많은 수의 세밀한 정보들을 사용 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메모리 공간을 이용하여 workload의 특성을 적절하게 표현 할 수 있는 key state들을 관리 한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long tail latency를 더욱 감소 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우리는 Q-table cache에 새롭게 추가되는 state의 초기값을 예측하는 Q-value prediction network (QP Net)를 제안 하였다. Q-table cache와 QP Net의 통합 솔루션은 저 비용의 Q-table cache를 이용하여 단기간의 과거 정보를 활용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QP Net이라고 부르는 작은 신경망을 이용하여 학습한 장기간의 과거 정보를 사용하여 Q-table cache에 새롭게 삽입되는 state에 대해 좋은 Q-value 초기값을 제공한다. 실험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state-of-the-art 방법에 비교하여 25%-37%의 long tail latency를 감소 시켰음을 보여준다.

      • Locality and duplication-aware garbage collection for flash memory-based virtual memory systems

        지승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893

        임베디드 시스템이 모놀리식(monolithic) 커널을 사용하면서, NAND 플래시 메모리는 가상 메모리 시스템의 스왑(swap) 공간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플래시 메모리는 저전력 소비, 충격 내구성, 비 휘발성의 장점을 가지지만, ‘쓰기 전 삭제’의 특징 때문에 가비지 컬렉션(GC) 작업이 필요하다. GC 기법의 효율성은 플래시 메모리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 메인 메모리와 플래시 메모리 사이에 중복된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GC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GC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의 지역성을 고려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GC 기법이 이전의 기법과 비교하여 평균적으로 37%의 성능을 향상시킴을 보여준다. As embedded systems adopt monolithic kernels, NAND flash memory is used for swap space of virtual memory systems. While flash memory has the advantages of low-power consumption, shock-resistance and non-volatility, it requires garbage collections due to its erase-before-write characteristic. The efficiency of garbage collection scheme large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flash memory. This paper proposes a novel garbage collection technique which exploits data redundancy between the main memory and flash memory in flash memory-based virtual memory systems. The proposed scheme takes the locality of data into consideration to minimize the garbage collection overhead.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garbage collection scheme improves performance by 37% on average compared to previous schemes.

      • That’s the Way the Railroad Went (2023): Collective Memory and the Central Iowa Railway Company

        Rheaume, Mark Luke The University of Iowa ProQuest Dissertations & Th 2023 해외박사(DDOD)

        RANK : 2891

        In this dissertation, I pilot a new framework for preserving and broadcasting collective memory. Rather than focusing on the reception and analysis of pre-existing collective memories, I seek a model to ensure that the artist and the canvas, or the composer and their subject, remain intact during the collection and experience of aural and oral histories. I track and narrate the experience of three collective forces–prosthetic intent, prosthetic storage, and prosthetic filters–in order to interrogate and better understand the process of building a collective memory.I test this theoretical framework with a new composition that documents and de-privatizes individual memories of the Central Iowa Railway Company (1973-1975). This short-lived shortline ran between Montezuma, IA and Riverside, IA, in an attempt to return rail transport after the Rock Island abandoned the track in the early 1970s. Today, the story of how these communities tried to save their businesses and re-link their towns is only whispered by a few remaining artifacts. Five chapters outline the interpretation of archival sources, newly recorded oral histories, and the compositional integration of speech melody, culminating in a new forty-minute work for string quartet, saxophone quartet, piano, percussion, and tape. That’s the Way the Railroad Went (2023) represents a vast network of these collective forces interacting among interviewees, the musicians who embody the rhythms and melodies, the potential and actual audiences, and myself. By exercising the collective forces in a new piece of concert music, I hope to render the act of music composition as a productive, viable, and innovative tool for understanding collective memory.

      • 공식기억의 형성과 재생산 : '천안함 침몰 사건'을 중심으로

        이병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89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official memory formation and reproduction process of the sinking incident of Cheonan warship. The greatest feature of the incident is the ambiguity that was difficult to elucidate early on, unlike other military issues. This ambiguity has become a part of South-South conflict, and the results of the poll about the affair still remain controversial. Nonetheless, the social debate about the sinking incident of Cheonan warship seems to have evaporated, and the official memory exists as a single memory in this heated discussion.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basis of Korean society where the social debate on the affair was evaporated. This research looked at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South-South conflict in studying the object of study as the official memory of the sinking incident of the Cheonan warship. Collective memory, which is the upper concept of official memory, plays a role in acquiring the identity that distinguishes members from other groups through the social framework. The nation state chooses collective memory as a tool for forming members' identity, and the reconstructed past becomes official memory, creating the spiritual basis of the members. Since most of the contemporary national events are mediated through the media,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oncept of the discourse complex of media and government in explaining an official memory.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domestic memory studies, the sinking incident of Cheonan warship is located in the context of South-South conflict. In the 2000s, as the conflict between the ideological factions deepened, the confrontation between “war narrative”(state narrative) and “pro-Japanese narrative(nation narrative)” has been intensified, and the sinking incident of the Cheonan warship can be interpreted as one of them.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I will analyze the editorials of the daily newspapers, the speeches of the President, the memorial ceremonies of the victims, and the memorial park built by the navy in order to trace the formation and reproduction process of official memory about the sinking incident of the Cheonan warship. As a research method, I chos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narrative analysis. On the surface, we focu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incident that the research subjects uttered, but also aimed at capturing the ideology inherent in their utterances. It is the ideology of learned fear and self-discipline that is revealed in the editorials and presidential speeches during the period of official memory formation. It was the government and conservative media that played a part in the process of memory formation, which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and they took the discourse through clear messages. The conservative media and the government encouraged the people to maintain their own discipline by referring to the external norm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what was backed up was the real fear of North Korea. This fear was a learned fear repeated in the reality of anti-communist ideology and military, and it has been the position of the norm of 'becoming a normal people' from the past continuously. What appears in the maintenance and reproduction of official memory is the identification among individuals, families, and nation, and the justification of ‘our war’ based on this identification. Individuals who are united by 'us' are brought into the boundaries of the family, but are abandoned if they reject it. This internal unity is justified because it is a choice for the future of the nation. This study has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research in that it has made the study of the present progressive memory. In the future, the dynamics of memory need to be studied as a continuous tracking object. This is because we have witnessed the situation in which 'history', which has been accepted as completed, becomes subject to re-consid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endency of the regime. The transformation and recombination of memory is the past that shows the acute aspect of the conflict in Korean society and it is the future to be solved. 이 연구는 천안함 침몰 사건의 공식기억 형성과 재생산 과정을 추적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천안함 침몰 사건의 가장 큰 특징은 여타의 군사적 이슈들과 달리 원인을 초기에 규명하기 어려웠던 모호함에 있다. 이 모호함은 남남갈등의 일환으로 비화되었고, 이 때문에 현재까지도 천안함 침몰 사건을 둘러싼 여론조사 결과는 분분하게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안함 침몰 사건에 관한 사회적 논의는 증발한 것처럼 보이는데, 공식기억은 이 같이 증발된 논의 속에 단 하나의 기억인 것처럼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천안함 침몰 사건의 사회적 논의가 증발된 한국사회의 밑바탕을 탐구하고자 했다. 천안함 침몰 사건의 공식기억이라는 연구대상을 살피는 데 있어 이 연구는 민족국가의 정체성 형성이라는 관점과 남남갈등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했다. 공식기억의 상위개념인 집합기억은 사회적 구성틀을 통해 구성원들로 하여금 다른 집단과 구별되는 정체성을 획득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민족국가는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도구로 집합기억을 선택하는데, 재구성된 과거는 공식기억이 되어 구성원들의 정신적 바탕을 만들어 나간다. 그 중에서도 현대의 국가적 사건들은 언론을 통해 매개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공식기억을 설명하는 데 있어 언론과 정부의 담론복합체 개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국내의 기억 연구 맥락에 따르자면 천안함 침몰 사건은 남남갈등의 맥락에 위치해 있다. 한국의 이념적 정파 간 갈등이 본격화된 2000년대 이후 ‘전쟁 서사(국가 서사)’와 ‘친일 서사(민족 서사)’의 대립이 심화되었는데 천안함 침몰 사건 역시 그 일환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천안함 침몰 사건에 관한 공식기억의 형성과정과 이후의 유지 및 재생산 과정을 추적하기 위해 일간지의 사설과 대통령의 연설, 희생자들의 추모식과 군이 건립한 안보공원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각각 비판적 담론 분석과 내러티브 분석을 택했는데, 표면적으로는 이들 연구대상이 발화하는 사건의 기술에 초점을 맞췄으나 이들의 발화에 내재된 이데올로기를 포착하는 것 또한 주요한 목표로 삼았다. 공식기억의 형성과정에 해당하는 기간 일간지 사설과 대통령 연설에서 드러나는 것은 학습된 공포와 자기규율의 이데올로기다. 네 개의 국면으로 나뉘었던 형성과정에서 당사자의 역할을 했던 것은 정부와 보수언론이었는데, 이들은 선명한 메시지를 통해 담론을 장악했다. 보수언론과 정부는 국제사회라는 외부적 규범을 내세워 국민들이 자기규율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했고, 이를 뒷받침한 것은 북한이라는 실질적 공포였다. 이 공포는 반공 이데올로기 속에서, 군대라는 실재 속에서 반복돼 온 학습된 공포로서, 과거부터 계속해서 ‘정상국민 되기’ 규범의 위치를 점해온 존재였다. 공식기억의 유지 및 재생산에서 나타나는 것은 개인과 가족, 가족과 국가의 동일시, 이 동일시를 근거로 한 ‘우리의 전쟁’의 정당화다. ‘우리’로 뭉뚱그려진 개개인은 가족의 경계 안에 들여지거나 이를 거부할 경우 내쳐지게 된다. 가족의 경계 안에 들어간 개인은 국가가 선택한 전쟁을 나의 전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같은 내부 결속은 국가의 미래를 위한 선택이라는 점에서 정당화된다. 이 연구는 현재진행형의 기억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연구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정권의 성격에 따라 이미 완결된 것으로 받아들여졌던 역사의 영역까지 재고의 대상이 되는 상황을 목도한 지금, 앞으로도 기억의 동학은 지속적인 추적 대상으로서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기억의 변용과 재조합은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갈등의 첨예한 양상을 보여주는 과거이자 풀어 나가야할 미래이기 때문이다.

      • 집단기억의 정치사회학 : 일본군'위안부' 피해기억, 배제에서 확산으로

        박재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890

        과거의 경험에서 파생된 기억 중 현재 사회적 관심과 요구, 열망, 당면 과제 등이 반영된 ‘사회적 틀’에 의해 선택되고 강조된 기억이 다양한 ‘문화적 매개체’들을 통해 제도화되고 조직화 될 때 사회적 의미와 영향력을 지니는 기억이 된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사회에서의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전개과정이 일제강점기 기억의 사회적 재구성 과정과 연관되어있음을 밝히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기억의 사회적 재구성 과정에서 파생된 사례로 파악했으며 90년대 이전까지 ‘위안부’와 관련된 본격적인 논의가 부재했던 원인과 9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논의되어 한국과 일본의 정부 간 합의의 이르는 과정에 미친 과거 기억의 사회적 수용과정의 영향을 분석했다. 1945년 해방 이후 조선반도에는 일제강점기의 경험에서 비롯된 ‘위안부’ 피해기억을 포함한 다양한 ‘소통적 기억’들이 산재해있었지만 사회적인 의미를 부여받고 강조된 기억은 제국주의 일본에 적극적으로 저항한 항일운동의 기억이었다. 1948년 수립된 대한민국정부는 헌법전문에서 항일운동정신의 계승을 국가의 정통성의 기반으로 명시했다. 항일운동기억은 당시 국가가 소유한 ‘문화적 매개체’를 통해 재현되고 제도화되었다. 삼일절, 광복절의 국가기념일 지정, 중·고등학교 역사교육, 국가 주도의 독립기념관 건립 등을 통해 국가는 항일운동의 기억을 일제강점기를 대표하는 기억으로 공식화했으며 일본의 식민지배에 대한 민족적 저항을 통해 국권을 회복했다는 국난극복의 서사구조를 강조했다. 국가의 일제강점기 기억의 재구성 과정에서 배제된 ‘위안부’ 피해기억은 피해자들 개인의 주관적 차원의 기억으로 파편화되었으며 피해자들의 귀국 후 사회적 부적응의 현상은 ‘위안부’ 피해기억의 사회적 응집력을 제한하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90년대 이후 냉전의 붕괴에 따른 국제정치의 변화는 여성, 인권과 같은 다양한 이슈들이 등장하는 배경이 되었으며 냉전적 질서가 지배하던 아시아 지역에서도 냉전의 해체는 식민지배에서 발생한 다양한 피해에 대한 사과와 배상의 문제가 지역 국가들 사이의 주요 현안으로 등장하게 되는 발판을 마련해주었다. 1987년 6월 항쟁 이후 한국 사회의 민주화의 진전은 시민사회의 성장으로 이어졌으며 여성문제와 관련된 사회단체의 결성은 그동안 간헐적으로 이루어졌던 ‘위안부’ 피해와 관련된 논의가 조직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을 비롯한 한국 시민사회는 1992년부터 매주 수요일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개최되는 ‘수요시위’를 통해 일본 정부의 법적책임성 인정과 그에 따른 국가차원의 배상, ‘위안부’ 문제의 역사교육을 통한 전승을 요구해왔으며 그동안 진행되어 온 국제적 연대활동을 홍보해왔다. 지속적으로 개최된 ‘수요시위’는 ‘위안부’ 피해기억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해왔다. 1000회 차 ‘수요시위’를 기념하기 위해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건립된 ‘평화비(소녀상)’은 ‘위안부’ 피해의 기억을 표상하는 대표적인 상징물로 기능하고 있으며 그 건립이 국내외 주요도시로 확산되고 있고 학생, 시민사회, 지방자치단체 등 다양한 주체들의 자발적 참여로 확산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피해자와 관련단체에 의해 건립된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은 ‘위안부’ 피해기억을 관람객들의 체험의 방식을 통해 전달해왔다. 시민사회의 문화적 수단의 활용을 통한 ‘위안부’ 피해기억의 확산과 응집은 한국과 일본 정부의 ‘위안부’ 문제해결의 행보에 영향을 미쳐왔으며 2015년 타결된 한·일 ‘위안부’ 합의의 수용과정에서 나타나는 한국 시민사회의 부정적 반응과 연관된다. When one of the past memories, which was selected and emphasized based on ‘social framework’ reflecting contemporary social attention, demand, and problem, becomes institutionalized and organized through numerous ‘cultural mediums,’ it becomes a memory with social meaning and influ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llustr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course of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ssue in Korean society, and the social reconstruction of memories of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s an example that was derived from a social reconstruction process of memory. From this assumption, it analyzed the reasons for lacking discoursed before the 1990s on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ssue, and the social process of acceptance which started after the 1990s and led to inter-governmental agreement between Korea and Japan. After the independence in 1945, there were numerous ‘communicative’ memories scattered from the experiences of Japanese colonialism. Among those, the memory of victims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existed. Nevertheless, the memory that was selected and emphasized was the memory of resistance towards Japanese Imperialism.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which was established in 1948, explicitly stated that its state legitimacy resides in the accession of anti-Japanese movement from its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The memory of anti-Japanese movement was reproduced and institutionalized through the cultural mediums owned by the state. The state-officialized the memory of anti-Japanese movement as the representative memory of Japanese colonial era through appointment of national holidays like Independence Movement Day and National Liberation Day, indoctrination of histor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government-led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nd etc. As a result, the state was able to emphasize the narrative structure of national subjugation that overcame the colonial rule of Japan through national resistance. Excluded from the social reconstruction process of Japanese colonial era, memories of victims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were fragmented into personal memories of individual victims. Maladjustment to their social environment affected as one of the factors that restricted the social condensation of the memory of victims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fter their return to home country. The collapse of the Cold War after 1990s enabled numerous issues like women and human rights to arise. It also laid bedrocks for the issues of apologies and reparations for damages of colonial rule become the important regional issues in Asia, which was still under the Cold War paradigm. The advancement of democracy in Korean society after the June Movement of 1987 led to the growth of civil society. The formation of social groups related to women issues became the opportunity to organized the discourses on the damages from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ssues which were intermittently dealt. Korean civil society, including ‘Korean Council for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KCWD),’ has been demanding the acknowledgement of Japanese government’s legal responsibility and state-level reparation; and the transmission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ssue through history education through ‘Wednesday Demonstration’ conducted every week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since 1992. It also has been publicly announced its activities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On-going ‘Wednesday Demonstrations’ has become the symbolic venue for the memories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victims. The ‘The Peace Monument’ was built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to cerebrate its 1000th rally, also function as the symbolic figure to visualize the memories of those victims. Such activities are spreading to other cities through autonomous volunteers like students, civil society, and local governments. ‘War and Women’s Human Rights Museum’ was established by victims and related organizations and spread the memories of the victims to visitors through interactive experience display. The diffusion and condensation of the memory of victims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through civil society’s cultural medium influenced the official process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ssues between Korea and Japan. It also relates with the negative reactions from the Korean civil society during the acceptance process of the Korea-Japan agreement on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issue in 2015.

      • Garbage collection blocking time minimization for NAND flash memory in real-time systems

        조현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878

        Flash memory is a good candidate for storage devices in real-time systems owing to its non-fluctuating performance, low power consumption, and high shock resistance. Flash memory requires garbage collection, however, which can incur long blocking times. Moreover, the worst-case blocking time is significantly long compared to the best-case blocking time under current flash memory management techniqu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flash translation layer (FTL), called KAST, which permits a user to configure the maximum log block associativity to control the worst-case blocking time. In addition, garbage collection invoked by a non-urgent request can be preempted by an urgent request so as to minimize the waiting time for completion of garbage collection. KAST enables to estimate the worst-case waiting time of an urgent request, which i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request.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simulations showed that the overall performance of KAST is better than that of current FTL schemes, and that response times for urgent requests a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KAST.

      • The Bastard’s Unbound Memory of the Vietnam War : Narratives of Freedom and the Problem of Gender in The Sympathizer

        이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878

        이 논문은 비엣 타인 응우옌의 『동조자』를 통해 베트남 전쟁을 “공정하게” 다시 기억해보고자 한다. 바스타드로 불리며 주류 사회에서 소외된 채 살아가는 서술자 “나”의 시선으로 바라본 베트남 전쟁은 시각의 문제가 가장 지배적이다. 특히 패전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전쟁 기억을 지배하는 데에 성공한 미국이 시각적으로 재현하고 반복적으로 배포하는 베트남 전쟁 기억은 산업화 되어 이후 또 다른 전쟁을 만들어내는 동력이 되기에 위험하다. 이 소설은 특히 산업화 된 시각적 기억을 생산해 내는 중심부에 위치한 미국 학계와 할리우드에 그 시선을 돌려주며, 이러한 전쟁 기억이 가진 위험성을 드러낼 뿐 아니라, 문학적 기지와 해학적인 필체로 소설 안팎의 독자를 홀리는 이 바스타드라는 서술자와 그런 서술자가 바라본 베트남 인물들을 통해 전쟁 기억에서 늘 불쌍한 피해자이거나 비인간적 적군으로 그려져 왔던 베트남인을 인간성과 비인간성을 모두 갖춘 복합적이고 매력적인 인물로 재탄생 시킨다. 시선의 위험성은 미국 뿐 아니라 북 베트남과 남 베트남 남성 인물들에게서도 드러나는데, 특히 자유와 혁명 서사에서 여성의 노동을 착취하고, 여성의 몸을 침범하며, 또한 그 기억을 음란한 오락거리로 소비하고자 하는 남성 인물들의 비인간성을 낱낱이 파헤친다. 이로서 『동조자』는 응우옌의 비평서 『아무것도 사라지지 않는다』에서 다루는 “공정한 기억”의 문제를 확장하여 기억을 공정하게 다시 쓴다는 것은 또한 젠더의 문제임을 명시하고, 여성의 몸이 특정적으로 경험하는 전쟁의 잔혹함을 함께 기억할 것을 요구한다. 이 논문의 첫 장에선 이 소설의 비평적 측면을 가능케 하는 서술자 “나”의 바스타드성을 살펴본다. 프랑스인 사제와 어린 베트남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이자, 남 베트남의 대위이면서 북 베트남의 스파이이기도 한 이 바스타드는 그 존재만으로도 국가와 규범적 가족 형태에 위협이 되는 문제적이고 위험한 존재이다. 또한 그는 바스타드성이 드러난 얼굴로 인해 늘 주변부로 배척당하는데, 이로 인해 우리는 이 바스타드를 둘러싼 시선의 문제를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척된 외부인의 시선이자 비평적 눈으로 베트남 전쟁 이후 미국과 베트남을 함께 살펴볼 수 있다. 두 번째 장에선 자유 혁명 서사가 가진 남성적 면모와 국가와 혁명이라는 거대 기표를 위해 여성의 노동을 갈취하고 여성의 몸을 침범하는 미국, 남 베트남, 북 베트남 남성 인물들을 이 소설이 어떻게 그려내고 있는지 보고자 한다. 특히 논란의 중심이 된 여성 요원의 강간을 목격한 기억이 소설 전반부에 억압되어 오다가 후반부에 강렬하고 세세하게 묘사되는 지점을 자세히 살피며 이 소설이 전쟁 내에서 여성의 경험을 특정적인 것으로 재현한다는 점을 살피고자 한다. 또한, 그 특정성을 인지함으로써 바스타드 서술자 “나”가 포괄적이고 집단적인 “우리”로 폭발하는 점을 강조하며 기억의 확장에서 여성의 고통을 기억한다는 점이 가진 중요성을 읽어내고자 한다. 주요어: 전쟁 기억, 베트남 전쟁, 바스타드, 여성, 강간, 고백 학번: 2019-25920 This thesis is a study of war memory, gender, and collectivity in Viet Thanh Nguyen’s novel, The Sympathizer. It reads the novel’s literary and critical project that builds and also critically intervenes with what Nguyen refers to as “just memory” in Nothing Ever Dies: an ethics of remembering both one’s own and others and of recognizing the inhumanity of both one’s own and others. Both a South Vietnamese army captain trained by the CIA and a North Vietnamese sympathizer, this half-Vietnamese and half-French narrator is often pejoratively referred to as a “bastard” in the novel. The Vietnam War, as is seen (or heard) from this double-spy, Eurasian and American “bastard” narrator’s confession, is anything but clearly definable. The aim in identifying the narrator’s characterization as “bastardness” is two-fold: first, this identification will inherit the layers of connotation within this pejorative and yet also affectionate nomination in analyzing the narrator as a character; then, it will expand from this characterization to establish that this bastardness, which brims with not one, but multiple twonesses, is a critical tool through which this novel unsettles the previous memory of the Vietnam War and gesture toward expansive inclusiveness. Stressing war and nationalism as a quintessentially masculine and patriarchal construct that is built through and upon sight and visibility, this thesis argues that the “bastard I” critically gazes back from “out of wedlock” and expands to an inclusive “we,” a new sense of collectivity. The first chapter will establish the narrator as a bastard and see how this bastardness of the I becomes a critical lens by which this thesis examines post-war Vietnam. Also characteristic of this bastard I is his literary adroitness that charms his readers in and out of the novel to sympathy, despite his moral failings. With his literary adroitness, the I reveals and elides the sights that circumscribe or hurt him and sometimes even performs what these sights expect of his bastard face. Establishing this bastardness as the critical lens that this I’s characterization provides in reading The Sympathizer, the first chapter will trace how the I critically gazes back at the two American industries that produce and make “visible” the paralyzing knowledge of the war and Asian bodies: academia and Hollywood. The second chapter will discuss how the I’s forgetting of the violation of the female body is symptomatic of the narrative of freedom in “post-war” America and the narratives of revolution and freedom in Vietnam. By examining the precarious similarity between these two warring narratives of freedom, the second chapter will discuss how narratives of freedom are quintessentially masculine constructs that forget and exploit the female. Closely examining the controversially visceral way the novel depicts the rape of the agent, the chapter will address how the novel exposes that war memory has repressed or even metaphorically consumed the sexual violence against the female body in war. The novel presses its reader to recognize the specificity of rape as a violation against the female body, a prevalent condition for the female during war that has been brushed over or used to metaphorize the atrocities of war. In the end, the novel, this thesis argues, suggests in the climactic explosion of the I to a collective “we” that the expansively inclusive collectivity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female. Keyword : war memory, the Vietnam War, bastard, sight, representation, confession, gender, rape, violence, Viet Thanh Nguyen, The Sympathizer Student Number : 2019-259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