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병원종사자의 VDT증후군과 건강 영향에 관한 연구

        이승환 아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요약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종사자의 VDT증후군(Video display terminal syndrome) 자각 증상을 알아보고 그로 인한 건강 영향의 상태 및 연관성을 알아보고자한다. 방법: 본 연구는 125명의 자료를 자기 기입식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얻었으며, 설문지의 구성은 총62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실수, 백분율, χ2-검정, t-검정, 일원분산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직업군별 VDT증후군 자각 증상 유형의 차이는 안과 관련증상, 전신관련 증상, 근골격계 관련 증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증상 유형에 따른 VDT증후군 자각 증상 점수와의 관계는 피부문제, 요통, 상지의 근육통, 하지의 근육통, 두통과 눈의 피로, 우울 또는 불안장애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고, VDT증후군 자각 증상 점수와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병원 종사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는 VDT증후군 자각 증상 점수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방사선사뿐만 아니라 다른 병원종사자들 또한 업무가 VDT 환경으로 변함으로써 서서히 VDT증후군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앞으로 방사선사뿐만 아니라 병원전체 종사자들에게 VDT증후군 작업환경 노출 군으로 지정하고 그에 대한 예방 대책 및 교육,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핵심단어 : 병원 종사자, VDT증후군 자각 증상 점수, 주관적 건강상태

      • 초음파 검사자의 VDT증후군 증상에 관한 연구

        김미정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VDT증후군이란 주로 컴퓨터 환경에서 작업을 하는 사람에게 발생하는 모든 건강문제를 말한다. 업무의 대부분이 모니터 환경의 초음파 검사장치를 사용하는 초음파 검사자는 VDT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는 작업환경에 놓여 있다. 이런 작업적 특성 때문에 본 연구는 초음파검사실에서 근무하는 초음파 검사자를 대상으로 VDT증후군의 증상 정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VDT증후군과 일반적 특성, 초음파검사실 업무환경 특성, VDT작업환경 특성과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VDT증후군 발생에 대한 예방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초음파 검사자를 대상으로 2011년 3월 1일부터 2011년 4월 30일까지 2개월 동안 직접방문하거나 우편, 전자우편(e-mail)을 통해 구조화 된 설문지 312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가 지각하는 VDT 증상은 평균 2.54로 보통보다 약간 낮은 정도이고, 이 중 근골격계가 3.26으로 가장 높았으며, 안관련 증상 2.70, 전신적 증상 2.46, 심리적 증상 2.11, 피부관련 증상 2.00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VDT증후군 증상은 본인이 지각하는 건강상태와 초음파 경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초음파검사실 업무환경 특성에 따른 VDT증후군 증상은 의자에 앉았을 때 느낌, 초음파검사실 실내조명, 실내환경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VDT 작업환경 특성에 따른 VDT증후군 증상은 1일 초음파 장비 사용 근무시간, 근무시간 이외에 컴퓨터 사용시간, 1시간 연속 검사의 유무, 1시간당 휴식시간, 초음파의 VDT증후군 노출위험성, 초음파의 건강 유해성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VDT증후군 증상 중 안관련 증상은 의자에 앉았을때 느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골격계 증상은 의자에 앉았을때 느낌과 근육운동, 1시간 연속 검사 유무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신적 증상은 의자느낌과 휴식시간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심리적 증상과 피부관련 증상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없었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에서 초음파 검사자의 VDT증후군 증상은 근골격계 증상과 안관련 증상, 전신적 증상에서 많이 나타났다. VDT syndrome means all health problems generated to people mostly working at computer environment. The sonographer using the ultrasould machines of monitor environment for the most of job is under the work environment that can cause the VDT syndrome. This research, because of this character of work, subjects sonographer working at the ultrasound room to understand the symptoms of VDT syndrome and prove its relation with general, work environment of ultrasound room, VDT work environment characters to provide the basic data on establishing prevention solutions. It analyzed total 312 copies of returned survey sheets that is structured via direct visit, mail, e-mail during 2 months from 1 Mar to 30 Apr 2011 for sonographers. The VDT symptoms which subjects recognize was average 2.54 so it was little lower than the normal condition and among all, the muscularskeletal symptom was the highest with the measure of 3.26, ophthalmologic symptom was 2.70, general body symptom was 2.46, psychological symptom was 2.11, dermatological symptom was 2.00 in or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in statistic for sonographer career and the health condition that the individual recognize for the VDT syndrome symptom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 (p<0.05), and the VDT syndromes according to work environment property of ultrasound room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its statistic for the sitting comfort, interior lighting of the ultrasound room, interior environment (p<0.05). The VDT syndrome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VDT work environment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its statistic for the work hours using ultrasound device per a day, computer usage outside working hours, full-hour continuous examination, VDT syndrome exposure danger of ultrasound, harmfulness of ultrasound on health (p<0.05). The ophthalmologic symptom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itting comfort, and the muscularskeletal symptom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itting comfort and muscular exercise, full-hour continuous examination. The general body symptom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itting comfort and relaxation tim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ly affecting parameter for psychological and dermatological symptoms. Conclusively i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VDT syndrome symptom of sonographer was frequently seen from muscularskeletal, ophthalmologic and general body symptoms.

      • 중학교 남학생의 VDT증후군 영향요인

        오유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1

        Purpose: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influencing factors of VDT syndrome for male middle school boys. Method: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ver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VDT syndrome based on the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obtained data from the development of the advisable digital learning program and the effect research project through the brain wave measur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3 male students, from two middle schools, who have been using computer for at least one year and have no health problems such a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two middle schools in Seoul from November to December in 2014 and it selected two classes of each grade and then it set a total of 12 classes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distribu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 WIN 24.0.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m was 14.05. They sleep about 7 hours and 40 minutes averagely during the week, and they sleep about 9 hours averagely during weekends. 340 students (91.2%) considered their health condition as ‘I am healthy’. 190 students (50.9%) considered their academic performance as ‘I am satisfied’. 318 students (85.3%) considered their room as ‘it is bright’. 305 students (81.8%) considered air comfort as ‘it is pleasant’. 341 students (91.4%) considered temperature as ‘it is suitable’. 286 students (76.7%) considered noise level as ‘it does not matter’. 282 students (75.6%) answered ‘height of their desk and chair could be adjusted’ and more than half of them answered like that. In case of distance between a monitor and their eyes, 159 students (42.6%) answered ‘it is 40 cm’ and this group is the largest, 147 students (39.4%) answered ‘it is 30cm’, 44 students (11.8%) answered ‘it is 50 cm’, and 23 students (6.2%) answered ‘it is 20cm’ in order. The mean score of game addiction of them was 1.70 and the mean score of the VDT syndrome was 0.66. As results of identifying gap with VDT syndrome,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computer usage environment, there was significance in VDT syndrome depending on health condition, academic performance satisfaction, indoor brightness, air comfort, temperature appropriateness, noise level, and height adjustment of desk and chair.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VDT syndrome depending on distance between a monitor and eyes. As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 among sleeping time, game addiction, and VDT syndrome, the VDT syndrom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game addiction in the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found that influencing factors on VDT syndrome of the middle school boys were game addiction, age, and sleeping time during weekday in order, and they could explain 22.6% out of VDT syndrome. Conclusion: This study researched influencing factors of VDT syndrome of middle school male students, and it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health education and medi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computer usage environment, the gap with VDT syndro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health condition, academic performance satisfaction, indoor brightness, air comfort, temperature appropriateness, noise level, height adjustment of desk and chair. Influencing factors of middle school boys are shown as game addiction, age, and average sleeping time during weekday in order. In order to prevent VDT syndrome of middle school boys, it should be needed to assess and mediate the game addiction group precisely, and also systematic and continuous management must be required. In addition, appropriate health education and mediation would be required, and education on VDT syndrome should be conducted by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of them. Schools and families should have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maintain continuous management, and rigorous standards to the surroundings adolescents live in must be prepared and supervised thoroughly. Then families,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should be organically linked and managed in order to resolve stress appropriately by controlling stress related to academ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family. Purpose: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중학교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VDT증후군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Method: 본 연구는 Digital learning 환경에서 아동 및 청소년의 뇌파측정을 통한 advisable digital learning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프로젝트에서 산출된 자료의 이차자료 분석에 기반을 두고 VDT증후군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373명으로 컴퓨터를 최소 1년 이상 사용한 경험이 있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등의 건강문제가 없는 자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중학교 2곳을 대상으로 2014년 11월부터 12월까지 자료수집이 진행되었고, 모집단 중 층화 추출법으로 2개 학교의 1,2,3학년에서 각 2개 학급씩, 총 12개 학급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된 자료로 통계프로그램 SPSS/WIN 24.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Results: 중학교 남학생의 평균 연령은 14.05세이고, 평일 수면시간은 약 7시간 40분, 주말 수면시간은 약 9시간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건강한 편이다’가 340명(91.2%), 학업성적 만족도는 ‘만족한다’가 190명(50.9%), 실내밝기는 ‘밝다’가 318명(85.3%), 공기의 쾌적함은 ‘쾌적하다’가 305명(81.8%), 온도의 적절함은 ‘적절하다’가 341명(91.4%), 소음의 정도는 ‘신경쓰이지 않는다’가 286명(76.7%), 책상과 의자의 높이조절은 ‘조절된다’가 282명(75.6%)으로 과반수 이상 나타났다. 모니터와 눈사이 거리는 ‘40㎝’가 159명(42.6%)으로 가장 많았고, ‘30㎝’ 147명(39.4%), ‘50㎝’ 44명(11.8%), ‘20㎝’ 23명(6.2%)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남학생의 게임중독은 평균 1.70, VDT증후군은 평균 0.66으로 나타났고, 중학교 남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학업관련 특성 및 컴퓨터 사용 환경에 따른 VDT증후군과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건강상태, 학업성적 만족도, 실내밝기, 공기의 쾌적함, 온도의 적절함, 소음정도, 책상과 의자의 높이조절에 따른 VDT증후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모니터와 눈사이의 거리에 따른 VDT증후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학교 남학생의 수면시간, 게임중독, VDT증후군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VDT증후군은 게임중독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중학교 남학생의 VDT증후군에 영향하는 요인은 게임중독, 연령, 평일 수면시간 순으로 나타났으며, VDT증후군의 22.6%를 설명하였다. Conclusion: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중학교 남학생의 VDT증후군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보건교육 및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중학교 남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학업관련 특성 및 컴퓨터 사용 환경에 따른 VDT증후군과는 차이는 건강상태, 학업성적 만족도, 실내밝기, 공기의 쾌적함, 온도의 적절함, 소음정도, 책상과 의자의 높이조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중학교 남학생의 VDT증후군에 영향하는 요인은 게임중독, 연령, 평일 수면시간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중학교 남학생의 VDT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게임중독군에 대한 정확한 사정, 진단 및 중재가 필요하고,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적절한 보건교육과 중재가 필요한데, 보건교육시 대상자의 연령을 포함한 개인적 특성을 고려하여 VDT증후군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학교와 가정이 연계하여 소통하고 함께 협조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고, 청소년들이 생활하는 환경에 대한 엄격한 기준이 마련되어 철저히 지켜져야 하며, 학업, 대인관계, 가정 등의 스트레스에 대한 관리를 통해 적절한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도록 가정, 학교, 지역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관리되어야 한다.

      • 병원종사자가 지각하는 VDT증후군 증상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양세이 건양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병원종사자가 지각하는 VDT증후군 증상과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그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병원종사자들의 VDT증후군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2004년 8월 10일부터 2004년 8월 31일까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4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종사자 중 2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문재동, 이민철과 김병우(1991)의 VDT증후군 자각증상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박인숙(1995)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1을 이용하여 Cronbach's Alpha,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가 지각한 VDT증후군 증상은 최대점수 4점 중 평균 1.57(±0.70)점으로 보통보다 약간 낮은 정도를 나타냈고, 이 중 근골격계 증상이 2.08(±0.81)점, 안관련 증상은 1.56(±0.80)점, 전신적 증상은 1.50(±0.82)점, 심리적 증상은 1.36(±0.76)점, 피부관련 증상은 1.27(±0.87)점으로 측정되어 근골격계 증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부관련 증상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는 최대점수 4점 중 평균 2.53(±2.08)점으로 보통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항목별로는 위생적 생활이 3.10(±0.48)점, 조화로운 관계는 2.86(±0.50)점, 자아실현은 2.66(±0.55)점, 식이조절은 2.66(±0.55)점, 정서적지지는 2.59(±0.57)점, 규칙적 식사는 2.58(±0.90)점, 자아조절은 2.29(±0.59)점. 휴식 및 수면은 2.29(±0.57)점, 운동 및 활동은 2.25(±0.57)점, 전문적인 건강관리는 1.91(±0.65)점으로 측정되어 위생적 생활을 가장 높게 수행하고 있었고, 전문적인 건강관리를 가장 낮게 수행하고 있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가 지각하는 VDT증후군 증상의 차이는 성별, 연령, 본인이 지각하는 건강상태, 직업에 대한 만족도,수입에 대한 만족도, 직위, 컴퓨터 이용경력, 1일 VDT 사용시간, 휴식간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가 수행하는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는 연령, 최종학력, 정기적 건강검진 유무, 본인이 지각하는 건강상태, 직업에 대한 만족도, 수입에 대한 만족도, 직위, 컴퓨터 이용경력, 1일 VDT 사용시간, 휴식간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가 지각한 VDT증후군 증상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병원종사자가 지각하는 VDT증후군 증상과 건강증진행위는 병원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건강증진행위를 통하여 VDT증후군 증상을 적게 지각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간호사들은 VDT 작업자들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실제로 실천가능한 건강증진행위를 위한 중재를 개발하여 VDT증후군 증상에 대한 예방 및 관리에 힘써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VDT syndrome symptoms which the hospital workers perceive and health-promotion behavior, to define the relationship among severa variable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in developing the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hospital VDT workers. In the survey performed from 2004 August 10th to August 31st, the subject of descriptive correlation analysis was 221persons among the workers who are employed in the 4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instruments were Moon et al.(1991) VDT syndrome scale modified by present researcher and Park (1995) health promotion behavior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uch characteristics as the Chronbach' s alpha,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SPSS 10.1. Summarized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the VDT syndrome symptoms which the subject persons perceive was 1.57 (± 0.70) in maximum score 4(some low-end degree), with those of MSDs(Musculoskeletal Disorders) highest 2.08 ( ± 0.81), of eye-related symptoms 1.56(± 0.80),of general body symptoms 1.50(± 0.82), of psychological symptoms 1.36(± 0.76), and of skin-related symptoms 1.27(± 0.87). 2. The mean of health-promotion behaviors was 2.53(± 2.08) in maximum score 4(some high-end degree), with those of sanitary life 3.10(± 0.48), of harmonized relationship 2.86(± 0.50), of self-achievement 2.66(± 0.55), of diet control 2.66(±0.55), of emotional support 2.59(± 0.57), of regular diet 2.58(± 0.90), of self-control 2.29(± 0.59), of rest and sleep 2.29(± 0.57), of motion and activity 2.29(±0.57), and of professional health-maintenance lowest 1.91(± 0.65). 3. About the differences of VDT syndrome symptom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sex, age, healthcondition, the degree of job-satisfaction, degree of income-satisfation,job-position, computr use career, daily VDT use hour, and rest interval. 4. About the differences of health-promotion behavior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age, last educational background, presence of periodic medical health-examination, health condition of the person oneself, degree of job-satisfaction, degree of income-satisfaction, job position, computer use career, daily VDT use hour, and rest interval. 5. The relationship between VDT syndrome symptoms which the subject perceive and health-promotion behavior was negative correlation consider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r=-0.370, p=0.000).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re a hospital workers does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less they perceives less VDT syndrome symptoms. Therefore, the nurses should endeavor to prevent VDT syndrome symptoms by developing and performing the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s so that the hospital VDT workers practice health-promotion behaviors.

      • VDT症候群 誘發에 關與하는 因子들에 關한 硏究

        이민철 全南大學校 1991 국내박사

        RANK : 248687

        VDT(visual display terminal)증후군의 자각증상에 대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자각증상의 유발에 관여하는 인자들을 구명하고자 1991년 1월부터 3월까지 광주지역내 6개 기관에 근무하는 전산직 종사자 138명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자각증상 및 인구학적 변인, 근무관련 변인들에 대한 설문조사와 작업환경조사를 실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각증상에 대한 57개 항목의 설문조사성적을 요인분석한 결과, 33개 문항으로 구성된 VDT증후군 조사표가 개발되었으며, VDT증후군은 안(眼)관련 증상군, 심리적 증상군, 전신적 증상군, 근골격계 증상군, 피부 증상 군으로 대별할 수 있었다. 2. 안관련 증상의 정도는 작업의 종류, 1일 VDT사용시간과 화면외부필터 (external filter) 사용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료입력작업군에서, 1일 VDT 사용시간이 길수록, 외부필터를 사용하는 군에서 더 심했다. 3. 심리적 증상의 정도는 중증질환과거력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과거력을 지닌 집단에서 더 심했다. 4. 전신적 증상의 점도는 직업 및 수입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만족도가 낮은 군에서 더 심했다. 5. 근골격계 증상의 정도는 작업의 종류, 전산전공 여부, 타자능력, 직업에 대한 만족도, 1일 VDT사용시간 같은 근무관련 변인들과 대단히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연령과 성, VDT의 종류와 색상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입출력작업을 하는 군에서,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군에서, 1일 VDT사용시간이 길수록 더 심했다. 6. 피부관련증상의 정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이 낮은 군에서 더 심했다. 이상을 요약하여 보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설문조사표는 VDT증후군에 대한 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었지만 지속적인 연구로 더 발전시켜 나가야 하겠으며, VDT증후군의 예방대책 수립시에는 보호구사용과 같은 단편적 방법보다는 증상의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학적 인자와 근무관련 변인 및 작업환경에 관한 인자들이 포괄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In order to develop the measuring tool of VDT syndrome and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VDT syndrome, a questionnaire study accompanied with the evaluation of working environment was performed with 138 VDT users from six public organs in Kwangju area. The results can be s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with the data on the level of VDT syndrome, a questionnaire composed of 33 items was developed and five factors named as eye-related component, psychological component, general body component, musculoskeletal component and skin-related component were extracted. 2.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eye-related symptoms were the type of main job using VDT, the total time of VDT operation per day and the use of external filter on CRT. 3. The level of eye-related symptoms in the group using external filter was higher significantly than that in the group not using filter. 4. The past history of severe illness affected the level of psychological symptoms significantly. 5.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general body symptoms were job satisfaction and income satisfaction. 6. Variables affecting the level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the type of main job using VDT, whether majored in EDPS, the level oftypewriting, job satisfaction and the total time of VDT operation per day. 7. Ag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skin-related symptoms.

      •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VDT 작업자의 등세모근 평가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이태우 서울시립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8669

        국 문 초 록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VDT 작업자의 등세모근 평가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rapezius Muscle Evaluation System for VDT Worker using Surface EMG) 이 태 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지도 : 김 성 환 교수 본 논문에서는 표면 근전도를 이용한 VDT 작업자의 등세모근 평가시스템을 설계하고, 실제적인 작업 환경들로부터 근활성도(muscle activity)와 근피로도(muscle fatigue)를 측정, 분석함으로써 설계된 시스템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첫째로 VDT 작업 중에 있는 등세모근의 평가를 위한 측정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시스템은 근전도 신호를 시간, 주파수, 시간-주파수 평면에서 해석하는 구조이며, 근육의 부하 분담 및 근활성도, 근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고, 시간-주파수 평면 파라메터를 사용하여 근육의 동적(dynamic) 운동시의 분석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특히 장시간 데이터 취득은 실제 작업 환경하에서 근육운동의 분석에 중요하다. 기존 시스템이 짧은 데이터 저장만 가능한데 비하여 1시간 이상 연속하여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둘째로 근전도 신호의 분석주기(window length)의 증감에 따른 분석 파라메터(영점 교차수, MITI, 중간 주파수, 평균 주파수)의 변화양상을 비교하였다. 또한 AIF(averaged instantaneous frequency), 중간주파수(median frequency), 평균주파수(mean frequency) 파라메터를 분석주기 변화에 따라 측정하여 선행연구에서와는 달리 다양한 분석주기 100[ms]∼2000[ms]에서 평균주파수와 중간주파수가 분석주기 변화상황에서도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셋째로 정부에서는 ?영상표시 단말기(VDT; visual display terminal) 취급 근로자 작업관리 지침?을 제정하여 VDT 작업 환경에서 지침으로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나 실제 목과 어깨의 근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근전도적인 연구는 미비했다. 등세모근의 동적, 정적실험을 통하여 근활성도, 근피로도를 측정·분석하였고, 키네시오 테이핑 요법에 따른 근전도의 측정과 분석을 통해 VDT 작업자의 등세모근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넷째로 전처리 과정(preprocessing)에서 웨이브릿(wavelet) 방법과 적응 잡음제거기법(AIC; adaptive interference canceling)을 사용하여 적응 잡음 제거기법이 근전도 신호에서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를 제거하여 등세모근 근전도 신호 추출의 정확도를 높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등세모근 평가시스템은 재활의학, 인간공학, 산업공학, 스포츠 의학, 산업재해 평가 등 전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고, 직무순환·작업 스케줄 산정 등의 산업현장에도 직접 적용할 수 있다.

      •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이 남자중학생의 VDT증후군 자각증상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전병태 慶尙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668

        The Effect of Internet Addictive use on VDT Syndrome's Subjective Symptoms and Physical Fitness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on Internet Addiction to find out internet-addicted students from 440 second grade students of J middle school in J city. Of a total of 440, 16 responses were excluded from our analysis as they are either unfaithfully answered or partially omitted. The rest of 420 subjects were divided into internet addiction group(N=72) and non-internet addiction group(N=352) and took the preliminary test. One year later, they did the same questionnaire on internet addiction again. As the result, 12 from 72 of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were excluded and 60 from 352 of the non-internet addiction group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study. The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 of internet addictive use on VDT syndrome's subjective symptoms and physical fitness of 120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the follows; 1. Syndrome's Subjective Symptoms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showed more musculoskeletal symptoms, fatigue symptoms and eye symptoms than the non-internet addiction group. 2. Physical Fitness 1) Comparison by group In the first test, internet addiction group showed high records in 50m dash, standing long jump, push-ups and sit-ups than the non-internet addiction group. In the second test, the non-internet addiction group showed high records in 50m dash, standing long jump, push-ups, sit-ups and 1,600m run-walk than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2) Comparison within group In the first and second test, internet addic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50m dash, standing long jump and sit-and-reach test, while the non-internet addic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50m dash, standing long jump, sit-and-reach test, sit-ups and 1,600m run/walk. The result indicated that internet addic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syndrome's subjective symptoms and physical fitness. Accordingly, education on proper computer use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education to control excessive computer use should be provided to the younger generation. Furthermore, improvement in school and community physical training programs, a policy to promote teenager'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and their habit to do appropriate exercise regularly should be required for their mental and physical health.

      • 사상체질에 따른 인터넷 사용 경향 및 VDT증후군 양상에 대한 연구 : 수원지역 한 고등학교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안혜준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4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and made comparative studies of the usage trend of internet and the aspect of VDT syndrome by Sasang constitutions, so that Korean medical doctors can manage and cure people who use internet. Methods : Sasang constitutions were analized by using QSCCⅡ. Questionnaires including VDT syndrome, the usage trend of internet and QSCCⅡ were distributed to freshmen in one high school in Su-won city, Gyeonggi-do, then 60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ults : There was no difference with Sasang constitutions with significant level in which, the indexes of optic and mental problems in VDT syndrome, the time of using internet per a day, the duration of using internet, the spaces where people use internet, spending money while using internet, emotions and behaviors when using internet were interrupted and the numbers of deceiving themselves while using internet. Also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Sasang constitutions with significant level.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y Sasang constitutions in which, the favorite type of on-line game, the average chatting time, the numbers of internet communities, the time using internet communities and the changes that occurred to real life by using internet communities, with significant level. But Taeumin more frequently used on-line games, more chatted to kill time and more used internet to get informations than other Sasang constitutions. And Taeumin had the strongest self-consciousness about the way to control using internet with significant level. Soyangin more chose 'web surfing', 'messenger chatting' and 'homepage' as the purposes of using internet, more deceived themselves to hide and enjoy when using internet and more chatted than other Sasang constitutions. According to the indexes of which, total health problems, musculoskeletal problems, 'often fatigue', 'vacant head', 'dizziness', 'neck pain' and 'low back pain' in VDT syndrome, Soeumin had the most health problems and Taeumin had the less health problems. But in the index of 'back pain', Soyangin had the most health problem. Conclusions : There were some different trends of using internet and aspects of VDT syndrome with Sasang constitutions. So it is necessary to use the result of this study to make a plan to care health problems by oriental medicine, which are related to using internet, with additional studies.

      • 交換識 勤勞者의 作業環境과 勤勞條件 硏究 : 職務環境과 VDT症候群에 관한 實證分析을 中心으로

        박래춘 崇實大學校 勞使關係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8652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society, there appeared a group of industry or occupations which process data, information, picture using devices called CRT(Cathode Ray Tube)/VDT(Visual Display Terminal). It is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that these new group of occupations use computer, the mordern conveniance, by geometrical Progression. All the more, in the middle of 1990's, we cannot image the life without computer not only in social activity or home. But the appearance of these computerized devices has brought about change intraditional labor, new occupational disease during operating these devices. We usually call these new disease VDT syndrome and specially designate cervicobrachial in medical language. With the view of some papers, these series of new occupational disease appear all the part of body. In this thesis, I investigated cases in the three specified working place, and analysed how much these disease related with labor condition or working environment. Especially I paid attention to the women working enterprise, analysed labor condition and working environment. I presumed that there would be physical/mental impediment called VDT syndrome or para-VDT syndrome in the women working enterprise. I selected three telephone switching center, distributed/collected questionnaire, analysed them statistically. 1. The relation VDT syndrome with working environment O VDT syndrome according to the port of the body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labor environment or working condition on labor, impediments connecting with eye symptom came first and that of all the body, skin, muscular/skeletal followed. O Optical symptom The influence of labor environment or working condition on eye as followed ; "workers take advantage of CRT by themselves for the given-working amount or not", "working desk move high and low", "there is personal illumination or not". The stage of symptom is deep relative to the outer filter of computer because of cle-anliness of monitor. O Muscular/skeletal symptom Telephone switching job, primarily typing activity, have a deep influence to the neck and waist. O Mental/neural symptom The main influence to mental/neural part is specially simplicity of work, presence of clinical history and the veriety of work. O All the body/skin symptom The harmful working condition to all the body and skin of workers is the same as above. 2. The relation continuous service year with health impediment Statistically, the longer the working time is, the higher symptom related with the arm/neck, but the relation between average working time a day and common life don't come to light. Analysing the rotation between working time without rest and symptom, I come to know the symptom is statistically frequent. It is re-ported that health impediment element affected to the arm and neck of workers is a quantity of working amount, the location of keyboard, whether CRT move or not. Inpediment of worker's arm and neck has little to with high and low of chair/desk, whether the chair turn round or not, single or married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