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F THERMAL AND THERMOHALINE DYNAMICS OF THE OCEAN USING SATELLITE MULTI-SENSOR DATA

        조영헌 University of Delaware 2003 해외박사

        RANK : 2940

        This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of thermal and thermohaline dynamics in the oceans using long-time series (January 1993 to December 1999) of multi-sensor data. They are (1) heat storage anomaly in the upper layer of the Pacific and the Atlantic using altimeter data; (2) heat and moisture transfer in the Tropical Pacific derived from Bowen ratio (Bo), sensible heat flux (SHF), and latent heat flux (LHF); (3) salt fluxes from the Mediterranean Sea into the North Atlantic through the Mediterranean Eddies (Meddies). A thermodynamic equation relating sea level changes to heat storage in the ocean can be made using a relationship between heat storage and density change. The heat storage anomaly derived from XBT data (H ′XBT) and altimeter data (H ′T/P) was highly correlated, except in a few regions. The non-steric height signals in the altimeter measurements were analyzed. For the Pacific, the wiggle features across 20°N North Pacific caused by long baroclinic waves were found in the areas of low correlation between H ′XBT and H ′T/P, and were validated with a theoretical dispersion relation. For the Tropical Atlantic, three regions were investigated, i.e., near the Amazon River mouth due to the freshwater discharge; the North Equatorial Counter Current (NECC) due to the freshwater and eddies; the Guinea Dome due to the permanent upwelling. In order to estimate heat and moisture, Bowen Ratio (Bo), sensible and latent heat flux were calculated in the Tropical Pacific. The equilibrium Bowen Ratio (Bo*) can be estimated empirically from th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only when the air is saturated with water vapor at the sea surface. In order to estimat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mpirical Bo (Bo_(E)) and the bulk formulated Bo (Bo_(B)) and to correct for the wind-effect and the humidity-effect, the Tropical Atmosphere Ocean (TAO) data were used. After computing SHF and Bo_(E), the LHF were estimated, i.e., LHF = Bo_(E) * SHF. The SHF was estimated using wind divergence, which is caused by a convection of airflow. The root mean square (RMS) of the SHF and LHF were estimated as 3.5Wm^(-2) and 39.3Wm^(-2), respectively. The trajectories and evolution of the Meddies were studied using satellite multi-sensor data analyses. Two experiments, A Mediterranean Undercurrent Seeding Experiment (AMUSE) and Structures des Echanges Mer-Atmosphere, Proprietes des Heterogeneites Oceaniques: Recherche Experimentale (SEMAPHORE), from 1993 to 1995 were used to directly validate my method. In order to analyze the Meddies’movements, the effect of baroclinic instability resulting from the surface air pressure variations and wind forcing on the Meddies was considered. The power peaks in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Meddies were at 4 day and 10 day intervals, as derived from AMUSE and SEMAPHORE experiments. The major power peaks of the sea surface wind forcing and sea surface height anomaly occurred every 33 months, and related to the horizontal translation of the southwestward Meddies. Finall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iscosity dissipation of the Meddies, using angular velocity measured by floats, was computed and compared with a theoretical model.

      • 영상 콘텐츠 이용에 있어서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대체관계 연구 : 시간 재할당 가설을 중심으로

        최수진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37

        본 논문은 영상 콘텐츠 이용에 있어서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상호 관계성을 시간 재할당 가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대체관계에 대해 기존 연구들은 미디어 대체 가설이나 이용과 충족 접근을 중심으로 다루었는데, 전자의 경우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미디어 영역이 아닌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설명을 하지 못했고, 후자의 경우는 이용 동기가 미디어 이용 행위로 연결됨을 입증하지 못했으며 이용자 중심의 미디어 이용 동기에 대한 탐구를 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존재했다. 이를 탈피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시간 재할당 가설에 근거하여 인터넷 시청으로 인한 생활시간 전반의 변화에 대해 탐색하고, 영상 콘텐츠 시청이라는 특정 이용 행위에 대한 이용자의 이용 동기를 분석하여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대체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인터넷 이용률이 높고 직업, 소득, 학력 수준,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등에서 격차가 비교적 적은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30분 단위로 일일 생활일지를 작성토록 했다. 인터넷과 텔레비전 이용 동기는 루빈(1981)의 시청동기 항목을 바탕으로 9개의 이용 동기를 만들어 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설문 조사 후, 생활일지에 기록된 시간량을 기준으로 텔레비전보다 인터넷을 통해 영상콘텐츠를 더 많이 혹은 같은 양을 시청한 사람을 인터넷 의존 집단으로, 그 반대의 경우는 텔레비전 의존 집단으로 분류했으며, 인터넷과 텔레비전 모두 시청하지 않은 응답자는 제외하였다.‘영상 콘텐츠 시청에 있어서 인터넷 의존 집단과 텔레비전 의존 집단은 생활시간 패턴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라는 첫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해, 학습시간과 인터넷 이용 시간은 인터넷 의존 집단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미디어 이용 시간은 텔레비전 의존 집단이 더 많다는 연구 결과를 획득하였다. 특히, 인터넷 의존 집단의 텔레비전?라디오 이용 시간이 텔레비전 의존 집단보다 적어, 영상물 시청에 있어서 인터넷과 텔레비전?라디오가 대체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인터넷 의존 집단의 경우 라디오, 신문, 잡지 등 기존 미디어를 인터넷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용하는 반면, 텔레비전 의존 집단은 정보 검색, 채팅 등 인터넷의 쌍방향적 기능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경향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비록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갖진 않았지만, 김병선(2004), 린(Lin 2004) 등 선행 연구들을 통해 두 집단 간에 인터넷 이용에 있어서 실제로 차별적인 경향성이 존재함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둘째, 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데에 있어서 각 집단별 인터넷과 텔레비전 이용 동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정보/학습 동기와 구체적인 프로그램 시청 동기를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표출하여, 텔레비전 이용 동기가 인터넷 시청 동기와 유사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특히, 인터넷 이용 동기 면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텔레비전 이용 동기 면에서는 텔레비전 의존 집단이 인터넷 의존 집단보다 모든 텔레비전 이용 동기 정도가 평균적으로 높다는 점을 통해 인터넷으로 영상 콘텐츠를 많이 볼수록 텔레비전에 대한 의존도가 하락함을 알 수 있다.셋째, 영상 콘텐츠 시청에 있어서 인터넷 이용 정도는 두 집단 모두에게서 미디어 이용 행위보다 미디어 이용이외의 행동과 더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의존 집단에서는 인터넷으로 영상 콘텐츠를 시청한 시간과 학습시간이 부적인 상관관계를, 정보검색, 채팅 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인터넷 이용 시간, 미디어 이용 시간, 수면 시간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드러냈다. 반면, 텔레비전 의존 집단에서는 인터넷으로 영상 콘텐츠를 많이 소비할수록 이동시간이 감소했으며, 인터넷 이용시간은 증가했으나, 미디어 이용시간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차이가 미약하긴 하나, 텔레비전 의존 집단에서는 인터넷 시청 시간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미디어 이용 이외의 시간보다 인터넷 이용 시간과 관련성이 더 높은 반면, 인터넷 의존 집단에서는 일상 생활 시간과의 관련성이 더 높았다. 이는 인터넷 시청 중이용자일수록 일상 생활 시간을 줄이면서 인터넷 시청에 적극적으로 몰입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이용 시간 면에서는 대체 관계를, 이용 동기 면에서는 보완 관계를 이루거나 그 반대의 연구 결과가 도출되어 해석의 어려움을 겪기도 한 선행 연구들과 달리, 본 논문에서는 영상콘텐츠 시청에 있어서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이용 동기와 이용 시간 모두 대체 관계에 놓여 있다는 일관된 연구 결과를 획득하였다. 이는 강명신(2001)이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터넷이 기존 미디어의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기존 연구들과 달리 인터넷 자체에 대해 기존 미디어와의 상호 관계를 연구하지 않고, 특정 이용 행위 또는 기능별로 구분하여 기존 미디어와의 관계성을 연구했기 때문이다. 또한, 영상 콘텐츠 시청에 있어서 인터넷 이용 정도는 미디어 이용 행위보다 미디어 이용이외의 행동과 더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미디어 영역을 벗어나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미디어 간의 관계를 바라봐야 함을 주장한 시간 재할당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비록 한정된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했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고 생활시간 일지 작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성실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등 여러 가지 한계가 존재하지만, 위와 같은 이유로 본 논문이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Internet and television substitution in viewing visual content at the perspective of time reallocation hypothesis. The former studies about Internet and television substitution used media substitution hypothesis or uses-and-gratifications approach. However, media substitution hypothesis failed to explain the effect of new technology on daily life, and studies applying uses-and-gratifications framework to researches on media substitution did not prove that media using motives are directly linked to media usage and explored media using motives based on medium itself, not on user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both well-known approaches, this study used time reallocation hypothesis which focuses on the overall change of daily lifetime pattern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and analyzed the motives of the specific using behavior, Internet viewing in this research.A sample of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who show high percentage of Internet usage and have similarities in socioeconomic status such as occupation, income, academic background, and digital literacy, wrote the daily lifetime diary. The diary demands subjects to fill in daily activities throughout the day in thirty minute intervals. People who watch Internet more than television or watch Internet with the same amount of time viewing television are classified as Internet-depending group, and television- depending group is defined vice versa. People who do not watch both Internet and television a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Questionnaire on Internet and television using motives is composed of nine motives based on Rubin(1981)'s television viewing motives with the five point Likert scale.With regard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hat the differences of lifetime pattern are between Internet-depending and television-depending groups, the study obtained the result that Internet-depending group spent more time in doing study and using Internet, while television-depending group consumed more time in media usage. In particular, the statistic data that television and radio using time of Internet-depending group are less than those of television-depending group prove that viewing content via Internet substitutes watching television and listening to the radio. Interestingly, Internet- depending group has a tendency to spend more time in using traditional media via online than television-depending group, while the latter tends to use interactional Internet services such as chatting and information searching more than media services. Though this difference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considering the studies of Byoungsun Kim(2004) and Lin(2004), it is reasonable to assess that two groups have distinguishing disposition in using Internet.Second, Internet and television using motives of two groups in viewing visual content have positive correlation except for learning and specific program watching motives, which means that Internet and television viewing motives turn out to be similar. What is remarkable is that two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net viewing motives, but the degree of television watching motives of Internet-depending group was less than those of television-depending group in all television viewing motiv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people who watch Internet more than television depend less on television than the people who view television more.Third, the degree of viewing Internet came out to have closer relation with non-media activities than media use in both groups. Internet-depending group h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viewing time and study time, while Internet viewing tim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media using time and sleeping time. In contrast with Internet-depending group, television-depending group produce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viewing time and moving time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viewing time and Internet using time, but h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edia using time. Though the difference is trivial, Internet viewing time of television-depending group has closer correlation with Internet using time than non-media activities, while that of Internet-depending group is in reverse. This implies that Internet heavy viewers reduce time spent in daily activities and devote themselves to Internet viewing.Previous studies, which concluded that Internet replaces television in media using time, but complements television in media using motives, or vice versa, had difficulties in explaining the contradictory result. Unlike the former researches, this study obtained a consistent result that Internet substitutes television both in using time and in motives. As Myoungshin Kang(2001) mentioned, Internet has all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edia, so it is more reasonable to compare specific usage or function of Internet to other media, not Internet itself as most previous researches did.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degree of Internet viewing has closer correlation with non-media activity time than media using time, which reconfirms the validity of time reallocation hypothesis. Because of these reasons, this study still stands on the firm ground though it has some defects that the sample is limited to students and it is hard to secur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respondents' time diary.

      • 기업 홈페이지 이용행위와 기업의 공중관계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삼성전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태종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37

        기업의 홈페이지는 기업의 좋은 이미지나 마케팅 활동을 위하여 기업을 PR 할 수 있는 정보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고객들은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여 장기적으로 제품 구매를 가능케 함으로써 기업과 고객 모두에게 혜택을 주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기업 홈페이지의 이용과 공중관계성을 연관짓는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행위를 조사하여 이용자들의 인터넷 이용 행태에 따라 기업의 공중관계성이 어떠한 양상을 나타내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업의 홈페이지를 이용한 이용자들의 동기와 행위를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홈페이지를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홈페이지를 광고 및 PR 도구로 사용하는 기업이나 실무자들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기업 홈페이지 이용자의 이용정도는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기업 홈페이지 이용자의 이용동기는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기업 홈페이지 이용자의 이용내용은 기업의 공중관계성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기업 홈페이지 만족도는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5] 기업 홈페이지 이용자의 특성은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6] 기업 홈페이지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에 발생하는 기업의 공중관계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해서 서베이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삼성전자의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기업 홈페이지 이용행위와 기업의 공중관계성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이용동기 측면에서는 정보탐색동기가 통제상호성에 대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의사소통동기의 설명력은 친밀/친숙성에 대해 가장 높았다. 구매동기는 헌신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오락동기는 전반적인 공중관계성, 만족성, 교환적 관계성, 공유적 관계성, 친밀/친숙성, 접근가능성에 대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다. 또한 기업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 중, 보도자료는 전반적인 공중관계성에 대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관계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역시 보도자료가 통제상호성에 대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고, 사회공헌은 공언이행적 신뢰성과 공유적 관계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고, 채용정보는 능력적 신뢰성과 교환적 관계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다. 온라인 주문은 순수성적 신뢰성과 만족성, 헌신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고, 기업의 연혁은 친밀/친숙성에 대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게 되었다. 사이버 홍보실과 보도자료는 모두 접근가능성에 대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홈페이지 만족도 중에서 정보내용 만족도는 전반적인 공중관계성에 영향력을 미쳤는데, 그 중에서도 순수성적 신뢰성과 공언이행적 신뢰성, 헌신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다. 분석결과, 기업 홈페이지 이용행위에서 이용정도와 이용내용, 홈페이지 만족도가 공중관계성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구를 하면서 아쉬웠던 점 중의 하나는, 기업 홈페이지 이용여부에 따라 기업의 공중관계성에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기업의 홈페이지 이용행위와 PR 효과를 처음으로 접목시켰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 연구가 앞으로 행해질 인터넷 PR 효과 연구의 시발점이 되었으면 한다. The corporate homepage is used to provide consumers with some information to improve corporate identity and boost corporate communication for marketing. Consumers get useful information about products and companies. So the corporate homepage is the interactive media for communication that benefit consumers and companies. However scholarly attention has not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corporate homepage using behavior and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This study examines how corporate homepage are being used by consumers. Specially this study looks at the relations between Samsung Electronics' Homepage using behavior and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The study provides corporate homepage users' motive and behavior and evaluation on the corporate homepage. Accordingly, the study of corporate homepage is important for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nd scholars. The present study proposes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RQ 1] What is the effect of corporate homepage users' using frequency on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RQ 2] What is the effect of corporate homepage users' using motive on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RQ 3] What is the effect of corporate homepage users' using content on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RQ 4] What is the effect of corporate homepage users' feeling of satisfaction with homapage on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RQ 5] What is the effect of corporate homepage users' characteristics on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RQ 6] What is the effect of corporate homepage using on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In investigating the research questions, reviewing Samsung Electronics' Homepage and user survey are used. This study explore the relations between corporate homepage using behavior and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First, in using motives, the more the information search motive is, the stronger control mutuality is. The more the communication motive is, the stronger intimacy and familiarity are. The more the purchase motive is, the stronger commitment is. The more entertainment motive is, the stronger general public relationship such as satisfaction, exchange relationship, communal relationship, intimacy and familiarity, accessibility is. Second, in using content, the more press release content is used, the stronger general public relationship is. In particular, the more press release content is used, the stronger control mutuality is. The more social responsibility content is used, the stronger dependable trust is. The more recruit content is used, the stronger competent trust and communal relationship are. The more online shopping content is used, the more integral trust,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re. The more corporate profile is used, the stronger intimacy and familiarity are. The more cyber PR content and press release content are, the stronger accessibility is. Third, in the feeling of satisfaction with homepage,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 content is, the stronger general public relationship such as integral trust, dependable trust, and commitment is. In conclusion, corporate homepage users' using frequency, content, and feeling of satisfaction with homepage have the effect on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This study guess likely according to people use of corporate homepage, it will have the strong effect on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In this point, this study has unsatisfactory result beyond expectation. Although, analyses of corporate homepage and user's behavior has never been attempted. This study may be the beginning of the exploration on the effect of Internet PR.

      • 웹 이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심리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의 영향력 차이를 중심으로

        김병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937

        웹 이용 행위를 설명하는 지금까지의 기존 연구들은 개인의 심리적 요인을 강조하느냐 아니면, 이용 환경의 구조적 요인을 강조하느냐로 양분될 수 있다. 개인의 심리적 요인을 강조하는 연구에서는, 웹이 이용자의 관여 수준을 높이는 여러 장치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들은 보다 능동적으로 웹을 이용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한편, 구조적 요인을 강조하는 연구에서는, 웹 역시 일종의 매스 미디어이며, 이에 따라 웹 이용자의 행위는 구조적인 요인들에 제약을 받게 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웹 이용 행위에 관한 이와 같은 두 가지 상반된 관점의 통합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웹 이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 차이를 분석했다. 또한, 이러한 영향력 차이를 보다 명료하게 파악하기 위해 웹 이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텔레비전 시청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론적 논의를 통해서, 연구자는 웹 이용 행위가 크게 4가지 차원의 다차원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았는데, (1) 미디어 지향적 차원, (2) 내용 지향적 차원, (3) 노출 다양성 차원, (4) 상황적 행위 차원이 그것이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네 가지 차원은 각각 (1) 개인의 웹 이용 시간, (2) 웹사이트 장르 레퍼토리 구성, (3) 웹사이트 장르 레퍼토리 다양성, (4) 웹 이용에서의 관여, 전환, 활용 정도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위의 네 가지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은 (1) 개인의 성격 특성, (2) 이용 동기, (3) 매체에 대한 인지 특성으로 구분되었으며, 구조적 요인은 (1) 공간적 가용성, (2) 시간적 가용성으로 구분되었다. 더불어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함께 고려되었다.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웹 이용 시간은 심리적 요인들보다는 공간적 가용성과 시간적 가용성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는 텔레비전 시청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와 유사한 것이었다. 둘째, 웹사이트 장르 레퍼토리 다양성 역시, 심리적 요인들보다는 공간적 가용성과 시간적 가용성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 또한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레퍼토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와 유사한 것이었다. 셋째, 웹사이트 장르 레퍼토리 구성은 구조적 요인들보다 이용 동기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반면,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레퍼토리 구성은 심리적 요인들보다 공간적 가용성과 시간적 가용성의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었다. 넷째, 웹 이용에서의 관여, 전환 및 활용 정도 또한, 구조적 요인들보다는 이용 동기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는 텔레비전 시청에서의 분석 결과와 유사한 것이었다. 요컨대, 심리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의 영향력 차이는 웹 이용 행위의 다차원적 속성에 따라서 달라지고 있었다. 우선, "미디어 지향적 차원"과 "노출 다양성 차원"으로 웹 이용 행위를 분석했을 때 이용자의 심리적 요인보다는 이용 환경의 구조적 요인이 행위를 결정하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웹 그 자체를 이용하는 것과 웹의 내용을 다양하게 이용하는 행위는 텔레비전 시청과 유사하게 구조적 조건의 제약을 받는다는 것이다. 반면, "내용 지향적 차원"과 "상황적 행위 특성 차원"으로 웹 이용 행위를 분석했을 때, 이용 환경의 구조적 요인보다는 이용 동기를 비롯한 이용자의 심리적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특정한 웹 콘텐츠를 이용하거나 웹에 대한 관여, 전환 및 활용을 하는 행위가 텔레비전 시청 행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능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웹을 이용하는 행위는 그 차원에 따라서 능동적인 성격과 수동적인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웹 이용자는 수동적 이용자(passive user)인 동시에 능동적 수용자(active audience)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웹 이용자의 능동성에 대한 평가는 이용 행위를 분석하는 차원에 따라서 보다 정교해져야할 필요가 있다. Various empirical studie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on determinant factors that affect web using behavior. One group of research focuses on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using motives, perceived media traits, and personality. This group of research assumes that web has various equipments to improve users' participation level, so web users can actively expose to diverse websites without limitation. The other group emphasizes on structural factors such as contents availability, user availability, and social context. This group of research assumes that web is a kind of mass media, so web using behavior can be limited by structural restrictions. In this dissertation,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these two contrasting viewpoints about web using behavior was investigated. To do this, the difference in effect between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determinants affecting web using behavior was examined. To clarify the difference in effect between factors affecting web using behavior, factors affecting television viewing behavior were compared. Throughout literature review, attributes of web using behavior were classified four dimensions; (1) media-oriented using, (2) contents-oriented web using, (3) exposure diversity, and (4) contextual behavior. These four dimensions of web using behavior measured by (1) personal web using time, (2) composition of website genre repertoire, (3) diversity of website genre repertoire, (4) degree of involvement, transition, and utility in web use. Psychological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these multi-dimensional web using were comprised of three major factors such as (1) personality, (2) using motives, (3) perceived media traits. Structural factors were comprised of two major factors such as (1) spatial availability (2) temporal availability. And social economic status factors are regarded. The result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amount of personal web using time was more influenced by spatial availability and temporal availability than psychological factors. I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elevision viewing behavior, a similar result was obtained. Second, the diversity of website genre repertoire was also more influenced by spatial availability and temporal availability than psychological factors. I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elevision viewing behavior, a similar result was obtained. Third, the composition of website genre repertoire was more influenced by using motives than structural factors. By contrast, the composition of television genre repertoire was more influenced by spatial availability and temporal availability than psychological factors. Forth, the degree of involvement, transition, and utility in web using was more influenced by using motives than structural factors. I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elevision viewing behavior, a similar result was obtained. After all, the difference in effect between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factors was varied according to the dimension of web using behavior. In the dimension of "media-oriented using" and "exposure diversity", structural factors more influenced than psychological factors. This result means, using web itself and using diverse web-contents is analogous to viewing television itself and viewing diverse tv programs. By contrast, in dimension of content-oriented using and contextual behavior, psychological factors more influenced than structural factors. This result means, using certain web contents, involving, transiting, and utilizing web is comparatively active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b users are active audience as well as passive users. It requires that assessment to web user's activity have to be elaborated according to the dimension of web using behavior.

      • 플립 러닝을 활용한 초등학교 프로젝트 기반 교수ㆍ학습 모형 개발

        박성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36

        In the educational field where applied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ave emerged according to innovative changes such as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operations, constructivism teaching & learning model application, and future education afterwards in the post-corona era. Despite of gradually increased attention to project-based learning using flipped learning, it’s difficult to find a clear definition, teaching & learning design model, teaching & learning model and efficacy. Thu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eaching & learning model in the project-based learning using flipped learning. To accomplish a study goal, the research problems wer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how is the early teaching & learning model constructed for the project-based learning using flipped learning? Second, how’s the internal validation of the project-based teaching & learning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Third, how’s the external validation of the project-based teaching & learning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Fourth, how is the final teaching & learning model constructed for the project-based learning using flipped learning? To develop the project-based teaching & learning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by Richey and Klein(2007) was used.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flipped learning, project-based learning, and project-based learning using flipped learning were reviewed to come up with key elements and stages in teaching & learning and then, elements of lesson were analyzed and reconstructed to suggest implications, characteristics, teaching & learning content and basic activities in order to develop the early project-based teaching & learning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As a primary stage, the teaching & learning model was reviewed by 5 educational technology specialists to evaluate its validity in term of education method. It turned out explanation power, universality and understandability were invalid and IRA was 0.4, which needs to be revised and complemented over all. Based on improvements, secondary teaching &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followed by secondary evaluation by specialists. Secondary validity was evaluated in the same way of primary validity evaluation. Consequently, it turned out whole average was 4.64 while both CVI and IRA were 1.0. And it’s revised and complemented based on improvements to produce the third teaching & learning model which applied to the field finally. For external validation, the project-based learning using flipped learning—the third teaching & learning model revised and complemented was applied—was applied to the field for evaluation. Teachers who observed lesson evaluated while the learner’s response evaluation was carried out after application. Also, two classes of fifth grade in A,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N-gun, G-do were set a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had project-based learning using flipped learning about social studies while the control group had traditional social studies with same units for 3 weeks. Teachers who observed the project-based learning using flipped learning with teaching & learning model applied mentioned that it had positive impact on learners and suggested what needs to be improved. Student’s satisfaction was over 4.2 in all questions on average and most of them mentioned that it’s helpful in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participation, understanding in learning content, and capacity building as well. Only three of all students who completed pre-training had interview while taking their class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into account. Given that they’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arried out in the way they could answer on pros and cons and improvements liberally. To investigate influence of the class with the project-based teaching & learning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applied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problem-solving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paired t-test and ANCOVA were conducted based on results from pre and post 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class with the project-based teaching & learning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applied had positive impact on all sub-factors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problem-solving skills; problem recognition, analysis, divergent thinking, implementation, risk-taking, evalu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information gathering, overcoming fixed idea, creative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from others’ point of view. Improvements denoted on internal validation for 2 times and external validation and specialist and students’ opinion were reflected to develop final project-based teaching & learning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and the research findings reached at conclusion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d guidance in teaching & learning including concept of project-based learning using flipped learning applicabl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ctivity by each teaching & learning stage, class strategy, and consideration by each stage. Second, this study discovered logical teaching & learning model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not only preceding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but also systematic teaching & learning design process. Third, the project-based teaching & learning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developed in this study was in line with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hich focused on competency enhancement and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devoted to higher potential towards achievement standard and learning goal suggest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 중국 대학생 모바일 교육 지속적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황요장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9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mobile education.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college students from various regions of China and analyzed the data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results show that college students hold high evaluations of th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content quality, perceived autonomy,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mobile education. In terms of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the evaluation is slightly lower, and the expected confirmation evaluation is the lowest. In addition, males have higher evaluations of sustained use intenti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content quality, and perceived autonomy of mobile education compared to females. Age has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perceived autonomy, and education has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expected recognition and perceived autonomy. However, age and education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inuous use intenti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elf-efficacy, satisfaction, content quality, etc. Further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hows that perceived ease of use and self-efficacy are direct potential factors that affect Chinese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Perceived ease of use, content quality, perceived autonomy, and self-efficacy can indirectly affect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mobile education by influencing perceived usefulness. In addition, expected confirma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impact of content quality on satisfaction, while perceived usefulness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s of content quality on satisfaction and perceived autonomy on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education)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fitting degree of the model, but the model performs relatively stably and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demograph

      • 소셜미디어 플랫폼 UI 사용성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Facebook과 틱톡 (Tik Tok)의 비교를 중심으로

        Lu, Miao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9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verify how blog platform UI usability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and secondly,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is relationship. By deriving these results, it is intended to provide strategic implications for continuous development in the future to Korean-Chinese blog platform compani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Korean Facebook users and Chinese TikTok users, and 288 copies of Korea and 315 copies of China were used as analysis data, respectively. Summary at the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First, in samples from Korea and China, it was found that the ease of memory of the blog platfor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Based on these results, Facebook and TikTok application operators will need to improve their applications to make it easier for users to remember their functions in order to maintain them continuously. Second, in samples from Korea and China, it was found that the use efficiency of the blog platfor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Based on these results, Facebook and TikTok application operators will need to improve their system to quickly recommend similar content by recording existing user search patterns to further speed up their applications and make it easier for users to find what they want. Third, in Korean samples, the minimum error of the blog platfor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but in Chinese samples, the minimum error of the blog platfor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is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can be attributed to the long-term use of Facebook for Korean users and sensitive to errors in the application. In addition, Facebook has long tried to minimize dissatisfaction through user errors due to differences in operating experience and system technology but in China, TikTok is a start-up compared to Facebook, and there is a need to improve its experience and technology. Fourth, in samples from Korea and China, it was found that the ease of learning of the blog platfor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Based on these results, Facebook and TikTok application operators will need to get a good tutorial so that users do not have the burden of starting their applications for the first time and improve the system to make them easier to use. Fifth, in Korean samples, the subjective enjoyment of the blog platfor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but in Chinese samples, the subjective enjoyment of the blog platfor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may not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thinking because in the case of Korean users, Facebook uses a lot of other functions, such as showing their daily lives or knowing how friends are doing. However, in the case of TikTok in China, short videos are the main ingredients, so it can be seen that the intention to use them is improved more than when consumers enjoy themselves for a short time.

      • 인터넷방송 이용자의 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를 중심으로

        배홍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22

        새로운 매체의 등장이 기존 매체를 사용해 오던 수용자들의 행위를 변화시키듯이, 인터넷이라는 기술의 발전은 '인터넷방송(Webcasting)'이라는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을 가져왔으며, 이는 인터넷의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이라는 매체적 특성으로 인해 기존 미디어 수용자들의 행위를 변화시킬 것이다라는 가정 하에서 본 논문은 시작한다. 본 논문의 간략한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계속적으로 논의되어 오고 있는 인터넷방송의 개념과 국내현황을 정리하고 인터넷방송을 매체로써 간주할 수 있는 매체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기존 매체 이용에 있어 수동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던 '수용자'의 개념을 확장하여 능동적인 미디어 이용주체로서의 '이용자'라는 개념을 재정의하였다. 그리고 인터넷방송 이용자들의 설문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의 기존 TV 시청패턴이 어떠한지를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터넷방송 이용패턴, 이용동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인터넷방송의 커뮤니티 참여도와 만족도를 조사하고, 참여도와 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에 다음과 같은 3가지 연구문제를 가지고서 인터넷방송 이용에 있어서 현재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대학생 집단의 설문을 바탕으로 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1] 인터넷방송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TV 시청패턴을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 인터넷방송 이용자의 인터넷방송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인터넷방송 이용자의 커뮤니티 참여정도와 만족도는 어떠하며, 이들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논의되어 왔던 기존문헌들을 살펴보고, 이론적 토대로써 '이용과 충족 이론(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자료를 토대로TV 시청패턴, 인터넷방송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를 알아보기 위해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참여정도와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t-검증(t-test)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방송 이용자들의 TV 시청패턴과 인터넷방송 비이용자들의 TV시청패턴은 다소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인터넷방송 이용자들은 TV 시청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계획적이고 적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인터넷방송 비이용자들의 TV 시청에 있어서 다소 비계획적이고 소극적이며, 그 몰입정도가 다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인터넷방송 이용자들의 인터넷방송 이용패턴을 살펴본 결과, '계획적.적극적 이용', '비계획적.소극적 이용'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인터넷방송 이용동기를 살펴본 결과, 상호교류를 위해, 긴장해소와 기분전환을 위해,도피와 동반자를 위해, 습관과 시간보내기 위해라는 4가지 요인으로, 아직까지 인터넷방송 동기로 정보습득이라는 요인이 주요인으로는 부각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커뮤니티 참여도와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터넷 방송의 전체적인 평가에 있어서 점수 분포가 다양하였으나, 대체적으로 상위의 점수를 주고 있어 아직까지 인터넷방송 이용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음을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정보 이용에 있어서의 유료화에 대해서는 매우 반대하고 있으며, 아직 기술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만족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인터넷방송의 커뮤니티 참여도와 만족도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고 있었다. 인터넷방송의 영상시장 진입은 아직까지 그 시기가 초기단계이므로 본 논문의 결과만으로는 인터넷방송 이용자들의 이용행위를 일반화하기는 어려우나, 인터넷 방송의 영상시장 진입의 초기단계에서의 이용자들의 행위 및 동기변화와 만족도라는 측면에서 앞으로 인터넷방송의 발전에 있어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behavior and motivations of Users' in Webcasting using. The appearance of new media usually leads to the change of audience's media using patterns and motivations. The World Wide Web will change the using patterns and motivations of the other media such as TV, radio and cable TV. In addition, the technology made it possible to broadcast, narrowcast or pointcast texts and graphics in real time to users who have motivations to use contents. This study is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The uses 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 assumes a more active and goal-directed audience. According to this approach, audience members are seen as active media consumers because their media choices are based on gratifications they seek and benefits. Therefore, this study assumes that the possibility of interactivity in Webcasting brings about changing the behavior of audience who have used the existing media.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Q 1. What is different in television viewing patterns between Webcasting users and non-users? RQ 2. What are the motivations and patterns for using the Wedcasting? RQ 3. How i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nd how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To investigate these research questions, survey was conducted from 310 respondents in April 2002.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sections: Webcasting using motivations, Webcasting using patterns, respondents' degree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This study conducted the factor analysis that is a principal components solution with a varimax rotation to analyze Webcasting using motivations and using patterns and t-test to analyz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the television viewing patterns are different between Webcasting users and non-users. Webcasting users are activer than non-users. In Webcasting using patterns, there are two patterns. In Webcasting using motivations, there are four motivations-passing time, companionship and escape, arousal and relaxation and interactivity. Finally, there is not a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most of the respondents actively participates in Webcasting and mostly are satisfied with contents. In a changing media environment, the Webcasting is developing into a medium by allowing two-way communication and encouraging participation.

      • 드라마를 활용한 중국인 이야기치료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방안 연구 : 중급 학습자 대상으로

        DU, YIMENG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22

        본 연구는 이야기치료를 원하지만 속마음을 표현하지 못하거나 심리 의사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이야기치료에 관련 말하기 교육 방안을 돕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먼저 말하기와 이야기상담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이야기치료를 원하지만 상담을 원활하게 받지 못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 한국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드라마를 활용한 교육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말하기 교육 및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환경,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이야기치료의 선행연구도 이루어졌다. 제2장 이론적 배경은 말하기 교육의 개념, 정의, 목표와 말하기 교육의 내용 원리 그리고 우울증과 불안감의 정의, 이야기치료의 개념 등 기본적인 이론적 배경을 먼저 살펴보았다. 이어 드라마를 활용한 말하기 교육의 개념, 드라마를 활용한 말하기 교육에서의 역할과 드라마를 활용한 교육의 가치를 통해 한국어 말하기 교육과 드라마를 활용한 말하기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여 이후의 연구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제3장에서는 제1장 2장의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 내용을 분석하고 바탕으로 ‘이야기치료를 위한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방안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를 작성하여 외국인 학습자 100명과 한국어 교사 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라서 학습자의 말하기 교육에 대한 욕구를 분석하고 한국어 교사들의 경험과 교사들의 의견을 파악했다. 그리고 본 장에서는 드라마 선택의 기준과 함께 <영혼수선공>이라는 드라마를 선택한 이유도 소개한다. 제4장에서는 <영혼수선공>을 활용한 이야기치료에 대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드라마를 활용한 말하기교육의 모델을 연구했다. 그리고 <영혼수선공>을 활용한 말하기 수업 모델을 제시하여 12명 한국어 수준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후에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수업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제4장의 연구 내용을 정리하여 본 연구의 가치와 의의를 요약 하고, 실제적인 교육 방안에 대해 정리한다. 또한, 향후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심리적 건강을 위한 특화된 말하기 교육 발전 전망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help foreign students who want psychological treatment but cannot express their inner feelings or understand the words of a psychologist. This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5 chapters, and each content is as follows. Chapter 1 first explains the importance of speaking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In addition, for foreign students who want story therapy but do not receive counseling smoothly,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educational research using dramas were raised. In addition, the environment in which speaking education and Korean speaking education using dramas are presented, Korean speaking education using dramas, and previous studies on story therapy were conducted.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examined the basic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the concept, definition, goal, and content principle of speaking educ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Korean speaking education and drama-based speaking education is described through the concept of speaking education using dramas, role in speaking education using dramas, and value of education using dramas to help understand the subsequent research process. Chapter 3, a survey was conducted on 100 foreign learners and 58 Korean teachers by analyzing the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 in Chapter 1, 2 and preparing a survey for 'Study on Korean Speaking Education Using Drama for Story Therap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learner's desire for speaking education was analyzed, and the experiences and opinions of Korean teachers were identified. And this chapter introduces the reason why I chose the drama "Soul Repairer" along with the criteria for choosing the drama. Chapter 4, a model of speaking education using dramas was studied to study Korean speaking education plans for story therapy using <Soul Repairer>. In addition, an experimental class was conducted for 12 intermediate learners by presenting a speaking class model using <Soul Repairer>. After the experiment, a class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for the subjects. Finally, Chapter 5 summarizes the research contents of Chapter 4, summarizes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mmarizes actual educational measures. In addition, the outlook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speaking education for the psychological health of foreign students in future Korean speaking education was presented.

      • 중국 대학생들의 틱톡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주우형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21

        본 연구는 연구 문제와 연구 가설을 탐구하기 위하여, 틱톡을 사용하여 중국 대학 생을 연구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했다. 틱톡 운영자 특성 인식, 플랫폼 속성 인식, 메시지 속성 인식이 틱톡 사용 만족도와 지속 사용 의도의 관계 연구하여 실증적 검증 결과를 밝혔다. 그리고 사용 만족도에 따라 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연구하고 또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폈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한국어, 중국어 두 개 버전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했다. 최종 370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 으며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363명의 응답이 설문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은 틱톡 운영자 특성의 인식에 대한 사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운영자 특성 중 인지도, 전문성, 매력성은 모두 사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연구 문제 2는 틱톡 플랫폼 속성 인식에 대한 사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플랫폼 속성 중 이용 편리성, 콘텐츠 다양성은 모두 사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연구 문제 3은 틱톡 메시지 속성 인식에 대한 사용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메시지 속성 중 오락성, 정보성, 유용성 은 모두 사용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연구 문제 4는 사용 만족도에 대한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틱톡의 사용 만족도는 지속 사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결과적으로, 틱톡 짧은 동영상 특성 중 운영자 특성, 플랫폼 속성, 메시지 속성이 높을수록 틱톡 사용 만족도가 높 다. 사용 만족도가 높을수록 틱톡 지속 사용 의도가 높다. 이 점은 회귀분석에서도 검증됐다. 연구 문제 5는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했다. 틱톡의 운영자 특성에 대한 인 식은 풀랫품 속성과 메시지 속성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 검정 결과에 따르면 틱톡의 운영자 특성에 대한 인식은 풀랫품 속성과 메시지 속성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문제 6은 틱톡 운영자 특성 인식, 플랫폼 속성 인 식, 메시지 속성 인식 그리고 사용 만족도가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위 계적 회귀분석 검정 결과에 따르면 유용성, 사용 만족도, 콘텐츠 다양성 지속적 사 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surveye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using TikTok to explore research problems and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of empirical verification were revealed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ikTok operator characteristic recognition, platform attribute recognition, and message attribute recognition between TikTok us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we studied whether it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according to use satisfaction, and examined how it also affects it. To study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two versions, Korean and Chinese. The final 37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363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data, excluding unfaithful respond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explored the effect of TikTok operator's characteristics on us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wareness, expertise, and attractiveness among operator characteristics a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use satisfaction. Research Question 2 explored the effect of TikTok platform attribute recognition on us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mong platform attributes, both ease of use and content diversity have a positive (+) effect on use satisfaction. Research Question 3 explored the effect of TikTok message attribute recognition on us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entertainment, information, and usefulness among message attributes a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use satisfaction. Research Question 4 explored the effect of continuous use intention on us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atisfaction with TikTok's use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As a result, among the short video characteristics of TikTok, the higher the operator's characteristics, platform attributes, and message attribute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ikTok us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use,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ikTok. This point was also verified in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Question 5 was verifi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c 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test, the perception of TikTok's operator characteristic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ttributes of the grassroots and messages. Research Question 6 is that the influence of TikTok operator characteristics recognition, platform attribute recognition, message attribut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with us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has a positive effect on usefulness, satisfaction with use,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content divers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