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원발의 법안의 가결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18대 국회 상임위원회를 중심으로

        박윤희 동국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911

        Legislative bills(proposed by the Assembly members) tend to outnumber bills proposed by the government since the 17th National Assembly and as a result, the role of the standing committees becomes more important than ever in the legislation process. In step with this trend, the academic circles have been continuing to have more quantitative, qualitative research for analysis of various aspects in legislation process. Of these research, quantitative precedent studies for legislation process of the Assembly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whether analysis target is a plenary session, standing committee, and also whether analysis unit is an Assembly member or bill. However relatively rare has been the study on passing of legislative bills at the level of standing committees, focusing on legislative bills for its analysis unit while analysis target is a standing committee. This study largely divided determinant factors of passing of legislative bills in standing committees into personal factor related with characteristics of representing proposers of legislative bills, factor related with characteristics of standing committees based on theory of committee and policy factor related with budgets as characteristics of legislative bills. Firstly, as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study considered measuring variables such as the political party of the representing proposer, seniority of the representing proposer, the number of the Assembly members joining the representing proposal, whether the representing proposer had been chosen as an excellent legislator. Secondly, based on theory of committee, the study considered characteristics of standing committees. Specifically, three theories related with activity and allocation of standing committees are Distributive theory, Informational theory, Partisan theory. Lastly, the study, considering the extent of the expenses of the bills as characteristics of policy, presumed that affordable budget to support the bills could have a certain impact on passing of the bill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passing of bills at the level of standing committees,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FGI) among assistant staff of the Assembly members - field experts of legislation. Noting characteristics of standing committees influencing passing of bills, the study also conducted exploratory case study whether theory of committee could be grasped as systematic characteristics of standing committees. Through qualitative methodology(FGI and case study) as such, the study explored factors influencing passing of bills in the context of Korea's Assembly and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nhance strictness of analysis. Above all, the study had major analysis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below. Overall, the following factors had positive influence on passing of bill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whether the proposer of the bills belongs to the ruling party, the number of the Assembly members joining the representing proposal, whether the representing proposer had been chosen as an excellent legislator; Of characteristics of standing committees, allocation ratio of special grant on the standing committee(Distributive theory), whether the proposer belongs to the relevant standing committee (Informational theory), whether the chairman of the standing committee belongs to the ruling party(Partisan theory); as control variable, dummy variable in 2008. On the other hand, of characteristics of policy, affordable budget to support the bills had no influence. What is noteworthy in this study is the fact that theories of committee understood as systematic characteristics of standing committees had positive influence on passing of bills. Especially each factors measur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ory of committee (allocation ratio of special grant on the standing committee as distributive factor, whether the proposer belongs to the relevant standing committee as informational factor, whether the chairman of the standing committee belongs to the ruling party as partisan factor) had positive influence on passing of bills simultaneously. This finding is an empirical result substantiating recent theoretic argument that theory of committee does not work exclusively, and is expected to offer a cue for productive discussion in future research. Of factors having positive influence on passing of bills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had following stochastic result regarding influence level on passing of bills. First of all, in case of the variable of whether the proposer was chosen as an excellent legislator, the bill proposed by the Assembly members as excellent legislator was estimated to have more passing probability by 1.65% than that otherwise. The increasing level of probability of passing of bills according to distributive, informational and partisan factors out of characteristics of standing committees was estimated to be higher than tha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which focused on passing of bills at the level of standing committees as above, may be differentiated from precedent studies in the perspectives as below and is expected to have great theoretical contribution.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multilateral and integrate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with factors influencing passing of bills divided into personal factors, factors related with characteristics of standing committee and factors related with characteristics in policy. Second, it is differentiated from precedent studies in that it grasped characteristics of standing committees based on theory of committee. Third, it is meaningful in that in order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passing of bills at the level of standing committees, the study conducted analysis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y at the same time. Despite such theoretical contribution, this study had limits as below and needs to be supplemented by next research. Firstly, it has certain limits in generalizing analysis findings as the analysis was confined to four standing committees in the 18th National Assembly. And its research result may have certain limits because the study was not able to monitor all the Assembly members steadily. Thus, future research needs to expand its analysis targets and analyze legislation process in a more dynamic way. Secondly, it leaves the question of the validity of measuring variables established. Thus, future research needs to consider the reality of the country's legislation and reflect characteristics of theory of committee to supplement validity of measuring variables. 17대 국회 이후에는 의원발의 법안이 정부발의 법안을 압도하면서 입법과정에서 국회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에 맞춰 학문의 영역에서도 국회 입법 활동의 다양한 양태를 분석하기 위한 양적·질적 연구들도 지속적으로 증가해오고 있다. 이들 연구 중에서 국회 입법과정을 계량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한 양적 선행연구들은 분석대상이 본회의인지 상임위원회인지 그리고 분석단위가 의원인지 법안인지에 따라 구분 가능하다. 이러한 구분을 따를 때 분석대상이 상임위원회이면서 분석단위를 법률안에 초점을 두는 상임위원회 수준에서의 법률안의 가결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약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임위원회에서 의원발의 법안의 가결에 미치는 요인을 크게 의원발의 대표 발의자의 특성과 관련된 개인적 요인, 위원회 특성 요인으로서 위원회의 이론, 그리고 의원발의 법률안의 특성으로서 예산 수반과 관련된 정책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개인적 요인으로서 의원발의 대표 발의자의 소속정당, 대표발의자의 선수(seniority), 대표 발의에 동참한 공동발의 의원 수, 대표발의자의 우수입법의원 선정 여부의 측정변수를 고려하였다. 둘째, 위원회 이론에 근거한 상임위원회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임위원회 활동과 배정에 관한 세 가지 이론은 이익분배이론(Distributive theory), 정보확산이론(Informational theory), 정당이익이론(Partisan theory)이다. 마지막으로 법률안의 정책적 특성으로서 법안의 비용부담 정도를 고려하여 예산 수반 여부가 법률안 가결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임위원회 수준의 법률안 가결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입법현장의 전문가인 의원의 보좌직원에 대한 표적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실시하였다. 또한 법률안 가결에 영향을 미치는 상임위원회의 상임위원회 특성 관계 요인에 주목하여 위원회 이론을 상임위원회의 제도적 특성으로 파악 가능한지에 대한 탐색적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질적 방법론(FGI와 사례분석)을 통해 한국 국회 현실에서 법률안 가결 영향 요인을 탐색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으로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분석의 엄밀성을 제고하였다. 먼저,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개인적 요인으로서 법안 발의자의 여당 소속 여부, 공동발의자 수, 우수입법의원 선정 여부, 상임위원회 특성 관계 요인으로서 특별교부금 상임위 배정비율(이익분배 이론), 발의자 해당 상임위 소속 여부(정보확산 이론), 상임위원장 여당 여부(정당이익 이론), 그리고 통제변수로 2008년 연도 가변수가 법률안 가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반면, 정책적 특성 요인으로서 법률안의 예산 수반 여부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상임위원회의 제도적 특징으로 파악한 위원회 이론들이 법률안 가결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위원회 이론의 특징에 근거하여 측정된 각각의 요인들(이익분배요인으로서 특별교부금 비율, 정보확산요인으로서 발의자 해당 상임위 소속 여부, 정당이익 요인으로서 상임위원장 여당 여부)이 모두 법률안 가결에 동시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위원회 이론이 배타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고 보는 최근의 이론적 논의를 뒷받침하는 실증 결과로서 차후 연구에서 보다 생산적 논쟁의 단초를 제공해 줄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법률안 가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에서 법률안 가결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확률적으로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인적 요인으로서 발의자의 우수입법의원 선정 여부 변수의 경우, 우수의원으로 선정된 의원이 발의한 법안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가결될 확률이 1.65%p 정도 높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개인적 요인보다는 상임위원회 특성 관계 요인으로서 이익분배 요인, 정보확산 요인, 정당이익 요인의 변화에 따른 법률안 가결 확률의 증가폭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상임위원회 수준에서 법률안의 가결 여부에 초점을 두는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지니며 이론적 기여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법률안 가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요인, 위원회 특성 요인, 정책적 특성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다차원적·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둘째, 위원회 특성 요인으로서 상임위원회의 특징을 위원회 이론에 기초하여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셋째, 상임위원회 수준에서 법률안 가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을 동시에 활용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적 기여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연구의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추후연구에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18대 국회 4개의 상임위원회에 한정하여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분석 결과의 일반화에 있어 일정한 한계를 지닌다. 또한 모든 국회의원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현상을 살펴보아야 하지만 그렇지 못했다는 점에서 결과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을 확대하여 보다 동태적인 입법과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측정 변수의 구성 타당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 입법 현실을 감안하면서 위원회 이론의 특성을 반영한 변수 측정의 타당성이 보완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개발손실에 관한 공법적 연구

        배명호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873

        <Abstract> As seen in the recent confli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over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Miryang electricity transmission tower, it is hard to smoothly execute national projects without resolving confli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Thus, national competitiveness will be secured only when the confli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are resolved and the society is consolidated by guaranteeing the property rights of the people. So institutional·juridical provisions and solutions for the conflict resolution are required. To this end, the loss that causes conflicts is conceptually defined as "Worsenment". As for the research background, the legislations and principles of the loss compensation has focused on expropriation compensations so far. Therefore, the infringement of the residents' property rights on the non-preference facilities that are not the objects of expropriation has not been recognized as the objects of expropriation compensation. Worsenment has occurred with respect to the execution of numerous public projects. It has never been observed under compensation legislations and principles that cover only compensation for direct infringement on the property right, and even there hasn't been any question posed. This stems from the dualistic perspective that project operators take on worsenment, seeing them as 'social constraints and not special sacrifice'.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 of worsenment, based theoretically on transition tendency of the Constitution's guarantee of the property rights and the object of compensation for loss. To seek a way to legislate the compensation for damage on worsenment, the public projects were categorized into electric source development(Type 1), construction of dams and national defense·military facilities(Type 2), and noise·waste treatment facilities(Type 3). The concepts of livelihood compensation and 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 were compared and differentiated. Also, the present legislations on worsenment were examined to find the legal basis. A possibility to solve the compensation for worsenment is examined by the principles of administrative compensation for loss or damages as well.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of regulating the discretion of planning for resolving public conflict from worsenment and introducing a compensation system of balance. The first principle is a democratization of the administrative process so that the landowners of the planned district and the third parties from outside the public project district can procedurally participate from the establishment step of the administrative plans. The next step was a research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as to compensate for the worsenment to persons suffering from loss or damage. As the cause for loss is different from each type, the method of protecting rights must also be legislated differently. Thus, they should be solved through different methods, like the support system for neighboring areas, and compensation for damage·loss system, etc. Even if they were of the same type, there were problems of fairness of each legisl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request for purchase system was legislated, and a compensation system of balance, along with the request for purchase system is especially sugges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the U.S. regarded it as special sacrifice if it was regulatory takings and as social constraints if it was general police power, and introduced inverse condemnation similar to request for purchase system. it is examined that the implications of the expropriation infringement theory, an unpredictable and random infringement, to the compensation for damage from worsenment. Compared to the current expropriation compensation, worsenment is related to ① indirect loss, ② social restraint and not special sacrifice, ③ those not object to expropriation, ④ theory of legislation on compensation of loss for the third parties of administrative actions with the third party effect. It is proved that the legitimacy and practicality of preparing funding through studying the support system for neighboring areas and the exclusion of development gains and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and introduced; a revision of the current Land Compensation Act introducing the definitions of betterment and worsenment, the definition of non-preference facilities, the definition of landowners and the concerned who reside outside of the public project districts that have the status of the third parties, clarification·systemization of public projects, and instituting compensation system of balance. Introduction of regulation on conflict impact analysis·worsenment, the need for legislating "Military Noise Control Act"(tentative), and the need for revising related law on request for purchase system, etc. are also suggested. Along with this,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was sought for so as to substitute lawsuits.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worsenment was defined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concepts of livelihood compensation·compensation for indirect loss. The subject of compensation for worsenment is the third party that is outside the public project district unlike the case of expropriation compensation. From the very establishment of the administrative plans, procedural participation from the private sector proposed problems and suggested enhancement of the administrative process and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based on related legislation. It proposed a practical theory of legislation and the legitimacy of funding for legislations on worsenment. It is the institutional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that when public benefit is acknowledged through a comparison of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the sufferer of loss shall receive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in line with the principles of justice·fairness and the nation or project operator shall ease of the burden to prepare funding for the revised legislation. <국문초록> 최근에 밀양송전탑 건설 등 국책사업으로 야기된 공·사익 갈등의 예에서 보듯이 국책사업의 원활한 시행은 공·사익간의 갈등을 해소하지 아니하고는 매우 어렵게 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즉, 국민의 재산권보장을 통하여 공·사익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사회통합을 이루어만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갈등해소를 위한 제도적·법리적 방안의 접근과 모색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갈등원인이 되는 손실을 개념적으로 지칭할 용어를 “개발손실”로 칭하였다. 연구배경은 지금까지 손실보상 법제나 손실보상 법리는 수용보상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었다. 따라서 수용목적물이 아닌 주민이 선호하지 않은 시설의 주변지역 주민의 재산권 침해에 대해서는 보상대상으로 인정하지 않았었다. 개발손실은 지금까지 수많은 공익사업의 시행과 관련하여 발생하였으나, ‘직접적 침해’에 대한 손실보상만을 논의 대상으로 한 손실보상 법제와 법리하에서는 주목을 받지 못하였음은 물론 문제제기도 제대로 되지 않았었다. 이는 현실적으로 개발손실에 대하여 ‘특별한 희생이 아닌 사회적 제약’의 문제로만 바라보는 이원적 시각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손실”의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헌법상 재산권보장과 손실보상대상의 변천경향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다. 개발손실침해에 대한 손해전보를 개선하여 법제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공익사업별로 즉, 전원(電源)개발사업(제1유형), 댐건설 사업과 국방·군사시설사업(제2유형), 소음·폐기물처리시설 등 환경침해시설 사업(제3유형)으로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생활보상이나 간접손실(사업손실)과의 개념을 비교하여 구별하였다. 이에 더하여 현행 개발손실에 관한 입법 현황을 검토하여 그 법적 근거를 찾는 노력을 하였다. 또, 개발손실에 대한 보상을 행정상 손실보상 및 손해배상의 법리로 해결 가능성 여부도 검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손실로 인한 공공갈등해소를 위해서 계획재량통제와 차액보상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공공갈등해소 법리로, 첫 번째 사업예정구역 토지소유자와 공익사업지구 밖의 제3자 모두가 최상위 행정계획의 수립단계에서부터 참여하는 행정절차의 민주화이다. 다음 단계에서 개발손실침해를 당한 자에게 손해를 전보하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여 연구하였다. 세 가지 유형에 따라 침해 원인이 다르므로 권리구제의 방법도 다르게 법제화해야 한다. 즉, 주변지역지원제도, 손해배상·손실보상제도 등에 의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같은 유형임에도 매수청구제도의 법제화 유무에 따른 각 법률의 형평성이 문제되었고, 특히 매수보상제도 외에도 차액보상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비교법적 검토에서는 미국은 규제적 수용에 해당하면 특별한 희생, 일반적 규제권에 해당하면 사회적 제약으로 보며 매수청구제도와 같은 역수용소송을 소개하였다. 예견할 수 없는 우연한 침해인 수용적 침해이론이 개발손실침해 손해전보에 주는 시사점을 검토하였으며, 일본의 간접손실 법리를 참고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개발손실을 유형별로 법제화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검토하였다. 개발손실은 현행 수용보상과 비교해서 ① 간접적인 침해이고, ② 특별한 희생이 아닌 사회적 제약이며, ③ 수용목적물이 아니고, ④ 제3자효 행정행위에서의 제3자의 지위에 있는 손실보상 입법론에 관한 것이다. 주변지역지원제도와 개발이익배제 및 환수의 연구를 통하여 재원마련의 정당성과 현실성을 입증하였다. 현행 토지보상법 개정 제안으로 개발이익 및 개발손실 정의, 비선호시설 정의, 공익사업시행지구 밖의 제3자 지위의 토지소유자 및 관계인 정의 신설, 공익사업의 명료화·체계화, 정당보상 실현을 위한 개선, 차액보상 규정 신설 등을 제안하였고, 갈등영향분석·개발손실분석 규정 도입, (가칭)「군 소음법」의 제정 필요성, 매수청구제도 입법개선론 등 관련 법률의 개정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에 더하여 소송 대체적 분쟁해결방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특히 개발손실의 개념을 정의하였고, 생활보상·간접손실(사업손실)보상과 개념을 비교하여 구별을 하였다. 개발손실침해 보상의 상대방은 수용보상의 경우와는 달리 공익사업지구 밖의 지역 주민인 제3자의 지위에 있는 자가 중요한 피침해 이익의 당사자임을 주장하였다. 최상위 행정계획 초기단계부터 민간참여를 통한 행정절차와 침해 근거법률의 권리구제방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점을 지적하였다. 개발손실에 대한 법제화를 위한 재원마련의 정당성과 현실성 있는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공·사익 비교형량을 통하여 공익성이 인정되는 비선호시설 공익사업의 시행으로 개발손실의 피침해자에게는 정의·공평의 원칙에 부합하는 권리구제를 실현해 주고, 국가 및 사업시행자에게는 개정 법률에 따른 재원마련의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한 제도적 의의를 갖는 것이라 하겠다.

      • (An) effect of anti-islamic party sentiment to algerian legislative election after the Arab uprising

        서아람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862

        An Effect of Anti-Islamic Party Sentiment to Algerian Legislative Election after the Arab Uprising 2010년 튀니지를 시작으로 아랍 전역에 경제적, 정치적 변화를 요구하는 혁명이 이어졌다. 이 후, 아랍 지역은 정치적 변혁의 시기로 들어섰으며 이 후 의회 선거는 이전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그 중 알제리의 2012년 의회 선거는 독특한 결과를 보여줬는데 기존 정당(FLN)이 재집권과 더불어 지난 선거보다 상승된 의석 수를 확보한 것이다. 이는 인근 국가인 모로코, 튀니지 그리고 이집트에서 아랍의 봄 이 후 이슬람적 가치를 전면에 내건 이슬람 정당이 우세한 것과는 대조되는 결과이다. 이 연구는 2012년 알제리 의회 선거 결과 중 이슬람 정당인 녹색 알제리 연합(AAV)이 실패한 원인을 1991년 의회 선거에서의 이슬람 정당(FIS)의 득세와 이에 대한 군부의 선거 결과 무효화, 그 후 10년 간 군부와 이슬람 무장세력간 전투가 빚어낸 피해로 알제리 국민들 사이에 이슬람 정당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만들어 냈기 때문이라고 가정하고 진행되었다. 다운즈의 ‘합리적 선택 이론’을 바탕으로 알제리 국민은 기존 정당과 이슬람 정당이 주는 편익을 비교하여 이슬람 정당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보고 이를 입증하기 위해 선거 전 한 달간 10개의 알제리 신문에 나타난 이슬람 정당에 대한 대한 기사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알제리 신문사에 게재된 녹색 알제리 연합에 관한 기사는 1당인 FLN과 2당 RND 대비 18%에 불과하여 녹색 알제리 연합에 대한 여론과 국민의 관심이 다른 당에 비해 적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녹색 알제리 연합은 세 당에 연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정당과 차별화 된 선거 전략을 내놓지 못하면서 튀니지, 이집트, 모로코와 같이 이슬람 정당이 부상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국민들의 관심과 표를 받지 못하였다. 알제리는 10년이 넘는 내전 동안 폭력적인 이슬람주의자들의 행태를 목격하였고, 다시 이슬람 정당이 집권함으로 야기할 혼란을 차단하였다. 2014년 대통령 선거에서 압둘 아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이 4선에 성공함으로 알제리는 정치적 변화로 인한 혼란의 비용을 치르기보다는 기존 체제의 장기간 집권을 허용함으로 정치적 안정을 유지하는 편을 택한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An Effect of Anti-Islamic Party Sentiment to Algerian Legislative Election after the Arab Uprising When the Arab uprising occurred in 2010, various aspects of the political change followed this event in the Arab world. Among them, the elections in the Arab states were the most significant indicators of this change. This research examines the case of the 2012 Algerian legislative election, because Algeria also experienced the Arab uprising during that time,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 dominant ruling party. While the Islamic party expanded their influence and got the majority of votes in the parliamentary election in the neighboring countries Tunisia, Egypt and Morocco, the Algerian Islamic party did not succeed in overthrowing the previous regime. The assump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Algeria has a different political experience, which was that the Islamic party won in the 1991 election, but a military coup cancelled the election results and outlawed the Islamic party. This was the touch off for the brutal 10 year civil war, and this research hypothesizes that the trauma from this civil war caused anti-Islamic party sentiment among the Algerian public and affected the 2012 legislative election results.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rational choice theory’s assumption that the voter has rationality and casts a vote based on who reflects their opinions more closely.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traces the Algerian Islamic party history, and takes measures of news articles during the election period to try and find a causal relationship with anti-Islamic sentiment and the failure of the Islamic party in the 2012 legislative election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Algerian newspapers did not cover the Islamic party as much as the ruling party during the election period. Rather than hostility towards the Islamic party, the Algerian public and press seem to be indifferent towards them. Thus, the election results mean that Algerians did not consider the Islamic party to have the capacity to bring about political change along with stability of the state, and did not expect the Islamic party to succeed politically even after the Arab uprising and the case of other states.

      • 주택재개발사업의 세입자보호를 위한 제도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주택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김해숙 명지대학교 부동산유통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67

        본 연구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법령상 4개 도시정비사업 중 서울특별시 주택재개발사업의 세입자호보를 위한 문제점과 제도개선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러나 주택재개발사업 추진과정에서 언제나 관련 주체들인 세입자와 조합 사이 또는 세입자와 시공사 사이에 분쟁이 발생할 개연성이 많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하면 지혜롭게 잘 극복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 향후 연구과제로 남는다고 하겠다. 위와 같은 향후 연구과제를 염두에 두면서 서울특별시 주택재개발사업의 세입자보호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법·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 세입자 관련 법령 중 서로 충돌하고 있는 법령과 규칙 등 사이에 모순·저촉되는 문제 있는 규정을 검토하여 법령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게 명확하고 통일적으로 정비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주거이전비지급 시기조정과 세입자보호원칙을 요한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상의 주거이전비 지급기준일은 정비사업 구역지정 공람공고일이 사업의 시작단계이므로 이날로 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세입자보호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사업시행인가일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세입자 비용의 건물주 부담원칙의 정립을 요한다. 주택재개발사업의 세입자 대책비용은 건물주가 부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조합이 보충적으로 부담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서울특별시가 2009. 7. 1.부터 전면 도입하고 있는 공공관리제도는 새로 출범하여 기대되는 제도로서 위와 같은 세입자 대책 비용마련을 위해서는 필요한 제도로 정착될 것을 요한다. 넷째, 분쟁조정위원회 설치 및 시행이다. 주택재개발사업의 진행과정에서 분쟁이 발생할 경우 각 구청 및 서울특별시에 전문가와 이해관계인으로 구성된 분쟁조정위원회를 설치하거나 또는 공공관리제도를 통하여 분쟁을 원활하고 조속하게 해결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재정착을 위한 법적 보호장치 마련과 세제혜택 부여이다. 주택재개발사업 후 세입자의 재정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주거 및 상가세입자에 대한 정착자금을 지원하고 주거권에 대한 세제혜택을 주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주택재개발사업의 세입자에 대한 기본시각을 원래 세입자도 주택재개발사업구역에서 재산권과 주거권이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지위에 있는 놓여 있는 우리의 다정한 이웃이라고 보고 있는 점이다. 그들도 주택재개발과정에서 낙오되지 않고 토지등 소유자 등과 더불어 주거환경이 개선되고 삶의 질이 높아지는 주민으로 주택재개발사업 후에 다시 원래 살던 주거지로 재정착하여 살았으면 하는 소박한 바람이다. 그것이 분열된 국론을 한데 모으고 이른바 사회통합(Social Mix)을 실현하는 지름길이 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the tenant protection of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one of four urban and residential readjustment projects as well as the scheme to improve its system. But there is a high likelihood that the dispute may always occur between related agents such as tenant and association and between tenant and construction company in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For this reason, the future research task remains to study how wisely this should be overcome well. With the future research task in mind, the scheme to improve the system to protect tenants in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in Seoul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related laws and institutions.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contradictive and conflicting provisions at issue among the mutually conflicting of tenant-related statutes and rules and to improve them in a clear and unifying fashion so that any crash may not occur between laws and regulat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eriod of paying the residential mobility expenses an establish the tenant protection principle. Seeing that the notice date of designating the readjustment project district is the stage of project commencement, it is prescribed to be the basis day of paying the residential mobility expenses in the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adjustment Law」. But to reinforce tenant protection, it is valid to set the approval day of project execu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inciple that the homeowner should bear the costs for the tenant and the association should bear them in addition. Fourth, the guidelines for dispute settlement should be established and enforc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spute arbitration committee composed of interested persons in each district office and Seoul government and settle the dispute through the public management system in a smooth and speedy way in case the dispute occur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Fifth, it is possible to consider inducing tenants to resettle and conferring tax benefits for the right of residence on them. To induce tenants to resettle after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is complet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ystem to give an incentive to deregulate the floor area ratio to the readjustment developer taking the so-called measures for tenants, provide support for the housing and shopping center tenants. In this study, the basic perspective on tenants in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is that they are originally viewed as our friendly neighbors whose property right and residence right in the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district are socioeconomicially placed in a disadvantageous position. It is desirable that as the residents whos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are improved, they should not be kicked out in the process of housing redevelopment but resettle themselves and live with landowners in the same place as they originally lived. It becomes the shortcut to form the disrupted public opinion and realize the so-called social mi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