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alysis of the Potential of Saemaul Undong as a Community-Led Development Model in Conflict-Affected Countries : Focused on Promoting Postwar Regional Recovery Policy in Ukraine

        Stanislav, Rieznik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447

        분쟁 후 재건은 단순한 물리적 인프라 재건에서 포괄적인 경제 부흥으로 발전했다. 현대 패러다임은 경쟁력 회복, 생산 개선, 생활 수준 향상을 목표로 하는 혁신적인 전략을 강조한다. 마샬 플랜과 같은 역사적 사례는 성공적인 회복을 위해 상당한 해외 원조와 구조화된 경제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지역사회 중심 개발(CDD) 접근 방식은 지역 사회에 권한을 부여하고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분산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한국의 새마을 운동을 비롯한 다양한 글로벌 맥락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주인의식, 사회적 결속, 지역 거버넌스 역량을 강화한다. 동유럽은 지난 30년 동안 수많은 영토 분쟁에 직면해 있었으며, 러시아는 크림반도, 돈바스 등의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2014년 이후 이러한 분쟁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대응에는 상당한 정치 및 경제 개혁이 포함되었다. 현재 진행 중인 러시아와의 전쟁으로 인해 포괄적인 재건 전략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유럽의 관행에 부합하는 우크라이나의 지역 개발 전략은 사회적 결속, 경쟁력 및 효과적인 거버넌스를 강조한다. 본 연구는 우크라이나 새마을운동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지역 회복과 지역사회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 참여와 국제적 지원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분쟁 후 재건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 분쟁 후 상황에서 CDD 접근 방식에 대한 이론적 검증은 사회 및 경제적 복지 개선, 사회적 결속 및 사회적 자본, 거버넌스라는 세 가지 주요 목표를 확인한다. 우크라이나와 한국 전문가와의 인터뷰에서는 하향식과 상향식 방법을 결합한 새마을운동 모델의 통합적 접근방식과 우크라이나의 전후 복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강조한다. 주요 결과는 해외 재건 지원의 상당 부분이 지방 정부를 지원해야 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 특히 농촌 지역에서는 효과적인 프로젝트 구현을 위해 기술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 새마을운동 모델은 생활환경 개선, 소득 창출, 지역 거버넌스 역량 구축, 사회 결속 강화에 초점을 맞춘 지역 차원의 기술 지원 및 시범 프로젝트 역할을 할 수 있다. 소규모 농업과 전통적인 상호 지원 시스템에 대한 모델의 강조는 우크라이나 농촌 지역 사회의 요구에 부합하며 지속 가능한 개발을 지원한다. 본 연구는 새마을운동 모델이 우크라이나의 전후 복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포괄적인 틀을 제공하고, 지역 개발과 유럽 통합 노력을 지원할 상당한 잠재력을 제공한다고 결론지었다. CDD 원칙의 통합은 지역 역량 강화와 지속 가능한 개발을 강조하면서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실행 가능한 전략으로 제안되었다. 이 연구는 새마을운동의 국제적 적용에 관한 문헌의 중요한 격차를 해소하고 지리적 범위를 동유럽으로 확장하며 분쟁 영향 환경에서 CDD 모델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킨다. 이번 연구 결과는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의 복잡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공적인 국제 개발 모델을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유사한 맥락에서 정책 결정 및 실행 전략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 Requirements for successful adoption of Saemaul Undong : based on project in Cambodia

        신윤주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12 국내석사

        RANK : 232447

        The Saemaul Undong has been recognized as a successful example of rural development. It is considered to unique Korean development model which was community-based rural development project aiming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in rural areas. On the strength of its success, many developing countries want to adopt Saemaul Undong to follow Korea’s success. There are several factors for success of Saemaul Undong, and those are government commitment, governance system, and village-level contribution. There are many researches about Saemaul Undong highlighting its integrated approaches as factor for success, but this thesis will focus on Saemaul Undong’s bottom-up approach that boosting development activities and empowering capacity of rural people. The thesis argues four requirements for successful adoption based on pilot project of Saemaul Undong in Cambodia which was implemented by UNESCAP in 2004. The first requirement is homogeneous community sharing social norms or having possibility to develop the norms. Second, autonomy to people in bottom-level is required for active participation and efficiency. Third, the Saemaul Undong should be started with leadership cultivation through education to establish initial stage for further development. Lastly, glocalization is necessary to adjust development process to target community. It concludes by providing arguments about challenges to develop Saemaul Undong as a development model for today. Korea should develop Saemaul Undong as a brand representing rural development model, help to build confidence among villagers, and implement development project with humanitarian motivation for more effective adoption.

      • 국제개발협력에서 사회자본의 형성과 여성 역량의 역할 : ‘르완다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을 사례로

        김고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426

        This dissertation provides a critical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social capital as applie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with a focus on Western social capital discourse. Additionally, it seek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developing countries.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ocial capital created through the Saemaul Undo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s a Korean rural development cooperation model.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creation, activation, and enhancement of social capital in four communities—Kigarama, Gihogwe, Mushimba, and Gasharu-Raro—under the 'Rwanda Saemaul Pilot Villages Project,' examining the fundamental contexts and condition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The theory of social capital mobilize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reflects Western perceptions, making it challenging to rigorously consider the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as well as the multidimensional and complex social structures and relationships at the regional level in developing countries. Instead, it general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ocial connections and interactions, broadly encompassing various situations. This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practical realities of developing countries,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who are central to household and community livelihoods and care work, hinders an accurate reflection of these environments. To this end, the study presents a conceptual definition and indicators of social capital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developing country context' and the 'gender perspective' to approach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process manifeste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ased on this conceptual framework, the research focuses on the actual, experiential, and concrete emergence processes on the ground to observe the unique formation process of social capital in developing countries, emphasizing the voices of female beneficiaries to identify the factor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The study conducted a multi-case analysis of the Saemaul Pilot Villages Project in Rwanda's four communities, drawing upon literature review, preliminary investigation, in-depth domestic interviews, field research (on-site visits, direct observation, document collection, and in-depth international interviews), and supplementary investigations. First, the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structure, and forms of social capital manifested in the four communities of the Saemaul Pilot Villages Project in Rwanda, detailing the unique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accumulation process distinct from Western social capital. Communities participated in the Saemaul Project driven by an 'economic motivation' for the survival of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resulting in the comprehensive participation of over 90% of the residents being lifted out of poverty. Beyond alleviating absolute poverty, modern ways of thinking and acting emerged in the residents' lives, mitigating capacity poverty. Through participation in village meetings, educational training, and cooperatives organized by the Saemaul Project, residents grew as agents of regional development and experienced the strengthening of community-led local development.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Saemaul Project frequently generated interactions and everyday interactions, establishing new norms of neighbor cooperation, collective action, and mutual assistance. The Saemaul Hall served as a relational space where the activities of the residents overlapped, acting as a venue for frequent discussions, negotiations, and mediations concerning local issues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Saemaul Project. The local community developed a communication mechanism among the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Saemaul Project, including the local governments of Kamonyi and Nyamagabe, Saemaul Overseas Volunteers, village leaders, Saemaul leaders, and residents. This mechanism established an organized platform for stakeholders to continuously share updates, convey and reflect opinions, and promptly exchange information, thereby serving as a development network for the community. Communities like Gihogwe, Mushimba, and Gasharu-Raro, feeling the development progress through the Saemaul Project, began voluntarily spreading the Saemaul Project and education to nearby villages. In a post-genocide context with inherent potential violence, threats, uncertainty, instability, and fear, efforts to communicate and improve relations among neighbors laid the foundation for trust. Furthermore, reducing conflicts, illegal acts, and crimes within the community, along with accumulating reciprocal experiences in personal and commercial relationships, while not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social justice and general welfare, established a foundation of predictability,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in relationships. The emergence of savings habits and village fund in these rural Rwandan communities can be seen as a revolutionary trust phenomenon. In Gihogwe, Mushimba, and Gasharu-Raro, social capital became a crucial means for local development, with social capital elements of participation, networks, and trust being closely interconnected, reinforcing each other's roles. Second, the study aimed to interpret the fundamental factor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by exploring the contexts and conditions under which social capital emerged and increased in the four Rwandan communities. The social capital potential of the Rwanda Saemaul Undong ODA can be understood as the growth and empowerment of women, who are central to household and community production and reproduction. Gyeongsangbuk-do did not consciously or deliberately plan empowerment projects focusing on women, but the Saemaul education and projects induced changes in women's thinking and behavior, positioning them as key agents in economic activities and income generation. Additionally, social capital can be explained as a result of emphasizing the emergence on the ground based on the community. The Saemaul education and projects in the four communities, based on an open and flexible structure, responded to the needs and priorities of the field and the complex interactions with local members, deriving a new structure, order, and outcomes separate from the original Saemaul Undong model. As a result, the Saemaul Undong ODA was reborn as tailored education and projects for the four Rwandan communities, with rice farming projects, although not specified in the official action plan, forming an essential foundation for expanding social capital in three communities as a result of field responsiveness. Rice farming was promoted in a 'Rwandan style' suited to the local environment, climate, and situation, acting as an appropriate technology to alleviate absolute poverty. Furthermore, the emergence of social capital can be seen as resulting from the Rwanda Saemaul Undong ODA aiming for overall regional development rather than as a standalone project or program. The Saemaul Overseas Volunteers adopted a bottom-up approach from the discovery stage of the project, ensuring that the actual needs of residents in the four communities were intensively reflected in the Saemaul Project. This strategy, allowing residents to plan and execute the projects themselves, diverged from unilateral and uniform aid systems, leading to dynamic, organic, and integrated approaches that brought forth improvised measures and solutions harmonizing with the residents' living environments. On the other hand, the study highlighted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Saemaul Undong ODA in the case of Kigarama. As a settlement for immigrants, Kigarama exhibited a lack of embedded social capital compared to the other three communities. Differences i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s, sense of unit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of Kigarama residents compared to the other communities resulted in passive participation, difficulties in government cooper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and a lack of mutual assistance or volunteer spirit among members. Furthermore, as Kigarama was the first project site for Gyeongsangbuk-do, the Saemaul Project was initiated with insufficient experience in design and execution, leading to repeated trial and error throughout the project. Particularly, unlike the other three communities, Kigarama did not pursue the rice farming project, limiting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 Rwanda Saemaul Undong ODA emerged as a 'modern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in the four rural communities. The social capital formed through the Saemaul Undong ODA led to a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into modern individuals based on the mental enlighten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of women, emphasizing the awakening of rural community women who had been marginalized in the public economic and social spheres. The Saemaul education and projects induced women to think and act in modern ways, becoming a starting point for being recognized as agents in the modern sense. Additionally, the study captured the emergent transformation of the Saemaul Undong ODA in the four communities on-site. The social capital outcomes of the Rwanda Saemaul Pilot Villages Project can be interpreted as demonstrating new value by transforming in interaction with local knowledge rather than adhering to the original model of the Saemaul Undong. This social capital continuously adapted to the unique socioeconomic environments of the field from creation to enhancement, evolving through the situations, conditions, and needs of the four communities. Particularly, the entire process of rice farming was a continuous sequence of open and dynamic processes adapting actively to the field, and the social capital activated through this dynamically led to regional development. This dissertation is significant in its attempt to establish a new conceptual framework of the developing country context and the gender perspective, providing a basis for the operation of social capital in causal factors, contextual relationships, and strategic conditions based on the realities of developing countries, which Western-centric social capital discourse has failed to explain. It is also valuable in extend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study of social capital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provide deep insights into meaningful regional and social phenomena from the beneficiaries' perspectives. Particularly, it identified that mental enlighten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of women, previously not considered urgent or significant in the exist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ocial capital discourse, acted as factors strengthening social capital, presenting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Lastly,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academic and practical foundation of Saemaul Undong ODA research by highlighting the emergent transformation process of Saemaul Undong ODA within the social capital discours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keywords :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Developing Country Regional Development, Social Capital, Saemaul Undong ODA, Women's Empowerment, Emergent Transformation, Rwanda, Qualitative Research Student Number : 2017-31457 본 논문은 서구의 사회자본 담론을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도구적으로 적용하며 나타나는 사회자본 이론과 실제 현상의 차이를 조명하고, 개발도상국에서 사회자본 형성의 주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국형 농촌개발 협력으로서 새마을운동 ODA를 통해 조성된 사회자본의 정체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르완다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키가라마, 기호궤, 무심바, 가샤류-라로 4개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사회자본이 창출, 활성화, 증대되는 과정을 탐구하였으며, 이러한 사회자본 형성의 주요 맥락과 조건을 본질적으로 고찰했다. 국제개발협력에서 동원되는 사회자본 이론은 서구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어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배경과 지역 수준의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사회 구조와 관계 등을 엄격하게 고려하지 않으며, 단지 사회적 연결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일반적인 주장으로 다양한 상황을 포괄하고 있다. 특히 가정과 지역사회 생계 및 돌봄 노동의 주체인 여성의 관점에서 사회자본 논의가 분명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이러한 개발도상국의 현장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데서 기인한다. 이에 따라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에서 발현되는 사회자본 형성과정에 접근하기 위해 ‘개발도상국 맥락’과 ‘여성적 관점’에서 사회자본의 개념적 정의와 지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념적 틀을 바탕으로 개발도상국에서 나타나는 사회자본의 특수한 형성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현장의 실제적, 경험적, 구체적인 창발 과정에 주목했으며 사회자본 형성 요인을 발견하기 위해 여성 수혜자의 목소리에 집중했다. 연구는 르완다 4개 지역사회의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에 대해 문헌조사, 예비조사, 국내 심층 면담, 현지조사(현장 방문 및 직접 관찰, 기록물 수집, 해외 심층 면담), 보충 조사로 구성된 다중사례연구를 수행했다. 첫째, 연구는 르완다의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4개 지역사회에서 발현된 사회자본의 모습과 특징, 구조를 탐색하여 서구의 사회자본과는 다른 르완다의 고유한 사회자본 형성과 축적 과정을 구체화했다. 지역사회는 나와 자녀의 생존을 위한 ‘경제적 동기’로 새마을 사업에 참여를 선택했으며, 지역사회의 총체적 참여는 전체 주민의 90% 이상을 빈곤에서 구제했다. 또한 절대적 빈곤의 해소 외에도 주민의 삶에 근대적인 사고방식과 행동이 나타나며, 역량 빈곤의 완화가 이루어졌다. 주민들은 새마을 사업을 통해 구성된 마을 회의와 교육 훈련, 협동조합에 참여하며, 지역 개발 주체로 성장하고 공동체 주도의 지역 개발을 강화하는 경험을 했다. 이어서 새마을 사업에 주민 참여는 마주침과 일상적인 상호작용을 빈번하게 발생시키며 이전에 없었던 이웃 간 협력과 집합행동, 상호 부조의 규범 등을 구축했다. 새마을회관은 주민의 활동이 중첩되는 관계 공간으로서 새마을 사업에 참여하는 구성원 간 수시로 지역 문제에 대한 논의와 협상, 중재를 이어 나가는 장소였다. 지역사회는 카모니 및 냐마가베 지방정부, 새마을 해외봉사단, 마을지도자, 새마을지도자, 주민 등 새마을 사업에 참여하는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메커니즘을 조성했다. 이를 통해 사업 이해관계자들이 수시로 상황을 공유하고 의견을 전달 및 반영하며 정보를 즉각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조직적인 장이 마련되었으며 이는 지역사회의 개발 네트워크로 작용했다. 기호궤, 무심바, 가샤루-라로 지역사회는 새마을 사업 과정에서 지역의 발전을 체감한 후 자발적으로 인근 마을에 새마을 사업과 교육을 전파하기 시작했다. 나아가 종족 대학살 이후 잠재적 폭력과 위협, 불확실성과 불안정성, 두려움이 내재된 상황에서 이웃 간 교류와 대화를 시도하고,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며, 협력을 추구하여 신뢰의 초석을 이루었다. 또한 지역사회의 갈등 혹은 위법 행위와 범죄의 감소, 개인적·상업적 관계에서 호혜적인 경험의 축적 등은 사회 정의와 일반 복지에 이바지할 만큼은 아니나, 상호 간 예측 가능성, 안정성, 지속성을 확보하며 신뢰 관계의 토대를 마련했다. 특히 주민의 저축 습관과 마을 금고의 출현은 르완다 농촌 지역에서 획기적인 신뢰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기호궤, 무심바, 가샤루-라로 지역사회에서 사회자본은 지역 발전을 위한 주요한 수단이 되었으며, 참여, 네트워크, 신뢰의 사회자본은 밀접히 연계되어 서로의 역할을 강화했다. 둘째, 연구는 르완다의 4개 지역사회에서 사회자본이 어떤 맥락과 조건에서 발생하고 어떻게 증대되었는지 탐구하여, 개발도상국에서의 사회자본 형성의 근본적인 요인을 해석하고자 했다. 먼저 르완다 새마을운동 ODA의 사회자본 저력은 가정과 지역사회 생산 및 재생산의 주체인 여성의 역량이 성장하며 강화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경상북도는 의식적 혹은 계획적으로 여성에 초점을 맞춘 권한 및 역량 강화 사업을 기획하지 않았지만, 새마을 교육과 사업은 여성의 사고방식과 행동 변화를 일으켜 사회경제 활동과 소득 창출의 주체로 부상하게 했다. 다음으로 사회자본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현장의 창발성을 중시한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4개 지역사회에서 새마을 교육과 사업은 개방적이고 유연한 구조를 바탕으로 현장의 수요 및 우선순위, 지역 구성원과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통해, 새마을운동 원형과는 별개의 새로운 구조와 질서, 결과를 도출했다. 이로써 새마을운동 ODA는 르완다 4개 지역사회에 맞춤형 교육과 사업으로 재탄생했으며, 그중에 벼농사 사업은 공식적 실행계획서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현장 즉응성의 결과물로서 3개 지역사회의 사회자본이 확충되는 데 궁극적인 토대를 마련했다. 벼농사는 현지의 환경과 기후, 상황에 맞추어 ‘르완다식’으로 추진되었으며 지역의 절대 빈곤을 해소하기 위한 적정 기술로 작용했다. 또한 사회자본의 출현은 르완다 새마을운동 ODA가 단독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이 아닌 지역 전반의 발전을 목표로 사업을 구성한 데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새마을 해외봉사단은 사업의 발굴 단계부터 상향식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4개 지역사회 주민의 실제 요구 사항이 새마을 사업에 집중적으로 반영되도록 했다. 이는 일방적이고 획일적인 원조 체계에서 벗어나 주민이 직접 사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유동적이고 유기적이며 통합적인 전략이었다. 이는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거주민의 생활 터전에 조화로운 즉흥적 조치와 해결책을 이끌어냈다. 반면, 연구는 키가라마의 사례에서 새마을운동 ODA의 구조적 한계에 주목했다. 키가라마 지역은 이주민 정착촌으로 3개 지역사회와 비교할 때 배태된 사회자본이 부족한 양상을 나타냈다. 카가라마 주민 구성은 사회경제적 배경, 유대감과 공동체 의식 등 측면에서 3개 지역사회와 차이가 있었고, 이는 참여의 소극성, 정부 간 협력 및 갈등 조정의 어려움, 구성원 간 상부상조 혹은 봉사 정신의 미흡 등으로 이어졌다. 더구나 키가라마 지역은 경상북도의 첫 번째 사업 대상지로서 새마을 사업의 설계와 실행에 대한 경험이 미흡한 상태로 착수했기 때문에 사업의 전 과정에서 시행과 착오를 되풀이했다. 특히 키가라마 지역은 다른 3개 지역과 달리 벼농사 사업을 추진하지 않아 사회자본 형성에 제한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연구는 르완다 새마을운동 ODA가 4개 농촌 지역사회에서 ‘근대적 농촌 계몽 운동’으로 발현되었음을 시사한다. 새마을운동 ODA를 통해 형성된 사회자본은 여성의 정신적 계몽과 경제적 계발을 기반으로 근대적 개인으로서의 인식 전환을 이끌었으며, 이는 경제와 사회의 공적 영역에서 소외되어 있었던 농촌 지역사회 여성의 각성을 부각시켰다. 새마을 교육과 사업은 여성을 근대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유도하였으며, 근대적인 의미에서 주체로 인정받는 시발점이 되었다. 또한 연구는 새마을운동 ODA가 4개 지역사회 현장에서 창발적으로 변용되었음을 포착했다. 르완다 새마을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사회자본 성과는 새마을운동의 원형을 고수하기보다는 현지의 지역 지식과 상호작용하며 변형을 추구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발휘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자본은 창출부터 증대까지 현장의 특수한 사회경제적 환경에 맞추어 변모해 나갔으며, 4개 지역사회의 상황과 여건, 주민 필요에 적응하며 변천을 거듭했다. 특히 벼농사의 전 과정은 현장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며 발전해나가는 개방적이고 동태적인 과정의 연속이었으며 이를 통해 활성화된 사회자본은 지역의 발전을 역동적으로 이끌었다. 본 논문은 개발도상국 맥락과 여성의 관점이라는 새로운 개념적 틀을 설정하여 서구 중심의 사회자본 논의가 설명하지 못한 개발도상국 현장에 기초한 인과적 요인, 맥락적 관계, 전략적 조건에서의 사회자본 작동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수혜자의 관점에서 의미 있는 지역적, 사회적 현상을 본질적으로 통찰하기 위해 국제개발협력의 사회자본 연구에 질적 연구 방법을 확장했다는 데에도 의미가 있다. 특히 기존의 국제개발협력 사회자본 담론에서 중대하거나 긴급한 사항으로 다루지 않았던 개발도상국 여성의 정신적 계몽과 경제적 계발이 사회자본 강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규명하여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 끝으로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의 사회자본 담론 속에서 새마을운동 ODA의 창발적 변용 과정을 조명하며 새마을운동 ODA 연구의 학술적 및 실무적 저변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주요어 : 국제개발협력, 개발도상국 지역 개발, 사회자본, 새마을운동 ODA, 여성 역량, 창발적 변용, 르완다, 질적 연구 학번 : 2017-31457

      • SAEMAUL UNDONG OF KOREA A REPLICABLE MODEL FOR DEVELOPING COUNTRIES: A CASE OF MITYANA IN UGANDA

        FOSUAA PEPERTUAL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15

        이 연구는 한국의 새마을 운동(SMU)을 우간다의 미티아 (Mityana) 지역을 중심으로 개발 도상국을 위한 시골 공동체 주도 개발 모델로 재구성했다. 이것은 현대 시대의 다양한 환경 맥락에서 1970 년대 한국 SMU의 복제 가능성을 둘러싼 수많은 논쟁에 의해 알려졌다. 한편 우간다의 Mityana 마을에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맥락의 차이에 관계없이 이 모델을 구현하는 데 엄청난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수수께끼에 대답하게 됩니다. 40 년 전의 현대 모델을 현대 시대에 다른 대륙에 있는 나라에서 어떻게 사용할 수 있습니까? 우간다 환경의 핵심 요소가 새마을 운동의 성공적인 실행을 용이하게 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분석을 보장하기 위해 연구는 질적 인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따라서 한국과 우간다의 새마을 운동 센터, Mityana 지역의 지방 정부, 유엔 웹 사이트, 아주 도서관 (Ajou Library) 자료실의 자료를 토대로 한 질적, 양적 자료를 검토했다. 또한 이 연구는 한국 농촌 개발원의 데이터, 출판 및 출판되지 않은 작품, 저널 기사, 서적, 서면 보고서, Mityana 지역의 모델 마을 코디네이터와의 심층 면접을 분석했다. 이것은 새마을 운동가가 특히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우간다의 Mityana 지역에 초점을 맞춘 이유에 대한 분석적 서술과 결론을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 연구는 1970년대 한국과 우간다의 유사점과 차이 점을 해석하고 기술했기 때문에 설명적이며 비교적이었다. 그 결과는 1970 년대 한국이 현대 우간다와 비슷한 점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1970 년대 우간다 코리아처럼 농촌부문의 개발은 엄청나게 빈곤한 농촌 인구가 많은 농촌경제였다. 우간다는 다양성 분야에서 한국을 배울 수 있는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농촌 개발접근법은 1970 년대 한국의 접근 방식에서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자본, 공동체권한부여, 적극적인 참여 및 마을 소유권의 기여도를 인정하지 못한다. 이 연구는 1960 년대와 1970 년대 한국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SMU의 성공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조건 (Kim 2013)과 관련하여 위에서 간략히 설명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정확하지 않으며 이해해야 함을 보여 주었습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비록 몇 가지 다른 사회 경제적 요소가 우간다 SMU의 선구자적인 진전이기 도하지만, 기본적인 욕구의 높은 비율은 개인을 박탈하고, 강한 사회 연결, 단합, 강한 여성 참여와 권한부여, 낙관적이고 헌신적인 마을 차원의 지도력, 우간다 정부와 한국정부의정치적 공약, 우간다 정부는 입력 규정에 엄청난 지원, 농부와 협동조합의 다양한 SMU 훈련 활동을 지원, 한국 정부의 엄청난 재정적 지원과 결합되어있으며 다양한 인센티브메커니즘. 이 많은 약속들 가운데 현지 및 한국의 SMU 지도자를 위한 훈련세션 이 가장 강력하며 정부 지원과 우간다 SMU 성공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묘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것은 이 연구의 가설을 확인 하는데 도움이 된다. 우간다의 성공을 둘러싼 상황은 가나의 농촌 공동체 개발을 위한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교훈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권고안과 함께 가나의 사례에 대한 모델의 재현 가능성으로 추측되었다. 이 연구는 또한 글로벌 SMU, 특히 아프리카의 미래가 한국 정치의 위협을 받고 있는지, 장기적으로 볼 때 우간다 인들의 삶에 SMU의 양적 및 질적 영향을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향후 연구를 권고했다 소득 증대, 환경 개선 및 태도 변화뿐만 아니라 전세계 SMU의 다양한 도전에 대한 평가 등이 포함됩니다. This study investigated Saemaul Undong of Korea as a replicable rural community-led development model for developing countries, with specific emphasis on Mityana district in Uganda. This was informed by the numerous debates surrounding the replicability of Korean SMU of the 1970s in countries with different environmental context in contemporary times. Meanwhile tremendous progress is being manifested in implementing this model at Mityana village of Uganda, irrespective of the difference in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ontext. This therefore leads me to answering a puzzle, why can a model from 40 years ago work in modern day in a country on another continent in contemporary times? of which helped ascertain, though different settings, key factors in Ugandan environment facilitating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aemaul Undong. To ensure a credible analysis the study adopted a qualitative method and review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from documents sourced from the archives of the Saemaul Undong Center in Korea and that of Uganda, local government of the Mityana District, United Nations’ websites, Ajou Library database, Korea Rural Development Institute, published and unpublished works, journal articles, books, written reports, as well as an in-depth interview with model village coordinators in Mityana district to provide an analytical narrative and conclusion about why Saemaul Undong is replicable in sub- Saharan Africa particularly focusing on Mityana district in Uganda. The study was also descriptive and comparative in nature in that, it interpreted and describ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 in the 1970s and that of contemporary Uganda with results indicating that Korea in the 1970s has some similarities as contemporary Uganda for instance, like Uganda Korea in the 1970s was primarily a rural economy with masses of rural people in absolute poverty, with immense emphasis on developing the agricultural sector, and in terms of differences, Uganda has a great deal of experiences to learn from Korea in areas of diversity. For instance, rural development approaches of Uganda fail to acknowledge the contribution of social capital, community empowerment, active participation and village ownership as happened in the Korean approach in the 1970s. The study however revealed t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utlined above are not exact and have to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enabling conditions that were underlying the success of SMU based on Korean experience in the 1960s and 1970s (Kim 2013). The study revealed that even though several other socio economic factors are as well spearheading progress of SMU in Uganda, for instance high rate of basic need deprived individuals, strong societal bond and unity, strong women involvement and empowerment, optimistic and dedicated village level leadership, political commitments on the parts of both Ugandan and Korean governments, with the Ugandan government offering immense support in input provision, extension services and resource persons for various SMU training activities of farmers and their cooperatives, coupled with immense financial support by the Korean government, various incentive mechanisms, training sessions for SMU leaders both locally and in Korea, among many other commitments is the strongest and helps portray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success of SMU in Uganda, of which helps confirm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Ugandan success were then inferred to replicability of the model to a Ghanaian case, with various recommendations as to where lessons can be drawn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towards developing Ghanaian rural communities. The study also recommended for future study to be conducted investigating as to whether the future of global SMU is threatened, especially in Africa is threatened by Korean politics, evaluating bo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act of SMU in the lives of Ugandans in the long run in relation to the aspects of income increase, environmental improvements and attitudinal change, as well as an assessment of various challenges global SMU is bedeviled with.

      • Saemaul Undong : local contributions and community economic welfare

        Kuhn, Danara Kizzy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21 국내석사

        RANK : 232415

        Saemaul Undo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models for rural development in the world today. Despite Saemaul Undong’s growing global influence, very few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ommunity-level effects of Saemaul Undong by employing disaggregated data. In this study, I will examine how village-level (Gun) participation in Saemaul Undong has affected the economic well-being of rural residents in Gyeonggi province. I hypothesize that local financial contributions to Saemaul Undong imposed economic burdens on participating villages and undermined the economic welfare of villages over time while total contributions would have little effect. I empirically test my argument through data collected in Gyeonggi statistical yearbooks and the Republic of Korea’s national archives, examining twenty-nine villages with the main period of observation being from 1982 until 1985. I find, first, that neither local contributions nor the funds which communities received in total had any impact on residents’ financial situation which is proxied by net savings into agricultural collectives. Second, I find that while higher levels of total contributions resulted in a lower percentage of impoverished residents (proxied by the share of low-income assistance receiving residents), larger local contributions were actual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impoverished residents, particularly in the most rural and least populated villages. This suggests that the sources of funding for rural development programs may have a significant role in the creation of interregional inequalities in the early stages of economic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rry important implications as count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like utilize Saemaul Undong as a foundation in their own rural development policies.

      • From poverty to prosperity : rural development in south africa with reference to Korea's Saemaul Undong

        CLAASSEN, Casper Hendrik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2016 국내석사

        RANK : 232397

        As Korea’s Seamaul Undong gains worldwide recognition, many LDCs (less developed countries) have engaged with the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of South Korea with the hope of initiating Saemaul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s in their own countries. Yet, such projects are bound to fail if Saemaul Undong is not properly analyzed and merely transplanted abroad. Anachronistic, presentist, and overly optimistic thinking should be avoided in pursuing the endeavor of implementing Saemaul Undong in countries outside of Korea as the context of Saemaul Undong’s implementation is inextricably attached to its relative success, notably in terms of the socio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factors that laid the groundwork for Saemaul Undong’s rapid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countryside. Valid developmental principles can, however, be extracted through a thorough dissection of the anatomy of Saemaul Undong; and, it is these principles that need to be entrenched into the policy framework of any attempts to implement Saemaul Undong. Important systemic and policy determinants such as the degree of rural egalitarianism, the social integration among rural communities (i.e. social capital), population trends, agricultural support institutions, government effectiveness, and literacy rates (i.e. human capital) need to be considered alongside the human agency-linked determinants (self-help, cooperation, and diligence) emphasized by Saemaul Undong. Any effort to successfully implement SMART Saemaul Undong in South Africa will have to take into account South Africa’s unique rural dynamics, whilst facilitating the creation of inclusive value chains and encouraging smallholder-oriented innovation alongside the use of appropriate technologies. Establishing a proper institutional support framework based on the principles of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and the formation of a local food system model will be key to this process.

      • Application of Saemaul Undong’s Residents’ Participation Plan on Community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Sumenep District of East Java Province in Indonesia

        수프라이트노에디 Park Chung Hee School of Policy and Saemaul of Yeu 2015 국내석사

        RANK : 232366

        This research title is "Application of Saemaul Undong’s Residents’ Participation Plan on Community Development-Focusing on The Sumenep District of East Java Province in Indonesia". This was chosen because Indonesia has in its books the Law No. 25 Year 2004 on National Development Planning System in Indonesia, which was designed to answer the need for integrated planning system of the region including Sumenep District. Integration of program planning in Sumenep is one thing that is very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itself, should the formulation of good policies mainly relies on public participation aspects. It is still not optimal in Sumenep District of East Java Province in Indonesia. The method used is descriptive research with a qualitative approach. The sources of data are from books, literature and documentation regarding the theories, concepts and principles of legislation which have relevance to the research topic. Data collection in this research are gathered through interview, observation and document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Sumenep District which Dungkek Subdistrict as Sample of Study site. The results showed the implementation of local development plan policies are not optimally implemented as representatives at the village and sub-district level are not proportionate. Local development plan is still limited to the routine without considering the quality and the existence of political factors that affect the outcome. All the problems in the village can’t be accommodated on Musrenbangdes, whereas Musrenbangdes becomes the beginn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 planning in Sumenep regency. These facts, are very difficult to develop options or alternatives to solve the problem in the village which have implications for the macro district. Public participation functions were not optimal and built closeness, was disproportionate in the village and had no portion of public participation in the district level development plan process. The lack of socialization of the government related to program priorities and long-term development and the space participation of the Regional Representatives Council is still minimal resulting in the possibility of a shift in programs and activities that have been planned in advance. Synthesis research result with application of Saemaul Undong’s residents participation plan on community development. Where there are two (2) fundamental aspects which, according to the researcher can be applicable in the transformation to Sumenep. Of course this is compromised of the applicable regulations in Sumenep, that aspect of a shift in perspective deregulation of local stakeholders and aspects of the development plan. Later Dungkek function Subdistrict will cover all fields, agriculture, forestry, marine, and other fields. In some areas, they have their own technical and operational units in the district, then Dungkek Subdistrict serves as coordinator of the program in all areas. So that the stakeholders in this case, know only Sumenep District as a top government, Dungkek sub-district local government and village leaders as representative of rural people. Iin addition, regional development planning should also rearrange to provide clear space for all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the legislature, both in the corridors of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 본 연구의 제목은 “지역개발정책 추진시 새마을운동의 주민참여방안 적용에 관한 연구 - 인도네시아 동(東)자바주(州) 수메넵군(郡) 지역을 중심으로”이다. 연구제목의 선정은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계획체계에 관한 24호 법률안과 관련이 있다. 이 법률안은 수메넵 군을 포함한 지역사회의 통합적 개발체계에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수메넵 지역에서의 개발프로그램 계획은 개발 자체로서도 중요하지만,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요구하는 정책들의 조합인 것이 특징이랄 수 있다. 물론 아직까지는 동자바주 수메넵군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는 않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서 기술적 연구방법(Descriptive Rresearch)을 채택하고 있다. 자료수집은, 주로 각종 문헌자료 및 법률관련 자료를 수집하였고, 면접조사와 참여관찰법을 병행하였다. 조사지역은 동자바주 수메넵군 둥켁면(Dungkek Subdistrict)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지역의 지역사회개발계획 정책의 추진에 있어 주민참여에 관한 사항을 주요 조사내용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개발계획 정책의 추진에 있어 마을지도자들과 면 단위의 지도자들의 참여비율이 균형적이지 못하였다. 지역사회개발계획은 품질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요인을 고려하지 못한 채 정해진 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마을내의 문제들은 Musrenbang(개발계획에 대한 공동체 회의: musyawarah “community discussion” 와 perencanaan pembangunan – “development planning”의 합성어)에서 수용되지 못한 반면, 수메넵군정 차원에서의 개발계획추진에 있어서는 시작점이 되었다. 이러한 사실들에서 상급 지방정부에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줄 수 있는 마을내의 문제해결방안 마련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민 참여는 최적화되지 못하였고, 불균형적이며, 군단위 개발계획 단계에서의 참여도 없었다. 장기발전계획 및 우선순위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부의 사회화 부족현상, 그리고 지방의회의 참여 공백은 주민참여 없는 계획수립을 초래하고 있다. 한국의 새마을운동에서 마을개발에 관한 주민참여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해 본 결과, 지역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탈규제적 측면, 그리고 개발계획수립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둥켁면의 경우 농업, 임업, 어업을 비롯한 다른 분야들을 포함, 모든 지역의 개발프로그램 조정자로서 역할을 하고 있었고, 이 지역에서의 주요 이해관계자는 수메넵군이며, 상급 지방정부로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지역사회 개발계획에 있어 둥켁면과 지역대표주민들의 입법관련 활동 등을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 집단의 활동들에 공간을 제공해야 하며, 하향 통로와 상향 통로를 있는 역할기능이 마련되어야 한다.

      • Proposition pour le développement à la base au Togo: Leçons tirées des expériences coréennes

        ESSOH Wenbedigni Fleur Universite Hankuk des Etudes Etrangeres 2014 국내석사

        RANK : 232363

        Après l’échec des différents modèles classiques de développement économiques dans la plupart des pays africains, la phase préalable dans le processus de lutte contre la pauvreté à envisager est d’abord la définition d’un model de développement approprié et adapté aux spécificités. Au Togo, le nouveau paradigme du développement local, nommé développement à la base s’attèle à mettre œuvre le minimum vital commun. La stratégie vise à améliorer d’ici 2032 les conditions de vies des populations en les faisant participer au développement national. L’axe de recherche d’une nouvelle approche de développement inspirée du modèle coréen de développement rural peut être bénéfique pour le Togo. Ce mémoire de Master s’inscrit dans la dynamique d’appréhender les différentes approches de développement des mouvements communautaires de la Corée du Sud et du Togo à savoir le Saemaul Undong et la politique nationale de développement à la base. Le SMU est un mouvement coréen de développement intégré par la base qui a pour objectif d’aider les populations rurales démunies à se prendre en charge. Dans un positionnement constructiviste, la démarche centrale de ce mémoire est d’analyser et de démontrer en quoi la mise en œuvre d’une politique globale et participative peut être un facteur de promotion du changement des conditions de vies à la base. Il a abordé la problématique de modernisation des zones rurales. Sa réalisation a nécessité l'utilisation des informations quantitatives et qualitatives puisées dans différentes sources. Dans ce travail, j’ai présenté les politiques de développement rural de la Corée depuis 1950 à 1999 et démontré la qualité de l’approche « du Saemaul Undong» à travers le rôle des institutions dans l’éradication de la pauvreté. Ensuite, me basant sur des données de la politique nationale de développement à la base, j’ai présenté la réponse gouvernementale à la situation de pauvreté au Togo via deux approches : l’approche par ciblage et celle basée sur la participation de la communauté. Après une comparaison des deux politiques de développement local, à savoir le SMU et du PNDB, les éléments d’inspirations ont été identifiés. A partir d’entretiens et de revue documentaires, réalisé sur le Saemaul Undong nous sommes arrivé à l’évidence de rendre plus durable et efficace l’approche du PNDB en s’appropriant les facteurs de réussite du Saemaul Undong.

      • 중국 향촌진흥 정책에서 새마을운동의 핵심 가치 수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소화동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박사

        RANK : 232351

        This study aims to improve relevant policies and institutions to resolve contradictions in China’s rural society during the formation of the institutional framework and policy system of the current rural revitalization strategy. To understand the acceptability of the core values of the Saemaul Undong, which drove South Korea’s economic growth,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rural residents in Zhoukou City, Henan Province, China, utiliz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as the theoretical model.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mart-PLS 4.0 software, with the following results: Among the ten hypotheses proposed, hypotheses H1, H3, H4, H5, H6, H8, H9, and H10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ccepted, while hypotheses H2 and H7 were rejected. Specifically, first, the core values of the Saemaul Undong—diligence and cooperation—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ffort expectancy of rural residents in China, while self-reliance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core values of the Global Saemaul Undong—sharing, volunteering, and creativity—positively influenced the performance expectancy of Chinese rural residents. Third, key variables of the UTAUT model, namel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and performance expectancy,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the behavioral intention of rural residents, whereas effort expectancy did not. Lastly,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re values of the Global Saemaul Undong—sharing, volunteering, and creativity—had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of rural residents through performance expectancy. In summary, the findings suggest that rural residents in China exhibit varying levels of acceptability towards the core values of the Saemaul Undong and the Global Saemaul Undong. This is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China’s traditional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modern economic and social demands. Further exploration of these reasons was conducted through theories such as Fei Xiaotong’s social structure theory, Liang Shuming’s rural culture perspective, and studies on modern social transformation and psychology.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s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ing: ① harmonious integration with traditional socioculture, ② strengthening resident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③ establishing collaborative systems with grassroots organizations, ④ balancing short-term achievements with long-term sustainability, ⑤ promoting autonomous developmen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ompetitive mechanisms, ⑥ improving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and ⑦ incorporating psychological and cultural factors. 본 연구는 현재 중국 향촌진흥 전략의 제도적 틀과 정책 체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중국 농촌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관련 정책과 제도를 개선하는 데 목적을 둔다. 따라서 한국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되었던 새마을운동 및 새마을운동의 핵심 가치에 대해 지역 주민들의 수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국 하남성 주구시의 마을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UTAUT 모형을 이론적인 모형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연구는 Smart-PLS 4.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는데,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는데, 그 가운데 가설 H1, H3, H4, H5, H6, H8, H9, H10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여 채택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가설 H2와 가설 H7은 기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첫째, 새마을운동의 핵심 가치인 근면과 협동은 중국 농촌 지역 주민들의 노력 기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자조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글로벌새마을운동의 핵심 가치인 나눔, 봉사, 창조는 중국 농촌 지역 주민들의 성과 기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UTAUT 모형의 핵심 변수인 사회적 영향, 촉진 조건, 성과 기대가 중국 농촌 지역 주민들의 행위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노력 기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 분석에서 글로벌새마을운동의 핵심 가치인 나눔, 봉사, 창조는 성과 기대로 중국 농촌 지역 주민들의 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는 중국 농촌 지역 주민들이 새마을운동의 핵심 가치와 글로벌새마을운동의 핵심 가치에 대해 서로 다른 수용 가능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중국농촌의 전통적 사회문화적 배경과 현대적 경제·사회적 요구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비효통의 사회구조 이론, 양수명의 농촌문화관, 현대 사회 변혁 및 심리학 관련 연구 등에서 그 이유를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① 전통 사회문화와의 조화로운 통합, ② 주민 참여와 동기 부여 강화, ③ 풀뿌리 조직과 협력 체계 구축, ④ 단기 성과와 장기적 지속 가능성의 균형, ⑤ 경쟁 메커니즘 도입을 통한 자율적 발전 유도, ⑥ 법적·제도적 기반 정비, 그리고 ⑦ 심리적·문화적 요인 반영 등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