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의 갑오농민전쟁사 연구 -동학의 영향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주영민 북한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15

        본 연구는 갑오농민전쟁에 대한 북한 역사학계의 연구에서 보이는 동학의 영향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갑오농민전쟁은 남북한 모두에게 큰 역사적 의의가 있는 사건으로 ‘농민대중이 동학 조직을 이용하여 일으킨 반침략, 반봉건적 성격의 농민전쟁’이라는 공통된 역사적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북한의 갑오농민전쟁 관련 문헌을 시기별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시기는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 이전까지, 휴전 이후부터 주체사관 형성 이전까지, 주체사관 시기부터 ‘조선민족제일주의’ 정신의 등장 이전까지, 조선민족제일주의 시기부터 현재까지 총 네 시기로 구분하여 북한 역사학의 간략한 전개 과정과 갑오농민전쟁사 연구 경향, 동학의 영향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북한의 역사학은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의 발발 전까지는 소련의 영향을 받으며 식민사관 극복을 위한 민족주의적 연구와 함께 맑스-레닌주의에 입각한 유물사관적 연구가 시도되었다. 휴전 이후부터 주체사관 성립 이전 시기까지는 김일성 중심의 유일 지도체제 구축과 함께 기존의 사관이 ‘주체’적으로 변용되며 시대구분과 같은 문제가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수령제 확립 이후에는 주체사관이 형성되면서 주체사관이 유일한 역사관으로 작동되기 시작했고 1980년대에 대내외적 위기 고조로 ‘조선민족제일주의’ 정신이 강조되면서는 ‘우리식 사회주의’의 강조와 함께 민족적 요소의 우수성 강조 등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북한 역사학의 전개 과정에서도 갑오농민전쟁은 그 뚜렷한 역사적 성격 때문에 학계의 연구 경향이 크게 변하지는 않았다. 갑오농민전쟁사 자체에 대한 북한 학계의 인식변화는 없었지만, 동학의 영향에 대한 인식은 시기별로 미묘한 차이를 보였다. 해방 이후 초기 연구에서는 동학의 조직적 영향만을 인정하는 ‘종교 외피론’적 인식으로 농민대중의 투쟁이라는 사건의 본질적 성격을 강조하였다. 이후로도 동학의 조직적 영향에 대해서는 분산된 농민운동을 하나로 묶어 대규모 농민전쟁을 가능하게 했다는 인식이 현재까지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다. 동학의 종교적 영향에 대해서는 그 미신적 성격으로 농민대중에 깊숙이 침투했지만, 종교적 한계성 때문에 농민전쟁을 더욱 혁명적 차원으로 이끌지 못했다는 지적이 이어지다가 조선민족제일주의 시기에 들어서 ‘민족종교’로서의 평가와 함께 부정적 인식이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동학의 영향 중 사상적 측면의 영향은 그 인식의 변화 폭이 비교적 크다. 초기의 연구에서는 진부한 사상으로 새로운 것 없는 유학의 아류로 치부하며 그 영향을 축소했지만, 휴전 이후 연구부터 점차 동학사상의 반침략, 반봉건적 성격을 평가하며 주체사관 시기에 정립되는 경향을 보였고 조선민족제일주의 시기에는 ‘애국애족’적 성격이 강조되기도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he influence of Donghak in the study of North Korean historians on the Gabo Peasant War. The Gabo Peasant War is a significant historical event for both the two Koreas, and has been evaluated as a ‘anti-invasion, anti-feudal peasant war caused by the peasant public using the Donghak organiz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Gabo Peasant War in North Korea and examined by time. From the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from the armistice to the formation of the Juche view of history, from the formation of the Juche view of history to the emergence of the ‘Korean National Firstism’ spirit, from the period of ‘Korean National Firstism’ to the present, The four periods were divided into four periods to examine the brief development of North Korean history, the trend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Gabo Peasant War, and the perception of the influence of Donghak. North Korea's history was influenced by the Soviet Union from liberation to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long with nationalist studies to overcome colonial historical views, historical studies based on Marxism and Leninism were attempted. From the armistice to the perio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Juche Historical View,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a unique leadership system centered on Kim Il-sung, existing history was transformed into a ‘Juche’ and issues such as the division of the times were actively discuss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dictatorship, the Juche view of history began to work as the only view of history, in the 1980s, the spirit of ‘Korean National Firstism’ was emphasized due to the heightened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and the emphasis on the excellence of ethnic elements was made along with the emphasis on ‘our style socialism.’ Even in the course of this development of North Korean history, the Gabo Peasant War did not change much in academic research due to its distinct historical nature. There has been no change in North Korean academic perception of the history of the Gabo Peasant War itself, the perception of the influence of Donghak differed from time to time. Early research after liberation emphasized the essential nature of the struggle of the peasant public with the ‘religious cladding’ perception that only recognized the organizational influence of Donghak. Since the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influence that the distributed peasant movement has been united to enable a large-scale peasant war has remained unchanged, and that religious influence of Donghak has not led the peasant war to a more revolutionary level due to religious limitations, during the period of ‘Korean National Firstism’ negative perceptions tended to be reduced along with evaluation as a ‘national religion.’ The ideological impact of the influence of the Donghak is relatively large in its perception. Early studies reduced the impact by dismissing it as a cliche of study abroad, but after the armistice, the study gradually assessed the anti-invasion and anti-feudal nature of Donghak ideology and tended to be established during the period of Juche Historical View, during the period of ‘Korean National Firstism,’ the ‘patriotic’ character was emphasized.

      • 남북한 여성성의 표상과 통일 지향의 여성사 교육

        유지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70474

        This thesis is a study to compare femininity of human figures represented in the historical descrip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o identify the different historical viewpoints and women' s viewpoints of both sides, and to discuss ways of unification-oriented women's history education. North and South Korea have experienced a conflicting political and economic social system while having a common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his difference can broaden the horizon of recognition and present a balanced view of history in identifying differences in other dimensions such as gend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es and narrative patterns of female characters that North and South Korea pay attention to, the common goal of women 's image was categorized as ① patriot who has entered the struggle for anti-colonialism ② person who is devoted to the family ③ artist who has left her name by talent ④ a pioneer who contributed to social development. However, in these common types, the female characters that the two Koreas regard as representative of each other and the feminism that the historical model implies differed. The female character that South Korea often refers to in history education was a pioneer who exerted a great deal of individual ability. Although these narrative patterns reflect the modern view of women, it is nothing more than supplementing in the form of 'mentioning' and 'inserting' some women 'famous people' in the male - centered political narrative description which is regarded as the 'universal' without intrinsic consideration of gender education in history subjects. Also, there is a limit to be confined to the framework of 'feminine' and 'femininity' defined and interpreted by conventional male biased norms. On the other hand, the North Korean narrative method is meaningful in that it selects a wide range of female characters in the class and activity space and finds 'subjectivity' in it. At the same time, however, there is a tendency to emphasize the exceptional characters who acted as 'as much as men' as 'masculine'. It makes the so-called male culture be used as a standard in order for women to become mainstream, and form distorted perceptions of acting as a man in the domain of men is productive and contributes to the nation and society. For women's history education, which aims for unification First, we must identify the characters that were excluded by the divided system and ideology of the two Korea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two Koreas have selected and excluded people according to their region and legitimacy (ideology). Second, due to the division, women’s femininity of North and South Korea, which have been heterogeneous for a long time, should be narrowed down to a unified direction by taking mutually positive narrative patterns and complementing the negative one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the limit of the historical context and the age, and to present a multi-faceted female image that meets the demands of the modern age through various representations. In short,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unification is not merely a matter of physical territory, state institution, or system, but eventually a long-term heterogeneous group meets and converges 'humanity' in it. In that process, women should exist as one of the subjective 'humans' who have lived in history, not as good house wife or honorary men. In order to realize this,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issue of rearranging the history curriculum and the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subject from the viewpoint of women and unification. 이 글은 남북한의 역사서술에 나타난 인물 표상의 여성성을 비교·분석하면서 양측의 서로 다른 역사관과 여성관을 동시에 파악하고, 통일을 지향하는 여성사 교육의 방안에 대해 논의한 연구이다. 남한과 북한은 공통된 문화적, 역사적 배경을 가지면서도 그 동안 상반된 정치경제적 사회체제를 경험해왔다. 이러한 차이는 오히려 성차(gender)와 같은 다른 차원의 차이를 규명함에 있어서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 균형 있는 역사관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남북한이 주목하는 여성인물의 유형과 서술양태 등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여성상은 ①반침략 민족 투쟁에 뛰어든 애국자, ②가정 내 헌신하는 내조자 ③재능으로 이름을 남긴 예술가 ④남성의 영역에서 사회발전에 기여한 개척자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공통된 유형에서 남북이 각각 대표로 여기는 여성인물과 그 역사적 모델이 내포하는 여성성은 차이를 보였다. 남한이 흔히 역사교육에서 ‘언급’하는 여성인물은 주로 개인의 역량을 아낌없이 발휘한 선구자격의 인물이었다. 이러한 서술양태는 현대적 관점의 여성상을 반영한다는 의의가 있으나, 역사과목 안에서 성별(gender)교육에 관한 본질적인 숙고 없이 기존의 ‘보편’으로 간주되는 남성중심의 정치사 서술에 일부 여성 ‘명사’(名士)를 ‘언급’과 ‘삽입’하는 형태로 보충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종래 남성 편향적인 규준에 의하여 정의되고 해석된 ‘여성적’, ‘여성성’의 틀에 갇힌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북한의 서술방식은 계급·활동공간에 있어 폭넓은 여성인물을 선정하고 그 안에서 ‘주체성’을 발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동시에 지나치게 ‘남성만큼’, ‘남성적’으로 활약했던 예외적 인물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여성이 주류가 되기 위해서는 소위 남성의 문화를 표준으로 삼고 남성의 영역에서 남성처럼 행위하는 것이 생산적이며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는 것이라는 왜곡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통일을 지향하는 여성사 교육을 위해서는 첫째, 일차적으로 남북의 분단된 체제와 이념에 의해 배제되었던 인물들을 발굴해야 한다. 특히 북한과 남한은 지역에 따라, 그리고 정통성(이념)에 따라 인물을 선정·제외하였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분단으로 인해 상당시간 이질화된 남과 북의 여성성을, 상호 긍정적인 서술양태는 취하고 부정적인 부분은 보완하면서 통일된 방향으로 좁혀나가야 한다. 결과적으로 역사적 맥락과 시대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다양한 표상을 통해 현대라는 시대적 요구에 걸 맞는 다면적인 여성상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통일은 단순히 물리적인 영토나 제도, 시스템만의 문제가 아니라, 결국 오랜 기간 이질화된 집단이 서로 만나 그 안에 존재하는 ‘인간성’이 수렴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여성은 현모양처나 명예남성이 아닌 역사를 살아간 주체적인 ‘인간’중 한 명으로서 존재해야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차후에 역사 교육과정과 교과의 내용 선정 및 조직을 여성과 통일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재편하는 문제를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 해방 이후 북한철도 재건 과정 연구(1945-1948) : 소련의 관여와 북한의 내부동력

        이강민 북한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1338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 북한철도 재건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소련의 관여를 바탕으로 재건 과정에서 있었던 제도의 수립, 제시된 목표와 성과 및 한계를 보며, 달성을 위한 동원 방식과 호응의 정도를 알아본다. 2차대전 직후 소련의 주 관심은 동유럽이었다. 다음으로 아시아에서는 만주와 일본이었다. 북한지역은 2차 대전 작전 중 우연히 얻어진 ‘전리품’에 불과했다. 또한 전후 소련은 미국보다 국력에서 열세였다. 따라서 우호 정권을 형성한다는 소련의 대북정책은 점령 이후 미국과 냉전의 진행 중에 형성된 것이다. 이것을 바탕으로 북한철도 재건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리품으로 인식되던 1945년 북한철도는 철저히 소련의 필요를 위해 운영되었다. 소련은 기업소 대다수를 점령했다. 이후 원료나 공장 기계, 완제품 등을 자국으로 보내기 위해 사용했다. 이때 북한철도는 재건이 아닌 ‘복구’된 것이다. 소련은 전문가 부족을 타개하기 위해 일본인 기술자를 활용했고, 철도체계를 관리하고 구축하기 위해 북조선행정10국을 창설했다. 이후 우호 정권을 형성하는 쪽으로 대북정책이 수정되고 이것은 임시인민위원회의 수립으로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북한 지도부는 더 적극적으로 정책을 수립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소련의 반출은 여전히 존재했고, 북한에서 반발이 감지된다. 그 결과 소련은 1946년 8월 국유화를 통해 접수한 기업소와 철도, 은행 등을 임시인민위원회로 이관해 주었다. 이것은 북한이 경제계획 중 지속 강조했던 자주국 건설에 근거를 부여하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1947년과 1948년 북한은 인민경제계획을 수립했다. 국유화 이후 소련의 관여는 인민경제계획 수립에 참여한 것이나, 북한의 대소무역 의존, 합작회사 등 간접적으로 변형되어 나타났다. 그 결과 북한경제에는 소련이 필요로 산업이 다수 발전했고, 철도는 소련의 요구에 맞는 화물을 운송하는 역할도 일부 수행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단순히 북한이 소련의 위성국이라 할 수는 없었다. 북한에 소련의 제도가 다수 이식되고 유입된 것은 맞지만, 그것을 받아들이고 시행하는 것은 현지 지도부와 인민이었기 때문이다. 산업을 비롯해 철도의 경우 소위 증송투쟁이라고 하는 스탈린식 사회주의적 경쟁이 지속 이루어졌다. 이것은 당시 내부에서 호응을 얻었고 받아들여졌다. 철도에서 발생한 증송투쟁은 매년 주어진 과제를 초과 달성했다. 해방 이후 북한경제 역시 지속 발전했다. 이것은 자주국 건설이라는 목표에 다수가 공감하고 행동했기 때문이다. 즉 북한의 국가건설에서 내부동력의 역할은 무시될 수 없으며, 철도운수는 산업이나 상업 등 초기 북한경제 발전을 뒷받침하고 새로운 정권에 정당성을 부여하는데 그 역할을 수행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the North Korean railway after liberation. Based on the involvement of the Soviet Union, we look at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the goals,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presented during the reconstruction process, and examine the mobilization method and degree of response to achievement. Shortly after World War II, the Soviet Union's main interest was in Eastern Europe. Next, in Asia, Manchuria and Japan. The North Korean region was nothing more than a 'trophy' obtained by chance during World War II operations. Also, the postwar Soviet Union was inferior to the United States in national power. Therefore, the North Korean policy of forming a regime favorable to the Soviet Union was formed from the formation of the Cold War with the United States after the occupation. Based on this, the process of rebuilding the North Korean railway is as follows. First, in 1945, the North Korean Railway, which was recognized as a trophy, was thoroughly operated for the needs of the Soviet Union. The Soviet Union occupied the majority of the business establishment. Since then, raw materials, factory machinery, and finished products have been used to send them to their countries. At this time, the North Korean railway was not reconstructed, but 'just restored'. The Soviet Union used Japanese engineers to overcome the shortage of experts and established the 10th Administrative Bureau of North Korea to manage and build the railway system. After that, the Soviet Union's policy toward North Korea has become a friendly regime. And this is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People's Committee. In this process, the North Korean leadership was able to establish policies more actively. However, the Soviet Union's withdrawal still existed, and a backlash is felt in North Korea. As a result, the Soviet Union transferred business establishments, railways, and banks received in August 1946 to the Provisional People's Committee. Nationalization has been achieved. This was an important event that gave the basis for the construction of an independent country that North Korea continued to emphasize during its economic plan. In 1947 and 1948, North Korea established the People's Economic Plan. After nationalization, the Soviet Union's involvement consisted of participating in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Economic Plan, North Korea's dependence on trade with the Soviet Un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joint venture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a result, many industries that the Soviet Union needed developed in the North Korean economy, and railroads also played a role in transporting cargo that matched the Soviet Union's needs. However, this alone did not mean that North Korea was simply a satellite state of the Soviet Union. It is true that a large number of Soviet systems have been transplanted and introduced into North Korea. But the important thing is that it is the local leadership and the people who accept and implement it. In the case of railroads, the Stalinist socialist competition, which is the so-called transport struggle, continued. This was then well received and accepted internally. The transport struggle has exceeded the tasks given each year. After liberation, the North Korean economy continued to develop. This is because many people sympathized and acted with the goal of building a independant country. In other words, the role of internal forces in North Korea's national construction cannot be ignored, and railway transport played a role in supporting the early North Korean economic development such as industry and commerce and giving legitimacy to the new reg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