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port media consumption across multiple media platforms : Identifying sport media consumers’ repertoires

        박영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26

        Sport media consumers receive an overwhelmingly large supply of sport content from wide range of media platforms. Nevertheless, they cope with abundant choices of sport media and content by using more narrowly defined repertoires. This study investigates patterns of media use across multiple media devices by adopting media repertoire-oriented approach to sport media consumption. Descriptive analysis is applied in order to examine the usage rate of sport media consumers for each medium. The result illustrates that 1) the respondents spent 554.09 minutes per week in average to consume sports contents including sports broadcast, sports highlights, and sports news, 2) TV remains the centerpiece of sports contents consumption in a rate of 45.43%, followed by mobile devices (35.41%), PC (17.26%), and radio (1.89%), and 3) sports broadcasts are consumed the most in a rate of 55.15%, followed by sports news at 24.30%, and sports highlights at 20.55%. Multivariate analysis using k-means clustering is conducted to identify user-defined repertoires from data obtained by following 1,112 sport media consumers. The result indicates the presence of five sport media consumers’ repertoires (Multi-media, TV-PC-mobile, TV only, Low media, and PC-mobile) that are intensely tied to the amount of time spent consuming sports contents on each media platform.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on five media repertoires reveal that sport media consumers’ repertoires are explained by individual and structural variables of media choice discussed in previous research.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hows that 1) audience availability is the variable exert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each sport media consumers’ repertoire, followed by age, 2) marital status significantly predicts ‘TV only’ and ‘Low media’ repertoires, 3) lifestyle factors including familism, mammonism, interpersonal relationship, success orientation, life enjoyment, and traditional minded also significantly affect sport media consumers’ repertoires.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between factors of gratification dimensions and sport media consumers’ repertoires implies that the more number of media platforms the sport media consumer uses, the higher gratification dimension one would get. The media multitasking usages for each medium among sport media consumers’ repertoires shows that more than half of the sport media consumers (51.35%) multitasked while consuming sports contents. Furthermore, ‘primary activity’ and ‘secondary activity’ (Duff & Sar, 2015) of each sport media consumers’ repertoires are identified. 다양한 뉴미디어의 도입으로 미디어 융합시대에 들어선 오늘날, 스포츠 콘텐츠 소비자들은 여러 매체들을 통하여 수많은 스포츠 콘텐츠들을 접하고 있다. 이렇듯 다매체 시대에 미디어 선택의 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스포츠 콘텐츠 소비자들은 미디어를 이용할 때 점차 다양한 선택의 조합인 레퍼토리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매체 환경 속에서 스포츠 콘텐츠 소비자들의 미디어 이용 행태를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을 통해 알아보고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구조적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성별, 연령별 균등 표집하여 서울시에 거주중인 스포츠 콘텐츠 소비자 1,112명을 대상으로 스포츠 중계(생방송, 재방송 포함), 스포츠 하이라이트, 스포츠 뉴스를 소비하기 위해 사용한 TV, PC, 모바일 디바이스, 라디오 등 4개 미디어의 이용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본 연구는 스포츠 콘텐츠 소비자들의 전체적인 미디어 이용 행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비계층적 군집화인 K-평균법(k-means)을 사용하여 스포츠 콘텐츠 소비자들의 미디어 레퍼토리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또한 활용하여 본 연구는 추출된 미디어 레퍼토리들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구조적 요인들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로는 4개의 미디어 이용량과 군집의 분포 정도를 중심으로 5개의 군집이 추출되었다. 각 미디어 이용량의 상대적 위치와 절대 이용 시간량의 특성을 토대로 ‘다매체 이용’, ‘TV-PC-모바일 디바이스 중심’, ‘TV 중심’, ‘저매체 이용’, ‘PC-모바일 디바이스 중심’ 등 최종적으로 5개의 미디어 레퍼토리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각각 레퍼토리 집단들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구조적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미디어 이용량(audience availability)이 각각 미디어 레퍼토리 집단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나이가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혼인여부는 ‘TV 중심’과 ‘저매체 이용’ 레퍼토리에 영향을 미쳤고 라이프스타일 요인들 중 가족주의, 배금주의, 대인관계, 성공지향, 인생유희, 그리고 전통중시가 미디어 레퍼토리 집단들을 설명하는 데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미디어 레퍼토리 집단별 스포츠 콘텐츠 소비시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점수를 측정한 결과 다양한 매체들을 많이 이용하는 레퍼토리 집단일수록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매체 이용행위와 관련하여 응답자 중 51.35%가 다중적으로 매체를 이용함을 파악할 수 있었고 각 미디어 레퍼토리 집단별 주이용매체(primary activity)와 보조이용매체(secondary activity)를 확인할 수 있었다.

      • Exploring mobil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 a repertoire approach

        강다영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8 국내석사

        RANK : 2923

        The ongoing diffusion and growing use of smartphones have located the mobile apps at the center of the media landscape. In the hyper-competitive mobile landscape with an infinite range of choices, users constantly shift between apps. Some users tend to use diverse apps simultaneously, while others choose to use only a select few. In recent years, with the expansion of mobile apps in the marketplace that aim to serve narrower and more specific information needs of users, what we access to obtain information has become of utmost interest to marketers and mobile service providers as much as what we seek and what we do on mobile.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the function of mobile apps, namely the native apps and mobile browsers, as sources and intermediaries of information.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current mobil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 repertoire approach was applied, which measures a set of apps in use.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and a preliminary survey were preceded by the actual survey. The data from the sample of 1,139 Korean mobile users revealed that participants were using an average of 29 apps to seek and obtain information in the 10 given domains of information. In terms of the size of the 10 sub-repertoires, Shopping constituted the largest size of repertoire, followed by News and Entertainment. Then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pendence on mobile browsers in terms of mobile information seeking and the composition of top 30 apps ranked by the sum of the frequency of use by app. Lastly, this study identified six demographic and six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may affect the size of repertoir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cross the domain of mobile use behavior, information seeking and media repertoire.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of the demographic factors, gender, education level, mobile communication cost and average daily traveling tim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ize of repertoire. For psychological factors, variety-seeking tendency, hedonic motive of browsing through mobile apps and mobile efficacy were shown to be predictive for the repertoire size. To conclude, this study provides a snapshot of the current mobile environment in line with the long-run research question from traditional media repertoire studies, that is, whether the tremend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media actually leads to the diversification of media use. In addition, the exploratory findings on factors affecting the repertoire size should serve as a baseline understanding for planning future research and mobile marketing strategies.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의 이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모바일은 전체 미디어 이용 환경의 중심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모바일 퍼스트 (mobile-first)’ 시대, 이용자의 정보 탐색 행위(information seeking behavior)를 탐구하는 데 있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의 이용 목록을 의미하는 ‘레퍼토리’를 측정하는 접근법을 도입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한 사전 연구로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본 조사에서 총 1,139명의 모바일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자들은 정보 이용을 목적으로 평균 약 29개의 모바일 앱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10개 정보 분야별 레퍼토리의 크기를 살펴보았을 때 쇼핑과 뉴스, 엔터테인먼트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어 본 연구는 일 주일에 최소 1회 이상 이용하는 모바일 앱의 레퍼토리를 기준으로 이용 빈도를 가중하여 합한 값을 통해 모바일 브라우저(mobile browser)의 이용 의존도를 살펴 보았으며, 개별 앱 단위에서 이용 빈도를 가중한 응답 빈도를 기준으로 상위 30개 순위 앱들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정보 이용을 위해 사용하는 앱 레퍼토리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기 위해 각 여섯 개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을 도출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에서는 성별과 교육 수준, 모바일 통신 요금 그리고 일 평균 이동 시간이 정보 탐색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앱 레퍼토리의 크기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변인으로는 다양성 추구 성향과 쾌락 동기, 그리고 모바일 이용 효능감이 레퍼토리의 크기에 대한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모바일 정보 탐색 행동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잘 다뤄지지 않았던, 정보원(information source)과 정보매개자(infomediary)로서의 개별 모바일 앱의 기능에 주목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이용 가능한 정보원의 다양화가 이용자 관점에서 역시 정보원 이용의 다양화를 야기하는 지에 대한 전통적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의 현상적 연구 문제를 횡단적으로 살펴보고, 이용자 관점에서 예측 변인들을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 The Bass Trombonist’s Guide to the Tuba Repertoire: A Catalog of Tuba Repertoire Adaptable for Bass Trombone

        Kaspar, Lucas The Ohio State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2018 해외박사(DDOD)

        RANK : 2602

        The bass trombone’s range is very similar to the tuba. Unfortunately, there is a dearth of solo repertoire composed for the bass trombone. Due to its relatively new development, many composers do not know how to properly write for the instrument. The most common error is composers writing too high for the instrument. Though the bass trombone has the capability of playing the soaring high notes of a tenor trombone, it is much more fatiguing than on a tenor trombone. The range of the tuba suites the bass trombone, as it requires performing mostly in the mid to low register, while occasionally reaching the high register.The aim of this document is to provide a catalog of tuba repertoire that is realistic for bass trombonists. The document is structured in nine major chapters: (1) Introduction, discusse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is document, (2) History of the Double-Valve Bass Trombone, (3) Unaccompanied Solos, (4) Solos with Keyboard, (5) Solos with Band or Orchestra, (6) Solos with Electronic Media, (7) Etudes and Method Books, (8) Duets, and (9) Further Research.

      • 지상파DMB TV 시청자의 채널 레퍼토리에 대한 연구 : 단말기 유형 및 인구사회학적 속성에 따른 비교분석

        이희대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88

        이 연구에서는 국내 모바일 미디어인 지상파DMB를 통한 TV 방송 시청 에서 시청이용 단말기 유형(차량형, 휴대폰형)과 시청자의 인구통계학적 속성(성별, 연령, 학력, 수입)이 채널레퍼토리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은 1999년부터 지상파, 케이블, DMB 등 국내 매체의 시청률 조사를 수행해온 전문 기관인 TNmS의 지상파DMB 시청 패널 531명의 시청률 집계 자료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해당 표본으로 분석기간은 2012년 9월 중 일주일간으로 정해 각 TV 채널별 시청률(시간)을 집계한 후 채널레퍼토리수를 추출했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지상파DMB의 가용 시청 TV채널수는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증가했지만 시청자들의 채널레퍼토리수 변화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상파DMB TV시청자들은 휴대폰형 단말기보다 차량형 단말기를 이용할 때 더 많은 수의 채널을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자보다 남자가 시청하는 채널레퍼토리수가 더 많음이 분석되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신규 모바일 미디어 서비스의 기획 시 단말기 유형 및 인구사회학적 속성의 고려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