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멜랑콜리 논의를 통한 루이스 부르조아(Louise Bourgeois)의 <꽃(2007-8)>시리즈 분석연구

        강은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presentative work of Louise Bourgeois (1911-2010) in her latter period, Les Fleurs (2007-8) series, with a focus on the melancholy discourse on psychoanalysis. Through the exhibition, Les Fleurs (2007-8), Louise Bourgeois presented her works based on the themes clearly different from those of her prior works and they are A Baudelaire, Echo and Les Fleurs. This study examines the reasons why the name of poet, Charles Baudelaire and Echo in the Narcissos story in the Greek myth were used for her works’ titles. and makes analys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itles must be associated with the themes of her works. Through the works of A Baudelaire, Echo, Bourgeois talks about relationship between the Narcissist identity of melancholy artists and their creativity. While Baudelaire symbolizes a melancholy artist, Echo presents the image that haunts him or her. They together re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artist, artist and artist, and artist and audience. They also metaphorically refer to the mirror or a twin reflecting the images of each other.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elancholy and modernity, this study describ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elancholy characteristics of Baudelaire and the modernity concept of art based on the point that the concept of modernity of Baudelaire is related to his narcissistic identity. In addition, this study introduces theories of modern psychoanalysis such as Mourning and Melancholia of Sigmund Freud (1917), the concept of Position Depressive of Melanie Klein who developed object-relations theory and melancholy theory of Julia Kristeva who upgraded the importance of motherhood at the pre-oedipal stage as emphasized by Klein. Among others, discourse is presented with a focus on the correlation between melancholy and creativity of an artist, which were touched upon in Soleil Noir (Black Sun) by Kristeva. In this study, trend of the works of Bourgeois a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e ones before and after the Les Fleurs series. Not only sculptures Portrait and Janus Fleuri created in 1960’s, which exposed viceral unconsciousness of pre-sexual stage and bisexuality, but also Cells and Spider series made in 1980’s and 1990’s are assessed based on the concept of virgin mother and abject. When it comes to the Les Fleurs series, analysis is done based on the themes of Julia Kristeva, dynamics of sublimation and aesthetics of forgiveness. First, Julia Kristeva talks about writing and art, in her dynamics of sublimation, as a means to sublime melancholy. She says beauty and transience are the only ideal objects that do not disappoint libido as they can separate the degenerative and strictly obsessive libido and guide it up to sublimation. This study uses the works of Louise Bourgeois as an example with which it can prove the claim that beauty- pursuing art can be the means to sublimate melancholy. Les Fleurs series created in 2000’s and thereafter represent the conclusion that she came to after her life-long dedication to art. The main theme of the Les Fleurs is forgiveness. As she confesses in the preface to her exhibition, Les Fleurs, she talks about forgiveness in her works. She confesses that forgiveness means healing the trauma that she had in her childhood and the pain that she and her family suffered from. Julia Kristeva says that forgiving is aesthetic since forgiving is the means with which the patient suffering from melancholy can halt the time that is suspended like death and such process can lead a subject to creative activities. Forgiveness also makes it possible for one to identify oneself with the friendly and benevolent ideal narrator who can eliminate guilt full of revengeful thought or narcissistic scar pillaring the despair of melancholy patients. Louise Bourgeois and Baudelaire are melancholy artists and share narcissistic features. They pursued absolute beauty as many other artists have done. However, the main driver behind them was melancholy. They faced melancholy as artists and made efforts to sublimate it into art. This study assesses the works of Louise Bourgeois and its connection with the literary propensity of Baudelaire. Through the process, it is confirmed that melancholy is a driver behind the creation of melancholic artist works and furthermore melancholy can be sublimated into lofty beauty, the ultimate purpose of art. 본 논문은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1911-2010) 후기 대표 작품인 <꽃 (Le Fleurs 2007-8)> 시리즈를 정신분석학의 멜랑콜리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루이스 부르주아는 2010년 전시회 <꽃(Le Fleurs 2007-8)> 에서 이제까지 보여주었던 작품과는 확연히 다른 주제의 작품들을 출품했는데, <A Baudelaire>와 <Echo> 그리고 <Le Fleurs>가 그것이다. 본 논문은 시인 샤를 보들레르의 이름과 그리스 신화의 나르시스 이야기에 등장하는 에코의 이름이 작품에 붙은 이유와 이 작품의 주제가 관련이 있다고 보고 이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부르주아는 이 작품들을 통해 자신의 평생의 작업을 되돌아보고 멜랑콜리 예술가들이 가지는 나르시시스트적인 정체성과 그들의 창조성과의 관계에 대해 말하고 있다. 특히 작품 <보들레르>가 멜랑콜리한 예술가를 상징한다면 <에코>는 그 주변을 맴도는 타자의 이미지이다. 이 둘은 예술과 예술가, 예술가와 예술가, 예술가와 관객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서로에게 서로를 비추는 거울, 쌍생아 같은 존재를 은유한다. 또한 멜랑콜리와 ‘현대성’의 관계에 대해서는 보들레르의 ‘현대성’ 개념과 그의 나르시시스트적인 정체성이 관련이 있다는 논지에서 그의 멜랑콜리한 기질 즉 나르시시스트로서의 특성과 예술의 현대성 개념이 가지는 연관성을 주로 설명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현대 정신분석학의 이론들-지그문트 프로이드의 「슬픔과 멜랑콜리」(1917), 멜라니 클라인의 ‘우울적 자리’ 개념 그리고 클라인이 강조한 전 오이디푸스 단계에서의 모성의 중요성을 더욱 발전시킨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멜랑콜리 이론을 소개하였다. 특히 루이스 부르주아의 작품 분석에 있어서 크리스테바의 『검은 태양』에서 다루고 있는 멜랑콜리와 예술가의 창작성과의 상관관계에 주목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부르주아의 작품 경향을 <꽃> 시리즈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부르주아가 <꽃> 이전에 발표했던 6·70년대 양성성을 드러내는 조각과 8·90년대의 <밀실> 연작, <거미> 연작 등은 크리스테바의 처녀 어머니, 아브젝트(abject)의 개념을 빌어 분석하였다. <꽃> 시리즈에 있어서는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승화의 역학’과 ‘용서의 미학’을 주제로 작품을 분석하였다. 먼저 크리스테바는 ‘승화의 역학’에서 ‘멜랑콜리를 승화하는 방법으로써의 글쓰기, 예술’ 에 대해 말한다. 그녀는 아름다움과 덧없음은 리비도를 실망시키지 않는 단 하나의 이상적 대상이라고 말하면서 그렇게도 완고하게 결착되어 떨어질 줄을 모르는 퇴행적인 리비도를 분리시키고 승화로 인도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고 말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를 추구하는 예술이 멜랑콜리를 승화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크리스테바의 주장을 증명할 수 있는 적확한 예로 루이스 부르주아의 작품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부르주아가 2000년대 이후 제작한 작품인 <꽃> 시리즈는 그녀가 평생 창작을 하면서 도달한 결론이다. <꽃>의 주제는 ‘용서’ 이다. 전시회 도록 서문에서 그녀가 고백하고 있듯이 어린 시절의 상처와 그로 인해 고통 받았던 자신과 가족들 모두에 대한 ‘용서’의 의미를 <꽃>이라는 작품을 통해 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줄리아 크리스테바는 ‘용서는 미적이다’고 말하는데 왜냐하면 ‘용서는 멜랑콜리 환자의 절망을 떠받치고 있는 복수심의 죄의식이나 나르시스적인 상처의 굴욕감을 제거해 줄 수 있는 호의적이고 자애로운 이상적 화자와의 자기 동일화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 또한 용서는 멜랑콜리 환자가 죽음과 같은 정지된 시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방법이고 이러한 유의미화는 주체를 창조로 이끌어 가기 때문이다. 루이스 부르주아와 보들레르는 멜랑콜릭한 예술가였고 나르시시스트적인 특성을 공유했다. 그들은 절대적인 ‘미’를 추구한다는 면에서 다른 예술가들과 같았지만 그들을 움직이게 하는 동력은 멜랑콜리였다. 예술가로서 그들은 멜랑콜리와 대면했고 그것을 예술로 승화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본 논문에서는 루이스 부르주아의 작품세계를 분석하고 그것을 보들레르의 문학적 경향과 연결하여 살펴봄으로써 멜랑콜리가 예술가들이 작품을 창작하는데 동력으로 작용한다는 것과 예술의 목적인 ‘미’를 추구하는 과정에서도 멜랑콜리는 숭고미로 승화되어 탄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의 작품세계 연구 : <밀실(Cells)> 연작을 중심으로

        임현숙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11

        본 논문은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조각가 중의 한 사람으로 인정받은 루이스 부르주아의 작품세계를 후기 작품인 <<밀실>> 연작을 중심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부르주아의 예술에 대한 평가는 1982년 뉴욕의 MoMA에서 열렸던 회고전을 기점으로 하여 시작되었다. 그녀의 작품이 뒤늦은 시기에야 인정받게 된 이유는 무엇보다도 그녀의 작품이 고정된 양식이나 재료를 가지지 않고 특정한 규칙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부르주아는 20세기에 나타난 중요한 미술사조들과 그 추종자들을 거 의 모두 접하고 교류하는 행운을 가졌으나 본질적으로 권위주의에 반대하는 성격 때문에 어떠한 기존의 원칙도 받아들이지 않고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 자신만의 규칙을 만들며 혼자만의 길을 개척하였다. 부르주아가 작품을 만드는 목적은 감정의 정화작용(exorcism)이었다. 그녀는 자신이 느꼈던 고통을 조각이라는 물리적 형태로 만들어 그것을 자신의 의지대로 조절 하면서 없애고 싶어하였다. 따라서 그녀의 작품은 매우 자전적인 특성을 가진다. 부르주아는 자신의 느낌과 경험을 표현하는 데 있어 언제나 인체와 집의 이미지에 이끌렸다. 인체는 그녀가 초기부터 관심을 가졌던 이미지로 1960년대에 페미니스트 운동에 참여하면서 더욱 부각되었다. 한편 집이란 그녀에게 있어 여성과 동일시되는 공간개념으로 여성성에 대한 중추적 은유이다. 자신의 불행했던 어린 시절과 결혼 후의 경험으로부터 집은 그녀에게 보호와 구속이라는 양면성을 가지며 사람들 사이의 심리적 관계를 은유한다. 그녀는 일생동안 과거에 대한 회상 속에서 어린 시절의 집으로 돌아가 당시의 경험을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부르주아는 초기의 회화인《여자-집》연작에서 위의 두 주제를 결합시켰으며 이 시도는 1990년대에 들어와 독창적인 설치작업인《밀실》연작에서 그 결실을 맺는다. 《밀실》연작은 그녀의 조각에 대한 개념을 총체적으로 설명하여 주며 그녀의 독창성의 증거가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밀실》연작을 중심으로 부르주아의 작품세계를 조명하고자 하였으며《밀실》의 연구를 통해 부르주아가 자전적 입장에서 추구한 심리적 효과와 그녀가 일생동안 추구한 기본과제인 가부장제에 대한 비판과 여성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를 정신분석학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자전적인 작품의 특성상 그녀의 생애에 대하여 짚어보고 그녀의 작품제작에 영향을 미쳤던 중요한 미술사조들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기에 페미니즘과 더불어 등장한 정신분석학은 작품의 제작과 해석에 있어 새로운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다음으로《밀실》작품이 나오기까지 부르주아 작품의 주된 주제였던 인체와 공간 이미지들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인체 이미지의 변화에서 초기부터 나타난 모성 이미지에 대한 관심과 양성 이미지는 그녀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여성성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또한 1960년대에 제작된 무정형의 이미지와 1980년대에 제작된 신체 파편은 히스테리아와 함께《밀실》연작에서 인체 파편의 주요한 모티브로 사용되었다. 한편 공간 이미지는 초기의 회화 형태에서 조각과 설치작업으로 바뀌었으며 공간 이미지의 변화 과정에서《밀실》연작이 등장하게 되는 배경이 설명된다. 마지막으로《밀실》연작을 그 구성 부분인 신체 파편, 발견된 오브제 그리고 공간으로 나누어 이들이 가진 페미니스트적, 정신분석학적 의미를 상응하는 정신분석 이론으로 해석하였다. 부르주아는 자전적인 이야기를 통하여 자신이 느꼈던 감정과 상처를 치유하고 일생동안 가부장제의 억압에 대하여 비판하고 여성의 정체성에 대하여 탐구하였는데 이러한 주장은 자크 라캉, 멜라니 클라인, 줄리아 크리스테바 그리고 루스 이리가라이의 이론에 의해 뒷받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신분석학 이론의 적용에 있어 그 범위를 상응하는 이론들의 기본적 내용과 부르주아 작품과의 연관성을 밝히는 정도에서 제한하였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art of Louise Bourgeois focusing on the《Cells》series. The appreciation of Bourgeois' works has begun since Deborah Wye organized the retrospective exhibition at the Museum of Modern Art in 1982. The reason for this late recognition is that her works do not have any fixed style and materials and do not follow any specific rules. Bourgeois has been fortunate to become an integral part in artistic life of the 20th century, but due to her antiauthoritarian nature, she rejected the rules and regulations of the artworld. Instead, she chose to make up her own rules and to select her own world. For Bourgeois, sculpture meant exorcism from the beginning. She wanted to transfer a feeling of pain and impotence onto a material thing, giving shape to her Angst in order to control it, to shift it from her own body onto another body, Therefore, her works have biographical and psychological features. In 1979, she delivered a public lecture in which she claimed childhood trauma as the origin of her work. That was her father's affair, under the family roof, with his daughter's English tutor and supplied a narrative to cut the stylistic and conceptual contradiction of her oeuvre. Throughout her career, Bourgeois has been drawn to imagery of the body and the house. She was interested in body image from the beginning and became more interested since she was involved in feminist movement in 1960'S. Also the conception of the house as a female space constitutes a central theme of her work. For Bourgeois, the house is equivalent to the definition of woman as homemaker, House has the duality of protection and suppression from her unhappy childhood memories and experiences after the marriage and is also the metaphor of the psych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She always returns to the childhood home in memory and expresses the feelings through the artworks. She combined those two themes in early paintings of《Femmes-Maisons》and again in the《Cells》series of 1990s. The 《Cells》series explain her total concept about sculpture and become the evidences of her originality. Therefore, I tried to research the art of Bourgeois focusing on the《Cells》series. In addition, I tried to explain the psychological effect she pursued, her resistance toward the patriarchy and the problem of sexual identity she studied throughout her life. In order to appreciate the works of Bourgeois which are so rich with autobiographical and emotional references, I first examined her personal background and relationship with the important art trends of the 20th century which affected her art. Especially, psychoanalysis which arouse with feminism during the period of postmodernism, gives a new theoretical basis in interpretation and production of her artworks. Secondly, I explained how the imagery of body and house has been transformed in her works. Among the body image, mother-child images and bisexual images are important parts in research of femininity in her artworks. Along with hysteria, the anti-form images of 1960s and body parts of 1980s are used as important motives in the《Cells》series. House image was emerged in her early paintings and then transformed to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This transformation explains the background of appearance of the《Cells》series. Lastly, feministic and psychological meanings of the《Cells》's constituents, body parts, found objects and space, were explained. Bourgeois exorcised the pain and feelings through autobiographical story, criticized the suppression of patriarchy and examined the sexual identity, These are supported by the theories of Jacque Lacan, Melanie Klein, Julia Kristeva and Luce Irigaray,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se theories is confin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basic ideas and her works.

      • 루이스 부르주아에 있어서 트라우마와 기표 해석

        조경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911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to interpret trauma and its signifier in the Louise Bourgeois's works of art. This study is directed at two ways. In the first way, I attempted to read more deeply trauma through expanding contents of Louise Bourgeois with the psychoanalytic approach. Second way is directed at determinating more obviously the manner how trauma is presented in the field of the visual language with analyzing of the signifer Here, the intention of expanding of Bourgeois's trauma is for that the structural approach is needed, and introducing of the analyzing of the signifier is for that I supposed that the unconscious structure of trauma not so much should be revealed as would be presented in the visual language which Bourgeois produces. that is to say, through the two methodical bases, a hypothesis is being set that the meeting point between the structural aspect presented in the visual language of Bourgeois and the unconscious structure of trauma would exist. First, I attempted to settle the problem of the psychoanalytic expansion of trauma through Lacan who promoted the psychoanalysis into the structural dimension. In the 1950s Lacan formulates the subject as the traumatic subject, considering the traumatic subject as being that is attracted toward and defense against jouissance: a pleasure that is excessive. Besides, a feature of trauma is accompanied by trauma of signification. This feature of trauma means the non-representable, or that a link between the representation is missed. With this results, I applied the content and the structural feature of trauma to reading trauma and its signifier of Bourgeois. On the other hand, the repetitive curvature signifier and its fragmented, indeterminate structure was sampled in the light of the visual language of Bourgeois, and analyzed through methodology of feature-analysis. This methodical process is because of the presupposition that a situation of the signifier originated from trauma would reveal the repetitive, indeterminate structure in the context of psychoanalysis. Through this method of visual signifier analysis, I attempted to define the visual language of Bourgeois, and lay the founda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its signifier. As a results of this process, the repetitive curvature signifier, main signifier in the works of Bourgeois was interpreted as the signifier of 'object a' in the relation to the direct meaning of trauma, its indeterminate structure is understood through the logic of partial drive as well. Furthermore, the indeterminate structure is expression of death drive, for drive is death drive. The results of analysis report that in the light of the visual language of Louise Bourgeois, that is, the structural condition of the curvature signifier the indeterminate structure is superior, nevertheless, repetitive, determinative structure is also assigned. This is understood as ambiguous and paradoxical figure of traumatic subject. For the traumatic subject is being that lies in the conflict between repression of the Symbolic and Jouissance destructing its repression, the abov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Bourgeois, Traumatic Being, is floating between subversion of the Symbolic, or symbolic death as Jouissance and symbolic defence against Jouissance, or symbolic living. A problem of exploring the way how the dimension of visual language is connected with its interpretative dimension underlies in this study, also show that way practicall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rauma and its signifier of works of Bourgeois, even though not enough. 본 연구는 루이스 부르주아의 트라우마와 그 기표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는 두 가지의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그 하나는 루이스 부르주아의 트라우마의 내용을 정신분석을 빌어 확장함으로써 보다 심층적인 트라우마의 읽기를 시도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부르주아의 시각언어의 차원에서 기표분석을 통해 트라우마가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방식에 대해 보다 분명히 규정해 주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부르주아의 트라우마를 정신분석적으로 확장하려 한 것은 트라우마에 대한 구조적인 접근이 필요했기 때문이며, 또한 기표분석을 도입한 것은 부르주아가 생산하는 시각언어에서도 트라우마의 무의식적인 구조가 드러나야 하고, 또한 드러날 것이라는 가정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연구자는 이러한 두 가지 방법적 토대를 통해 부르주아의 시각언어가 갖는 구조적인 측면과 트라우마의 무의식적인 구조가 만나게 될 것이라는 가정을 하고 있는 것이다. 먼저 트라우마의 정신분석적 확장은 정신분석을 구조적인 차원으로 끌어 올린 라캉의 트라우마론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후기 라캉은 주체를 트라우마적인 주체로 규정하며, 이때의 트라우마적인 주체는 쥬이상스라는 과도한 만족에 방어하거나 매혹되는 주체로 정의가 된다. 또한 트라우마의 성격은 의미화의 외상을 동반하는 데, 이 의미화의 외상은 표상불가능성, 혹은 관념간의 고리가 끊긴 상태를 의미한다. 연구자는 이렇게 얻은 트라우마의 내용과 성격을 부르주아의 트라우마와 그 기표 읽기에 적용했다. 또한 부르주아의 시각언어의 측면에서는 반복적 곡선기표와 그 곡선 기표들의 파편적이고 불확정적인 구조를 추출하고 이를 자질분석론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는 트라우마에서 비롯된 기표들의 정황이 정신분석의 맥락에서 볼 때 반복적이며 불확정적인 구조로 드러날 것이라는 예측 때문이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시각기표분석을 통해 부르주아의 시각언어를 문법적인 차원에서 규정해 주는 한편, 기표 해석의 토대로 삼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법과 과정을 토대로 부르주아의 중심기표인 반복적 곡선기표들은 트라우마의 직접적인 내용과 관련해서 '오브제 a(object a)'의 기표로 해석되었고, 또한 그 불확정적인 구조는 부분충동의 논리에 기대 해석되었다. 또한 부분충동은 죽음충동이라는 이유 때문에 불확정적인 구조는 죽음충동의 표현으로 해석되었다. 연구자는 분석 결과를 통해 부르주아의 시각언어, 즉 곡선기표들이 이루는 구조적 정황은 불확정성이 우세함에도 불구하고 반복과 확정성 또한 안배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는데, 이는 트라우마적인 주체의 이중적이며 역설적인 모습으로 해석되었다. 트라우마적인 주체는 상징계의 억압과 그 억압을 파괴하려는 쥬이상스 사이에서 갈등하는 주체인 바, 트라우마적 존재인 부르주아는 상징계의 전복, 즉 쥬이상스로서의 상징적 죽음과 상징계적 방어, 즉 상징적 삶 사이에서 부유하는 존재로 읽혀 졌다. 이 논문의 근저에는 시각언어의 차원과 그 해석의 차원이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이 깔려 있고, 연구자는 부족하나마 이를 부르주아의 트라우마와 기표 해석을 통해 실천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 Jung의 분석심리학에 입각한 미술의 치유적 기능 분석 : Louise Bourgeois의 작품에 나타난 개성화과정을 중심으로

        안유림 한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895

        심리학자 Carl Gustav Jung(1875-1961)은 현대인의 마음의 병이 우리의 정신 속 무의식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말한다. 그는 인간의 치유를 위한 자기 인식(Self-knowledge)의 과정으로 ‘개성화(Individuation)'과정을 강조한다. 개성화과정에서 개인은 내면의 무의식의 원형을 발견하고, 그것을 의식화하여 진정한 ‘자기’로 나아간다고 하였다. 이러한 ‘자기’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꿈이나 무의식의 이미지에 대한 상징을 표출하는 창조적 과정을 중시하였다. 이는 미술치료에서 창작을 통한 치유라는 ‘치료로서의 미술(Art as Therapy)’의 관점에서 미술 고유가 가지는 치유적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심리치료에서 왜 미술이라는 매체가 치료로써 의미가 있는가에 대한 물음의 답을 위해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진단과 평가로써 활용되는 그림의 의미에서 더 나아가, 미술의 창작 과정에서 나타나는 치유력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술이 가지는 치유적 가능성에 대해 고찰이 필요하다. Jung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미술을 바라보는 시각은 무의식적 요소를 표현하는 의식적 방법으로서의 미술을 격려하였다. Jung은 내담자의 내부로부터 오는 능동적 심상을 끌어내어 형상으로 만드는 것은 무의식에 대한 객관화라고 보았다. 이것은 곧 자신의 심상과 느낌 상태를 표현하는 이미지의 시각화로 나타나, 의식이 무의식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되어 개성화 단계에 이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무의식의 원형은 상징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상징이란 직접적으로 드러낼 수 없는 것을 간접적으로 이미지를 통해 드러내는 것이다. Jung의 분석심리학에서 예술은 무의식의 산물로써,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상징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 점에서 시각예술에 나타난 상징에 대한 이해는 곧 한 인간의 무의식의 원형을 이해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Jung의 분석심리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미술의 내적 치유력을 개성화이론을 토대로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현대 작가 Louise Bourgeois(1911-2010)의 작품에서 개성화 이론이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녀는 삶을 마감하는 순간까지 반복적으로 자신의 상처를 이미지의 상징으로 나타내고, 다양한 오브제와 기법을 통하여 창작 과정에서 자신의 내면세계를 치유해 나간다. Bourgeois의 작품에 나타난 내면의 변화를 개성화과정에 입각하여 분석한다는 것의 의의는 한 인간의 심리적 문제가 미술을 통하여 어떻게 치유되어 나갈 수 있는가에 대한 미술의 치유적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그녀는 작품 활동을 통해 무의식을 의식화함으로써, 자신의 심리적 외상을 다시 경험하고 재조합하며 통합하는 과정을 거쳐 자기 치유에 이른다. 페르소나와 자기를 구별하고, 억압된 그림자를 인식하며, 자기 안의 아니무스를 의식화하는 작업을 이미지 상징으로 나타내며 개성화과정의 여정을 밟는다. 본 연구를 통해 Bourgeois가 억압된 자신의 상처를 심상으로 대면하고 의식화하여 무의식적 원형을 상징화하는 작업은 Jung의 개성화과정에서 ‘자기’를 찾아가는 여정과 닮아 있음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무의식의 원형을 상징으로 의식화하는 과정을 자기와의 소통과 치유의 가능성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무의식에 대해 다루는 것은 객관화의 한계가 있으나, 이미지의 상징 과정에서 발견되는 미술의 치유력을 고찰함으로써, 한 예술가의 작품 세계에 대한 분석이 치유로서의 미술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자기’로 나아가고자 하는 욕망은 누구에게나 있다. 하지만 두려움과 대면하고 자신의 무의식을 인식하여 의식화하고자 하는 과정을 누구나에게 쉬운 과정은 아니다. 미술치료에서 내담자에게 그러한 힘을 심어 주는 것이 치료사의 역할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 미술 자체가 가지는 치유적 과정에 대한 이해 없이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상징을 이해하고 이끌어 줄 수 없다고 본다. 그런 의미에서 자신의 치유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 본보기인 예술가에 대한 고찰은 다 다양한 관점과 방법으로 계속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Psychologist Carl Gustav Jung(1875-1961) says there exists a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human subconsciousness and mental, inner pain. Jung emphasizes on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as a major step for one to reach Self-knowledge, and he believes, through Individuation one can discover his/her own subconscious mind and realize his/her true self. In this aspect, Jung focused on creating activities of images from subconsciousness or dreams, which raises a question on validity of artistic therapy, or Art as Therapy. Numerous studies have tried to answer whether/how to utilize art as a means to evaluate and diagnose one’s condition; however, further analysis on the process of art creation need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discover therapeutic functionality of art. In terms of Analytic Psychology, Jung viewed art as the conscious method of expressing unconscious elements, which leads to Individuation through visualizing and realizing one’s own identity.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therapeutic functionality of art and to draw upon the Individuation theory based on the Jung’s Analytic Psychology. Modern artist Louise Bourgeois(1911-2010), and her works a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n Individuation. Bourgeois is an artist who spent her lifetime trying to face her trauma and heal the inner self through creation of art, and in her pieces, Bourgeois symbolized the image of her inner pain with various objects and techniques. Analyzing Bourgeois’ works and her Individuation process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nsider how one can experience healing effect through art creation. In case of Bourgeois, she conscientizes her subconsciousness by reexperiencing her trauma and, reorganizing, restructuring her inner self in order to achieve self healing. She distinguishes herself from persona, recognizes her repressed self, and conscientizes her animus, during the entire process of creating an art piece. Similarities have been found between Bourgeois’ work process and Jung’s Individuation process. This study as a result provide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Jung’s theory on the Individuation process, and the possibility of self healing through the conscientization of one’s subconsciousness. Rather than directly analyzing subconscious matters in vague senses, this study focuses on the works of an artist who spent entire lifetime trying to heal her inner self through art cre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theoretic basis for Art as Therapy. As a limitation, this study analyzes particular steps of the Individuation related to the works of Bourgeois, indicating the entire process of the Individuation has not been fully covered. Nonetheless, during this study, the symbols and images representing the Individuation process are care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is purposed to evaluate whether the art’s therapeutic possibility applies to non-artistic, ordinary people as well.

      • Louise Bourgeois의 작품에서 치유로 승화된 기억의 공간들에 관한 연구 -밀실 시리즈 중심으로-

        양리애 창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863

        올해 95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루이즈 부르주아는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면서 1999년 제48회 베니스비엔날레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또한 2000년에는 테이트 갤러리의 분관 테이트 모던(Tate Modern)의 개관 기념 프로젝트를 맡아 거대한 거미작품을 <암거미(Maman)> 등 다수의 작품을 제작하여 역량을 과시하고 있는 세계적인 조각가다. 루이즈 부르주아의 예술세계는 내면의 갈등과 기억들에 대한 진실한 표출이다. 이것은 사회적으로 좁게는 관람자에게 확장되어 예술적 가치와 더불어 심리적 치료연구에도 크게 공헌한다. 부르주아의 개인적 심리문제는 작품을 통해 공개되어지고 이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녀의 어릴적 이야기에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그녀는 성장기 때 집안의 가정교사와 아버지의 긴 외도로 인한 강한 충격과 정신적 지주였던 어머니의 죽음을 겪으면서 심리적 고통을 받게 되고 성적으로 문란한 언니와 사디스틱한 남동생 등의 가족 구성으로 평탄치 않은 어린시절을 보내게 된다. 이러한 고통의 경험이 지금의 부르주아 작품세계의 화두이며 고통을 작품을 통해 보여주는 것 뿐 만아니라 고통을 파괴하고 카타르시스에 이르러 치유와 평정을 찾는 방법을 작품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이런 의도를 나타내기에는 조각이 적절 했으며 그 특징인 깎고, 쪼고, 긁어내는 과정은 고통의 파괴 즉 폭력의 대리적 역할로서 활용 했으며 소프트한 헝겊으로 깁고, 꿰매고, 붙이는 과정을 치유, 평정, 화회, 회복의 수단으로 활용했음을 본인 스스로 말한다. 부르주아는 1960년대에 정신분석학에 관심을 가지고 본격적으로 연구하며 정신분석학의 저서들 탐독 하든 중 멜라니 클라인Melnie Klein의 정신분석학이 자신의 심리상태를 잘 반영 한 것으로 간주하고 작품의 이론적 배경으로 삼는다. 클라인의 대상관계이론을 모델로 하여 제작되어진 부르주아의 작품은 페미니즘이론이 라캉에서 클라인의 이론으로 이행되는 것의 선구적 역할을 했다. 또한 정신분석학연구는 심층적 치료를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예술이 사회적인 기능을 내포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부르주아의 예술성이 여성의 사회적 문제의 고발과 치유의 기능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60년대 중반부터 근거하여 이 시기에 등장하는 유기적이고 성적인 모티브의 작품은 초기 페미니즘의 전조로 간주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신체의 접촉적인 부위, 그리고 부분적 기관들이 절단 되고 결합한 이미지는 후기 페미니즘의 현상인 그로테스크바디Grotesque Body의 특징이며 이러한 부르주아의 작품은 후기페미니즘의 선행이라 볼 수 있다. 1999년부터 연작 <밀실Cell>은 초현실주의시절 자코메티의 <새벽4시의 궁전, 1932>을 닮아 있으며 본인 스스로도 그의 영향에 대해서 언급 바 있다. 그녀의 작품 활동시기가 초현실주의와 맞물려 있으나 미술사적으로 부르주아의 작품을 어떤 주의에도 포함시키지 않고 현재에 와서 그 가치를 분석하고 연구함은 그 당시의 초현실주의 개념과는 다른 현실에서 지배 할 수 있는 무의식, 그리하여 무의식의 문제점을 현실로 끌어내어 극복하려는 훨씬 실재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그 표현 양식 또한 어느 장르에도 속하지 않는 새로운 구조적 형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부르주아는 개인의 성장과 통찰, 변화를 위해 미술이라는 비언어적인 언어를 선택하였고 생각, 감정, 지각과 같은 내면세계를 외부의 현실세계 및 인생의 경험과 연결시키고 있다. 그녀는 작품의 제작과정을 통해 자신을 잠식해오는 두려움과 고통에 대한 이해와 파괴로 자신을 수정하고 확립시키는 것이다. 1943년 부르주아는 뉴욕 현대미술관The Museum of Modern Art in New York에서 열린 ‘치유로서의 미술 The Art in Therapy 전’에 참여하여 명예상을 수상한다.

      • 루이즈 부르주아 : 정신분석학적으로 고찰한 작품 연구

        서수영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623

        본 논문은 장르와 재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작품 세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현존 여류 조각가인 루이즈 부르주아(Louise Bourgeois)의 작품과 정신 분석학과의 관계를 고찰한 연구이다. 부르주아는 감정의 정화작용(Exorcism)으로서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그녀의 깊은 정신적 상처의 고통을 예술, 즉 조각으로 표현하여 그 고통을 없애고 승화시키고 있다. 1940년대 후반부터 보여 지는 부르주아의 작품에서 그녀는 프랑스에 두고 온 가족들과 아들 등의 모습을 나타내는 작품을 하게 된다. 이 시기의 작품들에서 보여 지는 ‘직립’의 특징은 여성적 히스테리와 공격성을 함축하며 또한 버려둔 가족들에서 느끼는 애도 반응(mourning)은 프로이드와 멜라니 클라인의 이론을 비교함으로서 그 결과물이 공격, 증오와 분노 등이 우울증으로 향하는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60년대에 부르주아는 작품의 재료와 형태면에서 경직성에서 유연성의 변화로 이전하는데 이는 프로이드의 전성기기 부분 대상의 퇴행 모델로 보여 지며, 멜라니 클라인에게는 유아기적 충동을 일으키는 파괴의 증거인 똥, 즉 대변철학(excrement philosophy)과 연관된다. 또한 부르주아와 쟈코메티와의 작품 비교는 클라인의 초점 없는 성적 감정인 유아기의 성적 욕망, 즉 대상 없는 성적 충동을 보여주는 것이다. <굴집>시리즈에서는 클라인과 프로이드의 죽음 본능이 비교되어 나타난다. 또한 부분대상으로서의 남근과 유아시기에 양성(兩性)이 처음 맞닥뜨리는 공포인 거세 불안이 프로이드와 클라인의 이론을 대조하면서 부르주아 작품에 보여 진다. 이 후 <아버지의 파괴>는 내면의 폭력성을 다루는데 그녀의 아버지를 재탄생시키며 엑소시즘(exorcism)을 드러낸다. 또한 오이디푸스 관계인 복수와 보복을 어머니의 신체 내부로부터 표현하면서 가부장제를 공격한다. 이것은 클라인의 ‘모성적 환상 속의 신체적 내용물’이라는 것과 맞물린다. 1990년대부터의 밀실(Cell)시리즈는 부르주아의 과거를 드러내는 종합적인 설치물로서 연극적으로 방을 재구성했는데 오브제, 인체 파편 등을 사용하며 밀실공포와 관음증(절시증)을 강조한다. 최근에는 모성이 생명과 죽음의 부여자이며 숭배와 공포의 대상이라는 이중적인 의미를 바느질에 의해 기괴한 형상으로 나타내는 작업을 하고 있는데 이것은 화해와 치유를 의미하며 60~70년대 강렬한 이미지들로 표현되던 그녀의 감정들이 엑소시즘(Exorcism)을 거치면서 재료 면에서나 표현적 측면에서 한층 부드러워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는 기괴한 것에 대한 프로이드의 개념을 정교하게 이론화한 정신분석학자인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이론으로 증명된다. 이처럼 부르주아는 자전적인 이야기를 조각을 통해 자신이 겪고 느꼈던 감정과 상처를 치유하고 있으며 자신의 예술적 창작을 풍부하고 깊게 하며 이론적인 토대를 확보하기 위해 정신분석학 이론을 연구하여 작품의 이론적 타당성을 뒷받침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analysis and the work of femme sculptor Louise Bourgeois who develops her own art field beyond genre and materials. Bourgeois develops her works into emotional exorcism, and removes psychological agony by sculpturing. In late 1940's, she has began to making figures of family or son remained in France. In this period, the characteristic of 'standing' shown in the works implicates femme hysteria and aggressiveness. Besides, the mourning reaction from remained family represents that hatred and abhorrence turn toward melancholia by comparing the theories of Freud and Melanie Klein. The work of Bourgeois in 60's changes rigidity intoflexibility in the aspect of material and figure, this shows as recessive model of the part object in pre-Phallic Phase of Freud and relates the Melanie Klein's excrement philosophy which implies the excrement as the evidence of destruction occurring infant impulse. The comparisonof Bourgeois and Giacometti works illustrates infant sexual desire, which is the sexual impulse without object. In the series of <Lairs>, the death instinct ions of Klein are compared to the one of Freud. The works of Bourgeois shows that the fear of castration occurred by encountering penis as part object with bisexual infant by contrasting to the theories of Freud and Klein. Then <The Destruction of the Father> deals with inner violence, resurrects her father and represents exorcism. It expresses the revenge as Oedipus Relation from mother's body and attacks patriarch. This also relates with 'body contents in the maternal fantasy' of Klein. Since 1990's Cell series compose the multi-installation which reveals the past of Bourgeois and emphasize claustrophobia and voyeurism with object and human body. She recently makes grotesque sewed figure which implies maternity as endower of life and death, simultaneously the subject of fear. This means not only reconciliation and recovery but also being tender in the aspect of material and expression through exorcism. This can be proved by Kristerva theory which theorizes accurately the grotesque Freud concept. To sum up, Bourgeois recovers her emotions and wounds through autobiographical story with sculpture and enriches her art potential. She applies psychological analysis theory as theoretical propriety to achieve theoretical foundation.

      • 여성 미술가 계보 연구 : 루이스 부르주아와 김수자를 중심으로

        정미영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607

        In the art history, feminism study started with the essay "Why Have There Been No Great Women Artists?" written by Linda Nocklin in 1971. According to her, there have few great females while there have been a lot of great males in the history of human being even until the modern times; and this symptom is not limited to only the art profession but shown in every field. The reason why there are fewer females than males in the art profession has been resulted from such an incorrect prejudice that females are physically less competitive than males and not good enough to create great works. There have been much less female artists than male artists not because women are less talented but because they are given less opportunities to show their talents under the pressure of education, social system and custom. Such radical ideas in her early days were not earnestly studied until she started to research the female artists who had been forgotten. Art literatures have shown two astonishing facts since the 16th century: One is that female artists' existence had been recognized until the 19th century and the other is that it was the modern authors who denied the existence of such female artists. There were only few literatures about the female artists even in the 16th century but there were many in the 18th century. In the 19th century, finally, they were large enough to form their own stream. A number of literatures that studied the female artists diachronically from the Greek era to the 19th century were published all around Europe, including Die Frauen in der Kunstgeschichite by Ernst in 1858, Women Artists in All Ages and Countries by Elizabeth Ellet in 1859, English Female Artists by Ellen Clayton in 1876, La Femme dans I’art by Marius Vachon in 1893, Women Painters of the World by Walter Sparrow in 1905, Women in the Fine Arts from the 7th Century BC to the 20th Century by Clara Clement, a big dictionary of more than a thousand female artists, in 1904, etc. Strangely, however, such books about female artists began to be less published from the moment when the thoughts that females w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every profession should be activated as females got socially liberated and were given more educational chanc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fact, there have been few books published on the art activities of the females in the past and even such few books were just no more than collections of the study results attained in the 19th century. The art historians in the 20th century had large volume of data much enough to show that female artists had always existed but they ignored such fact. They were completely silent about female artists in such books as Story of Art by E.H. Gombrich in 1961 and History of Art by H.W. Janson in 1962, which are widely known as introductions of the western art history. That is, female artists had been isolated from the world and erased from their memories in such deep silence. In this study, I try to understand how female artists have overcome such a long and hard contradiction between their identity that they are the artists themselves and they are women and their own positions isolated from the society even if they are asked to go different ways from those of males in art and society, and then look into their achievements they have made with their own unique works as artists. Exploring the history of females and arts is to partially explain how the art history has been traced. I would like to say that the way of recording and depicting female artist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definition on the art and artists of our society by exposing the value forming the base, premise, silence and prejudice of art history. In this study, I try to correct and reevaluate the history of female artists and reestablish their positions to find out various social stereotypes and value systems or concepts of female and expose them. 미술사에서의 페미니즘 연구는 1971년‘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는가?’라는 린다 노클린의 글이 시발점이 되었다. 노클린에 의하면, 인류역사에서 볼 때 현대사로부터 거슬러 올라갈수록 위대한 남성은 많아도 위대한 여성이 적은 것은 비단 미술에만 국한된 사항이 아니라 모든 분야에 걸쳐 산견되는 현상이다. 미술에서도 여성작가들이 수적으로 열세인 이유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생리적으로 열등하거나 위대한 창조 작업에 적합하지 않다는 그릇된 편견에서 비롯된 것이다. 여성은 그들의 재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교육, 사회제도, 관습에 의해 그것을 발휘할 기회 제공이 제한되었기 때문이다. 노클린의 초기 분석에 잠재해 있던 이러한 급진적인 내용은 그녀가 잊혀졌던 여성미술가들이 조명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되었다. 16세기부터 현재까지의 미술문헌에서는 두 가지 놀라운 사실이 도출된다. 그 하나는 여성 미술가의 존재가 19세기까지는 충분히 인정되었다는 사실이고, 또 다른 하나는 그들의 존재를 실질적으로 부인했던 사람들은 바로 근대의 저술가들이라는 사실이다. 16세기까지만 해도 그리 많지 않았던 여성미술가에 관한 자료들이 18세기경에도 상당량이 되었고 19세기에 이르러서는 하나의 흐름을 이룰 정도였다. 그리스 시대로부터 당대까지의 여성미술가를 통시적으로 연구한 저작들이 유럽 각지에서 출판 되었다. 예를 들면 에른스트의‘미술사 속의 여성 Die Frauen in der Kunstgeschichite’, 1858, 엘리자베스 엘릿 Elizabeth Ellet 의‘세계의 여성미술가 통사 Women Artists in All Ages and Countries’, 1859, 엘렌 클레이튼Ellen Clayton의‘영국의 여성미술가들 English Female Artists’, 1876, 마리우스 바천 Marius Vachon의‘미술 속의 여성 La Femme dans I’art’, 1893, 월터 스패로우 Walter Sparrow 의‘세계의 여성화가들 Women Painters of the World’, 1905, 그리고 클라라 클레 멘트 Clara Clement 가 천 명 이상의 여성을 망라해서 편집한 대사전‘미술 속의 여성-BC7세기부터 20세기까지 Women in the Fine Arts from the 7th Century BC to th 20th Century’, 1904 등이 있다. 여성미술가에 관한 저서들은 기이하게도 여성이 사회적으로 해방되고 교육 기회가 확대되면서 이론적으로는 마땅히 여성이 모든 방면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의식이 활성화 되어야 하는 바로 그 순간 점차 감소한다. 20세기 들어 과거 여성들의 미술활동을 다룬 책은 사실상 거의 출간되지 않았고 몇 권의 예외적인 저작도 19세기의 연구 성과를 모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20세기의 미술사학자들은 여성미술가가 항상 존재했다는 사실을 보여주기에 충분한 자료를 갖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을 무시했다. 서양 미술사 개설서로 가장 많이 알려진 곰브리치 E.H. Gombrich의‘미술 이야기 Story of Art’, 1961 나 잰슨 H.W. Janson의‘미술의 역사 History of Art’, 1962 같은 저작들은 여성에 관해 완벽하게 침묵한다. 이처럼 여성 미술가들은 고요한 침묵 안에서 세상과 단절된 상태에서 잊혀져가고 있었다. 본 논문은 여성이 예술적으로나 사회 구조와 맺는 관계는 남성미술가들과는 다를 지라도 여성작가들은 자신들이 미술가라는 정체성과 여성이라는 정체성 사이에 뿌리 깊은 모순이나 또 사회와의 고립된 특별한 처지를 어떻게 타개 했는가를 이해하고, 그런 차이에도 불구하고 미술가로서의 그들 나름의 작품을 만들 수 있었던 그녀들의 업적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성과 미술의 역사를 발견하는 것은 미술사가 어떻게 기술되는지를 부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이다. 미술사의 토대를 이루는 가치, 그 전제, 침묵과 편견을 드러내는 것 역시 여성미술가를 기록하고 서술하는 방식이 우리 사회의 미술 및 미술가에 대한 정의와 긴밀한 관련이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여성 미술가의 역사를 바로잡고 재평가하여 여성의 위치를 재정립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과 여러 편협한 가치체계나 개념을 찾아내어 그 것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 루이즈 부르주아의 설치작품에 나타난 내러티브와 오브제의 상징성

        박미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602

        20세기 현대미술사에서 거장 중 한명으로 꼽히는 루이즈 부르주아(Louise Bourgeois,1911-2010)의 작품세계를 내러티브와 오브제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미술사에서 '자기고백예술(Confessional Art)'을 새롭게 만들었으며, 진정한 휴머니즘 작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미술사에서 자기고백예술이라는 재위치를 정립시키고, 자전적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한 작가의 진정한 휴머니즘 세계를 고찰해보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어릴적 겪은 정신적 외상은 부르주아의 조각작품세계에 끊임없는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현실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과거 기억에서 찾고자 정신분석학에 열중하였고, 자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을 하였다. 남성위주의 권위적인 사회체제 속에서도 개성적인 감각과 이론적 근거를 통해 매우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이루었다. 비록 70세라는 나이에 세계에 알려졌지만, 오히려 이를 다행으로 생각한 부르주아는 작품에 끊임없는 도전과 실험정신으로 80의 화업을 이루었다. 본 연구자는 부르주아의 이러한 자전적 작품세계를 시대별로 분석하면서 자기고백예술의 핵심이 되는 자전적 내러티브와 이를 표현하기 위한 오브제들의 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최종적으로 부르주아의 종합적인 단계인 <셀>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와 분석은 부르주아의 작품을 이해하는 단계에서 매우 주요하게 다루었다. <셀>은 부르주아 작품세계를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단계로 관람객의 참여를 유도하고 미술관 공간에 작가의 의도적인 공간을 부여함으로써 20세기 현대조각사에 새로운 시도를 한 것이다. 이처럼 부르주아의 작품세계를 정신적인 외상을 통한 내러티브, <셀> 등 설치 작품에 나타난 오브제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고찰한 본 논문이 향후 부르주아의 철학적이고 개념적인 연구를 위한 기반과 초석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